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 442

인지부조화, cognitive dissonance, 모순되는 두 인지요소 심리적 불균형, 모순되어 양립할 수 없는 상태, 믿음/불일치 패러다임,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 유도된 복종 패러다임, 자유 선택 패러다임, 노력 정당화 패러다임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모순되는 두 가지 인지요소를 가진 상태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불균형 이러한 불균형은 심리적 긴장을 유발하므로, 사람들은 이를 해소하려고 노력   인지부조화의 특징 자신의 믿음이나 확신이 틀린 것으로 판명되었을 때, 잘못된 믿음을 인정하기보다는 현실을 자신에게 유리하게끔 왜곡자신의 태도와 불일치하는 행동을 했을 때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경험자신의 결정을 극단적으로 합리화시키는 경향  인지부조화의 예시 담배를 피우지 않겠다고 생각하면서도 계속해서 담배를 피우는 경우. 옷을 살 때 두 가지 스타일이 마음에 들지만 지갑에는 하나를 살 돈밖에 없을 때, 한참을 고민하다가 하나를 사고 나니 내가 선택한 옷이 더 좋아 보여 기분이 흡족해지는 경우.   인지부조화 해결 방..

분식회계, 粉飾會計, 粉 가루 분, 飾 꾸밀 식, accounting fraud, 분식(粉飾), 화장을 하다, 재무제표 조작, 회계부정, 대우

분식회계 粉飾會計 / accounting fraud, fraudulent accounting 粉 가루 분, 飾 꾸밀 식 내용이 없이 거죽만을 발라 꾸미는 것가루 분(粉)은 모든 곡식의 가루를 의미쌀가루면 미분(米粉), 밀가루면 소맥분(小麥粉)화장품의 ‘분’도 과거 고운 가루였으므로 분식(粉飾)이라면 ‘화장을 하다’는 뜻   분식회계경영 성과가 실제보다 좋아 보이도록 회계장부상 정보를 고의로 조작하는 행위다. 다시 말해 '회사(법인)'의 실적을 위조하는 대표적인 행위이며 학력위조 및 연구부정행위의 경영학(회계학)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분식(粉ふん 飾しょく, 훈쇼쿠)이란 말은 일본에서 온 단어로서, 한자를 풀어서 쓰자면 '회계에 분칠, 화장을 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다지 쓰이지 않는..

무의식, 無意識, Unconsciousness

무의식無意識 / Unconsciousness 내가 알지만, 지금 이 순간에는 생각하지 않는 모든 것. 한때 나에게 의식되었지만 지금은 망각된 모든 것. 나의 감각에 의하여 인지되지만 내 의식에서 유의되지 않는 모든 것. 내가 무의식적으로 느끼고 생각하며 기억하고 원하고 행하는 모든 것. 내 내면에서는 준비되지만 나중에야 비로소 의식으로 표출되는 미래의 모든 것. 이 모든 것들이 무의식의 내용이다.카를 구스타프 융 자신의 행위에 대해 자각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마디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고 저절로 행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자신의 행동이나 지각에 대해 의식하지 못하는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이므로 인간 본연의 충동(리비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는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쓰인다. ..

'욱'하는 감정 만드는 뇌, 도망과 공격(fight of flight) 반응, 한 번 ‘욱’하면 왜 아무 생각도 안 날까, 변연계(邊緣系), 공포, 분노, 애착, 기쁨, 슬픔, 사랑, 성욕

'욱'하는 감정을 만드는 뇌한 번 ‘욱’하면 왜 아무 생각도 안 날까? 왜 ‘욱’ 할까? 남이 나를 비판하는 소리가 그리 듣기 싫다. 그걸 이해하려면 우리 두뇌의 역할을 알아야 한다. 최근 뇌 과학이 발달하면서 예정에 심리학에서 설명하던 것들이 두뇌의 작용으로 설명되기 시작했다. 마음은 두뇌에서 만들어진다. 생각, 사유, 판단 등의 고급스러운 마음이 만들어지는 것이 우리의 대뇌다. 인간의 대뇌가 다들 어떤 생명체보다 뛰어난 까닭은 바로 마음을 만드는 정교함 때문이다.  ‘욱’하는 감정을 유발하는 핵심 메커니즘대뇌 생리학자는 폴 맥클린(Paul D. MacLean)는 인간의 뇌는 3층 구조라고 주장했다. 인류는 원시 생명체에서 어류, 파충류, 포유류를 거쳐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하는 긴 여정을 거쳤다는 것이..

