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사회, 문화 Social, Culture 162

사법 파동, 사법 민주화 운동, 행정부 사법부 충돌, 소장 판사 항명 사건, 우리법연구회

제1차 사법 파동(박정희 정부)제2차 사법 파동(노태우 정부)제3차 사법 파동(문민정부)제4차 사법 파동(참여정부)제5차 사법 파동(이명박 정부)제6차 사법 파동(문재인 정부) 행정부와 사법부의 충돌로 소장 판사들이 중심이 되어 벌인 항명 사건. 사법부는 공식적으로 1차, 2차 사법파동만 인정하며 4차, 5차 사법 파동을 사법 파동으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다섯 번 일어났다고 본다. '사법 파동'은 제1차 사법 파동 당시 언론에서 명명한 것으로 부정적인 인상을 주는 '사법 파동' 대신 '사법 민주화 운동'으로 바꿔 불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나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는 '사법 파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제1차 사법 파동(박정희 정부) 배경 제1공화국 시절까지만 해..

메스티소, Mestizo, 라틴아메리카, 라틴족, 아메리카 원주민, 인종적 혼혈인

메스티소Mestizo 라틴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는 유럽인(주로 라틴족인 스페인과 포르투갈)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인종적 혼혈인을 지칭하는 용어. 어원은 라틴어 믹스티키우스(mixticius)로, 스페인어 "메스티소"는 스페인 제국 시대부터 쓰였다. 아시아(필리핀 등)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토착민과 유럽인 사이 혼혈을 뜻하기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주민과 백인은 이런 혼혈을 메스티소라고 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프랑스계 혼혈은 비슷한 발음인 메티스로 불린다. 영국계는 따로 호칭이 없다. 영국계 혼혈은 주류 미국 사회에서 백인으로 동화되어 현재는 백인이고 캐나다는 원주민 문화가 꽤 보존되어 메티스들이 꽤 목소리를 낸다. 캐나다에서의 메티스는 비록 프랑스어지만 백인 모두의 혼혈을 통용한다. 영어 발음은..

히스패닉, 미국, 라틴아메리카 출신, 스페인어권 출신, Hispanic, Hispano(이스파노), 6520만명, 라티노 구분

문화권영미권독일어권프랑코포니히스패닉루소폰라틴아메리카러시아어권인도문화권페르시아어권한자문화권중화권티베트아랍마인어권폴리네시아 언어에 따른 문화권중국어스페인어영어아랍어중화권히스패닉영미권아랍프랑스어독일어포르투갈어러시아어프랑코포니독일어권루소폰러시아어권 Hispanic스페인어로는 Hispano(이스파노) 히스패닉은 미국 내 라틴아메리카 출신 배경을 가진 사람들 중 스페인어권 출신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미국 OMB에서는 히스패닉 혹은 스페인어권의 라티노를 쿠바, 멕시코,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및 기타 스페인 문화를 가진 나라의 출신으로 정의하며, 인종이나 민족과는 무관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포르투갈이나 루소폰 출신은 라티노이지만 히스패닉에서 제외된다. 2020년 통계 기준 65..

하레디, 유대교 근본주의, 극보수주의, 초정통파 유대교인, Ultra-Orthodox Jews, 토라, 병역, 혜택, 출산율, 이스라엘 문제점

하레디 하레디는 일반적으로 유대교의 근본주의 단체로 알려진 유대교의 한 종파다. 극보수주의 유대교 종파를 믿는 유대인 집단을 일컫는 말로 일부 종파를 제외하면 대개 폐쇄적이고 근본주의적인 성향을 보인다. 이스라엘에는 메아 셰아림, 벳 이스라엘, 게울라, 하르 노프, 라못, 라맛 슐로모, 산헤르리아, 네베 야아콥, 말랏 다프나, 라맛 에슈콜, 에즈랏 토라, 그리고 텔아비브 인근의 브네이 브락 등의 지역에 하레디 공동체가 존재한다. 현대 유대인들은 종교적 생활 양식에 따라 크게 4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①종교와 무관한 세속적 유대인들, ②세속화되어 유대교 종교 양식을 어느 정도만 따르는 유대인들, ③세속주의를 거부하지는 않지만 유대교 종교적 생활 양식을 나름대로 철저히 따르는 현대 정통파 유대교인, ④그리..

