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 562

중동 건설 붐, 1973~82년, 석유파동, 오일머니, 중동 특수, 현대건설, 주베일 산업항, 3·13 폭동

중동 건설 붐산유국(産油國)의 경기 호황과 한국 건설업의 중동 진출1973년 ~ 1982년 국내 기업의 해외 건설 수주는 외화를 획득하여 한국경제의 국제수지 개선에 기여한다. 1965년 현대건설이 태국 파타니와 나라티왓을 잇는 고속도로를 최초로 수주하면서 해외 건설 공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73년 4차 중동전쟁 과정에서 중동 산유국(産油國)들은 석유자원의 무기화를 결의했고, 이에 따라 국제유가의 급격한 상승을 낳은 이른바 1차 석유파동이 발생했다. 중동 산유국의 10년에 걸친 장기호황이 시작되었고, 이들은 막대한 오일머니를 기반으로 도로,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을 건설하였다. 1973년 삼환기업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울라와 카이바를 잇는 고속도로 공사를 수주하면서 ‘중동진출 기업 1호’라는 타이틀을 ..

석유 파동, 석유 위기(oil crisis), 오일 쇼크(oil shock), OPEC

석유 파동石油波動 | Oil crisis 1차 석유 파동1973년 ~ 1974년2차 석유 파동1979년 ~ 1980년 석유 파동 또는 석유 위기(oil crisis)의 일반적인 의미는 '현대 인류 문명이 사용하는 에너지원 가운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 수급에 생긴 문제로 인해 국제 유가에 혼란이 발생한 것'을 가리키지만 대개 별다른 수식어가 없으면 1970년대에 발발한 역사적인 석유 파동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1970년대의 석유 파동은 각각 1973년에 발생한 제1차 석유 파동과 1979년에 발생한 제2차 석유 파동으로 세분화되며, 전자는 아랍 산유국의 석유 무기화 정책으로, 후자는 이란 혁명에 따른 정치적 불안으로 석유 공급 부족 및 가격 폭등이 일어나 세계 경제가 큰 혼란과 어려움을 겪은 ..

세력 균형, Balance of Power, BOP, 세력균형이론

세력 균형(勢力均衡, Balance of Power; BOP) '세력 간에 균형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정치외교학에서는 다수의 국가군들 간에 세력의 균형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관계국가들의 국가적 이익의 추구를 용이하게 하려는 국제정치상의 원리 또는 정책을 가리킨다. 이는 정치외교학의 사상 중 하나인 정치현실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역사적 관행 세력균형의 논리는 국제정치학이라는 학문이 근대유럽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훨씬 이전부터 유럽의 군주들에 의해 이해되고 실천되었다. 그리고 18세기에 들어 하나의 관행으로 자리잡으면서 다양한 의미로 세력균형이라는 개념이 사용되었는데 그 의미는 힘의 분포 상태 / 정책의 원칙 / 근대 국제정치의 체계적 패턴이라는 3가지 의미로 정리될 수 있다. 세력균형의 패턴 국제..

중러관계, 몽골 제국의 지배, 네르친스크 조약, 에너지 파트너, 전략적 동반자 관계

중러관계 중국과 러시아의 관계 역사적 관계 전근대 중국과 러시아는 모두 몽골 제국의 지배를 받았는데 이로 인해 중세 양국 사이에서는 몽골제국의 일원으로서 간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다. 1330년 원나라 투그 테무르 시절 연경으로 파견된 러시아의 슬라브 인들을 따로 케식 부대를 편성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러시아인들과 가까운 관계였던 킵차크인들 및 알란인들 부대 상당수가 중국에 정착하기도 했다. 1618 ~ 1619년 이바시코 페틀린과 온드루시카 몬도프가 이끄는 루스 차르국의 외교 사절단이 당시 명나라의 도읍 베이징에 도착하였으나 별다른 정보 없이 귀환하였다. 사절단은 명나라 조정에 와서 조공을 바쳐도 좋다는 초청창을 받았지만, 한문으로 된 편지가 1675년 러시아어로 번역되기 전까지는 아무도 그 내용을 ..