카스티야, Castilla, 마드리드, 카스티야라만차, 카스티야이레온

카스티야Castilla  Castilla. 스페인 중부에 위치한 지방의 지역명으로 현재는 카스티야라만차, 카스티야이레온 두 자치 공동체로 나뉘어 있다. 어원은 '성의 땅'.  지리 역사적으로 스페인 문화와 스페인의 언어인 스페인어가 발생했고 근세까지만 하더라도 이베리아 반도의 국가들 중에서 가장 강하고 존재감이 큰 지역이었지만, 그에 비해 자연 환경이 황량한 편이다. 아프리카와 비슷하게 토질은 건조하기 짝이 없고 바위산 고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바야돌리드 지방 일대 같은 몇몇 평지를 제외하고는 큰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대규모 농업 생산력이 부족해 전통적으로 양치기 중심의 방목업이 발달했고 대도시는 몇 개 없다.  크게 북부의 칸타브리아 산맥이 이베리아 반도 북부 지방과 카스티야 중부 고원 일대를..

카리브해 해적, 카리브해 대해적시대, 18세기, 유럽 아메리카 항로 거점

카리브해는 18세기에 해적들의 황금시대를 맞이했던 곳으로,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을 연결하는 항로의 주요 거점  카리브해 해적의 특징  카리브해 해적들은 버커니어 출신들이 많았다.헨리 제닝스는 은화 35만개를 약탈하며 전설이 되었다.카리브해에서 가장 유명한 해적은 '검은 수염' 에드워드 티치였다. 카리브해 해적의 황금시대 이유 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에서 유럽으로 가는 항로의 주요 거점이었다.설탕과 커피 등 유럽에서 인기가 많은 상품 작물의 주요 생산지였다.해적질하기 좋은 선박의 수가 많았다. 카리브해 해적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제2차 세계 대전 때 나치 독일 해군의 U보트들이 카리브해로 사냥을 오기도 했다. 해적 놀이기구 캐리비안의 해적과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도 알 수 있듯 해적으로 유명하다. 해..

일본, 눈, 호설지대, 지형, 원인, 홋카이도,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시마현, 돗토리현

일본의 홋카이도, 호쿠리쿠 지방 등에는 수백km의 바다를 건너온 눈 구름이 육지에 상륙하면서 많은 눈 또한 시베리아 대륙의 차가운 공기와 일본해의 수증기가 영향 눈이 많이 내리는 이유 수백km의 바다를 건너온 눈 구름이 육지에 상륙하기 때문 시베리아 대륙의 차가운 공기와 일본해의 수증기가 영향을 주기 때문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  일본의 홋카이도, 호쿠리쿠 지방일본의 야마가타, 북부 산악지대미국 오대호의 남동 지역 홋카이도의 기후  홋카이도는 일본 내에서는 최북단의 섬이지만, 미국과 유럽의 주요도시와 비슷한 위도에 위치일년내내 건조하고 서늘한 기후이며, 여름은 장마와 태풍의 영향이 적다겨울철에는 많은 눈이 내리는 지역    일본에서 눈이 가장 많이 오는 지역 ‘일본 열도’의 ‘열도’는 쉽게 말해 열을 ..

다리엔 갭, 다리엔 지협, Darién Gap, 파나마, 콜롬비아, 국경지대, 스코틀랜드 개척 실패

다리엔 갭다리엔 지협Darién Gap | Tapón del Darién 위치북위 7° 54′ 서경 77° 27′소속파나마 국기 파나마 다리엔 주 야비사콜롬비아 국기 콜롬비아 안티오키아주 투르보면적약 5,790㎢ (2,240 sq mi, 다리엔 국립공원)너비 약 87㎞ (54 mi, 지협 구간)     다리엔 지협(Darién Gap, 다리엔 갭)은 파나마 야비사(Yaviza)와 콜롬비아 투르보(Turbo)사이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거대한 지협이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특징적인 오지 가운데 하나로, 지협 전체가 개발되지 않은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어 팬 아메리칸 하이웨이에서 유일하게 끊긴 구간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파나마의 다리엔 국립공원(Parque Nacional Darién)과 콜롬비아의 로스 카티오스..