97세대, 1990년대 학번, 1970년대 출생, 운동권 86세대, X세대

'97세대(1990년대 학번·1970년대 출생)' 정치인을 주목하고 있다. 역대 국회에서 존재감이 미미했던 이들은 21대 국회 들어 현안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아예 세대 교체를 화두로 던지고 있기도 하다. 정치권 주류인 '86세대(1980년대 학번·1960년대 출생)'를 향해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해석까지 나온다.일부는 자천타천 내년 보궐선거와 후년 대선의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주요 정당의 97세대 정치인으로 누가 있을까. 또 이들은 이른바 운동권인 86세대 정치인과 어떤 차이점을 가질까.97세대…실용·개방적97세대는 '개인주의' '다양성' '실용성'이란 3가지 키워드로 표현된다. 민주화운동의 주역인 86세대 뒤를 이은 이 세대는 독재 대 민주로 갈라진 사회 속에서 성장하지 않았다. 집단주의보다 개인..

더치페이(Dutch Pay), 유래, 더치 트리트(Dutch treat), 네덜란드, 척박한 환경 속에서 상업과 교역

더치페이(Dutch Pay) 저지대는 스헬데강, 라인강, 뫼즈강의 낮은 삼각주 지대 주변에 위치한 17개 자치주로 이루어진 느슨한 연합체로, 합스부르크가의 결혼동맹으로 1516년부터 스페인령이 되었다. 오늘날의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지역 일대이다. 15세기 말 이베리아반도에서 추방당해 저지대에 정착했던 유대인들에게 이 지역은 종교의 자유를 제외하고는 그리 풍요로운 곳은 아니었다. 아니 오히려 열악한 환경이었다. 저지대는 국토의 4분의 1이 해수면보다 낮아 댐을 쌓아 간척한 땅이었다. 그러다 보니 소금기가 많아 농업과 목축업이 부적합했다. 오죽하면 함께 모여 식사해도 자신이 먹은 거를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더치페이’가 발달했겠는가. 16세기 들어 수산업과 염료 산업이 발전하기는 했으나 모직물..

조선족, 170만 명, 민족식별공작, 신조어, 중국 최초 자치주, 중국 유일 민족대학, 연변대학, 정체성, 범죄, 朝鮮族

조선족(朝鮮族, 간체자: 朝鲜族) 중국 정부가 공인한 한족 외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다. 한민족 가운데 중국으로 이주하여 중국 국적을 갖고 있는 중국인을 중국 인민정부가 1949년부터 1953년 기간 내 실시된 민족식별공작을 통해 자국 소수민족으로 분류해 지정한 당시로서는 신조어인 한자 명칭이다. 따라서 중국 국적자가 아닐 경우, 조선족에 해당하지 않는다. 조선족은 인접한 한반도로부터 점차 이주하여 중국 동북 지역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우리나라중국의 대표적인 월경(越境) 민족 중 하나이다. (朝鲜族是由相邻的朝鲜半岛陆续迁入、定居东北地区而逐渐形成的我国跨境民族之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민족사무위원회 인구 한국인이 귀화한 가능성이 있는 한국계 중국인까지 합쳐서 189만 명 정도 되는 것이고, 중국 정부가 ..