대부업, 유대인, 이자 불임설, 기독교, 고리대금, 교황 니콜라스 5세, 저지대 채권시장

고리대금업과 경제 대부업자 '샤일록'은 악인이었을까 중세 종교적 이유로 고리대금업 탄압 돈 흐름 끊어져 시민 봉기 일어나기도 "너는 그에게 이자를 위하여 돈을 꾸어주지 말고 이익을 위하여 네 양식을 꾸어주지 말라."(구약 레위기 25:37) "오 믿는 자여,두 배 또 두 배로 지나치게 탐욕을 부리지 말라."(코란 3:130)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주라."(신약 누가 6:35)고리대금업과 경제고리대금업(usury)에 대해서는 어느 종교,어느 문명권도 관대하지 않았다. 고리대금은 경제적 약자를 착취하는 방식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유럽에서 원래 'usury'라는 말은 꼭 폭리만 가리키는 게 아니라 이자율의 고하와 상관없이 모든 이자를 가리켰다. 원론적으로 말하면 아예 이자를 받는 게 금지돼 있었다고 할..

간척干拓 / Reclamation

간척干拓 / Reclamation 간척은 수면에 둑을 쌓아 물 유입을 막고 그 안에 있는 물을 빼내거나 메워서 뭍 즉, 땅으로 만드는 일을 말한다. 보통 바다를 메우는 경우를 가리키지만 호수를 메우는 것도 포함한다. 방조제를 쌓고 그 안쪽을 땅이 아닌 담수호로 만드는 경우도 있기에, 땅을 메워 올리는 과정인 매립은 엄밀히 말하면 간척의 한 부분에 해당한다. 국내의 경우 비교적 수심이 얕은 서해에 간척개발을 했다. 방법 간척지를 만들기에 유리한 곳은 1) 넓은 갯벌이 이루어져 있으며 2)해안선의 굴곡이 많고 앞쪽에 사주나 섬이 많은 곳이다. 필요에 따라 간사이 국제공항처럼 생 바다를 간척할 수도 있으나, 수심이 깊을수록 공사 비용이 증가하고 부등침하 같은 문제가 생긴다. 현대적인 항만시설은 대부분 소규모..

아크사이친, 중국 실효 지배, 카슈미르, 티베트, 신장 위구르, 요충지, Aksai Chin

아크사이친Aksai Chin 중국어: 阿克赛钦(Ākèsàiqīn, 아커싸이친)힌디어: अक्साई चिन(Aksā'ī cin, 악사이친) 아크사이친은 중국이 실효 지배 중인 카슈미르 지역이다. 중국어로는 아커싸이친이라고 부른다. 면적은 38,850 km². 지도상의 붉은 영역 중 북쪽의 가장 큰 땅덩이만 해당하며, 그 이남은 뎀초크 지역(파리가스) 등 다른 분쟁 지역이다. 이 지역은 티베트 고원 북서쪽 쿤룬 산맥의 바로 서쪽에 자리잡고 있다. 중국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카슈가르지구에 속해 있는 예청 현으로, 남부 일부는 티베트 자치구의 아리 지구로 편입시켰다. 이 지역은 아크사이친 호와 아크사이친 강이 흐르고 있다. 중국으로서 이 지역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이곳이 티베트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잇는 ..

