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출문제 385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고려] #09

Q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역사서의 저자는 다음과 같은 글을 지어 왕에게 바쳤다. “성상 전하께서 옛 사서를 널리 열람하시고, ‘지금의 학사 대부는 모두 오경과 제자의 책과 진한(秦漢) 역대의 사서에는 널리 통하여 상세히 말하는 이는 있으나, 도리어 우리나라의 사실에 대하여서는 망연하고 그 시말(始末)을 알지 못하니 심히 통탄할 일이다. 하물며 신라·고구려·백제가 나라를 세우고 정립하여 능히 예의로써 중국과 통교한 까닭으로 범엽의 『한서』나 송기의 『당서』 에는 모두 열전이 있으나 국내는 상세하고 국외는 소략하게 써서 자세히 실리지 않았다. …… 일관된 역사를 완성하고 만대에 물려주어 해와 별처럼 빛나게 해야 하겠다.’라고 하셨다.”(나) 역사서에는 다음과 같은 서문이 실려..

행정법 기출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4

행정법 기출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4 지문의 내용에 대해 학설의 대립 등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Q  1. 신뢰보호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행정청의 공적 견해의 표명 후 그 견해표명 당시의 사정이 변경된 경우에도 행정청이 공적 견해표명에 반하는 처분을 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신뢰보호의 원칙에 위반된다. ② 신뢰보호의 원칙에서 개인의 귀책사유라 함은 행정청의 견해표명의 하자가 상대방 등 관계자의 사실은폐나 기타 사위의 방법에 의한 신청행위 등 부정행위에 기인한 것이거나 그러한 부정행위가 없더라도 하자가 있음을 알았거나 중대한 과실로 알지 못한 경우 등을 의미한다. ③ 행정청의 공적 견해표명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행정조직상의 형식적..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선사-고대] #10

Q  다음 풍습이 있었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 목곽 입구에는 죽은 자가 먹을 양식으로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놓기도 하였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 - ①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② 제가가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③ 소도라는 신성 구역이 존재하였다.④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해설】 정답 ①① 옥저에는 어린 신부가 신랑의 집으로 가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성장한 후에 남자가 예물을 치르고 혼인하는 제도로서 일종의 신부 매매혼 풍습② 부여는 마가·우가·저가·구가의 군장 세력이 있었고, 이들 가(加)는 저마다 별도로 행정 구획인 사출도를 다스렸다.③ 삼한은 정치와 ..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근대] #05

Q  다음 지문이 가리키는 신문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그러므로 우리 조정에서도 박문국을 설치하고 관리를 두어 외국의 기사를 폭넓게 번역하고 아울러 국내의 일까지 기재하여 국중에 알리는 동시에 열국에까지 널리 알리기로 하고, 이름을 旬報라 하며…①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으로 1883년 창간되었으며, 한문체로 발간된 관보의 성격을 띠었다. ② 최초로 국한문을 혼용하였고, 내용에 따라 한글 혹은 한문만을 쓰기도 하며 독자층을 넓혀 나가고자 하였다. ③ 한글판, 영문판을 따로 출간하여 대중 계몽을 통한 근대화를 촉진하고, 외국인에게 조선의 실정을 제대로 홍보하여 조선이 국제사회에서 완전한 근대적 자주독립국가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④ 국한문 혼용체를 사용한 일간지로 주로 유학자층의 계몽에 앞장섰..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현대] #02

현대 : 1945. 광복 이후~  Q  다음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 ․ 15 남북 공동 선언㉡ 7 ․ 4 남북 공동 성명㉢ 남북 간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① ㉠ - 한반도 비핵화를 선언하였다.② ㉠ -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에 합의하였다.③ ㉡ - 통일의 3대 원칙을 천명하였다.④ ㉢ -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였다.⑤ ㉠ - ㉡ - ㉢ 순으로 발표되었다.【해설】 정답 ③㉠ 6 ․ 15 남북 공동 선언(2000), ㉡ 7 ․ 4 남북 공동 성명(1972),  ㉢ 남북 간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1991.12.)① ㉢ 이후 한반도 비핵화를 발표하였다(1991.12.). ② ㉢ 직전에 발표하였다(1991.9.). ④ ㉠의 내용이다. ⑤ ㉡ - ㉢..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조선] #06