쌀 VS 밀, 밥과 빵이 만든 동서양의 문명

쌀 VS 밀 오랫동안 인류의 식탁을 책임져 온 3대 곡물은 쌀과 밀, 그리고 옥수수다. 그러나 가장 많은 생산량을 자랑하는 옥수수의 대부분은 동물 사료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주식은 쌀과 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쌀과 밀은 농경 활동이 시작된 이후 수 천 년 동안 우리를 먹여 살린 곡물이기도 하지만 그저 우리의 배를 든든히 채워줬던 것 이상으로 인간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며 함께 역사를 만들어왔다. 쌀이 만든 동양의 문화 쌀의 원산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남부, 미얀마, 타이, 인도 동부 등이 원산지로 거론되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분분한 의견이 오고 갈 뿐이다. 본격적으로 재배가 시작된 것은 약 6~7천 년 전으로 인도 북동부 지역에서 중국 윈난 지방까지 이어진 넓..

인간개발지수, 실질국민소득, 교육수준, 문맹율, 평균수명, HDI 0.900점 이상인 국가, Very High Human Development, 유엔개발계획, UNDP, 아마르티야 센, 마흐붑 울하크, Human Development Index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人間開發指數 유엔 산하기구인 유엔개발계획(UNDP)이 1991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 중의 한 항목으로 문자 해독률, 평균 수명, 1인당 국민소득 등의 인간의 발전 정도를 토대로 평가한 수치다. 빈곤과 불평등 문제 연구로 유명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아마르티야 센과 파키스탄의 마흐붑 울하크 교수가 개발하였다. 개요각 국가의 실질국민소득, 교육수준, 문맹율, 평균수명 등을 여러 가지 인간의 삶과 관련된 지표를 조사해 각국의 인간 발전 정도와 선진화 정도를 평가한 지수이다. 2009년까지 일반적으로 HDI가 0.900점 이상인 국가를 Very High Human Development로 분류, 선진국으로..

딩펫족, 자식 대신 강아지, 관계의 결핍, dinkpet, 딩크족(DINK:Double Income, No Kids)

자식 대신 강아지, 딩펫족 결혼 적령기 남녀 출산율 감소…반려견·반려묘 수는 계속 증가 국내 가구 4분의 1이 키우는 셈반려동물 시장 6조원까지 상승 전망…반면 육아용품 시장은 성장 멈춰 아이 아빠로 보이는 30대 남성이 유모차를 끌고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기저귀 가방을 든 여성이 함께 걷고 있다. 너무 단란해 보이는 가족의 모습이다. 그런데 남성이 유모차 커버를 벗기고 들어 올린 것은 다름 아닌 강아지. 아이 대신 강아지를 들어 올려 입을 맞추고 품에 꼭 끌어안는다. 여성은 기저귀 가방에서 티슈를 꺼내 강아지 입을 살뜰히 닦는다. 마치 부모가 아이를 소중히 안고 다루는 모습과 흡사하다. 결혼 적령기에 접어든 남녀가 출산을 기피하면서 그 빈자리는 반려동물이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 인구동향조사를 보면..

인클로저 운동, Enclosure, 종획운동, 13세기, 영국, 목축업 자본주의화, 경작지 몰수, 도시 빈민, 임금 노동자 전락

인클로저 운동 Enclosure종획운동목축업의 자본주의화를 위한 경작지 몰수 "양은 온순한 동물이지만 잉글랜드에서는 인간을 잡아 먹는다."- 토머스 모어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던 곳에 이제는 한 사람의 양치기와 그의 개가 있을 뿐이다." - 휴 라이머 Enclosure(종획운동) 13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소규모 토지를 대규모 농장에 합병하는 법률적 절차[를 의미한다. 이는 목축업의 자본주의화를 위한 경작지 몰수로 요약할 수 있다. 산업 혁명 당시 영국에서 판매용 곡물 혹은 양을 키우기 위해 농지에 울타리를 세우자 농사를 지었던 농민들은 도시의 공장으로 내몰리면서 종국에는 도시의 하층 노동자로 전락하게 되었다. 인클로저는 물가상승에 대한 지주의 대책으로서 , 보통 제1차와 제2차의 2회로 구분한다. ..

