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술, 문화 Art, Culture/맛, 음식 Taste, Food 146

고기 누린내, 염소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game

고기 누린내 고기는 맛있는 식재료로 손꼽히지만 의외로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손이 많이 가며 제대로 손질하지 않으면 차마 못 먹을 물건이 되어버리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이유가 바로 냄새 때문. 육류에서 나는 냄새는 흔히 누린내라고 불리며, 육류를 먹을 때 식욕을 빼앗는 가장 큰 요인이 된다. 누린내는 일반적으로 후각에만 영향을 미치며 맛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기 때문에 참고 먹으면 못 먹을 일도 없지만, 정도가 심할 경우 음식을 먹는 것 자체가 굉장한 고역이 된다. 게다가 안 그래도 고가에 속하는 고기를 식사로서 먹을 때에는 단순히 끼니를 때우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즐기기 위해 먹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여기에 좋은 냄새가 아닌 지독한 누린내를 참고 먹어야 한다면 보통 고역이 아닐 수가 없다. 누린내는 특정..

비타민B1, 티아민(Thiamine), 돼지고기, 콩, 견과류, 파인애플, 마늘

비타민B1 비타민B1(Vitamin B1) 또는 티아민(Thiamine)은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로, 비타민B 복합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종류이다. 특징 헤테로고리의 일종인 피리미딘 화합물로 체내에서 에너지 대사 및 핵산 합성에 조효소로 사용된다. 성인 1일 권장량은 남성 1.2mg 여성 1mg이다. 온갖 해괴한 형태로 체내에 흡수되는 티아민은 TPP(thiamine diphosphate 또는 thiamine pyrophosphate)를 만드는 데 쓰이며 이 물질은 여러 가지 반응에 작용하는 조효소로 신경 작용 조절, 식욕 증진, 당질 대사(피루브산을 아세틸-CoA로 바꾸는 과정을 돕는 효소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와 α-케토글루타르산을 숙시닐-CoA로 바꾸는 과정..

탄 고기, 발암 물질, 오해, 탄 음식 발암물질설, 아크릴아미드, 벤조피렌

탄 고기 탄 고기가 발암물질이라 먹으면 건강에 안 좋다는 인식이 있는데,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태우면 발암물질이 생기는 것 자체는 사실이나 탄 고기만 발암물질이 아니라 그냥 구운 고기 자체가 발암물질이다. 또 현실적으로 진짜 탄 고기 때문에 암에 걸릴 정도로 탄 고기를 섭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건강 문제로 탄 고기를 피할 필요는 없다. 사실 무해하더라도 맛 측면에서 그리 먹을 만한 음식은 아니긴 하다. 불에 구운 고기가 잠재적으로 심장에 좋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탄 음식 발암물질설 지나친 조리과정으로 인해 탄 음식을 먹으면 발암물질로 인해 암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이야기다. 진위일단 미세한 수준에서는 사실이다. 육류를 불로 굽거나 훈연하고 탄수화물이 많은 채소, 곡류를..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비율, 포유류, 조류, 어류, 식물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비율, 포유류, 조류, 어류, 식물 단백질의 필수 아미노산의 비율은 그걸 소화시키는 동물과 가까운 종일수록 그 종이 필요로 하는 비율에 가까우므로 인간에게는 포유류의 고기가 대체적으로 가장 좋고, 조류가 그 다음, 어류 등이 그 다음이며, 식물은 인간 입장에서의 필수 아미노산의 분포가 다소 불균형하게 있으므로 식물만으로 균형되게 필수 아미노산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식물을 먹어야 한다.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비율은 생물종에 따라 다릅니다. 인간에게는 포유류 단백질이 필수 아미노산 비율이 가장 좋고, 다음으로 조류, 어류 순입니다. 식물은 필수 아미노산의 균형이 좋지 않으므로, 인간이 단백질 섭취를 위해서는 포유류, 조류, 어류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1. 포유류: 포..