인도-파키스탄 관계, 아우랑제브, 카슈미르, 무굴 제국, 친이슬람 정권에 의한 힌두교도 탄압

인도-파키스탄 관계 인도와 파키스탄은 역사적으로 언어, 문화, 혈통에서 가깝지만, 아우랑제브 이래로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사이의 충돌이 수백 년간 이어져 내려와서 국가 대 국가 싸움으로 굳어져버린 데다 양측 모두 사회적으로 보수적이기까지 하여 현재 지구상에서 손에 꼽을 만한 정도의 불구대천지 원수 관계다. 이 정도로 언어-문화-혈통을 공유하면서 사이가 엄청나게 나쁜 경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와 남북관계,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관계, 온두라스-엘살바도르 관계 정도이다. 인도, 파키스탄 양국은 카슈미르를 두고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으며 서로를 테러의 배후로 비난하기도 한다. 역사적 관계 21세기 이전 현대의 중서 인도인과 파키스탄인의 조상들은 원래 근대에 이르기까지 같은 힌두스탄인과 같은 펀자브인으로서..

미국-인도 관계, 파키스탄 미국 공군 기지, 핵개발 30년 경제 제재

미국-인도 관계 인도는 독립 이후 줄곧 제3세계 외교를 견지해 온 국가로, 인도와 영토가 직접 맞닿은 중국 견제와 관련해서는 미국과는 입장이 동일하여 미국과 적극 협력을 하고 있으나, 미국의 러시아 견제와 관련해서는 미국 측의 협조 요청에 거부하거나 함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깝고도 먼 미국-인도 관계 제3세계 맹주인 인도는 러시아도 가까운 관계지만 미국과도 가까운 관계이기도 하다. 다만 미국에 일방적으로 치우치는건 아니기 때문에 갈등을 빚을 때도 있다. 인도가 미국을 우호적으로 생각할 순 있어도 그 이상으로 관계가 발전하기란 불가능한 이유중 하나가 바로 파키스탄. 미국은 냉전 시대 파키스탄의 페샤와르 공군 기지를 임대한 것도 있고, 소련을 견제하는 과정에서 중국과 핑퐁 외교를 하는 상황에서(냉전 당..

러시아-인도 관계, 브릭스, 다극체제, 전략적 파트너 관계, 친러, 최대 원유수출국, 영국 러시아 경쟁, 중국 러시아 분쟁, 카슈미르, 중국 파키스탄 지원, 소련 인도 지지

러시아-인도 관계 인도는 대표적인 친러 국가로 유명하며 러시아와 인도는 소련 시절부터 외교관계를 맺었고, 인도는 러시아와는 매우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내에도 인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게다가 러시아는 인도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하기도 한다. 다만, 러시아는 인도의 숙적 중국, 파키스탄과 협력적인 편이며, 인도는 러시아의 숙적 미국, 유럽, 일본과 매우 협력적인 편이다. 역사적 관계 전근대 러시아 제국의 중앙아시아 영토 상당수는 원래 인도인 상인들의 교역로에 포함된 지역이었다. 이 덕분에 적지 않은 수의 인도인 교역상들이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를 거쳐 아스트라한까지 와서 무역을 했으며 종종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도 이들을 볼 수 있었다 한다. 러시아인 상인들도 인도에 생각..

카슈미르 분쟁, 핵 보유, 인도-파키스탄 갈등, 종교 민족주의, 갈등 원인, 카슈미르, 카르길 전투, Kashmir, 히말라야 산맥, 인도, 파키스탄, 중국 국경, 캐시미어, 무슬림

카슈미르, Kashmir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던 시기에 이슬람교도가 많은 카슈미르 지역이 인도령으로 속하게 되면서, 이 지역의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사이에 발생하기 시작한 갈등을 의미한다. 카슈미르 지역과 종교 갈등카슈미르는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끝 부분의 남쪽에 있는 계곡을 말하며, 현재 잠무 카슈미르는 인도령, 아자드 카슈미르와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령에 속하며 아크사이친은 중국령이다. 이 지역이 1947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하면서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카슈미르는 인도에 귀속됨으로 인해 분쟁이 발생하게 되었다. 카슈미르는 이슬람교도가 많으며 힌두교도와 종교적인 원인으로 인해 이슬람교도는 파키스탄에, 힌두교도는 인도에 귀속되기를 희망하는 분쟁 지역이다. ..