국보, 목록, 지정순서, 대한민국, 346건, 국보 지정 조건, 숭례문

2025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총 346건의 국보가 있으며, 이들 국보는 유형문화유산 가운데 그 역사적 가치가 특별히 크고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대상들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다. 과거에는 '국보 ○○호 □□□' 형식의 지정번호로 부르고 안내판에서도 그렇게 표시했지만, 지정번호 순서가 문화재의 중요도 순서로 오인된다는[2] 지적이 잇따랐다. 그래서 논의 끝에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이후 국가유산청)에서 〈문화재보호법(현재는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하여 기존 번호를 삭제하고 이후 새로 지정 및 재지정한 문화유산에 대해서 번호를 부여하지 않기로 하였으므로 이후 지정된 국보에는 지정번호가 없다. 물론 정렬 순서는 지정된 순서이기 때문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다만 번호가 ..

세대 기억, 기억 공동체, 6070, 한국전쟁, 4050, 광주, 2030, 세월호, 탄핵 촛불시위

세대 기억 세대 기억은 특정 세대가 공유하는 경험, 문화, 가치관을 기반으로 형성된 집합적 기억을 의미세대 기억은 세대별로 다른 역사적 사건, 문화적 흐름,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형성되며, 세대 간 갈등이나 소통 문제의 원인 세대의 정의와 세대 기억의 특징: 세대: 특정 시기에 태어나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세대는 역사적, 사회적 사건을 통해 형성되며, 세대별로 다른 경험과 기억을 공유세대 기억: 특정 세대가 공유하는 경험, 가치관, 문화적 표상 등을 통해 형성된 기억세대 기억은 세대가 공유하는 역사적 사건, 문화적 흐름,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며, 세대별로 다른 특징 특정 세대가 공유하는 경험, 문화, 가치관 등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기억 세대 간 기억은 전수 경로, 기억의 억압..

청년 극우화, 두려움, 경제, 2030 남성은 보수, 여성은 진보 뚜렷

기사에 나온 아래 그래프. 분석한 4개 국가 모두 청년층 여성이 남성보다 더 진보적이고 성별 정치 성향의 격차가 벌어지는데, 특히 한국의 사례가 가장 극단적으로 나타났다. 기사의 임팩트가 크다보니 이 분석에 제대로 된 분석인지 많은 분들이 검증에 나섰다. 하지만 정확한 자료 replication에 성공한 분들은 없는 듯 하다. 그래프의 주석을 보면 한국은 KGSS조사의 지지정당 항목을 분석한 것이고, 따라서 어떤 정당을 진보와 보수로 묶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전체 인구의 추세에 맞춰 조정 (adjusted for time trend in the overall population)"했다고 한다. 뭔가 추세 분석을 해서 그래프를 스무딩했다는건데 정확히 어떻게 했는지 알 수가 없..

화교, 華僑, 화인, 화예, 한국 화교 시작, 임오군란, 신화교, 한중 수교, 조선족, 인물, Overseas Chinese

화교대만 또는 중국의 국적을 가지고 다른 나라에 이민자로 정착하여 사는 사람. 화(華)는 중국인들이 스스로를 화인(華人)으로 부르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며, 교(僑)는 거주한다는 뜻을 의미한다. 즉 해외로 이민하여 거주하는 대만인이나 중국인을 높여 부르는 명칭이다. 僑 '더부살이 교'.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喬(높을 교)가 합쳐진 형성자 교민(僑民)교포(僑胞)화교(華僑) 원래 중립적인 명칭은 '국외 거주 중국인'이지만 실생활에서는 이미 화교로 널리 부르고 있다. 언어별 명칭 한자: 華僑, 海外華人한국어: 화교일본어: 華僑(かきょう)중국어: 華僑(huáqiáo), 華裔(huáyì)영어: Overseas Chinese독일어: Auslandschinesen러시아어: Хуацяо ..

