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지리 Geography 165

부루그, Burg, 베르그, Berg, 푸르트, furt, 버러, borough, 보로, boro, 그라드, Grad, 고라트, Gorod), 도시 어원, -berg, -burg, -dam, -ham, -ria, -stan

도시 어원 한국어의 도시(都市)는 원래는 도성과 시장을 일컫는 말이었지만 의미가 변했다. 중국에서 '도(都; dū)'는 '궁성'을, '성(城; chéng)'은 성벽을 뜻했는데, 이후 물품을 거래하는 시장이 도시의 주요 기능으로 추가되면서 '도성'과 '시장'이 합쳐져 '도시'가 되었다고 한다. 일본어 '도시(都市;とし)'와 베트남어 'đô thị' 역시 어원이 같다. 인도유럽어족 계통 언어에는 도시를 가리키는 어휘가 여럿 존재하는데, 그 의미는 대체로 비슷한 편이다. 영미권의 경우 크기로 따지면 작은 순으로 '빌리지(village)', '타운(town)', '시티(city)'가 되며, 한국어 행정구역을 영어로 번역할 때 각각 '리', '읍',1 '시'를 뜻하는 어휘로 의역되기도 한다. '빌리지(villag..

바이에른, Bayern, 뮌헨, 나치, 뉘른베르크, 아우크스부르크, 밤베르크, 레겐스부르크, 잉골슈타트, 뷔르츠부르크, 바이에른족(바바리아족), 켈트족, BMW, 아우디, MAN, 알리안츠, 지멘스, 오스람

바이에른, Bayern  바이에른 자유주(Freistaat Bayern)는 독일 동남부에 위치한 주이다. 주도·최대도시는 뮌헨. 독일 16개 주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으며, 인구는 약 1,343만 명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이어서 2위다. 주요 도시로는 뮌헨 외에도 뉘른베르크, 아우크스부르크, 밤베르크, 레겐스부르크, 잉골슈타트, 뷔르츠부르크 등이 있다. 서쪽에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서북쪽에 헤센주, 북쪽에 튀링겐주, 동북쪽에 작센주, 동쪽에 체코, 동남쪽과 남쪽에 오스트리아, 서남쪽에 스위스와 접한다. 직접 닿아 있진 않지만 리히텐슈타인과도 가까운 편이며, 오스트리아를 통해 알프스산맥을 넘으면 이탈리아가 나온다. 영어로는 바바리아(Bavaria, /bəˈveəriə/). 참고로 바이에른 사람, 바이에..

브레너 고개(Brenner Pass), 알프스 산맥, 교통로,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국경, 유로파 다리

알프스 산맥을 통과하는 주요 교통로는 독일과 이탈리아 사이에 있는 브레너 고개(Brenner Pass)가 있으며, 이 고개는 동부 알프스 산맥의 주요 고개 중 하나로, 이 지역에서 가장 낮은 고도를 가지고 있다.  브레너 고개:알프스 산맥을 가로지르는 중요한 교통로로,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국경에 위치.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연결:브레너 고개는 이탈리아 북부와 오스트리아 동부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 역할해발 높이:브레너 고개는 해발 1,370m로, 동부 알프스 산맥의 주요 고개 중 고도가 가장 낮다.교통의 중요성:브레너 고개는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간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는 역할 알프스 산맥은 프랑스 남동부에서 알바니아까지 뻗어 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최고봉은 몽블랑 산(4,808m)..

카르파티아 산맥, 헝가리, 푸스타, 드라큘라

카르파티아산맥 헝가리어Kárpátok체코어Karpaty슬로바키아어폴란드어루마니아어Carpaţi우크라이나어Карпати독일어Karpaten영어Carpathian Mountains 중부 유럽과 동부유럽에 위치한 습곡산맥으로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의 일부를 이룬다. 체코와 오스트리아의 동쪽 끝자락에서부터 슬로바키아, 헝가리 북부, 폴란드 남부를 거쳐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서부에서 세르비아까지 8개국에 말발굽 형상으로 걸쳐 있다. 산맥의 길이는 약 1500km에 달하며 우랄산맥과 스칸디나비아산맥에 이어 유럽에서 세 번째로 긴 산맥이다. 최고봉은 슬로바키아의 게를라호프스키봉(Gerlachovský štít, 2654m). 현재는 일부만이 헝가리에 있으나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하기 전까지 약 ..

