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지리 Geography 127

멜버른, Melbourne, 멜번, 캔버라, 대영제국 자치령, 수도의 자리 놓고 멜버른과 시드니가 충돌, 골드 러시, 호주 오픈

멜버른, Melbourne, 멜번 오스트레일리아의 도시로, 빅토리아주의 주도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시드니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통칭 멜버른이라고 하면 멜버른 시(City of Melbourne) 포함 주변 대도시권 9,900 km2 (3,800 mi²)를 가리킨다. 멜버른의 대도시권은 포트 필립으로부터 단데농 산맥(Dandenong Ranges)과 마세돈 산맥(Macedon Ranges), 그리고 모닝턴 반도(Mornington Peninsula)와 야라 밸리(Yarra Valley)까지 뻗어있다. 멜버른은 총 79개의 소도시로 구성되어 있다.2016년 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 분석기관 인텔리전트 유닛(EIU)의 ‘살기 좋은 도시’에 6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도시이기도 하다. 빅토리아주의 상업, ..

호주 수도, 캔버라, 멜버른,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대영제국 자치령, 수도의 자리 놓고 멜버른과 시드니가 충돌, Canberra

캔버라, Canberra, [ˌkænˈb(ʔəɦ)rə], 캔베라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도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내륙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전국에서는 8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도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북쪽 끝에 있으며, 시드니에서 남서쪽으로 280 km, 멜버른에서 북동쪽으로 660 k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캔버라의 거주민을 "캔버런(Canberran)"이라고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있는 도시이며 오스트레일리아 국회의사당을 포함하여 연방 정부 산하 행정기관 대부분이 이 도시에 자리하고 있다.   역사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가 대영제국의 자치령이 됐을 때, 수도의 자리를 놓고, 멜버른과 시드니가 충돌하였다. 1908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양대 대도시인 시드니와 멜버른이 타협 끝에 ..

서반구, Western Hemisphere, 아메리카 대륙, 그린란드 섬

서반구(Western Hemisphere/西半球)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그 서쪽 일대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다.지리적 정의아메리카 대륙, 그린란드 섬이 여기에 해당되며, 그 외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러시아 북동부의 축치 반도, 하와이 등 폴리네시아와 키리바시 등 미크로네시아 동부, 아프리카의 경우 서아프리카의 대부분과 마그레브의 제일 서쪽 국가들, 카보베르데 및 마데이라 제도, 아조레스 제도, 카나리아 제도가 여기에 포함된다. 유럽의 아이슬란드, 영국과 아일랜드, 프랑스 대서양 연안, 이베리아 반도가 포함된다. 대서양 서부와 태평양 동부 등 바다의 면적이 대륙(또는 육지)의 면적보다 더 크다. 문화적 정의육지를 최대한 피하기 위해 본초 자오선 대신 동경 160도 ~ 서경 20도를 서반구로 정의하기도 한다...

대서양, 태평양, 해수면 높이 차이, 20cm, 파나마 운하, Panama Canal, Atlantic Ocean, Pacific Ocean, sea level difference, 20cm

태평양과 대서양의 해수면 높이는 약 20cm 차이Panama Canal, Atlantic Ocean, Pacific Ocean, sea level difference, 20cm 대서양과 태평양의 해수면은 약 20cm 정도 차이가 있다. 태평양이 대서양보다 해수면이 약간 높다. 이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파나마 운하의 수로가 태평양 쪽으로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 또한, 태평양은 대서양보다 면적이 넓고, 지구의 중력이 태평양 쪽으로 더 강하기 때문에, 태평양의 해수면이 더 높게 측정. 다만, 이러한 차이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일반적으로 대서양과 태평양의 해수면은 동일하다고 간주. 대서양과 태평양이 연결된 남미와 남극대륙의 중간지역은 해수면 높이 차이가 크게 없다. 하지만 대륙이 가로막고 있는 중미..

캅카스, 코카서스,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 캅카스 산맥, Caucasus, Caucasian, 코카소이드, Caucasian race, 체첸, 인구시, 다게스탄, 아디게야,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캅카스, 코카서스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위치한 산악지역 백인을 영어로 Caucasian이라고도 한다 북캅카스의 구성:러시아 체첸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아디게야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 크라스노다르 지방, 스타브로폴 지방  남캅카스의 구성: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아르차흐 공화국 포함) 조지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포함) 러시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등이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서남쪽으로 튀르키예, 남쪽으로 이란과 국경으로 이어져 있다. 여러 나라가 국경을 맞대고 있고, 고대 교역의 중심지인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인 만큼 주요 요충지였고, 카스피해에서 나오는 유전 덕분에 그 중요성은 더 크다. 캅카스의 강역 범위..