일본, 경차, 박스카, 유행 이유

일본, 경차, 박스카, 유행 이유 일본은 네모나고 앞이 짤린 박스카들의 전시장 한국에서 일명 '효리차' 불리며 큰 인기를 모은 박스카 닛산 큐브. 정식 수입이 되지 않는 이유도 있지만 한국에선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디자인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일본에서도 네모난 차의 유행은 큐브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 그 유행은 일본 전체에 퍼져있다. 말 그대로 박스카들의 천국이다. 일본에서 박스카가 유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본 자동차 시장에서 경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30%에 달한다. 10% 미만의의 점유율을 보였던 국내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그만큼 일본에는 다양한 종류의 많은 경차가 있다. 자동차 세금 제도는 배기량과 중량에 따라 부과되어 작고 가벼운 경차에 유리하다. 게다가 6..

4.13 호헌조치, 1987년, 전두환, 직선제 개헌 거부, 체육간 간선제 유지, 6월 항쟁, 6.29 선언, 민주화 촉발

4.13 호헌조치 4.13 호헌조치(四一三護憲措置)는 1987년 4월 13일,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인 전두환이 발표한 담화이다. '호헌'이란 '현재의 헌(憲)법을 보호(護)하여 지킨다'는 뜻으로, '호헌조치'라는 것은 현행 헌법을 바꾸지 않고 계속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전두환은 이 조치를 통해 일체의 개헌 논의를 중단하려고 했지만 오히려 역풍을 불러일으켜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인 6월 항쟁을 점화했다. 배경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이하 신민당)은 독재 정권의 오만 방해와 갖은 술책에도 불구하고 대도시에서 선전하면서 야당 돌풍을 일으켰다. 이후 대통령 직선제 개헌에 대한 요구가 각계에서 터져 나오면서 신민당은 1000만 개헌 서명운동을 주도하기에 이른다. 이런 범국민적인 직선제 ..

서른 즈음에, 서른 잔치는 끝났다, 1994 서른이 중년, 지금은 46세

서른 즈음에, 서른 잔치는 끝났다, 그땐 서른이 중년, 지금은 46세김광석이 이 노래 ‘서른 즈음에’를 발표한 건 1994년 6월이다. 이 노래가 나올 때 태어났다면 올해로 서른이다. 이들은 당시 이 노래가 중년에 접어드는 쓸쓸함을 주제로 공감을 얻었다는 걸 이해하지 못 한다. 저출산·고령화가 급격히 진행하면서 30세와 중년의 거리는 멀어졌다.   점점 더 멀어져 간다. 머물러 있는 청춘인 줄 알았는데... 청춘 안 멀어졌고, 잔치 안 끝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1994년의 중위연령은 28.8세였다. 중위연령은 국내 인구를 출생연도별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위치한 나이다. 같은 해 최영미 시인은 『서른, 잔치는 끝났다』라는 제목의 시집을 출간했다. 가수 김광석이 “청춘이 멀어져 간다”고 부를 때, 시인 최씨..

1만 시간의 법칙, 오류, 연습 역할 3분의 1, 티핑 포인트

‘1만 시간의 법칙’ 들어맞지 않아연습의 역할은 3분의 1에 불과  ‘티핑 포인트’로 유명한 작가 맬컴 글래드웰(Malcolm Gladwell)은 2008년 펴낸 저서 ‘아웃라이어’에서 ‘1만 시간의 법칙(10,000-Hour Rule)’을 소개했다. 10년 즉 1만 시간 동안 꾸준히 연습하면 최고에 다다를 수 있다는 내용이다. 글래드웰은 그 예로 음악가들의 실력을 꼽았다. 최고 수준의 음악학교에 입학할 정도의 연주자들이 해가 갈수록 실력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연습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저널리스트 매슈 사이드, 노벨상 수상자 대니얼 카네만 등도 이에 동조하는 내용의 저서를 발간했다. 이후 각국의 교육자와 경영학자들은 “1만 시간을 쏟아붓지 않았기 때문에 최고가 되지 못한 것”이라며 실력의..