알프스산맥, 유라시아판, 아프리카판

알프스산맥 유럽의 거대한 산맥. 영어를 비롯하여 서구의 여러 언어에서 알프스산맥을 가리키는 단어는 라틴어 Alpes에서 유래하였다. 라틴어는 이 단어를 복수 명사로 사용했기 때문에 현대의 언어들에서도 복수형인 경우가 많다. 라틴어 Alpes의 정확한 어원은 불명이고 몇 가지 설이 조심스레 제안될 뿐이다. 알프스산맥의 최고봉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국경에 걸쳐 있는 해발 높이 4,807m인 몽블랑산이다. 유라시아판과 아프리카판과의 경계선 충돌로 생긴 산맥이다. 따라서 지금도 높아지고 있다.  산 위에는 빙하가 존재할 정도로 높은 산맥이지만 포에니 전쟁 당시 한니발 바르카는 로마를 공격하기 위해 코끼리를 북아프리카에서 여기까지 끌고 와서 기어코 이 산맥을 넘었다. 천여 년 후에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와 나폴레옹 ..

지중해성 기후, Cs, 대륙 서안, 여름 건조, 겨울 습윤

쾨펜의 기후 구분열대기후(A)Af열대 우림 기후Am열대 몬순 기후Aw사바나 기후As건조기후(B)BWBWh사막 기후BWkBSBSh스텝 기후BSk온대기후(C)CfCfa온난 습윤 기후Cfb서안 해양성 기후Cfc아극 해양성 기후CwCwa온대 하우 기후Cwb아열대 고원 기후CwcCsCsa지중해성 기후CsbCsc냉대기후(D)DfDfa냉대 습윤 기후DfbDfcDfdDwDwa냉대 동계 건조 기후DwbDwcDwdDsDsa고지 지중해성 기후DsbDscDsd한대기후(E)ET툰드라 기후EF빙설 기후고산기후H고산 기후*온대기후(C)Cf (연중 강수)Cw (동계 소우)Cs (하계 소우)CfaCfbCfcCwaCwbCwcCsaCsbCsc온난 습윤 기후서안 해양성 기후아극 해양성 기후온대 하우 기후아열대 고산기후지중해성 기후지중해성 ..

쾨펜의 기후 구분, 쾨펜-가이거 기후 구분, 기온, 강수량 ,발생적 기후 구분, 경험적 기후 구분

쾨펜의 기후 구분열대기후(A)Af열대 우림 기후Am열대 몬순 기후Aw사바나 기후As건조기후(B)BWBWh사막 기후BWkBSBSh스텝 기후BSk온대기후(C)CfCfa온난 습윤 기후Cfb서안 해양성 기후Cfc아극 해양성 기후CwCwa온대 하우 기후Cwb아열대 고원 기후CwcCsCsa지중해성 기후CsbCsc냉대기후(D)DfDfa냉대 습윤 기후DfbDfcDfdDwDwa냉대 동계 건조 기후DwbDwcDwdDsDsa고지 지중해성 기후DsbDscDsd한대기후(E)ET툰드라 기후EF빙설 기후고산기후H고산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영어: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이란, 독일의 기후학자 블라디미르 쾨펜(Wladimir Peter Köppen)이 식생분포에 주목하여 1918년에 발표한 기후 구분..