D10, 민주주의 10개국, Democracy 10, G7 회원국, 한국, 인도, 호주

D10 '민주주의 10개국(Democracy 10)'의 줄임말로, 주요 10개국 민주주의 국가 간에 구상되고 있는 경제・안보 협의체다. 기존의 G7 회원국인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에 대한민국과 인도, 호주를 포함시켰다. 사실상 세계의 주요 민주주의 국가이자 경제 규모가 큰 선진국인 9개국과 막대한 인구를 바탕으로 강한 국력을 갖춘 인도를 포함한 분류다. 즉,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세계의 주요 국가를 지칭하는 그룹이다.G7의 확대나 대체의 개념인지, 혹은 개별적인 협의체인지는 아직 논의되지 않았다. D10의 첫 구상은 미국 국무부였고, 2008년에 시작된 국무부 정책기획국 직원회의에서 유래하였다. 링크 이 구상은 중국, 러시아 등의 민주적 질서에 대한 도전에 대항하기 위한..

사법 파동, 사법 민주화 운동, 행정부 사법부 충돌, 소장 판사 항명 사건, 우리법연구회

제1차 사법 파동(박정희 정부)제2차 사법 파동(노태우 정부)제3차 사법 파동(문민정부)제4차 사법 파동(참여정부)제5차 사법 파동(이명박 정부)제6차 사법 파동(문재인 정부) 행정부와 사법부의 충돌로 소장 판사들이 중심이 되어 벌인 항명 사건. 사법부는 공식적으로 1차, 2차 사법파동만 인정하며 4차, 5차 사법 파동을 사법 파동으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다섯 번 일어났다고 본다. '사법 파동'은 제1차 사법 파동 당시 언론에서 명명한 것으로 부정적인 인상을 주는 '사법 파동' 대신 '사법 민주화 운동'으로 바꿔 불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나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는 '사법 파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제1차 사법 파동(박정희 정부) 배경 제1공화국 시절까지만 해..

메스티소, Mestizo, 라틴아메리카, 라틴족, 아메리카 원주민, 인종적 혼혈인

메스티소Mestizo 라틴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는 유럽인(주로 라틴족인 스페인과 포르투갈)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인종적 혼혈인을 지칭하는 용어. 어원은 라틴어 믹스티키우스(mixticius)로, 스페인어 "메스티소"는 스페인 제국 시대부터 쓰였다. 아시아(필리핀 등)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토착민과 유럽인 사이 혼혈을 뜻하기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주민과 백인은 이런 혼혈을 메스티소라고 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프랑스계 혼혈은 비슷한 발음인 메티스로 불린다. 영국계는 따로 호칭이 없다. 영국계 혼혈은 주류 미국 사회에서 백인으로 동화되어 현재는 백인이고 캐나다는 원주민 문화가 꽤 보존되어 메티스들이 꽤 목소리를 낸다. 캐나다에서의 메티스는 비록 프랑스어지만 백인 모두의 혼혈을 통용한다. 영어 발음은..

히스패닉, 미국, 라틴아메리카 출신, 스페인어권 출신, Hispanic, Hispano(이스파노), 6520만명, 라티노 구분

문화권영미권독일어권프랑코포니히스패닉루소폰라틴아메리카러시아어권인도문화권페르시아어권한자문화권중화권티베트아랍마인어권폴리네시아 언어에 따른 문화권중국어스페인어영어아랍어중화권히스패닉영미권아랍프랑스어독일어포르투갈어러시아어프랑코포니독일어권루소폰러시아어권 Hispanic스페인어로는 Hispano(이스파노) 히스패닉은 미국 내 라틴아메리카 출신 배경을 가진 사람들 중 스페인어권 출신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미국 OMB에서는 히스패닉 혹은 스페인어권의 라티노를 쿠바, 멕시코,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및 기타 스페인 문화를 가진 나라의 출신으로 정의하며, 인종이나 민족과는 무관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포르투갈이나 루소폰 출신은 라티노이지만 히스패닉에서 제외된다. 2020년 통계 기준 65..