테이트 - 라비앙카 살인사건, 히피 몰락, 1969년, 찰스 맨슨, 폴란스키, 폴란스키가 살인 사건

테이트 - 라비앙카 살인사건Tate - Labianca murders 범행장소테이트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10050 씨엘로 드라이브 라비앙카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3301 웨이버리 드라이브 범행날짜 테이트1969년 8월 9일 라비앙카1969년 8월 10일범행유형대량살인, 강도살인피해자테이트샤론 테이트아비게일 폴거보이치에흐 프리코프스키스티븐 파렌트제이 세브링라비앙카레노 라비앙카로즈마리 라비앙카가해자테이트찰스 맨슨수잔 앳킨스찰스 텍스 왓슨패트리샤 크렌빈켈린다 카사비앙 라비앙카찰스 맨슨수잔 앳킨스찰스 텍스 왓슨레슬리 반 휴튼패트리샤 크렌빈켈형량린다 카사비앙을 제외한 전원 사형→무기징역 히피 문화가 절정이던 1969년에 찰스 맨슨의 사주를 받은 맨슨 패밀리 멤버들이 폴란스키 감독의 자택에 처들..

르네상스형 인간, 박식가, 만능인, 르네상스인, Renaissance man

박식가(博識家, 그리스어: πολυμαθής, polymathēs, "많은 배움을 가짐")  만능인(라틴어: homo universalis 호모 우니베르살리스, 영어: universal man)르네상스적 인간(Renaissance man) 뛰어난 재능을 지닌 사람으로,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게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다. 쉽게 말하면, 매우 많이 아는 사람을 뜻한다. 고대 과학자의 거의 대부분은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박식가이었다.  역사적으로 박식가에 해당되었던 인물은 다음과 같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레오나르도 다 빈치요한 볼프강 폰 괴테벤저민 프랭클린찰스 샌더스 퍼스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르네 데카르트아리스토텔레스아르키메데스블레즈 파스칼아이작 뉴턴토머스 에디슨버트런드 러셀토머스 제퍼슨르네상스형 인..

타자화, 他者化, Objectification, 객체화, 대상화, 사물화, 성적 대상화, 자신을 몸의 주체가 아니라 타자에게 보이는 수동적 대상

타자화, 他者化, Objectification  타자화는 특정 대상을 다른 존재로 보이게 만드는 행위나 사상, 결정 등을 의미 사회학 용어로 출발했으며, 철학, 역사, 정치학 등에서도 사용 타자화의 의미나와 다른 사람이나 모임, 종족 등의 집단이 가진 사람됨을 부정하고, 이를 객체나 물건으로 취급하는 행위 자신을 몸의 주체가 아니라 타자에게 보이는 수동적 대상으로서 경험하는 현상 '우리-그들 구분법'에서 우리가 아닌 존재로 취급함을 의미하는 것에 가깝다  타자화의 예시여성의 대상화: 여성 개개인의 인격을 배제하고 여성이라는 속성 혹은 여성의 신체적 특성을 통해 여성을 타자화 혹은 사물화하는 행위 유아적 엄마와의 애착관계로 인한 타자화된 몸: 자신을 몸의 주체가 아니라 타자에게 보이는 수동적 대상으로서 ..