유기농, 유기원료, 유기퇴비, 알칼로이드계열 독성, 오해, 안전성, Organic farming

유기농有機農(法) / Organic farming 유기농이란 자연적 방법에 의해 길러진 농산물과 축산물을 일컫는다. 여기서 자연적 방법에는 유기원료나 유기퇴비 등을 의미한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광의적으로 보면 무기농의 반대가 유기농이다. 널리 쓰이는 표현이지만 의외로 정확한 사전적 정의가 들쭉날쭉한 단어로 보통 아래의 의미 중 하나로 사용된다. ❍ National Organic Standards board(NOSB) 1995생물다양성, 생물적인 순환 그리고 토양의 생물의 활성을 높이고 이끄는 생태적인 생산 관리 시스템. 이것은 농장 외부에서 투여되는 물질을 최소화하고, 생태적인 균형을 높이고, 유지하며, 보존하는 관리체계이다. ❍ 먹거리 건강성의 위기유기(생물학적)농업은, 양질의 식량을 생산하기 위..

굴소스, 중국 광동식 소스

굴소스Oyster sauce 굴소스란, 소금에 절인 굴에서 나오는 진한 국물과 굴을 곱게 갈아서 소금, 간장, 전분, 감미료 등과 혼합하여 만들고 아미노캐러멜로 색을 입힌 중국 광동식 소스를 말한다. 굴소스는 광둥어 호우야우(蠔油/蚝油;hou jau)의 번역어다. 실제로 예전에는 한국에서 중국인이 운영하는 중국 식품점에 가서 굴소스 있냐고 물어보면 잘 못 알아듣고, '호유(蠔油)' 있냐고 물어봐야 의사소통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굴소스가 유명해진 요즘에는 그냥 굴소스라 해도 바로 알아듣는다. 광동에서는 대개 굴을 소금에 절여 말린 호우시(蠔豉/蚝豉: hou si)라는 것을 조미료로 써왔지만, 홍콩의 식료품 기업 이금기가 등장하여 판도가 바뀌었다. 문서 참조. 제조사 한국에서는 과거 이금기 제품이 대표격..

계란국, 후추, 미림, 파, 양파, 비린내 제거

계란국 계란을 그릇에 미리 풀고 후추, 미림등으로 간해준 후 국에 넣으면 비린내를 상당히 잡을 수 있다. 중국어: 蛋花湯영어: egg drop soup 다른 말로는 계란탕이라고도 한다. 계란을 이용하여 만드는 국. 끓는 물(육수)에 계란을 풀어넣고 파1, 소금 정도만 넣는 매우 간단한 요리이다. 급식이나 가정에서는 감자나 두부를 추가하여 계란감자국이나 계란두부국으로 어레인지 하기도 한다. 전분이 추가되면 중국식 계란탕이 된다. 중국집에서 밥류 식사를 주문하면 같이 나오기도 했었는데 근래 들어서는 돈을 아껴보겠다고 없애버리고 거의 항상 조리되어 수급이 쉬운 짬뽕국물로 대체되는 경향이 강하다. 조리법 3인분 기준으로 기술하며, 만드는 방법이 매우 쉬운 편이다. 재료음식 재료: 계란 2개, 파 1/3단,..

육식주의, 육류 애호, Meat loving, Carnism, 육식주의자, 식이요법 육식주의(Carnivore)

육식주의 인류가 고기를 먹는 행위를 긍정하는 것. 사상적인 개념이 더 크게 차지하는 채식주의와 달리 단순한 육류 애호(Meat loving)부터 영양학적 연구 및 사상(Carnism) 등으로 세부적인 개념은 다양하게 나뉜다. 육식주의를 긍정하는 사람들을 육식주의자로 부른다. 본래적 의미로서의 육식주의 토양이 척박하여 농업이 발달하지 못했던 중앙아시아, 몽골고원, 북아시아, 북극 일대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졌던 식성이자 풍습. 인구밀도가 낮지만 거주 지역이 넓었던지라 고대 몽골고원만 해도 총인구가 300만 이상이었으므로 인류학적으로 절대 무시하지 못하는 숫자다. 농업이 어려운 환경상 육식 위주로 영양을 공급할 수밖에 없었고 육류를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목이나 수렵이 발달했다. 그러나 육고기만으로는..