베네치아, 5세기 고트족, 훈족, Venezia, 베니스, 십자군 원정, 나폴레옹, 오스트리아 제국령, 오리나무, 도시 입장료, Venice smell

Venezia베네치아 / 베니스 / Città di Venezia 국가이탈리아 주베네토Regione 광역 인구853,000명인구261,000명 면적414.57km² "그림으로 표현하기에 이 도시는 너무나 아름답다"- 클로드 모네 이탈리아 북동부 베네토의 중심 도시. 동시에 해당 도시를 수도로 삼던 과거의 베네치아 공화국의 국명이기도 했다. 흔히 베니스(Venice)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영어식 발음이다. 본토 이탈리아어 발음으로는 베네치아(Venezia)다. 프랑스어로는 브니즈(Venise), 독일어로는 페네디히(Venedig)라고 부른다. 일본어는 ヴェネツィア, ヴェネーツィア, ヴェネチア, ベネツィア, ベネチア 표기가 혼용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는 ヴェネツィア. 인구는 2017년 기준..

하레디, 유대교 근본주의, 극보수주의, 초정통파 유대교인, Ultra-Orthodox Jews, 토라, 병역, 혜택, 출산율, 이스라엘 문제점

하레디 하레디는 일반적으로 유대교의 근본주의 단체로 알려진 유대교의 한 종파다. 극보수주의 유대교 종파를 믿는 유대인 집단을 일컫는 말로 일부 종파를 제외하면 대개 폐쇄적이고 근본주의적인 성향을 보인다. 이스라엘에는 메아 셰아림, 벳 이스라엘, 게울라, 하르 노프, 라못, 라맛 슐로모, 산헤르리아, 네베 야아콥, 말랏 다프나, 라맛 에슈콜, 에즈랏 토라, 그리고 텔아비브 인근의 브네이 브락 등의 지역에 하레디 공동체가 존재한다. 현대 유대인들은 종교적 생활 양식에 따라 크게 4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①종교와 무관한 세속적 유대인들, ②세속화되어 유대교 종교 양식을 어느 정도만 따르는 유대인들, ③세속주의를 거부하지는 않지만 유대교 종교적 생활 양식을 나름대로 철저히 따르는 현대 정통파 유대교인, ④그리..

아펜니노 산맥, 이탈리아 척추, Apennine Mountains, 태백산맥

이탈리아어: Appennini 이탈리아반도를 종단하는 긴 산맥이다. 길이는 약 1,200km, 너비는 약 30-250km이고, 최고봉은 코르노그란데 산으로 2,912m이다. 이탈리아의 척추라고 불리우며, 국토 전체를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한국의 태백산맥과 포지션이 유사하다. 이름의 어원은 봉우리를 의미하는 켈트어 'pen'에서 유래되었다. 크게 북부 아펜니노 산맥(Upper Appennini, Appennino settentrionale), 중부 아펜니노 산맥(Central Appennini, Appennino centrale), 남부 아펜니노 산맥(Southern Appennini, Appennino meridionale) 으로 나뉜다. 또한 북부 아펜니노 산맥은 리구레(리구리아), 토스카노(투스카), ..

97세대, 1990년대 학번, 1970년대 출생, 운동권 86세대, X세대

'97세대(1990년대 학번·1970년대 출생)' 정치인을 주목하고 있다. 역대 국회에서 존재감이 미미했던 이들은 21대 국회 들어 현안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아예 세대 교체를 화두로 던지고 있기도 하다. 정치권 주류인 '86세대(1980년대 학번·1960년대 출생)'를 향해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해석까지 나온다.일부는 자천타천 내년 보궐선거와 후년 대선의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주요 정당의 97세대 정치인으로 누가 있을까. 또 이들은 이른바 운동권인 86세대 정치인과 어떤 차이점을 가질까.97세대…실용·개방적97세대는 '개인주의' '다양성' '실용성'이란 3가지 키워드로 표현된다. 민주화운동의 주역인 86세대 뒤를 이은 이 세대는 독재 대 민주로 갈라진 사회 속에서 성장하지 않았다. 집단주의보다 개인..