칸티용 효과(Cantillon Effect), 바이플레이션(Biflation)

칸티용 효과(Cantillon Effect) 인플레이션으로 늘어난 돈이 사회에 퍼져나가면서 특정 재화의 가격을 먼저 끌어올리는 현상프랑스 경제학자 리샤르 캉티용이 분석한 이론 칸티용 효과의 특징인플레이션으로 늘어난 돈이 사회에 퍼져나가면서 특정 재화의 가격을 먼저 끌어올린다. 경제적 주체의 상황에 따른 구매력 차이로, 유동성이 공급돼도 인플레이션이 바로 발생하지 않는다.  칸티용 효과의 예시인류 최초의 인플레이션이라 할 수 있었던 당시의 변화를 유심히 관찰한 프랑스 경제학자 리샤르 캉티용이 분석한 이론현재 경제 상황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동시에 일어나는 바이플레이션(Biflation)이란 진단이 나온다.      바이플레이션 "뒤늦게 화폐 받은 노동자의 일반재화는 가치 낮아…칸티용 효과""당분간 가..

케인즈, 하이에크, 경제적 자유(economic freedom), 경제적 규제(economic regulation), 정부개입, 시장자유, 세기의 논쟁

케인즈, 하이에크, 경제적 자유(economic freedom), 경제적 규제(economic regulation), 정부개입, 시장자유, 세기의 논쟁  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 이들은 각각 영국과 유럽을 대표하는 경제학자로, 현재까지 세계 경제와 정치에서 이름을 떨치는 세기의 라이벌이다. 두 '천재' 경제학자들은 1930년대 대공황의 해법을 두고 치열한 논쟁을 벌이면서 주목을 받는다. 먼저 케인스는 국가가 경제의 주도권을 쥐고 계획적으로 운영해야 반복되는 공황을 이겨낼 수 있다고 봤다. 반면 하이에크는 경제적 자유가 없다면 정치적 자유도 없다고 외치며 정부 역할 최소화와 자유시장을 주장한다. 자유시장이 옳은가. 정부 개입이 옳은가를 놓고 벌어진 둘의 논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

보수는 세로토닌, 진보는 도파민, 정치 성향, 유전자 변이, 쾌락 보상회로

보수는 세로토닌, 진보는 도파민, 정치 성향, 유전자 변이 세로토닌이 활성화될수록 편도체 크기·기능 강화…동물실험서 사회서열과 높은 상관성다른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가 높을 때 동물들은 새로운 것을 탐색하는 행동 보여페로몬과 연관돼 짝짓기 행동 정하는 유전인자도 주목…대체로 보수가 자녀 수 더 많아 ‘모태보수, 모태진보’ 시리즈 첫번째 글에서 정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 중 하나로서 편도체의 역할을 지목한 바 있다. 그 관점에서 보면, 보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위험을 회피함으로써 생존 확률을 높이려는 진화적 본능에 충실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진화란 유전자에 의해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경우에만 작동할 수 있는데, 그 연구들은 뇌 구조나 신경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

사회민주주의, Social Democracy

사회민주주의社會民主主義 / Social Democracy사회민주주의 이념의 이론적 창시자인 독일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자본주의 경제체제를 혁명 등으로 급격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하에서의 평등 실현, 소득 재분배, 복지 정책 등을 포함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념이다. 줄여서 사민주의라고도 부른다. 사회민주주의는 독일의 정치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이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를 발전시켜 확립한 사회주의 이념의 한 갈래이다.사회민주주의 전통은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유럽 주류 사회주의이기 때문에 유럽식 사회주의(European socialism)나 유럽사회주의(Eurosocialism)라고도 칭한다. 다만 여기에는 현대 정치..

