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용 과학 Applied Science 460

바나듐 이온 배터리, 화재 가능성 0%, Vanadium Ion Battery, ESS(에너지 저장 장치), 바나듐, 반듐, Vanadium, Vandium

바나듐 이온 배터리 Vanadium Ion Battery 시작 2021년제조업체 스탠다드에너지 영어로 Vanadium Ion Battery (VIB)라고 하는 바나듐이온 배터리는 바나듐 전해액을 사용하는 새로운 이차전지로 한국의 배터리 전문업체 스탠다드에너지가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VIB는 바나듐 전해액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충전하고 방전한다.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와는 전해액을 빼곤 완전히 다른 배터리다.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랑은 당연히 소재부터 다르고, 구조, 성능, 특성 등 차이가 많다.3 화재 위험성이 없고 SOH 열화 없이 20년 이상 사용가능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

뉴로텐신, 비만 유도, Neurotensin, 뇌의 보상회로, 습관성 과식, 고지방 식단, 뇌의 쾌락 회로

뉴로텐신 수용체 1 Neurotensin receptor type 1, NTR1 인간에서 NTSR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 된 단백질이다. 기능NTR1이라고도 하는 뉴로텐신 수용체 1은 G단백질 결합 수용체의 초 군에 속하며 클래스 A GPCR로 간주된다. NTSR1은 여러 생물학적 변조를 통해 저혈압, 고혈당, 저체온증, 장 운동 및 분비를 조절한다.Neurotensin is a 13 amino acid neuropeptide that is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 and prolactin release and has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Neurotensin w..

긴장성 두통, 두피 근육 수축, 근막 통각수용기의 민감화, 근육 긴장성 두통(Tension-type headache), 편두통 비교

긴장성 두통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할 정도의 가장 흔한 두통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피로, 수면부족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가벼운 두통이 바로 긴장성두통이다. 긴장성두통은 20~40세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사라진다. 그러나 주의를 요하는 것은 편두통 특히 만성화되어 있는 경우와 감별이 필요하다. 원인긴장성두통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다. 긴장성두통 환자에게서 두개(머리) 주변의 근막압통이 흔히 나타난다. 이는 말초에 있는 통증을 담당하는 통각수용기가 활성화되어 근막(근육을 싸고 있는 막)에서 통증을 감지하는 감수성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생각된다. 이 근막 통각수용기의 민감화가 긴장성두통의 말초성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증상긴장성두통은 흔히 두..

망막 재생 기술,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시각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감각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3억 명 이상의 인구가 다양한 망막질환으로 시력 상실의 위험에 놓여 있다. 최근 망막질환 치료제들이 개발돼 병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이미 손상된 시력 회복까지 가능하게 하는 실효적 치료제의 개발은 부재한 상황이다. 우리 연구진이 시력 회복을 위한 신약 개발에 성공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이 망막 신경 재생을 통해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은 망막 재생을 억제하는 프록스원(PROX1) 단백질을 차단하는 물질을 질환 모델 생쥐 안구에 투여해 망막 조직의 신경 재생과 시력 회복을 유도하고, 그 효과를 6개월 이상 지..

유성기어, epicyclic gear train, planetary gear set, 백래시, Backlash

유성기어 장치 유성기어 장치란 일정 회전비를 통해 고정축 주위를 회전하는 일반 기어와 달리 태양기어 주위에 있는 유성기어를 캐리어로 지지해 회전하는 기어열이다. 이 때 태양기어는 자전운동을 수행하는 반면에 유성기어는 자전과 공전운동을 하는데, 캐리어 역시 유성기어처럼 공전운동을 실행한다. 한편, 유성기어장치라는 이름은 태양을 중심으로 자전과 공전 운동을 하는 태양계 구조와 유사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유성치차감속기라는 또 다른 이름이 쓰이기도 한다. 유성기어 장치의 특성 장점유성기어장치는 소형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큰 동력 전달 비율을 통해 일반 기어 감속기보다 더 큰 동력을 전달한다.또한 유성기어장치는 입·출력축을 동심으로 수행하며, 각 기어가 담당하는 전달 하중과 속도를 줄여 마찰 손실은 줄이고,..