Q  다음과 같이 주장한 붕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기해년의 일은 생각할수록 망극합니다. 그때 저들이 효종대왕을 서자처럼 여겨 대왕대비의 상복을 기년복(1년 상복)으로 낮추어 입도록 하자고 청했으니, 지금이라도 잘못된 일은 바로잡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① 인조반정으로 몰락하였다.② 기사환국으로 다시 집권하였다.③ 경신환국을 통해 정국을 주도하였다.④ 정제두 등이 양명학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해설】 정답 ②* 예송 논쟁과 남인현종 때(1659~1674)에 효종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과 관련하여 효종과 효종비의 국상(國喪)과 관련하여 두 차례의 예송(기해예송-1659, 갑인예송-1674)이 발생하면서 서인과 남인 사이에 대립이 격화되었다. 이때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의 복상문제를 놓고 신권을 강..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고려] #01

Q  (가)와 (나)의 인물에 대한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는 “교(敎)를 배우는 이는 대개 안의 마음을 버리고 외면에서 구하고, 선(禪)을 익히는 이는 인연을 잊고 안의 마음을 밝히기를 좋아하니, 모두 한 쪽에 치우친 것으로 두 극단에 모두 막힌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나)는 “정(定)은 본체이고 혜(慧)는 작용이다. 작용은 본체를 바탕으로 존재하므로 혜가 정을 떠나지 않고, 본체가 작용을 가져오게 하므로 정은 해를 떠나지 않는다.”라고 주장하였다.  ㉠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 (가)와 (나)는 지방 호족과 연합하여 신라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다. ㉢ (가)는 불교와 유교 모두 도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같다는 유・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 ..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근대] #07

Q  다음 자료가 조선 조정에 소개된 이후에 일어난 사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러시아를 막을 수 있는 조선의 책략은 무엇인가? 중국과 친하고 [親中] 일본과 맺고 [結日] 미국과 연합해 [聯美] 자강을 도모하는 길 뿐이다.① 육영공원(育英公院)을 설립해 서양의 새 학문을 교육했다. ② 임오군란이 일어나고 제물포조약이 체결되어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였다. ③ 개화파가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해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④ 최익현은 일본과 통상을 반대하는 「오불가소(五不可疏)」를 올렸다. 【해설】 정답 ④ 황쭌셴의 「조선책략」은 1880년에 2차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홍집이 1881년 귀국할 때 소개하였다. ④ 최익현이 개항반대 운동을 한 1870년대에 해당하므로 제시된 사료 이전의 사건이다.[..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근대] #03

Q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나의 조선경제사의 기도(企圖)는 사회의 경제적 구성을 기축으로 대체로 다음과 같은 제 문제를 취급하려 하였다. 제1. 원시 씨족 공산체의 태양(態樣) 제2. 삼국의 정립 시대의 노예 경제 제3. 삼국 시대 말기 경부터 최근세에 이르기까지의 아시아적 봉건 사회의 특질 제4. 아시아적 봉건국가의 붕괴 과정과 자본주의 맹아 형태 제5. 외래 자본주의 발전의 일정과 국제적 관계 제6. 이데올로기 발전의 총 과정 ① 우리 고대사를 중국 민족에 필적하는 강건한 민족의 역사로 서술했다. ② 일제 식민사학의 정체성론을 극복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③ 실학에서 자주적인 근대 사상과 우리 학문의 주체성을 찾으려 하였다. ④ 순수 학문을 표방하면서 식민주의 사학에 학문적으로 ..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조선] #04