서안 해양성 기후, 편서풍, 난류, 유라시아 대륙 서안, 밀 농사, Oceanic climate, 연교차 적다, 여름 선선, 겨울 따뜻, 강수량 균일, Cfb, 아극 해양성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열대기후(A)Af열대 우림 기후Am열대 몬순 기후Aw사바나 기후As건조기후(B)BWBWh사막 기후BWkBSBSh스텝 기후BSk온대기후(C)CfCfa온난 습윤 기후Cfb서안 해양성 기후Cfc아극 해양성 기후CwCwa온대 하우 기후Cwb아열대 고원 기후CwcCsCsa지중해성 기후CsbCsc냉대기후(D)DfDfa냉대 습윤 기후DfbDfcDfdDwDwa냉대 동계 건조 기후DwbDwcDwdDsDsa고지 지중해성 기후DsbDscDsd한대기후(E)ET툰드라 기후EF빙설 기후고산기후H고산 기후*온대기후(C)Cf (연중 강수)Cw (동계 소우)Cs (하계 소우)CfaCfbCfcCwaCwbCwcCsaCsbCsc온난 습윤 기후서안 해양성 기후아극 해양성 기후온대 하우 기후아열대 고산기후지중해성 기후  서안 ..

시애틀, Seattle, 시애틀 추장, 워싱턴주 최대도시, 코스트코, 스타벅스, 닌텐도, 보잉,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이소룡, 지미 헨드릭스, 커트 코베인, 빌 게이츠, 시애틀 그런지(Seattle Grunge)

시애틀 Seattle 워싱턴주 최대도시  주워싱턴카운티킹 카운티면적142.07 sq mi (367.97 km2)좌표북위 47°36′35″ 서경 122°19′59″시간대UTC-8 (서머타임 준수) / PT도시인구737,015명광역인구4,018,762명인구밀도3,387.95/km2기후지중해성 기후(Csb)한국과 시차-17시간(UTC -08:00)-16시간(UTC -07:00)(서머타임 적용 시)시청 소재지600 Fourth Ave, Seattle, WA 98104시장민주당   Seattle, WA 미국 워싱턴주에 있는 도시. 시내 인구 2023년 기준 약 75만에 도시권 인구 약 405만 명 정도로, 미 서부에서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피닉스에 이어 네 번째로 큰 도시권을 형성한다. 별명은 에메랄드 시..

오리건 트레일, 미국 서부개척시대, 개척자 지나던 길, Oregon Trail, 3,490km, 미주리주 인디펜던스, 오리건주 컬럼비아 강

오리건 트레일미국 서부개척시대 개척자들이 지나던 길Oregon Trail 길이 2,170마일(약 3,490km)의 횡단로로, 말 그대로 미국 동부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에서 시작해 서부 해안에 있는 오리건주 컬럼비아 강까지 가는 여행길을 뜻한다. 원래는 사냥꾼이나 선교사들이 이용하던 길이었지만 골드 러시 시대에 개척자들이 이 길을 따라 서부로 이동하기 시작해 대중화됐다고 한다. 하지만 말이 여행길이지 당연히 정비된 포장도로 같은 게 있을리가 없어서 그냥 남이 지나간 길을 따라 가는 것 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에 가는 길은 대단히 험난했으며 보통 4~6개월 정도 걸렸다고 한다. 1800년대 중반에 이 길을 지난 인구는 약 4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 길 사이에는 원래 버팔로가 많이 살았는데 개척자들이 지나면서 ..

유럽 산맥, 유럽 강, 유럽 국가 지형, 반도들의 반도, 유럽 지리적 특징

유럽 지리 반도들의 반도유럽 자체도 유라시아 대륙에서 뻗어나온 반도 형태인데, 이 안에 또 여러 반도들이 산재해 있어 반도들로 이뤄진 반도라 부르기도 한다. 어느 정도 알려진 것만 따져도 스칸디나비아 반도, 유틀란드 반도, 브르타뉴 반도, 이베리아 반도, 이탈리아 반도, 발칸반도, 크림 반도, 콜라 반도 정도. 유럽은 작은 나라들로 나뉘어 있는데 이를 이런 지리적인 특성 때문으로 보기도 한다. 비슷한 크기의 중국은 이동을 억제하는 바다가 동쪽 부분밖에 없어서 지역 전체를 지배하는 통일 왕조가 있었지만 유럽전체를 지배한 나라는 역사상 없었다. 그런데 또 그런 탓에 유럽은 나라간의 치열한 경쟁구도가 유지되었고 이는 대항해 시대를 열어 제 2천년기 후반에 찬란한 문명을 과시하고 더 나아가 현대문명을 연 주체가..