그루피(Groupie), 남성 스타 성관계, 데븐 윌슨(Devon Wilson), 파멜라 데 바레스(Pamela Des Barres), 코니 햄지(Connie Hamzy), 세이블 스타(Sable Starr), 커스틴 던스트, 위노나 라이더, 기네스 팰트로, 파멜라 앤더슨, 린제이 로한, 니나 아그달, 지젤 번천

그루피(Groupie) 서구권에서 연예인, 특히 남성 록 밴드들을 쫓아다니는 열성적인 여성팬을 이르는 말이다. 'groupie'라는 용어 자체도 록 그룹(group)을 쫓아다니는 여자라는 의미에서 만들어졌다. 빠순이나 사생팬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한민국의 빠순이들과 다르게 이들의 주목적은 남성 스타와 직접적으로 성관계를 가지는 것이다. 어원은 몇 가지가 있는데 1942년 미국의 여성 작가 메리 매카시가 쓴 소설 'The Company She Keeps'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고, 전설적인 록 밴드 롤링 스톤스의 멤버였던 빌 와이먼이 1965년 호주 투어 중 믹 재거, 키스 리처즈 등 동료들과 공연 끝나고 밤새 놀아제꼈던 여성팬들을 지칭한 메모였던 Groupie라는 표현에서 왔다는 설도 있다.  ..

아줌마, 아저씨, 사회학, 호칭, 멸칭(蔑稱)

아줌마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아주머니'를 낮추어 이르는 말이다. '아주머니'의 의미는 부모와 같은 항렬의 여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혹은 남자가 같은 항렬의 형뻘이 되는 남자의 아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 중 '나이 든 여자를 예사롭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남자의 경우 아저씨가 있는데, 성별 차이 이외에 연령대 범위나 뉘앙스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어원 '아줌마'라는 말은 방계 친척 호칭에 붙이던 접두사 '앚-'과 '어미'가 결합된 말이다. '앚-어미'라는 형태는 모음조화와 유추에 의해 한글 창제 직후인 15세기에 이미 '아저미' 대신 '아ᄌᆞ미'로 나타나고 있었고, 이후 그에 호격 조사가 붙은 '아ᄌᆞ마' 형태가 직접적으로 현대 국..

성소수자, sexual minority, LGBT, 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양성애자(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

성소수자(性少數者, 영어: sexual minority) LGBT는 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양성애자(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  트랜스젠더, 양성애자, 동성애자, 무성애자, 범성애자, 젠더퀴어, 간성, 제3의 성 등을 포함하며 성정체성, 성별, 신체상 성적 특징 또는 성적 지향 등과 같이 성적인 부분에서 사회적 소수자의 위치에 있는 이를 말한다. 성소수자는 매우 포괄적인 용어이지만, 워낙 다양한 성소수자 집단이 존재하는 관계로 그와 유사하게 사용하거나 하위 집단을 일컫는 다양한 용어와 신조어들이 존재한다. LGBT는 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양성애자(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를 함께 일컬어 부르는 단어이다. 성소수..

테북, 테남, 양북, 양남, 산북, 산남, 강남, 계층

“테북테남 양북양남 산북산남”…강남도 ‘계층’ 나뉜다  테헤란로·양재천·구룡산 기준 두고 은근한 차별 “아파트별·사는 동네 두고 은근한 차별 있다” 아파트별 친목 도모·소개팅 주선·중고 거래 존재 서울대 재학생 사이서도 강남 3구끼리 뭉치기도1970년대 강남 개발 사업이 본격화된 이후 50여년, 강남은 교육의 대명사·부동산 불패 신화 등으로 대한민국의 중심축 중 하나가 됐다. ‘강남’의 역사가 오래되면서 강남 내부에서의 계층 분화도 다양해진다. 강남이라고 다 같은 강남이 아니란 얘기다. 강남구 어느 동에 사느냐에 따라 계층이 나뉘고, 어느 아파트에 사는지가 그곳 주민의 ‘계급’이 된다. 8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강남구는 크게 테헤란로·양재천·구룡산과 대모산을 기준으로 테남과 테북, 양북과 양남,..