Q  다음 사건으로 인하여 발생한 역사적 사실은?심충겸이 장원 급제를 하자 전랑으로 천거하려고 하였다. 김효원이 “외척은 쓸 수 없다.” 하며 막으니, 심의겸이 “외척이 원흉의 문객보다는 낫지 않으냐.” 하였다. 이때 김효원 편을 드는 사람들은 “효원의 말은 공론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의겸이 사사로운 혐의로 좋은 선비를 배척하니 매우 옳지 못하다.” 하였다.① 동인과 서인으로의 분화② 남인과 북인으로의 분화③ 노론과 소론으로의 분화④ 서인과 남인 간의 예송논쟁【해설】 정답 ①사료는 심의겸과 김효원이 이조전랑을 두고 대립하고 있는 모습으로, 이 사건의 결과 사림 내부에서 내부 분열이 발생하여, 동인과 서인이란 붕당이 발생하게 되었다.조선 붕당 전개사화→이기→예송→환국→탕평→세도이기/붕당 '동서랑척척 강..

국어 기출 문제 해설, 법원직 9급, 2023

국어 기출 문제 해설, 법원직 9급, 2023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1∼문 3]우리는 거짓이 사실을 압도하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사실에 사회적 맥락이 더해진 진실도 자연스레 설 자리를 잃었다. 2016년에 옥스퍼드 사전은 세계의 단어로 ‘탈진실’을 선정하 며 탈진실화가 국지적 현상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시대적 특성이라고 진단했다. 탈진실의 시대가 시작된 것을 반 증하기라도 하듯 ‘가짜 뉴스’가 사회적 논란거리로 떠올랐다. 가짜 뉴스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선 의견이 여러 갈래로 나뉜다. 언론사의 오보에서부터 인터넷 루머까지 가짜 뉴스는 넓은 스펙트럼 안에서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짜 뉴스의 기준을 정하고 범위를 좁히지 않으면 비생산적인 논란만 가중될 수밖에 없다..

기출문제/국어 2025.01.19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조선] #02

Q  다음 중 밑줄 친 ‘왕’이 재위했던 시기에 편찬된 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천하의 떳떳한 다섯 가지가 있는데 삼강이 그 수위에 있으니, 실로 삼강은 경륜의 큰 법이요 일만 가지 교화의 근본이며 원천입니다. … 선덕 신해년에 우리 왕께서 측근의 신하에게 이렇게 명령하셨습니다. … ‘간혹 훌륭한 행실과 높은 절개가 있어도, 풍속 습관에 옮겨져서 보고 듣는 자의 마음을 흥기시키지 못하는 일도 또한 많다. 내가 그 중 특별히 남달리 뛰어난 것을 뽑아서 그림과 찬을 만들어 중앙과 지방에 나누어 주고, …’ 고 하시고 … (후략)① 국조오례의  ② 세종실록지리지③ 향약집성방  ④ 고려국사【해설】 정답 ③제시문의 ‘삼강’, ‘그중 특별히 남달리 뛰어난 것을 뽑아서 그림과 찬을 만들어 중앙과 지방에 나누어 주고..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고려] #07

Q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그는 송악산 아래의 자하동에 학당을 마련하여 낙성(樂聖), 대중(大中), 성명(誠明), 경업(敬業), 조도(造道), 솔성(率性), 진덕(進德), 대화(大和), 대빙(待聘) 등의 9재(齋)로 나누고 각각 전문 강좌를 개설토록 하였다. 그리하여 당시 과거 보려는 자제들은 반드시 먼저 그의 학도로 입학하여 공부하는 것이 상례로 되었다.① 9경과 3사를 중심으로 교육하였다.②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다.③ 유교 사상을 치국의 근본으로 삼아 시무 28조의 개혁안을 올렸다.④ '소학'과 '주자가례'를 중시하고 권문세족과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해설】 정답 ①문종 때 은퇴하여 9재학당을 세운 최충이다. 최충의 9재학당은 고려 중기 사학을 ..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선사-고대] #08