리메스, līmes, 로마 제국 국경 방어선, 요새, 하드리아누스 방벽, 리메스 브리타니쿠스

리메스 (līmes, 단수형: līmitēs) 주로 게르마니아 국경 방어나 로마 제국의 국경을 나타내는 고대 로마의 경계 구분 체계에 사용되는 현대 용어이며, 그렇지만 이런 목적으로 로마인들이 사용하지는 않다. 이 용어는 동방과 아프리카 등에는 로마 제국의 국경 방어선을 나타내는등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리메스는 종종 로마의 요새들과 연관 지어지지만, 이 개념은 로마가 병력을 가지고 느슨한 지배권을 행사하는 인접 지역들에는 적용될 수 있다.    로마의 국경은 브리타니아 북부의 대서양 해안에서 유럽을 거쳐 흑해까지, 그리고 그곳에서 홍해까지 그런 다음 북아프리카를 거쳐 대서양 해안까지 5,000 킬로미터 (3,100 mi)가 넘게 펼쳐져 있었다. 현재 남아있는 ‘리미테스’는 소수의 성벽, 도랑, 요새, ..

발칸반도, Balkan Peninsula, 다뉴브강 이남, 거칠고 숲이 많은 산악지대, 발칸

발칸반도Balkan Peninsula 조밀한 산지와 온화한 기후가 특징인 유럽 남동부의 지중해(아드리아해와 에게해)와 흑해와 면한 사다리꼴 형태의 지역이다. 그리스 문명이 탄생한 현대문명의 요람이자 로마 시대까지는 로마 제국, 근대에는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며 두 제국을 지탱해 온 번영했던 땅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유럽의 화약고"라는 별명으로 통한다. 고대의 로마 제국 시절부터 현대의 코소보 전쟁까지 이어진 강대국들의 전장이었으며, '서로 적대하는 작은 세력으로 분열되다'라는 뜻을 지닌 발칸화(Balkanize 또는 Balkanization)의 어원이기도 하다.  명칭 명칭은 튀르키예어로 '거칠고 숲이 많은 산악지대'를 뜻하는 발칸에서 비롯되었다. 위의 지형도를 봐도 알 수 있지만 대부분이 산악지역이다...

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종교 개혁,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작센안할트, Wittenberg

비텐베르크Lutherstadt WittenbergWappen Wittenber... 주작센안할트 면적240.4km²인구45,588명(2023년 12월)인구밀도190명/km² 엘베강 연안에 위치한 독일 작센안할트의 도시. 드레스덴 이전 작센 선제후국의 수도였으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이 시작된 도시로, 이를 기념하여 시의 주요 건물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역사 1180년, 아스카니아 가문(Haus Askania)의 영지에 플란데런 이주민이 정착하였다는 기록으로 처음 언급된다. 같은 해, 안할트 백작 베른하르트가 작센 공작을 칭하면서 이 지역이 작센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1260년부터는 아스카니아 가문의 작센-비텐베르크 분가의 거주지가 되었다. 1356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가..

시칠리아, 팔레르모, 메시나해협, 노르만, 아랍, 그리스, 게르만, 스페인, 라틴, 로마의 빵바구니, 마피아

시칠리아 Sicily Sicilia  중심 도시팔레르모 인구5,030,000명 면적25,711㎢ HDI0.836  이탈리아어/시칠리아어: Sicilia (시칠리아)라틴어: Sicilia (시킬리아)영어: Sicily (시실리)아랍어: صِقِلِّيَة (시킬리야)그리스어: Σικελία (시켈리아) 이탈리아의 섬이자 레조네로 지중해 최대의 섬이다. 이탈리아 반도를 장화라고 생각하면, 발 끝 부분에 위치한 섬이다. 지중해 최대의 섬이다. 인구는 503만 명, 면적은 2만 5711㎢로 남한의 약 4분의 1이며 중심 도시는 팔레르모이다. 이탈리아 본토로부터 불과 3.2km밖에 떨어지지 않아서 다리를 건설할 법도 하지만 추진은 지지부진하다. 해협의 폭은 좁지만 수심이 100~200m 가량으로 깊어서 다리를 건..