레반트, Levant, 동쪽 나라,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무역로, 페니키아, 젖과 꿀

역사적 의미의 레반트에 속하는 국가들과 지역 20세기에 사용된 레반트에 속하는 국가들 21세기에 때때로 레반트로 포함되는 국가 및 지역   나라 및 지역  좁은 범위: 키프로스 키프로스 영국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이스라엘 이스라엘 요르단 요르단 레바논 레바논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시리아 시리아 튀르키예 하타이주 북키프로스 북키프로스 (분쟁 지역)  넓은 범위: 이집트 이집트 그리스 그리스 이라크 이라크 키레나이카 키레나이카 (리비아) 튀르키예 튀르키예  인구 좁은 의미: 44,550,926언어 아랍어, 히브리어, 아람어, 캅카스어, 아르메니아어, 쿠르드어, 튀르키예어, 도마리어, 그리스어 주요 도시 암만 알레포 베이루트 다마스쿠스 예루살렘   레반트, Levant, 동쪽 나라,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무역..

미시시피강, Mississippi River, 발원 아이태스카 호

미시시피강 Mississippi River발원 아이태스카 호, 클리어워터 카운티, 미네소타 하구 필롯타운, 플래크마인즈 카운티, 루이지애나 유입 좌측: 세인트크루아 강, 위스콘신 강, 록 강, 일리노이 강, 캐스캐스키아 강, 오하이오 강, 야주 강, 빅블랙 강 우측: 미네소타 강, 디모인 강, 미주리 강, 화이트 강, 아칸소 강, 와치타 강, 레드 강, 아차팔라야 강 유출 멕시코 만 길이 3,734 km (2,320 mi) 면적 2,981,076 km²(1,151,000 sq mi) 유량 배턴루지, 루이지애나 - 평균 12,743 m3/s (450,015 cu ft/s) - 최대 42,192 m3/s (1,489,996 cu ft/s) - 최소 4,502 m3/s (158,987 cu ft/s) 세인트루..

이스라엘, Israel, 엘이 통치, 인구 1400만

이스라엘(Israel) 이스라엘의 위치는 유대인들에게 '이스라엘의 땅'이라는 의미의 "에레츠 이스라엘"으로 알려진 지역으로, 고대에는 가나안, 팔레스타인 등으로 불렸다. 고대에는 가나안 도시 국가들이 자리 잡았고, 이후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이 세워졌다. 이후 로마 제국부터 오스만 제국에 이르기까지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인구 구성이 크게 변화하였다. 19세기 후반 유럽에서의 반유대주의는 시온주의를 촉발시켰다.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 시온주의는 대영제국의 지지를 얻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이 지역을 점령하여 1920년에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을 세웠다. 홀로코스트가 벌어지기 얼마 전 유대인의 이민이 증가하면서,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

파나마 운하, Panama Canal, 갑문식 운하, 파나막스, 미국의 세기

미국의 세기 연 파나마 운하 Panama Canal 중앙아메리카 파나마에 건설된 길이 약 82km의 운하로, 파나마 지협을 종단해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다. 처음엔 프랑스가 시도…미국의 군사적 지원으로 파나마 독립시킨후 공사 개시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통로 역할을 맡고 있다. 가뜩이나 속도도 느린데 위 아래로 길쭉한 아메리카 대륙을 빙 돌아가야 하는 화물선의 운항시간 단축에 큰 획을 그은 운하. 다만 현대의 배들은 크기가 워낙 거대해져 통과 선박 크기에 제한이 있다. 파나막스니 포스트 파나막스니 하는 선박의 사이즈별 구분은 다 이 운하의 항행 가능 폭을 상정해 두고 만든 것이다. 그 밖에 다른 기준이 되는 운하로는 수에즈 운하가 있다. 이 쪽의 명칭은 수에즈막스. 역사적으로 미국의 세계..