Q  밑줄 친 ‘이 시기’에 해당하는 사실로 옳은 것은?  이 시기에는 반달 돌칼 등 다양한 간석기가 사용되었고 민무늬 토기를 비롯한 토기의 종류도 다양해졌으며, 고인돌과 돌널무덤이 만들어졌다.①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다. ②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 거주하였다. ③ 용호동 유적에서 불 땐 자리가 확인되었다. ④ 목을 길게 단 미송리식 토기가 사용되었다. 【해설】 정답 ④자료의 시기는 청동기시대이다. ①은 신석기, ②와 ③은 구석기시대의 사실이다. '청암미거반농목굴' 암각화,미송리식토기,거친무늬 거울, 반달돌칼,농경문,목책과환호,굴지구     Q  (가), (나)의 특징을 가진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가) 옷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고려] #05

Q  다음은 원의 세조가 고려에 약속한 내용의 일부이다. 이 약속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 옷과 머리에 쓰는 관은 고려의 풍속을 유지하고 바꿀 필요가 없다. ○ 압록강 둔전과 군대는 가을에 철수한다. ○ 몽고에 자원해 머문 사람들은 조사하여 모두 돌려보낸다. ① 정동행성을 설치하였다. ② 2차 여몽연합군은 일본 원정에 실패하였다. ③ 쌍성총관부를 설치하였다. ④ 사림원을 설치하였다. 【해설】 정답 ③자료는 1259년 원종이 태자 신분으로 세조 쿠빌라이를 만나서 몽골이 고려의 풍속을 고치도록 강요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것이다. 원 세조 때 양국 간의 관계를 규제하려고 모색된 체제를 ‘세조구제(世祖舊制)라고 한다. ①은 1280년, ②는 1281년, ③은 1258년, ④는 1298년의..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선사-고대] #06

Q  다음 문화재의 소재 지역이 백제의 수도였을 때 일어난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불교를 공인하였다.②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였다.③ 칠지도를 제작하여 일본에 전해 주었다. ④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을 회복하였다.【해설】 정답 ④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과 부여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이다. 성왕은 538년 웅진에서 부여(사비)로 천도하였다.④ 성왕은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유역을 회복(551)하였다. ① 침류왕은 동진의 마라난타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여 공인하였다.② 무령왕은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여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 통제력을 강화하였다.③ 근구수왕은 369년 일본사신을 통하여 칠지도를 일본에 전해주었다.장수평 싸이치 427신나제 내세상 433공주땅 싸지요 475부여성 오쌈빡 538우산국 오일리 ..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근대] #01

Q  밑줄 친 ‘시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토요일 오후 서울에서 수천 명의 한인들이 집회를 열고 가두를 따라 시위를 벌였다. …(중략)… 시위자들은 독립 선언서를 배포하였고 길 옆 행인들을 향해 연설했다. 지방 각 도・군의 백성들도 오늘 서울로 올라와 전 황제의 국장을 지켜보았다. 헌병들이 이미 몇백 명을 연행했다고 한다. -「중국신보」, 19○○년 ○월 ○일 -① 광주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② 조선 학생 과학 연구회를 중심으로 계획되었다.③ 대한 매일신보, 제국신문 등 언론의 지원을 받았다.④ 도쿄에서 발표된 2・8 독립 선언에 자극을 받았다.【해설】 정답 ④ 사료에서 전황제의 국장, 헌병으로 보아. 3·1 운동을 설명하는 사료이다. ④ 3·1 운동의 배경으로 도쿄에 유학 가있던 유학..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근대] #09

