사회적 능률성(社會的能率性, social effiency)이란 대외적으로는 사회목적을 실현하고 대내적으로는 인간적 가치 내지 구성원의 만족도 실현 등을 중시하는 능률성으로서, 사실상 민주성과 동의어로도 사용된다. 사회적 능률성은 기계적 능률성에 대한 반성에서 대두하였다. 여기에서 기계적 능률성이란 경제적 가치 중심의 능률성을 의미하며, 성과를 계량화하여 평가한 객관적 능률, 금전적 가치로 평가된 능률, 과정적,수단적인 능률성을 의미한다. 중시배경: 사회적 능률성은 Dimock에 의하여 정립된 개념으로서, 전통적인 고전행정학에서 중시하였던 기계적 능률성에 대한 반성으로 대두하였고, 1930년대 인간관계론의 영향을 받으면서 중시되었다. Dimock은 기계적 능률 개념이 ‘누구를 위한 능률이냐’는 목적의식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