더치페이(Dutch Pay), 유래, 더치 트리트(Dutch treat), 네덜란드, 척박한 환경 속에서 상업과 교역

더치페이(Dutch Pay) 저지대는 스헬데강, 라인강, 뫼즈강의 낮은 삼각주 지대 주변에 위치한 17개 자치주로 이루어진 느슨한 연합체로, 합스부르크가의 결혼동맹으로 1516년부터 스페인령이 되었다. 오늘날의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지역 일대이다. 15세기 말 이베리아반도에서 추방당해 저지대에 정착했던 유대인들에게 이 지역은 종교의 자유를 제외하고는 그리 풍요로운 곳은 아니었다. 아니 오히려 열악한 환경이었다. 저지대는 국토의 4분의 1이 해수면보다 낮아 댐을 쌓아 간척한 땅이었다. 그러다 보니 소금기가 많아 농업과 목축업이 부적합했다. 오죽하면 함께 모여 식사해도 자신이 먹은 거를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더치페이’가 발달했겠는가. 16세기 들어 수산업과 염료 산업이 발전하기는 했으나 모직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트란스옥시아나, 셀주크, 티무르 제국

우즈베키스탄 중앙아시아 아랄해에서 파미르고원에 이르는 지역을 차지하는 이중내륙국에 해당하는 공화국. 수도는 '돌의 도시(또는 보석의 도시)'라는 의미의 타슈켄트(Toshkent, Tashkent). 국호 우즈베키스탄이라는 국호는 러시아어 표기인 우즈베키스탄(Узбекиста́н)에서 유래하며 우즈베크어로는 오즈베키스톤(Oʻzbekiston‍)으로 표기한다.7어원적으로는 고대 튀르크어의 외즈(*ȫŕ → 𐰇𐰔‎, '자신의')와 베그(*bǟg → 𐰋𐰏, '지도자·태수'), 페르시아어의 스탄(ستان / stân, '땅·나라')이 합쳐진 표현이다. 이는 '자신들의 지도자를 세운 나라', 즉 다른 민족에게 지배받지 않는 독립된 나라임을 뜻한다. 튀르크계 유목민족/씨족이었던 오구즈의 민족명에서 유래한 것으..

4명의 경찰관, 루즈벨트, 미국, 중화민국, 영국, 소련,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 상임이사국

4명의 경찰관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즈벨트가 세계 평화의 보장을 위해 제안한 4개의 강대국으로 구성된 전후 의회를 언급한다. 4개 강대국이라 불리는 빅 4의 회원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주요 연합국으로, 미국, 중화민국, 영국, 소련을 가리킨다. 루즈벨트가 구상한 유엔은 3개의 지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빅 4로 구성된 이사회, 그리고 빅 4와 똑같은 4개 강대국으로 구성되었고 4명의 경찰관, 또는 4명의 보안관 역할을 하는 집행부, 그리고 유엔의 회원국을 대표하는 국제 총회가 3개의 지부이다. 4명의 경찰관은 그들의 영향권 내에서 질서를 지키는 것에 대한 책임을 지키기로 되어 있었다. 영국은 서유럽과 대영제국, 소련은 동유럽과 중앙유라시아, 중국은 동아시아와 서태평양, 그리고 미국은 서반구..