작센, 색슨(작센)족, 작센 자유주(Freistaat Sachsen), 주도(州都) 드레스덴, 라이프치히

작센  작센 자유주Freistaat Sachsen  독일어: Sachsen [zaksn̩]소르브어: Sakska영어: Saxony 작센 자유주(Freistaat Sachsen)는 독일 동부에 위치한 주(州)로, 주도(州都)는 드레스덴. 최대도시는 라이프치히다. 북쪽에는 브란덴부르크 주, 동쪽에는 폴란드, 남쪽은 체코, 서남쪽에 바이에른 주, 서쪽에는 튀링겐 주, 서북쪽에는 작센안할트 주와 이웃해 있다. 기타 주요 도시로는 츠비카우, 켐니츠 등이 있다. 면적은 1만 8,413 ㎢이며, 약 408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구 동독 지역 중 인구 밀도가 가장 조밀하고 산업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이다.  역사 구 작센 (Altsachsen: ~ 1180년) 원래 작센(3세기~1180년)은 라인·엘베 두 강 사이의 ..

브란덴부르크, Land Brandenburg, 프로이센, 독일 제국 발원지, 포츠담

브란덴부르크 독일어: Land Brandenburg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의 발원지이자 중심지였던 독일 동북부에 위치한 주. 주도는 포츠담이다. 포츠담 회담이 열린 바로 그 곳이다. 서쪽으로는 작센안할트, 동쪽으로는 폴란드, 북쪽으로는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남쪽으로는 작센과 접하고 있다. 주 안에는 독일 수도 베를린이 있다. 음덕들에게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으로 알려진 이름일 듯하다. 브란덴부르크 문으로도 이름이 널리 알려져있지만 정작 문은 브란덴부르크 주가 아닌 브란덴부르크 주 안의 베를린에 위치해 있다. 이유인즉슨 원래 베를린은 브란덴부르크의 일부였다가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베를린을 브란덴부르크가 빙 둘러싸고 있는 형태라 서로 굉장히 밀접한 관계에 있다. 대중교통 승차권 ..

라틴, 라틴족, Latini, 로망스족, 라티누스

라틴족Latini 이탈리아 라티움 지방에 살았던 고대 부족으로, 인도유럽인 계열의 이탈리아인에 속하는 라틴-팔리스키족의 하나이다. 기원전 2000년대에 이탈리아반도에 정착했던 인도유럽인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기원전 1000년경에 북방에서 이탈리아반도로 남하해 라티움 지역에 거주했다.  언어 고대 이탈리아반도의 언어라틴족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이탈리아어파의 일파인 라틴어를 사용했다. 이탈리아어파는 주로 라틴팔리스칸어군와 오스칸움브리아어군으로 나뉘며, 라틴어는 라틴팔리스칸어군에 포함된다. 이후 라틴족의 언어인 라틴어는 로마의 팽창과 함께 확산되었다. 역사인도유럽인들의 대이동으로 그 일익을 담당했던 이탈리아어파를 사용하는 언어 집단이 이탈리아반도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주는 고대 이탈리아에 철기가 전래..

게르만족, 스칸디나비아, 유틀란트, 기원

게르만족 원래 게르만족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유틀란트 반도에서 기원 BC 8세기에서 AD 세기에 활동했던 민족이다. 인도유럽어족 중에 게르만어파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을 총칭하고, 우리가 흔히 아는 독일어권과 영어권 백인들의 뿌리가 된 민족이다. 게르만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알 수 없다. 게르마니아라는 지명은 게르마니인의 땅이라는 뜻이지만, 정작 그 게르만이 어디서 왔는지는 오리무중. 다만 타키투스가 관련 기록을 남겼는데, 그는 게르마니아(게르만)라는 명칭이 꽤 새로운 호칭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게르만은 라인강 서쪽의 퉁그리족이라는 부족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점차 의미가 확장되어 그쪽 방면의 민족집단 전체를 일컫게 되었다고 한다. 또 타키투스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라인강 동쪽의 어느 부족에게서 게르만이라..