지정학과 연결성을 통한 파키스탄

지정학과 연결성을 통한 파키스탄과 중앙아시아 국가 간 관계 고찰_Usman Khalid.pdf 파키스탄의 지정학적 배경 남아시아에 위치한 파키스탄은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 인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의 중요성은 과소평가되어 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이 2018년에 발표한 편람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경제는 2019년~2023년 구매력 평가(PPP) 기준으로 세계 25위, 명목 GDP 기준으로 세계 43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파키스탄은 2억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한 세계 6위의 인구 대국이며, 면적이 88만 1,913 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세계에서 33번째로 넓은 국가다. 게다가 2019년 기준 세계 군사력 평가에서 국방력 17..

요하, 랴오허, 遼河, 요하 강, 1,345km, 요택(遼澤), 요서회랑, 고구려 서부 하천, 석유

요하(랴오허) 遼河 | liáohé Liaohe 요하 강 이칭 요하(랴오허), 랴오 강, 요수 국가 중국유출 발해 황해 길이 1,345km 유역 면적 232,000㎢  요하(중국식 발음 '랴오허')는 중국의 동북지역에 있는 강이다. 중국 7대강 중 하나로 규모가 꽤 크다. 랴오닝 성을 중심으로 내몽골 자치구와 랴오닝성, 지린성등을 지나 발해만으로 흐른다. 하류의 서쪽은 쌍태자하, 동쪽은 대요하 쪽으로 흐른다. 과거에는 대개 혼하, 태자하와 만나는 대요하 쪽으로 흘렀지만, 20세기 들어 대부분의 물이 쌍태자하 쪽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지리요하는 요수(遼水)라고도 불렀으며, 발원지를 크게 두 방향으로 나누자면 동북쪽으로는 동요하, 혼하, 태자하 등의 지류가 요동반도와 지린성 일대를 적시면서 흘러나오고..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지도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유명한 속담이지만 이 속담이 사실이라는 걸 나타내는 인포그래픽이 제작됐다. 물론 엄밀하게 말하자면 지구상 모든 길이 로마로 통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유럽에선 도로 대부분이 실제로 로마로 통하고 있다. 제작자들은 유럽 전체 이미지를 2,650만 3,452km2를 48만 6,713개 셀로 분할했다. 그런 다음 오픈 스트리트 맵(OpenStreetMap) 내 간선 도로 데이터와 경로를 계산하는 엔진인 그래프호퍼(GraphHopper)를 이용해 48만 6,713개소 출발점과 이탈리아 로마 사이를 잇는 가장 빠른 경로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물론 가장 가까운 길이라고 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와 스웨덴 같은 곳에선 대부분 경로가 로마를 향해 똑바로..

사회과 부도, 社會科 附圖, Atlas, 사회 과목 부록 지도

사회과 부도 社會科 附圖, Atlas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쓰이는 교과용도서이다. 사회과 과목의 부록으로 제공되는 지도를 축약해서 '사회과 부도'라고 부른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지리 부도와 역사 부도로 나누어지는데, 제4차 교육 과정에서는 지리부도와 역사부도로 분리되지 않고 사회과 부도로 합쳐져 있었다. 참고로 교과서는 맞지만 과목은 아니다.   활용책 안에는 대한민국과 세계 곳곳의 지도, 통계들이 있는 지도, 통계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용도는 사회과 교과에 있어서 지도자료(인문지리)와 통계자료는 절대 빠질 수가 없는 부분인데, 그걸 교과서에 일일이 그려줄 수는 없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참고하라고 만들어 놓은 책이다. 고등학교의 지리부도와 역사부도는 취급하는 시대의 인문 지리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분리..

멕시코 만류, 서유럽 온난, 북대서양 아열대 순환, Gulf stream

북대서양 아열대 순환 북대서양을 순환하는 해류의 흐름시계방향으로 멕시코 만류, 북대서양 난류, 카나리아 해류, 북적도 해류가 있다.  멕시코 만류멕시코 만류의 흐름이다. 이 해류의 시작에 대한 의견은 분분한데, 위 사진처럼 멕시코만에서 시작한다는 설이 주류지만, 멕시코 만류와의 산소량 차이에 의한 북대서양 북동부의 고기압성 자이르라는, 북대서양 해류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설이 있다. 만약 이 해류가 멕시코만류의 연장이라면, 카나리아해류까지 합쳐져 세계에서 가장 큰 해류가 된다. 대부분의 해류는 바람을 따라 이동하지만, 이 해류는 바람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게 가능한 이유는, 북극해에서 차가운 물이 대거 침강하고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중위도에서 온수가 올라오는 해류가 생긴 것. 이런 형태로 인해 멕시코..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혼혈, 식민, 네덜란드령 동인도