소프트 파워, 연성 권력, 문화, 가치관, 민주주의, 인권, 종교, 사회 규범, Soft power, 세계 5대 문화 수출국

소프트 파워(Soft power), 연성 권력 소프트 파워는 원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일종의 매력이다. 하드 파워(Hard Power, 경성 권력)가 군사력, 경제력, 자원 등 상대의 이익을 위협하여 행동을 강제하는 능력인 반면, 소프트 파워는 상대 스스로 하여금 그렇게 행동하고 싶게 만드는 능력이다.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의 조지프 나이(Joseph S. Nye) 석좌교수이다. 2004년 나이 교수가 '소프트 파워'(Soft Power: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를 발표한 후 이 용어는 외교 현장과 언론에서 자주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국제 관계에서 나이의 소프트 파워 자원들은 어떤 나라의 문화 양상이나 가치관(민주주의, 인권,..

조선족, 170만 명, 민족식별공작, 신조어, 중국 최초 자치주, 중국 유일 민족대학, 연변대학, 정체성, 범죄, 朝鮮族

조선족(朝鮮族, 간체자: 朝鲜族) 중국 정부가 공인한 한족 외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다. 한민족 가운데 중국으로 이주하여 중국 국적을 갖고 있는 중국인을 중국 인민정부가 1949년부터 1953년 기간 내 실시된 민족식별공작을 통해 자국 소수민족으로 분류해 지정한 당시로서는 신조어인 한자 명칭이다. 따라서 중국 국적자가 아닐 경우, 조선족에 해당하지 않는다. 조선족은 인접한 한반도로부터 점차 이주하여 중국 동북 지역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우리나라중국의 대표적인 월경(越境) 민족 중 하나이다. (朝鲜族是由相邻的朝鲜半岛陆续迁入、定居东北地区而逐渐形成的我国跨境民族之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민족사무위원회 인구 한국인이 귀화한 가능성이 있는 한국계 중국인까지 합쳐서 189만 명 정도 되는 것이고, 중국 정부가 ..

북한 중국 관계, 북중관계, 조중관계, 펑더화이, 김일성, CIA 기밀문서, 갑산파, 한-중 수교, 북핵, 김정은, 시진핑

북한과 중국의 관계 북한에서는 조중관계(朝中關系), 중국에서는 중조관계(中朝关系)라고 한다. 역사 냉전 초기 ~ 중기 북한의 성립 과정에는 소련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6.25 전쟁을 겪으면서 소련은 제3차 세계 대전이 될 것을 우려하여 전쟁에 직접 공식적인 개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은 중국의 혈맹이 된다. 한국과 미국이 혈맹이라 부른 것과 비슷하다. 북한은 국공내전 당시 중국공산당 측을 지원하였으며, 중공 정부가 수립된 1949년 10월 1일에서 얼마 후인 10월 6일에 북한과 중국은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북한의 정치인 중 상당수가 중국공산당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고, 북한군 출신 중 상당수가 조선의용대나 조선혁명군 등 만주에서 활동한 항일 무장독립군 출신이 많았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북한과 중..

한자문화권, 한자, 유교, 불교, 율령제, 중화권, 한반도, 일본, 베트남, 동아시아 문화권, 유교 문화권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한자를 위시한 여러 문화적 공통점을 가지는 문화권을 말한다. 비슷한 개념으로 '동아시아(또는 동북아시아) 문화권', '유교 문화권' 등이 있다. 공유하는 문화적 특징은 대표적으로 한자, 유교, 불교, 율령제의 네 가지를 꼽는다. 한자문화권의 범위는 학술적 관심사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중화권, 한반도, 일본, 베트남을 가리킨다. 몽골어는 한자문화권이 아니라 고유어가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한자어 유래 어휘는 적다. 그마저도 자국어로서의 한자어가 아니라 한국의 영단어처럼 외래어로서 몽골에 들어왔으므로 한자를 사용한다고는 보기 어려우며, 그마저도 비교적 최근에 들어온 러시아어에 밀릴 정도다. 용어와 개념의 정립 '한자문화권'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고..