리히텐슈타인, 후국, Fürstentum Liechtenstein, 외교 스위스, 언어 독일어, 수도 파두츠, 인구 4만

리히텐슈타인, 후국, Fürstentum Liechtenstein, 외교 스위스, 언어 독일어, 수도 파두츠, 인구 4만  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 후국Fürstentum Liechtenstein   수도 파두츠 최대 도시 샨 파두츠는 리히텐슈타인의 수도이고, 샨은 리히텐슈타인의 최대 도시이다. 정치정치체제 군주제(사실상 전제군주제), 단일 국가, 내각책임제후작섭정총리 한스아담 2세알로이스 후세자다니엘 리슈역사건국   • 연방국가로서 형성 1719년 1월 23일 • 독일 연방에서 독립 1886년지리면적 160.4 km2 (189 위) 공용어 독일어인구2023년 어림 40,015명 (189위)인구 밀도 249명/km2 (56위)경제GDP(PPP) 2022년 어림값GDP(명목) 2022년 어림값 • 전체 ..

라인강, 고라인(高, Hochrhein), 상라인(上, Oberrhein), 중라인(中, Mittelrhein), 저라인(低, Niederrhein)

라인강은 네덜란드와의 국경에서 여러 지류로 갈라지고 이름도 바뀐다. 따라서 '라인강'이라고 이름이 붙은 곳은 엄밀히 따지면 북해로 통하지 않는데, 통상적으로 그 이름이 바뀐 부분까지를 라인강에 포함시킨다. 보덴호를 거쳐 지류로 마인강, 모젤강, 네카어강, 란강, 아레강, 루르강, 리페강 등이 합류한다.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고라인(高, Hochrhein), 상라인(上, Oberrhein), 중라인(中, Mittelrhein), 저라인(低, Niederrhein)으로 나누어 부른다. 강의 이름만이 아니라 기후, 풍경, 특산품, 사투리도 다르다. 고라인은 스위스에서 출발하여 스위스-독일 간 국경을 타고 가며, 상라인은 독일-프랑스 간 국경을 타고 가고 중라인과 저라인은 독일 및 네덜란드 안을 흐른다. 그리..

라인강, Rhine, Rhein,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1230 km

라인강Rhine | Rhein   라인강은 유럽의 중북부지역을 흐르는 강이다. 스위스에서 시작하여, 프랑스-독일 경계를 지나고, 독일 서부를 관통한 다음, 하류는 네덜란드에 위치한다. 길이는 1230 km. 여러 언어에서 라인강이란 이름은 켈트어의 레노스(Renos: 흐르는 것)에서 유래했다.  지리 다뉴브강과 함께 로마 제국의 북쪽 경계로, 오랫동안 라틴-켈트-갈리아 문화권과 게르만 문화권의 경계선으로 인식되었다. 406년에는 겨울에 라인강이 언 틈을 타 게르만족이 서로마를 침략하기도 했다. 프랑스는 역사적으로(특히 루이 14세와 나폴레옹) 라인강을 동쪽 경계선으로 생각하고는(자연국경설) 여러 번 영토 합병을 실행하기까지 하였다.  유속이 매우 빠르고 깊어 수운의 역사도 길다. 하류에서부터 상류까지 강..