일주일이 7일인 이유, 천문학 관련 없다, 바빌로니아, 칠요, Why a week has 7 days, has nothing to do with astronomy

일주일이 7일인 이유 一週日 A Week 일주일이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로 된 날짜의 단위로, 일요일이 끝나면 다시 월요일로 돌아가는 순환방식이다. 월요일ㆍ화요일ㆍ수요일ㆍ목요일ㆍ금요일ㆍ토요일ㆍ일요일 등 7개 요일이 존재한다. 년('해'), 월('달'), 일('날')과는 달리 순우리말은 없다. 하루와 함께 인간 사회에서 주기를 이루는 시간 단위이다. 하루와 한 해는 해의 위치 / 지구의 위치가 바뀌니까 인간의 삶이 영향을 받는 것이 당연하지만 1주는 그렇지도 않은데도 대개의 인간 스케줄은 1주를 단위로 반복되고 있다. 아래의 주술적 의미와 더불어 인간 삶의 주기를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한자로는 아예 '돌 주'(週)를 쓰기도 하고.  1달이 약 30일이기에 대체로 1달은 4~5주..

야경국가, 최소국가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아나코 캐피탈리즘, 사유재산의 보호, Night-watchman state

야경국가 夜警國家Nachtwächterstaat[독]Night-watchman state[영] 가능한 한 최소한의 정부를 지향하는 국가 행정 및 경제 체제의 한 형태. 최소정부주의/최소국가주의(Minarchism)라고도 부른다. 주로 경제적 의미의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이나 온건한 형태의 자유지상주의자들이 지지하는 정책이다. 또한 일부 아나코 캐피탈리즘을 지지하는 정치인들 역시 현실적 한계에 부딪혀 야경국가를 우선적으로 내세우는 경우도 있다.  '야경(夜警)'이란 '밤중에 살핌'을 의미하는 단어로, 말 그대로 공안이나 국방 등 국가의 기본적인 존립을 위한 기능만을 하며 그 외의 모든 것을 시장 순리에 맡기자는 식으로 최소한의 정부 형태를 지향하는 주의를 말한다. 반대되는 개념으로서는 경찰국가나 복지국가가 있..

아나코 캐피탈리즘, 무정부 자본주의, Anarcho-capitalism

아나코 캐피탈리즘우파 자유지상주의 중에서도 가장 급진적인 분파이자 최소국가주의 다음으로 주류를 차지하는 분파이다. 정부를 폭력과 범죄에 대한 독점으로 존재하는 집단으로 생각하며 정부의 모든 기능을 자유지상경제의 논리에 따라 민영화, 사유화할 것을 주장한다. 아나코 캐피탈리스트들의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자유시장을 통한 무정부사회가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자연법적 관점, 무정부 시장경제가 경제학적으로 더 효율적이라는 관점으로 나뉠수 있다. 전자의 경우 오스트리아학파의 머리 로스바드가, 후자의 경우 시카고학파의 데이비드 프리드먼이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정부 자본주의(無政府資本主義, 영어: Anarcho-capitalism) 자본주의와 사적 소유권을 옹호하면서 이들에 간섭하는 ..

자발적 노예, 비강제적 노예제, Voluntary slavery, 자유지상주의자(Libertarian), 오징어 게임

자발적 노예 자발적 또는 비강제적 노예제(Voluntary slavery)은 이론적으로 자발적인 동의가 있을 때 체결되는 노예제를 말한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범죄에 대한 형벌로서 노예 상태가 강제되는 비자발적 노예와 구별된다. 보통 자유지상주의자(Libertarian)들 중에서도 가장 극적인 분파에서 옹호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월터 블록(Walter Block)과 로버트 노직(Robert Nozick), 제라드 캐시(Gerard Casey) 등이 있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침해를 일으키지 않는 한 논리적으로 노예계약까지도 가능하다고 이야기 한다. 이는 자유교환의 일부에 해당하므로 자유 시장 체제 내에서 성인은 자발적으로 비강제적 노예 계약을 맺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모든 자..

미국, 정당, 양당제, 공화당, 민주당 내 분파, 제3 정당

미국은 양당제로서 민주당과 공화당이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양당제는 5단계의 변천을 겪었다. 현재 현재 민주당과 공화당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며 다른 정당이 집권하기 어려운 양당제 국가라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주 의회 같은 경우에는 주마다 법률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정당들이 민주당과 공화당을 제치고 많은 의석을 확보하기도 한다. 이 양대 정당은 미국의 정치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상ㆍ하원들과 대통령을 배출하고 있다. 양당은 미국 정치의 시작을 같이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오랫동안 미국의 정치체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양대 정당은 서로 권력을 주고받았으며, 미국의 큰 변화가 일어났을 때 이러한 변화를 따라 변화했다. 공화당과 민주당 미국 의회 의석 수하원 211 / 43..