Q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1 운동 직후에 만들어진 (가) 은/는 연통제라는 비밀 행정 조직을 만들었으며, 국내 인사와의 연락과 이동을 위해 교통국을 두었다. 또 외교 선전물을 간행하여 일제 침략의 부당성을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가) 의 활동 방향을 두고 외교 운동 노선과 무장 투쟁 노선 사이에서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다. ① 외교 운동을 위해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② 비밀 결사 운동을 추진하고자 독립 의군부를 만들었다.③ 이인영, 허위 등을 중심으로 서울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④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한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였다.【해설】 정답 ①대한민국 임시 정부이다. 연통제는 임시 정부와 국내외..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선사-고대] #04

Q  의 통일신라시대의 경제 제도를 시간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ᄀ.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리에게 매달 주던 녹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주었다. ᄂ. 중앙과 지방 관리들의 녹읍을 폐지하고 해마다 조(祖)를 차등 있게 주었으며 이를 일정한 법으로 삼았다. ᄃ. 처음으로 백성들에게 정전(丁田)을 지급하였다. ᄅ. 교서를 내려 문무 관료들에게 토지를 차등 있게 주었다.① ᄂ→ᄀ→ᄅ→ᄃ ② ᄂ→ᄅ→ᄀ→ᄃ ③ ᄅ→ᄃ→ᄂ→ᄀ ④ ᄅ→ᄂ→ᄃ→ᄀ【해설】 정답  ④ᄅ: 관료전 지급(신문왕 7, 687) →ᄂ: 녹읍 폐지(신문왕 9, 689) → ᄃ: 정전 지급(성덕왕 21, 722) → ᄀ: 녹읍 부활(경덕왕 16, 757)  Q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① 대체로 동굴이나 바..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고려] #03

Q  다음 ㉠의 주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고려 시기에 ㉠ 은(는) 금, 은, 구리, 쇠 등 광산물을 채취하거나 도자기, 종이, 차 등 특정한 물품을 생산하여 국가에 공물로 바쳤다.① 군현민과 같은 양인이지만 사회적 차별을 받았다.② 죄를 지으면 형벌로 귀향을 시키는 처벌을 받았다.③ 지방 호족 출신으로 지방 행정의 실무를 담당하였다.④ 재산으로 간주되어 매매․상속․증여의 대상이 되었다.【해설】 정답 ①㉠은 고려시대 특수행정구역인 ‘소’이다. 고려 시대에는 양민이면서 군현민과 구별되는 특수행정 구역인, 향, 부곡,  소에 거주한 주민은 더 많은 세금 부담을 지고 있었다. 거주하는 곳도 소속 집단 내로 제한되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금지되었다. 바로알기 : ② 귀족, ③ 향리, ④ ..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조선] #12

Q  다음 중 조선 시대 무기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은 네덜란드로부터 전래된 조총을 사용하였다.㉡ 비격진천뢰는 심지가 다 탔을 때 폭발하면서 내부의 빙철을 사방에 뿌리는 무기였다.㉢ 불랑기포는 16세기 중국에 전래된 청동제 포로 평양성 전투에서 사용되었다.㉣ 세종 때 신기전을 발사할 수 있는 화차가 최초로 제작되었는데, 이는 바퀴가 달려 있어 이동이 가능하였다.㉤ 태종 때 작고 날쌘 싸움배로 비거도선이 제조되어 수군의 전투력을 크게 향상했다.㉥ 우리나라는 임진왜란 중 일본군에게 노획한 조총을 모방하여 제작에 성공하였으며, 이후 조선군의 주력 무기로 자리 잡았다.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해설】 정답 ②㉠ 임진왜란 당시 일본은 포르투갈로부터..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고려] #11