알자스-로렌, 마지막 수업, 프랑스, 독일, 분쟁 지역, 모젤(Moselle), 바랭(Bas-Rhin), 오랭(Haute-Rhin)

알자스-로렌   위의 지도는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전 알자스와 로렌 레지옹들의 데파르트망을 보여주는데, 역사적 지명 알자스-로렌은 이 중 노란선 이동, 모젤(Moselle, 57번), 바랭(Bas-Rhin, 67번), 오랭(Haute-Rhin, 68번)을 일컫는다. 프랑스어: Alsace-Moselle (알자스-모젤)독일어: Elsaß-Lothringen, Elsass-Lothringen (엘자스-로트링겐)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 위치한 프랑스의 행정구역들. 면적은 14,496km². 현재는 그랑테스트 레지옹에 속해 있다. 중심 도시는 스트라스부르. 20세기까지 프랑스와 독일 사이의 주요 분쟁 지역이었다.  범위 밖에서는 알자스-로렌으로 통칭하고 있지만, 주의할 점은 우선 알자스와 로렌은 고대 시대부터..

오르도스고원, Ordos Plateau, 서안(西安), 흉노

오르도스고원Ordos Plateau 황하의 흐름중국어정체자 鄂爾多斯간체자 鄂尔多斯발음기호 오르도스고원(Ordos Plateau) 혹은 오르도스 분지(Ordos Basin), 오르도스(Ordos)는 중국 북부에 해발 1000~1600m에 위치한 산지 퇴적 분지이다. 대부분의 땅이 북쪽으로 크게 구부러져 흐르는 황하(黃河)의 오르도스 만곡(Ordos Loop)에 둘러싸여 있다. 중국에서는 타림분지(Tarim Basin) 다음으로 두번째로 큰 분지로 총면적이 약 370,000 km2 (140,000 mi2)이며, 섬서성(陝西省), 감숙성(甘肅省), 영하회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내몽고자치구(內蒙古自治區), 산서성(山西省) 다섯 개의 성에 걸쳐 있고, 그리고 서쪽으로는 흔주(忻州), 여량(呂梁), 임분(臨汾)..

엘베강, 함부르크, 드레스덴, 마그데부르크, 한자동맹

함부르크  독일 북부에 위치한 도시주. 한국의 광역시처럼 한 도시가 그대로 주(State)이기도 한 곳이다. 독일어로는 der Stadtstaat. 북해 연안에서 독일 최대의 항구이며 엘베강 하구 110km 상류 양안에 걸쳐 위치해 있다. 베를린에 이어 독일 제2의 도시이다. 유럽 전체로 따지면 6번째로 큰 도시이다. 독일 전체에서 1인당 주민소득 1위를 달릴 정도로 부촌이다. 2014년 기준으로 함부르크에 거주하는 이른바 '백만장자'의 숫자만 4만 2천 명에 달하는데, 독일에서 가장 많은 숫자이다. 2014년 기준으로 함부르크에 거주하며 1년 연봉이 백만 유로(약 십여 억 원)를 넘는 사람들의 숫자만 해도 1천 명이 넘는다. 이는 독일에서 가장 많은 숫자이다. 그 밖에 세계 각국에서 온 3천여 곳이 넘..

유럽의 강, 라인 강, 엘베 강, 다뉴브 강, 세트 강, 드네스트르 강, 드네프르 강, 돈 강, 포 강, 론 강

유럽의 강  유럽에는 강이 많아 예로부터 수로가 개발되어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유럽의 강변에 있는 전망 좋은 언덕에는 대개 성이 있는데 중세시대에 귀족들이 교통과 전략적 요지에 성곽을 세우고 살았던 흔적들이다. 큰 도시들은 모두 강을 끼고 있다.  유럽의 강 지도(서쪽부터)   1) 흑해 발원- 다뉴브 강, 드네스트르 강, 드네프르 강, 돈 강  2) 카스피해 발원- 볼가 강, 우랄 강   다뉴브 강(Danube) 독일어로는 도나우 강이며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독일 남부 Black Forest(Schwarzwald) 지역에서 시작하여 중앙유럽을 가로질러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볼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를 거쳐 흑해로 빠진다. 다뉴브 강은 오스트리..