면도날, 하이테크, 도루코, DORCO, 동양경금속, DO, 면도기(Razor) ,R, 회사(Company), CO, 설립 1955년, 세계 최초 7중날 면도기, PACE, 질레트, 쉬크

도루코(DORCO)면도날, 부엌칼, 커터칼 등을 생산하는 소비재 회사의 사명으로, "동양경금속"의 앞 글자 'DO', 면도기(Razor)의 'R', 회사(Company)의 'CO'를 붙여 만들었습니다. 도루코설립1955년 탁시근(卓時瑾)에 의해 '동양경금속공업(東洋輕金屬工業)'이라는 이름으로 설립사업면도날, 부엌칼, 커터칼 등을 생산시장한국의 면도날, 부엌칼, 커터칼 마켓을 선도하고, 글로벌 마켓에 수출하고 있음제품면도날, 부엌칼, 커터칼 등면도날은 단순한 기술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 회사가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국가의 금속 재료 공학 및 초정밀 가공 기술력이 총동원되며 아주 복잡하고도 세밀한 제조 공정을 거쳐서 대량생산되는 대표적인 하이테크 공산품이다. 게다가 단순히 갈기만 날카롭게 잘 간다고 되는..

술 마시면 열(熱)나는 이유, 알코올 분해 과정, 혈관 확장, 피부로 혈액

술 마시면 열(熱)나는 이유 술을 마시면 알코올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혈관이 확장되어 피부로 혈액이 몰리면서 체온이 오릅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다시 혈관이 수축하면서 체온이 정상술 마시면 열이 오르는 이유 알코올이 혈관을 확장시켜 피부로 혈액이 몰리기 때문  혈관이 확장되면 피부 표면을 통해 열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기 때문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수분이 부족한 상태에서 술을 마시면 알코올 흡수가 빨라져 열이 발생하기 때문   술 마시고 열이 오르는 증상  피부가 뜨거워지고 얼굴이 붉어지기 팔 다리 등에 열꽃이 피기 술 마시고 체온이 오르는 것에 대한 주의  몸이 열을 감당할 수 없는 체질이나 체력인 경우, 열이 많은 술을 지속적으로 마시면 열감이 느껴질 수 있다 술을 마시면 몸이 유독..

보체(Complement), 혈액, 면역단백질, 보체계 활성화 경로

보체보체(Complement)는 혈액에 존재하는 면역단백질로, 면역글로불린과 비슷하게 병원체를 공격하는 역할을 하지만 항체처럼 특이적인 구조를 가지지는 않는다. 크게 3가지 경로를 통해 활성화되며 보체계가 활성화되면 세균이나 감염된 세포의 세포막을 MAC(Membrane attack complex)를 통해 뚫어버리기나, 주변에 강력한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보체계의 구성C1 Complex: 항원에 결합한 항체의 꼬리에 붙어 C2를 활성화 한다.C2: C1 Complex, 또는 MBL에 의해 활성화된다.C3: 보체 활성(complement activation)에 가장 핵심적인 단백. 스스로 가수분해되거나 C2에 의해 활성화되어 C3b와 C3a로 분해된다. C3a는 주변조직에 염증을 유발해 면역계에 신호를..

괴사, necrosis, 괴사 과정, 세포자멸사 차이, 액화괴사(liquefactive necrosis), 응고괴사(coagulative necrosis), 지방괴사(fat necrosis), 괴저괴사(gangrenous necrosis)

괴사壞死 / necrosis 생체 세포와 조직의 일부가 비가역적(非可易的)으로(=돌이킬 수 없이) 손상되어 사멸하는 것. 괴사된 세포들은 형태학적으로 붕괴되어 내부 구조가 파열되고 붕괴된다. 즉 쉽게 말해 생명체가 죽은것처럼 세포의 죽음이다. 살이 죽어서 이미 고기나 다를 바 없게 되었으나 여전히 신체에 붙어 있다고 보면 쉽다. 물론 우리 몸에선 지금 이 순간도 무수한 세포가 죽고있으며 이는 정상적이다. 의학적으로 보통 괴사는 비정상적으로 몸의 어느 한 구역의 세포들이 다 죽기 시작하는 순간을 말한다. 어원은 죽음, 죽은 상태(deadness) 등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νέκρωσις(nékrōsis)로, 네크로맨시, 네크로폴리스 등과 어원이 같다. necrosis라는 명칭은 19세기 중반 무렵 현대 ..