시드니, Sydney, 씨드니, 에메랄드 시티, 하버 시티,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시드니, Sydney, 씨드니 오스트레일리아의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주도이자 오스트레일리아와 오세아니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동해안에 있는 시드니는 시드니항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블루마운틴스, 북쪽으로는 헉스베리시, 남쪽으로는 로열 국립공원, 서남쪽으로는 매카서까지 총 70 km 길이로 뻗어 있다. 시드니는 총 658개 교외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3개 지방 자치 단체를 포함하고 있다. 시드니에 사는 주민을 흔히 "시드니사이더즈"(Sydneysiders)라고 부른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대 시드니에 거주하는 인구는 5,231,150명이며 뉴사우스웨일스주 인구의 약 66%를 차지한다. 시드니의 별명으로는 "에메랄드 시티"(Emerald City)나 "하버 시티"(Harbo..

멜버른, Melbourne, 멜번, 캔버라, 대영제국 자치령, 수도의 자리 놓고 멜버른과 시드니가 충돌, 골드 러시, 호주 오픈

멜버른, Melbourne, 멜번 오스트레일리아의 도시로, 빅토리아주의 주도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시드니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통칭 멜버른이라고 하면 멜버른 시(City of Melbourne) 포함 주변 대도시권 9,900 km2 (3,800 mi²)를 가리킨다. 멜버른의 대도시권은 포트 필립으로부터 단데농 산맥(Dandenong Ranges)과 마세돈 산맥(Macedon Ranges), 그리고 모닝턴 반도(Mornington Peninsula)와 야라 밸리(Yarra Valley)까지 뻗어있다. 멜버른은 총 79개의 소도시로 구성되어 있다.2016년 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 분석기관 인텔리전트 유닛(EIU)의 ‘살기 좋은 도시’에 6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도시이기도 하다. 빅토리아주의 상업, ..

호주 수도, 캔버라, 멜버른,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대영제국 자치령, 수도의 자리 놓고 멜버른과 시드니가 충돌, Canberra

캔버라, Canberra, [ˌkænˈb(ʔəɦ)rə], 캔베라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도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내륙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전국에서는 8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도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북쪽 끝에 있으며, 시드니에서 남서쪽으로 280 km, 멜버른에서 북동쪽으로 660 k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캔버라의 거주민을 "캔버런(Canberran)"이라고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있는 도시이며 오스트레일리아 국회의사당을 포함하여 연방 정부 산하 행정기관 대부분이 이 도시에 자리하고 있다.   역사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가 대영제국의 자치령이 됐을 때, 수도의 자리를 놓고, 멜버른과 시드니가 충돌하였다. 1908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양대 대도시인 시드니와 멜버른이 타협 끝에 ..

고독, 외로움, 뇌 경고 신호, 사회적 관계 욕구, 생리적 욕구

외로움과 우울이 우리의 뇌를 변화시킨다.Loneliness and depression change our brains. 요즘 유튜브를 비롯한 온라인에서 유행하는 작은 실험이 있습니다. 바로 반려견을 쓰다듬는 척하면서 실제로 만져 주지는 않는 ‘블루투스 터치’입니다. 주인들의 사랑과 부드러운 손길을 기대했던 반려견은 손이 가까이 오기는 하는데 닿지는 않자 당황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어떤 강아지들은 주인에게 호소하듯 몸이나 머리를 주인에게 갖다 대거나 앞발로 자기 머리를 쓰다듬으며 어서 자기를 쓰다듬으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이런 반려견들의 모습이 안쓰럽기도 하고 사랑스럽기도 하다고 느낍니다.   이와 유사한 실험이 일찍이 미국의 심리학자 해리 할로우(Harry Frederick Harlow)에 의해 1950..

