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행정학/행정학 용어

복잡성 이론(Complex Theory)

Jobs9 2020. 10. 9. 15:54
반응형

개념적 특징: Mitleton-Kelly(2003)은 복잡성 이론의 접근방법을 복잡적응계(complex adaptive system), 소산적 구조(dissipative structure), 자기생성적 이론(autopoiesis theory), 카오스 이론, 수확체증과 경로의존성이라는 다섯 가지 분야로 구분한 바 있는데, 이러한 접근방법이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복잡성 이론의 특징은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며 전체의 변화는 부분 간의 상호작용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그간의 결정론적 또는 인과론적 세계관과 달리 복잡성 이론에서는 세계가 예측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하는 자기조직적(self-organizing) 방식으로 움직이므로 비선형적 창발(non-linear emergence)이 새로운 질서로 드러날 수 있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부분의 합이 전체와 다를 수 있으며 항상 균형으로 회귀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본다. Teisman & Klijn(2008)에 의하면 복잡성 이론은 다음과 같은 차별적인 인식을 갖는다. 첫째, 전통적인 과학적 접근방법이 가정하는 것보다 훨씬 동적(dynamic)인 것으로 현상(phenomena)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둘째, 현상은 외적인 영향력에 의해서만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행위자, 정책, 과정 등은 주어진 법칙이 아니라 자기조직적 역량(self-organizing capacities)에 따라 변화하므로 모든 것이 발생가능한 혼돈스러운(chaotic) 상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 맥락(context)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복잡성 이론에서 맥락의 의미로 사용하는 은유는 생명체가 존재하고 행동하는 환경을 의미하는 적합도 지형(fitness landscape)이다. 적합도 지형은 행위자(agents)들이 생존을 추구하는 행태의 효과성(effectiveness)을 결정하며, 맥락의 다중성(multiplicity)과 행위자가 취하는 행태의 동학(dynamics)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넷째, 행위자의 역할을 중시한다. 행위자들은 자기조직적이며 그들이 처한 지형도에서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인식을 스스로 창조한다고 보는 것이다.

공공관리적 함의: Klijn(2008)은 복잡성 이론이 갖는 공공관리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 바 있다. 첫째, 복잡계의 동태적이고 자기조직적이며 창발적인 특성은 시스템의 관리를 어렵게 한다(unmanageable)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변화의 주도권을 잡는 것보다 변화에 순응(adjust)하는 것이 더 현명한 전략이며 관리자의 역할도 발전을 주도(directing)하기보다 순응하고 적응(adapt)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현명한 개입(smart intervention)’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복잡계가 예측불가능하고 창발적이라면 각각의 특이한 상황에 필요한 특정한 지식이 요구되며, 개입도 시스템의 특이한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행위자와 성과 간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이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관리의 역할은 ‘적합도 지형(fitness landscape)’을 찾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관리자의 역할은 행위자들의 지위와 기회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형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정책을 구체화해야 하는 것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