네덜란드령 동인도800년부터 1949년까지 현재의 인도네시아에 존재했던 네덜란드의 식민지1800년 1월 1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국영화되면서 형성되었다. 19세기부터 네덜란드는 패권주의적인 확장을 통해 수마트라섬, 자와섬, 보르네오섬, 소순다 열도, 술라웨시섬, 말루쿠 제도, 파푸아섬 등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여러 섬들을 식민지로 통치하였으며 20세기 초반에는 이 지역이 최대 면적에 이를 정도로 확장되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였던 1942년 2월부터 1945년 8월까지는 일본 제국에 점령되기도 했으며 1945년 8월 17일에는 인도네시아의 민족주의자들이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의 결과로 네덜란드는 1949년 12월 27일에 인도네시아의 독립과 주권을 인정하게 된다.    인도..

환적항, 1위 싱가포르항, 2위 홍콩항, 3위 부산항

환적항, port of transshipment , 換積港 환적항이란 항만 시설이 발달해있어서 다른 소규모 항만으로부터 화물을 받은 후 모선이 되는 수송량이 많은 대형 선박으로 옮겨 적재하는데 이용되는 항만을 의미한다. 환적항을 거쳐서 화물을 운송하는 까닭은 운송거리가 멀다면 모항으로부터 소형선박으로 목적지까지 직접 운송하는 것보다 대형선박 하나에 화물을 몰아실어 운송하는 것이 더 수송비가 절감되기 때문이다. 환적 항만, 환적 화물부산항에서 처리되는 컨테이너는 수출입 화물과 환적 화물로 구성된다. 수출입 화물은 우리나라 화물인 반면 환적 화물은 제3국 화물이다. 환적 화물은 교통에 있어서 마을버스를 타고 지하철로 갈아타는 환승 여객과 같다. 미주, 유럽 등 주요 경제권역을 연결하는 대형 선박이 기항하지 ..

대만, 인구, 스포츠, 야구, 대만 달러 지폐, 축구, 농구, 인구밀도 최고, 최저 출산율

인구2023년 1월 기준 인구는 23,301,968명*이다. CIA의 World Factbook을 바탕으로 한 2016년의 출산율은 1.12명으로, 도시 국가를 제외한 전세계 최저 출산율이었다. 인구밀도 순위가 도시 국가를 제외하고 세계 2위일 만큼 매우 높다. 1위는 방글라데시인데 방글라데시는 국토 대부분이 평야 지대인 반면, 대만은 한국 이상으로 국토 대부분이 험준한 산지이기 때문에 가용 면적 대비 인구밀도가 전세계 최고다. 인구의 2%는 한족이 타이완에 진출하기 전부터 살고 있었던 다양한 대만 원주민들이며, 나머지 98%는 한족이다. 이들 중 중국 푸젠성에서 이주한 사람 70%와 객가(客家)인 14%를 묶어 본성인(本省人)이라고 하며, 나머지 14%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이후 중국 ..

부산 지리, 지역 구분, 원도심, 서면, 동래, 동부산, 서부산

원도심(부산) 부산광역시의 옛 중심지였던 중구, 영도구, 동구, 서구 등 역사적으로 부산부였던 지역을 통틀어 부를 때 사용되는 단어. 부산광역시청의 소재지였던 만큼 과거 부산에서 가장 번화한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던 지역이다. 그래서 이름도 원도심인 것. 옛 구(舊) 자를 써서 구도심이라 부르기도 한다. 현대적 도시로서의 부산이 처음 번성했던 부산항 인근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조선 시대만 하더라도 왜관을 중심으로 한 일본인 집단 거류지였는데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일본인들이 본격적으로 산을 없애고 원도심 해안가를 모두 매립하였다. 이후 일본인 집단 거주지라는 점과 항구가 있다는 점 덕분에 대(代)일본 교통의 요충지로 부각된 이후 부산의 중심지로 거듭났다. 부관연락선이 일본을 오가던 곳도 이 지역이었..