Q  다음 의 고려 시대 사건들을 순서대로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삼국유사』 편찬   ㉡ 화통도감 설치㉢ 쌍성총관부 탈환   ㉣ 『상정고금예문』 간행㉤ 원종의 개경 환도 ① ㉣-㉤-㉠-㉢-㉡② ㉣-㉠-㉤-㉢-㉡③ ㉣-㉤-㉢-㉠-㉡④ ㉣-㉤-㉠-㉡-㉢【해설】 정답 ①㉣ 『상정고금예문』은 12세기 인종 때 최윤의 등이 지은 의례서인데,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에 의하면 강화도 피난 시절에 최우가 보관하던 『상정고금예문』 50권을 28부 인쇄(고종 21, 1234)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고려 정부의 개경 환도는 1270년의 사실이다.㉠ 일연의 『삼국유사』는 충렬왕 때인 1281년에 편찬되었다.㉢ 쌍성총관부는 공민왕 5년(1356)에 유인우가 무력으로 수복하였다.㉡ 고려는 우왕 ..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4

행정학개론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4   Q  1. 애덤스(Adams)의 공정성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투입과 산출의 비율을 준거인과 비교하여 공정성을 지각한다.② 불공정성을 느낄 때 자신의 지각을 의도적으로 왜곡하기도 한다.③ 노력과 기술은 투입에 해당하며, 보수와 인정은 산출에 해당한다.④ 준거인과 비교하여 과소보상자는 불공정하다고 생각하고, 과대보상자는 공정하다고 생각한다.【해설】 정답 ④① (O) 공정성 이론은 자신의 노력과 보상과의 관계를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느끼는 공정성의 정도가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② (O) 불공정성을 해소하기 위해 비교 대상의 투입과 산출에 대한 자신의 지각을 바꾸는 것 등의 노력③ (O) 애덤스의 공정성이론에서는 자신..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정책론] #07

Q  Cook과 Cambell이 분류한 정책타당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내적 타당도는 정책수단과 정책효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②외적 타당도는 정책이 다른 상황에서도 실험에서 발견된 효과들이 그대로 나타날 수 있는가이다. ③구성타당도(개념적 타당도)란 처리, 결과, 상황 등에 대한 이론적 구성요소들이 성공적으로 조작화된 정도를 말한다. ④결론타당도(통계적 타당도)란 정책실시와 영향의 관계에서 정확도를 의미한다. ⑤크리밍(creaming)효과, 호오손(Hawthorne)효과는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이다. 【해설】 정답 ⑤크리밍(creaming)효과와 호오손(Hawthorne)효과는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이다. 다만 크리밍(creaming)효과는 내적 타당도를 저..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4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4 Q  1. 신석기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가락바퀴와 뼈바늘로 옷이나 그물을 만들었다.② 군장이 죽으면 그의 권력을 상징하는 고인돌을 만들었다.③ 동물 뼈나 조개껍데기로 된 목걸이나 팔찌를 만들어 착용하였다.④ 일부 지역에서는 농경이 시작되어 조, 피, 수수 등을 재배하였다.【해설】 정답 ②① 가락바퀴와 뼈바늘로 옷이나 그물을 만들기 시작한 것은 신석기 시대의 일가락바퀴 : 실을 감는 도구인 '가락'을 끼워 사용했기 때문에 가락바퀴라고 부르며, 가락의 다른 이름인 방추를 붙여 '방추차'라고도 한다. 이로써 원시적 수공업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청동기 시대까지 사용).② 군장이 죽으면 그의 권력을 상징하는 고인돌을 만든 것은 청동기 시대의 일..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행정이론] #05

Q  시장실패 및 정부실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장실패를 초래하는 요인은 공공재의 존재, 외부효과의 발생, 불완전한 경쟁, 정보의 비대칭성 등이다. ② 시장실패를 교정하기 위한 정부 역할은 공적 공급, 공적 유도, 정부 규제 등이다. ③ 정부개입에 의해 초래된 의도하지 않은 결과 때문에 자원배분 상태가 정부 개입이 있기 전보다 오히려 더 악화될 수 있다. ④ 정부실패는 관료나 정치인들의 개인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며, 정부라는 공공조직에 내재하는 구조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해설】 정답 ④ 정부실패는 관료나 정치인들의 잘못된 마인드나 행태 등 개인적인 요인 때문에 발생하기도 하지만 공공재의 무형성이나 생산함수의 불명확 등 공공조직에 내재하는 구조적인 요인이나 공공재의 속성..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국회직 8급, 2023