면역계,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 세포성 면역(cellular immunity), 선천 면역(비특이적 면역), 후천 면역(특이적 면역), T세포, immune system

면역계(免疫系, immune system)신체에 침입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신체에 손상을 입히는 각종 요소들에 대응하는 체계를 면역체계라고 부른다. 다양한 방법으로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외 여러 가지 병원체로부터 몸을 방어한다. 이것에 관련된 학문을 면역학이라 한다.면역 반응 유형은 선천적 면역과 후천적 면역으로 나뉜다. 후천적 면역 시스템은 특정 항원에 대응하여 항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장기적인 면역력을 제공한다.  진화와 면역 체계면역체계는 생명체의 진화와 그 궤를 같이 하며, 어떻게 보면 진화의 산 증인이라고까지 할 수 있다. 단순한 동물에서 복잡한 동물로 옮겨갈수록 다양한 방식의 면역체계가 발달한다. 예컨대 곤충(절지동물)은 우리처럼 선천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중 하나가 Toll이..

노화, 세포 분열 한계 횟수, 말단 복제 문제(end replication problem), 텔로미어, 헤이플릭 한계(Hayflick limit), 노화의 길항적(antagonistic) 다면발현(多面發現; pleiotropy) 이론

노화 대저 늙음이란 나이가 많아서 감관이 완숙하고 모양이 변하고 빛깔이 쇠하며 기운이 미미하고 힘이 다하며 음식은 소화가 안 되고 뼈마디는 끊어지려 하며, 앉고 일어남에는 사람이 필요하며, 눈은 멀고 귀머거리가 되며, 문득 돌아서면 곧 말을 잊어버리고 갑자기 슬퍼지며, 목숨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늙음이라 하옵니다.《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  노화(老化)는 생물이 문자 그대로 ‘늙는 현상’을 말한다. 영어로는 aging 또는 senescence라 쓴다. 늙는다는 게 뭔지는 직관적으로 다 알지만, 이 현상을 정확히 정의하기에는 의외로 미묘하고 어려운 점이 많다. 때문에 생각을 뒤집어서 반대 개념인 ‘불로’가 무엇인지를 따져 보면 도움이 된다.  불로는 죽지 않는 불사(不死)와는 다르다. 늙지 않는 불로..

대마초, 마리화나, 大麻草, Marijuana, 델타나인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THC), 카나비돌 (CBD)

大麻草Marijuana 삼을 가공해서 만드는 마약류(대마)의 일종. 법적으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로 관리하고 있으며, 특이하게도 같은 마약류인 마약(협의)과 향정신성의약품과는 별도로 '대마'라는 카테고리로 따로 분류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불법으로 지정된 마약류이지만, 합법화된 지역에서는 술, 담배와 마찬가지로 합법적인 기호용 마약식품으로 지정한다. 영문 명칭인 '마리화나'라고도 불리며, 진정 효과가 강한 식물이다. 쓰일 때는 자란 대마 암그루의 꽃봉오리(nug)를 따서 건조하고 그늘진 곳에서 말리는 식으로 가공된다. 언어별 명칭한국어대마초, 대마한자大麻草(대마초), 大麻(대마)그리스어καννάβεις(kannáveis)(복수), κάνναβη(kánnavi)κάνναβις(kánnabis), κά..

자낙스, 자나팜, 알프람, 아졸락, 알프라졸람,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불안장애, 불면 치료 : 벤조디아제핀계 약제 정신과약: 자낙스, 자나팜, 알프람, 아졸락, 알프라졸람 벤조디아제핀은 GABA와는 다른 자리에 붙어서 GABA에 의해 염화 이온 채널이 열리는 빈도를 증가시킨다. 염소 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면서 신경세포의 과분극(hyperpolarization)을 발생시키고, 대뇌 변연계와 망상체를 포함한 중추신경계를 모든 수준에서 억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벤젠 고리와 디아제핀 고리가 결합된 화학 구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의 통칭이다. 어느 특정 약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비슷한 구조로 비슷한 효능을 가지는 많은 종류의 약물을 일컫는 표현이다. 1955년 미국인 화학자 레오 스턴바흐(Leo Sternbach, 1908 ~ 2005)가 약물 실험..