동북아와 동남아의 국가 차이, 동북아 3국의 경제 성장, 대만, 한국, 일본, 토지 개혁, 농지 개혁, 농업 구조, 수출 중심 제조업 진흥 여부, 금융에 대한 정부 개입의 정도, 조 스터드웰, 아시아의 힘

동북아와 동남아의 국가 차이 조 스터드웰 지음 '아시아의 힘' 동아시아 국가들은 유럽이나 아프리카 등의 다른 지역에 비하면 비교적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태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수모를 겪었고, 주로 벼로 농사를 짓는다. 인구 밀도가 높고 기후가 따뜻한 편이다. 아시아 국가들은 모두 선진국과 경제 성장을 향해 내달렸다. 이는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 모두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오늘날 두 지역의 경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동북아시아 3국인 대만, 일본, 한국은 고도성장을 겪은 후 개발도상국 대열에서 빠르게 빠져나왔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아직도 잠재력이 있는 국가라는 평에 그친다. 심지어 몇몇 나라들은 국가가 후퇴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들이라고 해서 아..

한반도, 신생대, 제주도

한반도와 제주도 역시 신생대에 형성되었다. 또한 일본 열도가 아시아 대륙에서 떨어져 나가며 현 한반도, 일본, 동해 등이 생겼다. 한반도에서의 신생대오늘날 한국의 지형 구조인 한반도의 동고서저 지형이 만들어진 계기가 신생대 제3기의 경동성 요곡 운동이다. 제4기에는 화산 폭발로 용암이 분출하여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이 형성되었다. 또한 인도가 유라시아 대륙과 합쳐지면서 티베트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 쓰촨성 일대 고지대가 형성되면서 일본열도 지역이 유라시아 대륙에서 분리되면서 동해가 형성된다.  생물상은 퇴적층이 별로 없어서 정보가 부족하지만 북한의 황해북도 봉산군 에오세 지층과 함경북도 길주군 마이오세 지층, 남한의 포항시와 울산광역시의 해상 퇴적층, 강원특별자치도 북평 등을 보면 어느 정도 유추가 ..

센강, Seine River, 파리, 노르망디, 시테 섬, 시티(City) 어원, 퐁뇌프 다리(Pont Neuf)

센강 Seine | Seine River  발원 프랑스 부르고뉴프랑슈콩테 코트도르주 몽바르 수르스센(Source-Seine)하구 프랑스 노르망디 └ 오트노르망디 센마리팀주 르아브르 └ 바스노르망디 칼바도스주 옹플뢰르 유입 마른강(Marne), 오브강(Aube) 등 유출 대서양 북해, 영국 해협 길이 777km (483mi) 유역 면적 79,000㎢ (31,000 sq mi) 유량 평균 560m³/s (20,000 cu ft/s) (하구 르아브르 일대 유량) 센강(La Seine, the Seine)은 프랑스 중북부를 흐르는 길이 777km의 강이다. 발원지는 코트도르주 디종 근처의 랑그레 고지에 위치한 수르스센이며, 트루아, 파리, 루앙 등의 도시를 가로질러 하류에서 영국 해협을 통해 북해 대서양으로 흐..

진주층,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 최상부 지층, 셰일, 사암

진주층진주층/동명층/구랑리층 층서 범위: 백악기 압트절~알비절 110백만년 전 진주층 분포도 유형 퇴적암 상위 단위 경상 누층군 하층 하산동층 (마동층) 상층 일직층 (의성소분지, 팔공산 이북), 칠곡층 (밀양소분지, 팔공산 이남) 지역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부, 효령면 중부, 북구 읍내동, 동호동, 달성군 하빈면 남동부, 다사읍 북서부 안동시 풍천면 남부 의성군 신평면, 안평면, 봉양면 중부 칠곡군 동명면 동부, 지천면 남동부 성주군 용암면 남동부 고령군 다산면 서부, 운수면 동부, 성산면 중부, 개진면 중부, 대가야읍 남부, 우곡면 서부, 쌍림면 동부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 서부, 쌍책면, 율곡면 남동부, 초계분지 일대,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동부 의령군 대의면, 봉수면 서부, 칠곡면 서부 ..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 대도시 연결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여러 개의 대도시가 연결된 도시 지역이다.   어원은 '크다'라는 그리스어 메가와 '도시'라는 그리스어 폴리스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큰 도시라는 뜻이 된다. 프랑스의 지리학자 장 고트만이 현대적 용어로 사용하였다. 2번 문단에서 설명하는 그리스의 에파미논다스가 아카디아 남부에 건설한 도시와는 글자도 어원도 같지만 말 그대로 단순히 대도시라는 뜻이라서 겹쳤을 뿐 의미를 차용했거나 어원으로 삼은 것은 아니다. 현대적 의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사람은 지리학자 고트만(Jean Gottmann)이다. 고트만은 그의 저서 >(1961)에서 미국 북동부의 보스턴, 뉴욕,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워싱턴 등 대도시와 대도시 주변의 도시화된 지역을 메갈로폴리스라고 일컬었다. 미국 북동..