행정학 기출문제 해설, 국회직 8급, 2023 Q  1. 엽관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선거에서 승리한 정당이 관직을 차지한다. ② 혈연, 학연, 지연 등 사적 인간관계를 반영하여 공무원을 선발한다.③ 정당정치의 발달은 물론 행정의 민주화에 기여할 수 있다. ④ 행정의 전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⑤ 펜들턴법(Pendleton Act)이 제정되면서 엽관주의에서 실적주의로 미국정부의 인사제도가 변하였다.【해설】 정답 ②정치적 요인뿐만 아니라 혈연, 지연, 개인적 친분 등에 따른 공직임용을 하는 것은 정실주의정실주의, 엽관주의엽관주의(Spoils System) 또는 정실주의(Patronage Systems)란 공무원의 인사관리나 공직 임용에 있어 그 기준을 당파성이나 인사권자에 대한 개인적..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3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지방직 9급, 2023 Q  1. 계급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무의 속성을 중심으로 공직을 분류하는 제도이다.② 폐쇄형 충원방식을 원칙으로 한다.③ 일반행정가 양성을 지향한다.④ 탄력적 인사관리에 용이하다.【해설】 정답 ①① (X) 직무가 가지는 속성을 중심으로 직위를 분류하는 직무 중심의 분류 체계는 직위분류제②, ③ (O) 계급제는 폐쇄형 충원체제를 특징으로 하고 일반행정가(일반적인 지능과 소양을 갖춘 사람을 선발하여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축적시켜 조직 전체 혹은 국가 전반의 시각 에서 업무를 파악하고 처리)를 지향합④ (O) 계급제는 순환근무를 통한 신축적 인사정책이 가능 Q  2. 민츠버그(Mintzberg)가 제시한 조직유형이 아닌 것은? ① 기계적 관..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국가직 9급, 2023

2023 국가직 9급, 행정학개론 기출 문제 해설 Q  1. 행정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과학적관리론은 최고관리자의 운영원리로 POSDCoRB를 제시하였다. ② 행정행태론은 가치와 사실을 구분하고 가치에 기반한 행정의 과학화를 시도하였다. ③ 신행정론은 실증주의적 방법론을 비판하고 사회적 형평성과 적실성을 강조하였다. ④ 신공공관리론은 민간과 공공 부문의 파트너십을 강조하고 기업가 정신보다 시민권을 중요시하였다.【해설】 정답 ③① 귤릭은 과학적관리론에서 최고관리자의 운영원리로 POSDCoRB를 제시테일러의 과학적관리론은 ‘시간과 동작에 관한 연구’② 행정행태론은 ‘사실’에 기반한 행정의 과학화를 시도④ 민간과 공공 부문의 파트너십을 강조한 것은 뉴거버넌스론  Q  2. 베버(Weber)의 이..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국가직 9급, 2024

행정학 기출 문제 해설, 국가직 9급, 2024 Q  1. 정책과정에서 철의 삼각(iron triangl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의회 상임위원회 ② 행정부 관료 ③ 이익집단 ④ 법원 【해설】 정답 ④ 철의 삼각은 이익집단-관료-의회의 상임위원회의 연합. 법원은 철의 삼각에 해당하지 않는다   Q  2. 실적주의 공무원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미국에서는 잭슨(Jackson) 대통령에 의해 공식화되었다. ② 공직의 일은 건전한 상식과 인품을 가진 일반 대중 누구나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전제하였다. ③ 공개경쟁시험, 신분보장, 정치적 중립이 핵심적인 요소이다. ④ 사회적 형평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는 인사제도이다. 【해설】 정답 ③ ① (X) 잭슨 대통령에 의해 공식화된 제도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