조임목, 초크포인트(choke point), 해협, 지협, 회랑, 지브롤터, 수에즈 운하, 보스포루스 해협, 호르무즈 해협, 말라카 해협

조임목 초크포인트(choke point) 또는 조임목은 지정학에서 특히 전시(戰時)에 인적, 물적 자원의 수송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요충지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해협이나 지협, 회랑 등 자연적인 협곡 지형이나 멀리 떨어진 수역 간의 교통을 연결하는 자연수도와 인공수도(운하)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지형은 교통과 물류의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시에도 군대를 이동시키거나 원거리 무기를 배치하여 적을 견제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전쟁에서 이러한 조임목을 점유하는 쪽은 비교적 적은 병력만으로도 인근의 인적, 물적 자원 이동에 간섭하거나 개입, 제압할 수 있어 전략적 승기를 잡을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유사시 조임목을 점령하거나 방어하고 이를 유용하게 쓰는 것은 중요하며, 국제정치학..

칼레, Calais, 도버 해협, 칼레 공방전, 칼레의 시민, 백년 전쟁, 로마, 카이사르

칼레(Calais) 프랑스 북부의 항구도시이다. 오드프랑스 주의 파드칼레 현에 속해 있으며, 도버 해협을 끼고 영국과 마주 보고 있다. 해저터널에 있는 철도나 도로를 이용해 영국으로 갈 수 있다. 자가용이나 유로라인 등 국제버스는 출입국심사 후 자동차 수송용 기차 안에 차가 통째로 들어가서 터널을 건넌다. 위치를 보면 알겠지만 벨기에, 그러니까 플랑드르(플란데런) 지역과 참 가깝다. 그러다 보니 됭케르크처럼 네덜란드계(플랑드르계) 주민들이 살고 있다. 그리고 후술할 내용처럼 잉글랜드의 지배를 받았고 지리적으로도 잉글랜드와 가깝다 보니, 바다를 건너온 잉글랜드인들의 후손들도 살고 있다. 영어식 발음은 '캘리스'였으나 요즘은 원어 발음에 가까운 '캘레이'라고 읽는다. 중세 영어나 중세 프랑스어로는 Calai..

한반도, 지정학적 가치, 세계의 원자로

한반도, 지정학적 가치 지구상에서 가장 무서운 장소(The scariest place on Earth)빌 클린턴 북쪽으로는 압록강과 두만강이 있고 강폭이 좁은 곳을 개마고원이 막고 있으며 한반도 내에는 청천강, 대동강, 임진강, 한강 같은 넓은 강이 연이어 있고 이들 강이 좁은 곳은 백두대간이 막고 있기에 근대 이전까지는 강이 얼어붙는 겨울이 아니면 공격하기 어려웠다. 영향력이 전세계적이라 해당 관련국이 목숨 걸고 사수하는 지브롤터 해협, 말라카 해협, 수에즈 운하, 파나마 운하, 바브엘만데브 해협, 호르무즈 해협, 보스포루스 해협 등과 비교했을 때 중요성이 덜하지만 적어도 동아시아 대륙에서는 태평양으로 뻗어나가고, 동시에 태평양에서 동아시아 대륙으로 확장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최고의 거점이다. 한반도 내..

동아프리카 지구대(地溝帶), 동아프리카 열곡대(裂谷帶), 대륙 이동설, 소말리아 판

동아프리카 지구대 이름 그대로 아프리카의 동부에 발달한 지구대(地溝帶)다. 판의 발산형 경계에 있기 때문에 '동아프리카 열곡대(裂谷帶)'라고도 하며, 최신 서적에서는 이 표기를 더 많이 사용한다. 중동 레바논의 베카 계곡 부터 동남아프리카 모잠비크 까지 이어진 대(大)지구대(The great rift valley)의 일부로 보며, 북쪽으로는 에티오피아와 지부티 국경지대에 걸쳐있는 아파르 지방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는 모잠비크에 이르는 거대한 지각판의 발산 경계다.위키백과에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다.  자연 유명한 아프리카 최고봉인 킬리만자로 산과 올 도이뇨 렝가이 화산 등이 있다. 다나킬 사막도 이곳에 있으며, 사막의 이색적인 풍경도 지질활동 덕에 생겨난 것이다. 물덕들에게 시클리드 산지로 잘 알려진 말라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