캐즘, Chasm, 깊은 구렁, 전기자동차, VR, AR, 롤러블 TV, 3D TV, 수소자동차, 세그웨이, 구글 글라스

캐즘(Chasm) 첨단 기술 제품이 소수의 혁신적 성향의 소비자들이 지배하는 초기 시장에서 일반인들이 널리 사용하는 단계에 이르기 전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하거나 후퇴하는 현상. 원래 지리학적으로 지각변동에 의해서 생기는 균열로 인한 단절을 의미한다. 캐즘을 넘어서는 제품은 대중화되지만 그렇지 못한 제품은 일부 얼리어답터들의 전유물로 남게 된다. 캐즘(chasm)이란 새로운 기술과 혁신이 시장의 얼리 어답터와 초기 다수 사용자 사이에서 종종 직면하는 중요한 격차 또는 장애물을 나타낸다. 제프리 A. 무어가 1991년 발간한 저서 'Crossing the Chasm'에서 널리 알린 개념이다. Chasm이라는 단어 자체의 사전적인 의미로는 깊은 구렁, 틈을 의미한다. 체이즘이라고 읽는게 아니다.  캐즘은 얼..

서반구, Western Hemisphere, 아메리카 대륙, 그린란드 섬

서반구(Western Hemisphere/西半球)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그 서쪽 일대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다.지리적 정의아메리카 대륙, 그린란드 섬이 여기에 해당되며, 그 외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러시아 북동부의 축치 반도, 하와이 등 폴리네시아와 키리바시 등 미크로네시아 동부, 아프리카의 경우 서아프리카의 대부분과 마그레브의 제일 서쪽 국가들, 카보베르데 및 마데이라 제도, 아조레스 제도, 카나리아 제도가 여기에 포함된다. 유럽의 아이슬란드, 영국과 아일랜드, 프랑스 대서양 연안, 이베리아 반도가 포함된다. 대서양 서부와 태평양 동부 등 바다의 면적이 대륙(또는 육지)의 면적보다 더 크다. 문화적 정의육지를 최대한 피하기 위해 본초 자오선 대신 동경 160도 ~ 서경 20도를 서반구로 정의하기도 한다...

서반구, 트럼프, 서반구 우선 대외정책, 돈로 독트린, 먼로 독트린, Western Hemisphere, 미국,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 캐나다, 멕시코

서반구(Western Hemisphere/西半球)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그 서쪽 일대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지리적 정의 아메리카 대륙, 그린란드 섬이 여기에 해당되며, 그 외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러시아 북동부의 축치 반도, 하와이 등 폴리네시아와 키리바시 등 미크로네시아 동부, 아프리카의 경우 서아프리카의 대부분과 마그레브의 제일 서쪽 국가들, 카보베르데 및 마데이라 제도, 아조레스 제도, 카나리아 제도가 여기에 포함된다. 유럽의 아이슬란드, 영국과 아일랜드, 프랑스 대서양 연안, 이베리아 반도가 포함된다. 대서양 서부와 태평양 동부 등 바다의 면적이 대륙(또는 육지)의 면적보다 더 크다. 문화적 정의 육지를 최대한 피하기 위해 본초 자오선 대신 동경 160도 ~ 서경 20도를 서반구로 정의하기도 ..

젊은 남성, 극우, 보수화, 남성성 위협(The Masculinity threat), 저출생, 워킹맘 , 극우, 신자유주의

조앤 윌리엄스,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한국의 젊은 남성들은 왜 보수로 기울었나 미국과 유럽의 중산층이 무너지면서 유권자들, 특히 젊은 남성들이 극우에 투표하게 된다. 중산층의 임금을 하락시킨 것은 이민자가 아니라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이다. 신자유주의는 정부의 시장 개입을 최소화하고 민간의 자유로운 경쟁을 중시하고, 분배보다 성장을 강조한다.  미국은 수 십년 동안 전체 생산성에 비례하여 임금은 상승하지 않았다. 이유는 비정규직 일자리로의 급격한 전환 때문이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한국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난다.  아버지 세대가 누린 기회를 가질 수 없음에 대해 젊은 남성은 분노한다. 미국과 유럽은 이민자를 탓하지만, 한국은 젊은 여성을 탓한다. 사람들은 지위가 ..

Ad hoc, 애드 혹 가설, to this, 임시변통 가설, 반박을 위한 반박, 임시방편, 강학상, 단 하나의 추측을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가설, ad hoc hypotheses, ad hoc solution, Ad-Hoc Network

Ad hoc /ˌæd ˈhɑk/  라틴어 형용사로, 영어로는 'to this', 'for this', 'for a particular purpose' 등을 뜻하며 한국어로는 '특정 용도를 위한', '(끼워 맞추기 위해) 즉흥적으로 만든' 등으로 번역된다. de facto와 같이 현대 영어에도 남아 사용되는 라틴어 표현 중 하나. 학술적/연구방법론적 의미로 쓰이면 '단 하나의 추측을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가설'이라는 의미가 되며, 형용사이므로 주로 ad hoc hypotheses라고 하며 애드 혹 가설, 임시변통 가설 등으로 번역된다. 법학에서는 강학상의 개념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말할 때는 전용과 뜻이 비슷해진다. 예를 들어 특정 수학 문제를 풀 때 일반해가 없고 특정 상황에서만 성립하기 때문에 가능..