숙칭 대학살, 싱가포르, 일본군, 화교, 학살, 인종청소, 肅淸大虐殺

숙칭 대학살(肅淸大虐殺, 肅清大屠殺, 肃清大屠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점령한 일본군이 화교들을 조직적으로 학살한 인종청소 사건이다. 숙칭 학살로 희생된 사람의 수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걸쳐 일본 정부 측에서는 약 4 ~ 5천 명이 학살에 의해 희생됐다고 추산했으며 민간에서는 약 10여만명이 학살됐다고 추산했다. 숙칭(肅清)의 의미는 숙청을 민남어로 말한 것이다. 즉 홀로코스트처럼 '일본 제국의 화교에 대한 인종청소'를 의미한다. 전개 1941년 12월 7일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본 제국은 영국이 홍콩을 통해 중화민국을 돕는다고 여겨 영국령 홍콩을 점령하였다.(홍콩 전투) 영국은 허약한 식민지 주둔군 탓에 손쉽게 식민지를 뺏겨 버렸다. 사실 ..

쌀 VS 밀, 밥과 빵이 만든 동서양의 문명

쌀 VS 밀 오랫동안 인류의 식탁을 책임져 온 3대 곡물은 쌀과 밀, 그리고 옥수수다. 그러나 가장 많은 생산량을 자랑하는 옥수수의 대부분은 동물 사료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주식은 쌀과 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쌀과 밀은 농경 활동이 시작된 이후 수 천 년 동안 우리를 먹여 살린 곡물이기도 하지만 그저 우리의 배를 든든히 채워줬던 것 이상으로 인간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며 함께 역사를 만들어왔다. 쌀이 만든 동양의 문화 쌀의 원산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남부, 미얀마, 타이, 인도 동부 등이 원산지로 거론되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분분한 의견이 오고 갈 뿐이다. 본격적으로 재배가 시작된 것은 약 6~7천 년 전으로 인도 북동부 지역에서 중국 윈난 지방까지 이어진 넓..

다르다넬스 해협, 갈리폴리 전투, 에게 해, 마르마라 해, 차낙칼레 해협, 흑해-보스포루스 해협-마르마라 해-다르다넬스 해협-에게 해-지중해

다르다넬스 해협 에게 해와 내해인 마르마라 해를 잇는 해협으로서 보스포루스 해협과 함께 튀르키예를 아시아와 유럽 양쪽으로 나누는 대륙들 사이의 경계선 역할을 한다. 튀르키예에서는 차낙칼레 해협(Çanakkale Boğazı)이라고 부른다. 해협의 길이는 61km에 달하고1, 최소폭은 1.2km, 최대폭은 6km 정도다. 평균수심은 55m 정도에 최대수심은 103m이다. 다르다넬스 해협의 서쪽은 유럽 대륙이고 동쪽은 아시아 대륙으로서, 지중해와 흑해를 연결하는 매우 전략적 가치가 높은 천연해협 국제해로이다. 즉, (북쪽) 흑해-보스포루스 해협-마르마라 해-다르다넬스 해협-에게 해-지중해 (남쪽)의 순서이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 트로이도 다르다넬스 해협에 위치하여 무역을 활발히 할 수 있었다. 고대에는 헬레..

인간개발지수, 실질국민소득, 교육수준, 문맹율, 평균수명, HDI 0.900점 이상인 국가, Very High Human Development, 유엔개발계획, UNDP, 아마르티야 센, 마흐붑 울하크, Human Development Index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人間開發指數 유엔 산하기구인 유엔개발계획(UNDP)이 1991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 중의 한 항목으로 문자 해독률, 평균 수명, 1인당 국민소득 등의 인간의 발전 정도를 토대로 평가한 수치다. 빈곤과 불평등 문제 연구로 유명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아마르티야 센과 파키스탄의 마흐붑 울하크 교수가 개발하였다. 개요각 국가의 실질국민소득, 교육수준, 문맹율, 평균수명 등을 여러 가지 인간의 삶과 관련된 지표를 조사해 각국의 인간 발전 정도와 선진화 정도를 평가한 지수이다. 2009년까지 일반적으로 HDI가 0.900점 이상인 국가를 Very High Human Development로 분류, 선진국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