조용한 ADHD, 성인 ADHD, 증상, 특징, 치료, 유명인,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소리 없이 삶을 갉아먹는 병, 조용한 ADHD  ADHD의 정식 명칭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과잉 행동뿐 아니라 주의력 결핍이라는 증상까지 존재한다. 특히 과잉 행동은 잘 드러나지 않고, 주의력 결핍만 나타나는 경우 ‘조용한 ADHD’라고 불린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청각적 주의력이 떨어진다 ▲멍하니 있는 빈도가 잦다 ▲물건을 잃어버리는 일이 잦다 ▲해야 하는 일을 마무리하기가 어렵다 등이 있다. ADHD는 도파민 조절에 문제를 겪어 발생한다. 도파민을 나타낼 하나의 키워드를 꼽자면 ‘보상’이다. 보상에는 성취감과 동기 부여 등이 내포돼있다. 가령, 누군가는 높은 성적이라는 보상을 떠올리며 공부할 동기를 얻고, 해냈다면 성취감을 얻는다. ADHD 환자에게는 이런 개념..

로봇 기술, 광섬유, 센서망, 인공 피부, 로봇 팔 작동

로봇 기술 분야에서 광섬유는 센서망, 인공 피부, 로봇 팔 작동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광섬유 센서망은 로봇의 감각 인지, 인공 피부 개발, 그리고 정밀한 로봇 팔 조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1. 광섬유 센서망:로봇 감각 인지:광섬유 센서망은 1가닥의 광섬유를 따라 다수의 측정점을 직렬 연결하여, 로봇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인공 피부 개발:작은 크기와 경량성, 고감도, 장기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광섬유 센서망은 인공 피부 개발에 적합하며, 로봇이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컨슈머 로봇 응용:전자파 장해나 무선 주파수 간섭에 강하고, 모듈 간 쉬운 접속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컨슈머 로봇..

성관계, 성욕 낮은 남성, 사망 위험 높다, 삶의 가치나 기쁨 느끼지 못할 가능성 높아

성관계 관심없다, 40세이상 성욕낮은 男, 사망 위험 높다 성욕 낮은 남성, 특히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 72% 더 높아  성적 관심 부족한 남성, 삶의 가치나 기쁨 느끼지 못할 가능성 높아   성관계를 적게 하는 남성은 조기 사망 위험이 높다는 일본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야마가타대 연구팀이 40세 이상 남성 8558명과 여성 1만 2411명을 대상으로 약 7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성욕이 낮은 남성은 성욕이 높은 남성보다 사망 위험이 3분의 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현재 성적 관심(성욕)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했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그룹을 성욕이 있는 그룹과 성욕이 부족한 그룹으로 나누었다. 자세히 보면 성적 관심이 없다고 답한 남성은 성적 관심이 ..

전전두피질, Prefrontal Cortex, 이마엽앞 겉질, PFC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   이마엽앞 겉질(prefrontal cortex; PFC) 또는 전전두피질(前前頭皮質) 혹은 전전두엽피질은 전두엽의 앞 부분을 덮고있는 대뇌 피질을 가리킨다. 브로드만 영역 BA8, BA9, BA10, BA11, BA12, BA13 , BA14, BA24, BA25, BA32, BA44, BA45, BA46 및 BA47을 포함한다. 한편 BA13과 14는 사람이 아닌 유인원에만 있는 영역으로 확인된다. 사람의 생존본능과 성격이 이 부위와 연관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계획하는 일, 성격의 표현, 의사결정, 사회적 행동 조율, 발화와 언어 조율이 모두 이 부위의 기능으로 여겨진다. 즉 생각하는 것과 행동을 생각과 조율하는 것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