애팔래치아, Appalachia, 산맥, 은퇴자의 천국, 뉴욕의 서부, 펜실베니아, 블루리지 산맥, 조지아 북부, 앨라배마, 미시시피, 웨스트버지니아, 애쉬빌, 테네시

애팔래치아, Appalachia 연방 입법 기관인 애팔래치아 지역 위원회(ARC)가 "뉴욕 남부에서 미시시피 북부까지 애팔래치아산맥 대간"을 따라 공식적으로 지정한 지리적 지역이다. 그러나 구어체로 말하면 명확한 경계가 없다. 공식적인 경계는 뉴욕의 서부 캐츠킬 산맥에서 펜실베니아까지 뻗어 있으며, 블루리지 산맥과 그레이트 스모키 산맥을 거쳐 조지아 북부, 앨라배마, 미시시피까지 이어지며, 웨스트버지니아는 완전히 내부에 있는 유일한 주이다. 2022년 기준 이 지역에는 약 2,640만 명이 살고 있으며, 그 중 20.6%가 ARC에 의해 "유색 인종"으로 묘사되었다. 풍부한 천연 자원을 부여받은 애팔래치아는 오랫동안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빈곤과 관련되어 왔다. 1930년대부터 연방 정부는 일련의 ..

필리핀, 스페인 혼혈, 메스티조, 스페인과 필리핀의 관계

필리핀, 스페인 혼혈, 메스티조필리핀을 방문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페인 식민 역사 때문에 으레 혼혈이 많을거란 고정관념이 있다. 심지어 필리핀에 오래 살았다는 교민들 또한 그렇게 알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지만 필리핀은 중남미와 다르게 스페인 혼혈 비율이 고작 3%를 조금 넘는다. 이는 스페인이 식민 지배를 했던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터무니 없이 적은 비율이다. 필리핀에 메스티조가 적은 이유는 간단하다. 스페인에서 필리핀으로 건너온 스페인 사람들의 숫자가 적었다. 식민 시대 중남미로 이주한 스페인 사람들은 180만여명이 넘었지만 필리핀에는 고작 1만여명이 전부였다. 이유인 즉, 유럽에서 남미로 이동은 비교적 쉬웠던 반면 유럽에서 필리핀까지 오려면 긴 시간과 비용이 상당했기 때문에 일반 이주민들은 엄..

강(江), 천(川), 하천 구분, 특징, 강(江), 하(河), 수(水), 천(川), 물 관련 한자

강(江), 천(川), 하천 구분, 특징, 강(江), 하(河), 수(水), 천(川)  강과 천, 하천의 구분, 특징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물길을 강(江), 규모가 작은 것을 천(川)이라고 부르며, 일반인들은 크기가 작은 물길을 내, 시내, 개울, 도랑 등으로 부르고 있지만, 크기에 관계없이 이 모두가 하천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하천은 큰 범주이고, 하천 안에 강과 천으로 나뉜다. 강은 크고 넓은 물이 흐르는 곳이며, 천은 강보다 작은 곳으로 보시면 될 것 같다. 강과 천의 차이를 크기에 따른 것이기에 어떤 곳에서는 모호함이 존재한다.   江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工(장인 공)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중국의 장강을 가리키는 고유명사로 쓰였다. 그러..