히잡, حِجَاب ,Ḥijāb), 여성 머리카락 남성 유혹, 무슬리마(여성 무슬림) 의복

히잡은 하디스에 의하면 '여성의 머리카락'이 남성들을 유혹한다고 보아서 권장된 옷차림 히잡(حِجَاب / Ḥijāb) 무슬리마(여성 무슬림)의 의복이다. 전신 의복이 아니고 얼굴 일부와 머리만을 둘러싸는 형태로 두르는 천이다. 히잡의 형태는 이슬람권에서도 나라별로 차이가 있는데 앞머리를 드러내는 식으로 쓰는 경우도 있고 머리카락을 완전히 가리는 게 정석인 나라도 있다. 중동에서 사막의 자외선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도 있으며 중동 여성들이 쓰던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의상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종교 시설에서는 머리카락을 가려 남성들의 시선이 예배 이외에 다른 쪽으로 가지 못하게 하려는 이유도 있다. 머리만 감싼다는 점에서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 부르카와는 다르다. 얼굴을 가리지 않으니 안면 베일인 니캅과도 ..

킨제이 보고서, Kinsey Reports, 내용, 남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여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킨제이 보고서Kinsey Reports 미국의 동물학자 앨프리드 찰스 킨제이(Alfred Charles Kinsey, 1894~1956년)가 사람들의 성적 행위에 대해 조사한 1948년과 1953년 출간된 2권의 책.  킨제이는 인간의 성생활에 대한 연구자료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처음에는 미 전역 교도소에 복역중인 사람들 중에서 18,000여명을 인터뷰해서, 그 자료들을 가지고 1948년에 《인간 남성의 성적 행위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를 출판했고 1953년에는 《인간 여성의 성적 행위(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를 출판했다. 다만 교도소에 복역중인 사람들은 첫 조사에서의 이야기이고, 그 뒤로 10만명 가량 대다수가 일..

사생아, 私生兒, 사사 사 私, love child, Illegitimate child, bastard, 피츠로이(FitzRoy)

사생아, 私生兒 사사 사, 날 생, 아이 아사사롭게 태어난 아이  법적으로 부부가 아닌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 무효혼 관계에서 태어난 자녀  첩과 서자녀, 얼자녀라는 제도가 폐지된 현대 한국에서는 예전 개념의 서자, 서녀, 얼자, 얼녀도 사생아로 간주된다   사생아와 관련된 다른 용어 혼외자(婚外子)혼인외출생자(婚姻外-出生子)호로자식, 호로새끼, 후레자식외방자식(外房子息)사생아, 私生兒, love child, Illegitimate child, bastard정식으로 결혼 및 혼인신고한 부부가 아닌 남녀 사이의 성관계(혼외정사, 혼전성교)로 출산한 아이를 일컫는 말이다. 혼외자(婚外子)라고도 한다. 정말 속되게 표현하면 호로자식, 호로새끼, 후레자식. 물론 이 단어들은 현재는 진짜 결혼하지 않은 부모 밑에서..

일주일이 7일인 이유, 천문학 관련 없다, 바빌로니아, 칠요, Why a week has 7 days, has nothing to do with astronomy

일주일이 7일인 이유 一週日 A Week 일주일이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로 된 날짜의 단위로, 일요일이 끝나면 다시 월요일로 돌아가는 순환방식이다. 월요일ㆍ화요일ㆍ수요일ㆍ목요일ㆍ금요일ㆍ토요일ㆍ일요일 등 7개 요일이 존재한다. 년('해'), 월('달'), 일('날')과는 달리 순우리말은 없다. 하루와 함께 인간 사회에서 주기를 이루는 시간 단위이다. 하루와 한 해는 해의 위치 / 지구의 위치가 바뀌니까 인간의 삶이 영향을 받는 것이 당연하지만 1주는 그렇지도 않은데도 대개의 인간 스케줄은 1주를 단위로 반복되고 있다. 아래의 주술적 의미와 더불어 인간 삶의 주기를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한자로는 아예 '돌 주'(週)를 쓰기도 하고.  1달이 약 30일이기에 대체로 1달은 4~5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