생물학의 대칭, 방사대칭, 좌우대칭, 좌우대칭동물(Bilateria), 방사대칭동물(Radiata), 탐색, 지능

생물학의 대칭 또는 생물학의 대칭형은 생물의 체내에서 볼 수 있는 대칭 배열 모양이다. 극축이 있으면 이것을 중심으로 한 대칭 관계가 나타나는데, 수학적·물리적인 뜻의 대칭만큼 엄밀한 것은 아니다. 방사대칭은 식물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볼 수 있다. 관속 식물의 줄기나 뿌리의 구조, 특히 관다발의 배열은 그 좋은 예가 된다. 일반적으로 식물체에는 둥근 기둥 모양의 부분이 많아서, 그 내부 구조가 방사대칭인 경우가 많다. 또 꽃받침, 꽃잎 등에서와 같이 꽃의 각 요소가 방사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반면, 잎의 경우에는 축에 대하여 좌우대칭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러나 정확한 대칭이 아니고, 다소 대칭성이 흐트러진 잎(뽕나무)도 있으며, 베고니아의 잎처럼 비대칭적인 것도 있다. 좌우..

흥분성 신호(Excitatory Signal), 억제성 신호(Inhibitory Signal), 시냅스후 전위(postsynaptic potential),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glutamate), GABA(γ-아미노낙산), 글라이신(glycine)

흥분성 신호는 신경세포를 활성화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억제성 신호는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신호 전달을 막거나 약화시키는 신호 흥분성 신호 (Excitatory Signal) 정의:신경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다음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신호.  신경전달물질:흥분성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은 글루탐산(glutamate)입니다.  작용: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를 유발하여 세포막을 탈분극화시켜 다음 신경세포로 신호 전달을 촉진합니다.   억제성 신호 (Inhibitory Signal) 정의:신경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신호 전달을 억제하거나 약화시키는 신호.  신경전달물질:억제성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은 GABA(γ-아미노낙산)와 글라이신(glycine)입니다..

신경전달물질, 영혼, 신경전달물질과 정신 작용, 영혼이라는 비물질적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도 정신 작용 설명, 영혼 무게 21그램

신경전달물질, 영혼, 신경전달물질과 정신 작용, 영혼이라는 비물질적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도 정신 작용 설명, 영혼 무게 21그램  신경과학자들은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거나 특정 뇌 영역에 전기 자극을 줌으로써 정신 작용이 물질적 속성에서 비롯됨을 증명해왔으며, 이는 영혼의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신경전달물질과 정신 작용:뇌 내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 도파민 등)은 감정, 기억, 의식 등 다양한 정신 작용에 관여 신경과학의 증거:신경과학자들은 뇌 속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거나 뇌의 특정 영역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실험을 통해, 정신 작용이 물질적 속성에서 비롯됨을 보여주었다.  영혼의 존재 여부: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혼이라는 비물질적인 실체의 존재를 굳이 가정하지 않고도 정신..

캠프 험프리스, USAG 험프리스, 평택 미군기지, 세계 최대 해외 미군기지

캠프 험프리스 USAG 험프리스USAG Humphreys | Camp Humphreys  위치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주한미군사령부한미연합군사령부주한 미8군유엔군사령부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단 본부/2, 3지역대근무지원단KSC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일대에 위치한 주한미군의 육군 기지. 흔히 평택 미군기지라고 알려져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부른다. 20세기의 용산기지로부터 주한미군 총본산 포지션을 이어받았다.  본래 일제강점기인 1919년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비행장으로 건설되어 1945년까지 사용되었다. 이후 1950년부터 미국 육군이 사용하게 되었고, 1962년 헬리콥터 사고로 순직한 미 육군 항공준사관 CWO 벤저민 K. 험프리스 준위의 이름을 따 캠프 험프리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리고 ..