프레리, 북미 초원, 미국 대평원, Prairie, 미국 캐나다 최대 곡창지대, 우크라이나 체르노젬, 아르헨티나 팜파스, 높은 비옥도

Prairie 프레리는 단순히 대평원이라는 뜻이지만, 북미에 있는 평원을 설명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 다른 대평원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카자흐스탄의 흑토 지대와 남미의 팜파스가 있다. 미국과 캐나다 중서부에 위치한 평탄한 초원이다. 동쪽으로는 인디애나 주, 남쪽으로는 텍사스 북부, 북쪽으로는 캐나다 중서부 3개주, 서쪽으로는 로키 산맥까지 뻗어있다.  어원Prairie는 프랑스어로 초원을 의미한다. 프레리라는 이름은 루이지애나 구입 이전에 이 지역에 먼저 정착한 프랑스 이주자들이 부르던 초지를 뜻하는 프랑스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마지막 빙하기에 빙하가 확장하며 지형지물을 평탄하게 만들었고, 이후 빙하가 녹으며 잔존물이 토양에 남은 것이 프레리의 형성 과정으로 추정된다. 흔히 북아메리카의 대평원(Gre..

레반트, Levant, 라틴어, levare, 해가 떠오르는 곳, 근동, 아랍계 백인,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육로, 동방(중동-아시아) 서방(이탈리아-아프리카-이베리아) 잇는 위치, 페니키아 본거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 이라크 샴 이슬람 국가(ISIS)

레반트, Levant, 라틴어, levare, 해가 떠오르는 곳, 근동, 아랍계 백인,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육로, 동방(중동-아시아) 서방(이탈리아-아프리카-이베리아) 잇는 위치, 페니키아 본거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 이라크 샴 이슬람 국가(ISIS)    레반트, Levant아랍어: al-Mashriq (المشرق) 히브리어: Kənáʿan (כְּנָעַן) 영어: Levant 중동 권역 중 동지중해에 바로 접해있는 지역을 가리키는 지역이다. 특정 지역을 명확하게 가르킨다기보다는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지닌 지역을 아우르는 명칭이다. 대략적으로 북쪽으로 타우루스 산맥, 서쪽으로 지중해, 남쪽으로 아라비아 사막, 동쪽으로 북서 이..

실크로드, 비단길, 대항해시대 이전 동서 교역 루트, 콘스탄티노플, 장안, 사주지로(絲綢之路), 천산북로, 천산남로, 초원길, 사막길(오아시스로), 바닷길, 마역로, 불타로, 라마로, 메소포타미아로, 호박로, 5대 지선

비단길 또는 실크로드(Silk road)는 대항해시대 이전 중국 대륙과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의 지중해 세계를 잇던 동서 교역 루트, 또는 이러한 교역 루트를 통해 연결되었던 교역망을 이른다. 이 루트를 통해 동서 간의 문물이 왕래했으며 비단길이 지나가는 곳마다 크고 작은 도시나 마을이 생겼다.  유사한 고대의 국제 교역로로 중국, 티베트, 인도, 네팔 등을 연결하던 차마고도가 있다. '비단길', 영어로 '실크로드'라는 어휘의 유래는 독일의 지리학자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이 중국에서 중앙아시아, 인도로 이어지는 옛 교역로를 연구하던 중 당시의 주요 교역품이 비단이었던 것에서 착안하여 '자이덴슈트라쎄(Seidenstraße)'로 명명하면서 사용되었다. 이 실크로드라는 말은 동서방 간의 교..

라테라이트 토, 열대우림 토양, 적색, 산성, 척박, 어원 라틴어 later(벽돌), 테라 프레타(terra preta), 적색토, 한반도 남부

토양성숙토성대토양라테라이트 | 적색토 | 사막토 | 흑색토 | 밤색토 | 갈색토 | 포드졸 | 툰드라토간대토양테라로사 | 화산회토 | 레구르 | 이탄토 | 글레이토미성숙토충적토 | 염류토 | 암설토  라테라이트 토 열대 기후를 대표하는 토양이다. 적색이며 척박해 농경에 불리하며, 어원은 라틴어 later(벽돌)이며 이름같이 벽돌 제작에 많이 쓰인다.라테라이트는 USDA 토질 분류 기준으로 Oxisol(옥시졸)에 속한다. 이런 옥시졸 토양은 적도에서 남북으로 위도 15~25도 사이의 열대우림 지역에서 발견된다. 산성 토양으로 분류된다. 라테라이트나 아래의 적색토의 경우 석회를 써서 토양을 어느 정도 중화해서 농사를 지어야 한다.  라테라이트 토 특징열대 기후 특성상 강우량이 많아 유기물이 씻겨나가고 미생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