여론조사 함정, 과대표집, 과소표집, 오버샘플링, 언더샘플링, Over-Sampling, Under-Sampling, 표본 왜곡

여론조사 함정, 과대표집, 과소표집, 오버샘플링, 언더샘플링, Over-Sampling, Under-Sampling     과대표집, 과소표집 오버샘플링, 언더샘플링, Over-Sampling, Under-Sampling  자료 집합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다. 특정 클래스가 실제 비율보다 과도하게 많이 표집되었다면 오버샘플링(과대표집, 誇大標集, 과다표집, overampling), 과도하게 적게 표집되었다면 언더샘플링(과소표집, 誇少標集, undersampling)이라고 한다. 불균형한 데이터의 경우, 실제 성능을 높이기 위해 비율을 조정해서 일부러 많이 들어있는 종류는 오버샘플링하고, 적게 들어있는 종류는 언더샘플링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1. 불균형 자료 Sampling에 대해 알기 위해선 먼저 ..

사후 확증편향, 事後確證偏向, Hindsight Bias, 내가 그럴 줄 알았어

사후 확증편향事後確證偏向, Hindsight Bias어떤 사건이나 일에 대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마치 사전에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던 것처럼 생각하고 말하는 심리이다. '사후확신편향(事後確信偏向)'이라고도 부른다.사후 확증편향은 '내가 그럴 줄 알았어'라는 식의 선입견으로, 누구든 이미 일어난 사건의 결과를 알고 있는 상황에서 그 사건의 이전을 되돌아본다면 결과는 당연해 보이는 이치이다.결과를 기준으로 과거의 선택을 바라보면 달리 보일 수밖에 없다. 실패라는 결과를 확인하고 보면, 그 과정과 선택은 마치 실패하려고 작정한 듯 이해할 수 없는 것들로 가득해 보인다. 반대로 성공이라는 결과를 확인하고 과거의 선택들을 바라보면, 당연히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결과를 보고 선택을 바라보면 ..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데이터 스누핑(data snooping), p-해킹(p-hacking), Data-dredging bias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데이터 스누핑(data snooping),  p-해킹(p-hacking)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는 데이터의 패턴을 찾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오용하여 오탐의 위험을 극적으로 증가시키고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에 대해 많은 통계 테스트를 수행하고 중요한 결과가 나온 데이터만 보고함으로써 수행된다. 데이터 드레징 프로세스에는 철저한 검색을 통해 단일 자료 집합을 사용하여 여러 가설을 테스트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상관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변수 조합, 평균의 차이 또는 다른 항목에 의한 분석을 보여주는 사례 또는 관찰 그룹에 대해 테스트할 수 있다.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기존 테스트는 우연이 작용할 경우 특정 결과가 발생할 확률에 기반을 두..

카파도키아, Cappadocia, 튀르키예, 기독교도 지하도시

카파도키아(Cappadocia)  예전의 소아시아의 중앙에 위치한 지역 이름으로서 오늘날 튀르키예의 카파도키아(Kapadokya)에 해당된다. 대규모 기암 지대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모양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불가사의한 바위들이 많다. 적갈색, 흰색, 주황색의 지층이 겹겹이 쌓여 있는데 이것은 수억년 전에 일어난 화산 폭발로 화산재와 용암이 수백 미터 높이로 쌓이고 굳어져 응회암과 용암층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카파도키아는 신앙을 지키기 위해 로마인들로부터 도망쳐 온 기독교도의 삶의 터전으로 시작됐다. 동로마 제국이 성상 파괴 운동을 일으키자 이 종파 운동을 반대한 신자들은 동굴이나 바위에 구멍을 뚫어 지하도시를 건설해 끝까지 신앙을 지키며 살았다. 카파도키아에는 현재 100여개의 교회가 남아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