술 먹기전 물 많이, 포만중추, 허기, 갈증, 물

술 마시기 전… 포만감 느낄 만큼 물 마셔라  음주 중 물 마시면 알코올 희석… 음주 후에는 알코올 분해 효과 술자리, 건강을 덜 해치려면 음주 전부터 '물 마시기'를 실천해보자. 음주 전에 물을 마시면 첫째 포만감이 생겨 과음과 과식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음주 전에 물만 마시면 안 되고, 음식도 어느 정도 먹어야 한다.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 박용우 교수는 "빈속에 술을 마시면 알코올이 빠르게 흡수되면서 혈중 알코올 농도가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며 "물과 음식으로 위장관을 어느 정도 채운 다음에 술자리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음주 중에는 수시로 물을 마셔야 한다. 박용우 교수는 "술 한잔 마시고 물 한잔을 마시는 것을 추천한다"며 "알코올이 희석된 상태에서 흡수가 된다"고 말했다. 알코올..

에스트로겐, estrogen,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에스트론, 노인성 치매, 자궁근종

에스트로겐, estrogen  또는 에스트로젠은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모임으로 여러 종류가 있으며, 여성의 성 호르몬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정 주기(estrous cycle)의 개입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에스트로겐은 여성 월경의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과 성전환 여성의 호르몬 대체 요법에서 의약품의 일부로 쓰인다.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들과 같이, 에스트로겐은 세포막을 잘 투과한다. 세포 안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반응한다. 종류여자가 자연적으로 만드는 에스트로겐은 크게 세 종류를 들 수 있다.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에스트론이다. 몸에서는 안드로겐으로부터 효소 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초경부터 월경 휴지기까지의 일차적인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이다. 폐경기 이후에는 에스트론이 더 많다.에스트라디..

로터, Rotor, 회전자, 회전체

로터Rotor회전자, 회전체 기계의 일부분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부품 또는 모듈이다.예를 들어 원심분리기에서 검체를 꽂아놓고 회전시키는 틀 부분이나 헬리콥터의 회전날개 등이 있다.터빈, 프로펠러, 바퀴(도구)처럼 별개의 명칭이 있는 경우 로터라 부르지 않는다.  헬리콥터의 로터 흔히 헬리콥터의 머리 위에 돌아가는 것을 프로펠러라고 하지만 전문용어로는 로터, 혹은 회전익(Rotary Wing)이라 한다. 프로펠러는 앞으로 향하여 추진력을 만드는 것을 말하지만 이건 위쪽을 향하여 마치 날개처럼 양력을 만들기 때문. 사실 힘을 만드는 원리 자체는 프로펠러나 로터나 거기서 거기지만 그래도 굳이 따지자면, 프로펠러 가운데에 있는 회전축이 움직일 수 있느냐 아니냐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로터가 공기를 아..

UAV, 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 드론(drone)

UAV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 UAS(Unmanned Aircraft Systems, 무인항공체계)  인간 조종사나 승무원이 탑승하지 않는 항공기이다. 드론(drone)이라고도 한다. 통신으로 원격 조종하거나 미리 입력된 지시에 따라 비행하며, 인공지능으로 비행하는 경우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전에는 UAV의 개발과 제작이 어려워 대부분 군사적으로만 사용되었으나, 전자 기술이 발달하고 비용이 내려가면서 현재는 민간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민간 민간 UAV는 항공 촬영, 측량, 농약 살포, 화물 운송, 공연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된다. 개인 소비자가 취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경제성을 고려해 군사 UAV에 비해 크기가 작고 비행거리가 짧은 형태가 ..

멀티콥터, 로터 효율 희생, 개수 늘려 안정성 확보, 비행 원리, 150m 이상 비행 불법

멀티콥터Multicopter / Multiroter 2개 이상의 모터 및 프로펠러나 로터를 가진 비행체를 통칭하는 말이다.   드론과 멀티콥터 보통 '드론'이라고 말하면 이걸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엄밀히 말하면 '드론'은 무인기, 그 중에서도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 전체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멀티콥터는 프로펠러 숫자에 따라 분류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드물지만 사람이 탑승하는 유인 멀티콥터도 있다. 다만 멀티콥터 분야에서 대중화된 것은 소위 '드론'이라고 불리는 '소형 무인 멀티콥터'를 의미하므로 이 문서의 대다수 서술은 거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드론이란 이름의 계기는 다음과 같다. 1935년 영국에서 사람이 탑승하는 훈련용 복엽기 '타이거 모스'(Tiger ..

무인기, uncrewed/unmanned vehicle, 무인항공기, 무인지상차, Q-UGV, 무인수상정, 무인잠수정, ADW(대 무인기 무기)

무인기(無人機, uncrewed/unmanned vehicle) 통칭 드론 (Drone)이란 '유인기(有人機)'의 반의어로서 사람이 타지 않고 원격조종 혹은 자동으로 운용할 수 있는 병기 일체를 지칭한다. 다른말로 표현하자면 사람이 밖에서 조종하는 원격조작 병기나 인공지능 같은 게 탑재된 로봇 병기다. 군사적인 용도를 벗어나 촬영 혹은 완구 기체인 멀티콥터도 무인기라고 부를 수는 있다. 유인기와 대비되는 면에서의 용어이기 때문. 군사적인 의미로만 따지자면 본래 사람이 탑승하여 운용하던 무기를 무인화하였을 시에만 무인기라 지칭한다. 완구용 RC와 본격적인 무인기를 구별하는 확실한 방법 하나는 특정한 목적을 갖고서 그에 맞는 임무를 맡길 수 있고 그걸 수행할 수 있느냐 없느냐이다. 그래서 아직도 이 분류법에..

FPV(First Person View), 1인칭 시점, 무인기(UAV)

FPV(First Person View) 그냥 해석하면 "1인칭 시점"으로 무인기(UAV)에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 1인칭 전방카메라를 도입해 시각 정보 처리를 하는 것을 뜻한다. 즉, UAV의 하위 기술에 속하는 것이며 지상 스테이션과 HUD가 함께 있으면 운용하기 편리하다. FPV를 사용가능한 항공기는 관측 카메라를 제외하고 전방만 보는 카메라가 별도로 장착되며, 이를 통해 항공기의 전방을 1인칭 시점에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 카메라 링크는 OSD 프로세싱 이후 별도의 전파채널로 송신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Out of Range Error 를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당연하지만 대부분의 UAV 프로세서는 FPV를 지원하도록 하고있다.  RC에서의 FPV 군사적, 혹은 개인이 구매/관..

완전기억능력, Eidetic Memory, Photographic Memory, 포토그래픽 메모리(사진기억력), 완전기억력, 초기억력

완전기억능력Eidetic Memory/Photographic Memory 이름 그대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마치 캠코더로 녹화하듯이, 또는 사진을 찍듯이 기억할 수 있는 능력. 포토그래픽 메모리(사진기억력), 완전기억력, 초기억력, 슈퍼메모리, 순간기억능력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LTP(long term potentiation, 장기 기억 증강) 관련 논문은 현재 만 개 이상 나와있지만, 개중 완전기억능력에 대한 보고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누군가 그런 능력이 학계에 정식으로 보고되거나 정신과적으로 인정된 바 있다는 듯이 주장한다면 명백한 거짓말이다. 즉, 적어도 현 시점에서는 완전기억능력이 실존하는 증상인지 증명할 길은 없으며 얼핏 비슷해 보일 수 있는 증상이나 일반인 이상가는 비상한 기억 능력은..

수면 내시경, 의식하 진정 내시경, 意識下鎭靜內視鏡, Conscious sedation during endoscopy, GABA 수용체, 프로포폴, 미다졸람

수면 내시경을 받아 본 사람이라면 기억의 상실을 경험해 봤다고 할 수 있다. 내시경을 받기 전 프로포폴을 투여하면 뇌의 GABA 수용체가 자극되어 중추신경계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데, 수면 내시경 도중에 의사나 간호사가 '입을 벌려라', '돌아 누워라' 하고 지시를 내리면 환자는 이를 알아듣기도 하고 묻는 질문에 대답도 할 수 있다. 즉, 수면 내시경은 사실 수면 상태가 아니라 의식이 미약해진 상태로 내시경을 받는 것. 그러나 당사자의 시점에서는 내시경 검사 도중의 기억은 하나도 나지 않는데, 이는 약물의 작용 때문에 검사 당시의 기억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냥 주사기가 꽂히더니 어느 새 모든 게 다 끝나 있고 안정실에 누워 있는 자신만이 보이는 것이다.수면 내시경 의식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