고기, Meat, 단백질, 지방, 필수 아미노산, 에너지원, 뇌 발달, 향신료, 무역 발달

고기(肉) / Meat 일반적으로 온갖 동물(주로 척추동물)들의 먹을 수 있는 살(근육, 지방)을 뜻한다. 넓게 보면 동물의 몸이나 살 그 자체를 뜻한다. (육체, 육신의 육(肉)은 고기를 뜻하며 직역하면 '고기몸'이다.) 다만 좁은 의미에서는 가축의 먹을 수 있는 살만을 뜻하기도 한다. 고기 특징 동물로부터 얻는 음식이기 때문에 식물에 비해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환경에도 안 좋고 상하기도 쉽고 상했을 때의 위험도도 식물에 비해 높다. 그러나 단백질과 지방이라는 식물에서는 얻기 힘든 귀중한 필수영양소와 에너지원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맛까지 좋다는 큰 장점 덕분에 인류가 초기부터 선호하던 에너지원이다. 수렵채집 시대는 물론, 수많은 고대 문명들은 농경민 사회든 유목민 사회이든 고기를 섭취했다. 특히 유목..

수르스트뢰밍, 시큼한 청어 요리, 세계 최악 악취 음식, 스웨덴 통조림, 대서양 청어

수르스트뢰밍 수르스트뢰밍(Surströmming)은 스웨덴의 통조림 식품으로, 꽤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요리이자 그와 동시에 세계 최악의 악취 음식이라고 알려진 요리이다. 이름의 유래는 스웨덴어로 '시큼하다'를 뜻하는 수르(Sur)와 북유럽 지역에서 청어를 칭하는 표현인 스트룀밍(Strömming)의 합성어다. 일반적인 대서양 청어는 실(Sill, Sild)이라고 부르며 보통 식초절임으로 먹는다. 직역하면 '시큼한 청어 요리'이다. 핀란드어로는 하판실라카라고 하는데 뜻은 비슷하다. 참고로 같은 청어를(Sprat종) 삭히지 않고 그냥 훈제만 해서 만든 평범한 맛의 훈제 청어 통조림도 존재하고, 사실은 이쪽이 청어 통조림의 주류이며 수르스트뢰밍은 스웨덴 한정 특산품이다. 한국인에게 익숙한 물건으로 비유..

레닛(Rennet), 반추동물 위, 단백질 분해 효소, 우유에 넣으면 커드(curd)와 유청(乳淸)으로 분리

레닛(Rennet) 반추동물의 배 안에서 생산되는 효소복합체이다. 이것은 치즈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레닛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키모신은 우유 속의 카세인을 분해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이다. 이는 새끼들이 어미의 젖을 소화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레닛은 우유 속에서 치즈를 만들기 위한 고체인 응유와 액체인 유청을 분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그리고 레닛은 키모신 외에 펩신과 리파아제같은 중요한 효소들도 포함하고 있다. 레닛을 얻기 위해서는 이 효소복합체를 가진 동물을 죽여야만 얻을 수 있다. 레닛의 비동물성 대체품은 채식주의자들이 섭취하기에 적합하다. 치즈는 상당수 지역에서 한땐 장기보단 단기간 보존하는 발효로 생긴 맛을 즐기는 음식에 가까웠다. 구약성경, 특히 모세오경에서 귀한 손님을 대..

양고기,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lamb, mutton,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영양, L-카르니틴, 냄새 제거법, 개고기 유사, 양두구육

양고기 양(羊)의 고기 영어로 수컷은 'ram', 암컷은 'ewe'로 칭하며, 식용이 되는 양은 'lamb' 또는 'mutton'이라 표기한다. 이는 양의 나이에 따른 구분으로, 일반적으로 lamb는 1년 미만인 어린 양, mutton은 1년 6개월 정도의 나이든 양을 뜻한다. 생후 6~10주 된 양고기는 보통 베이비 램(baby lamb), 생후 5~6개월짜리는 스프링램(spring lamb)이라고 한다. 다만 양의 특성상 육용과 양모, 젖 등의 부산물을 얻는 용도가 갈리는 이 어중간한 시기에 도축되는 일이 별로 없다. 한글 및 한자로는 구분 없이 그냥 '양고기', '양육(羊肉)'이라고 부른다. 특징 성체 양(Mutton)은 자라면서 지방질에 카프릴산, 펠라르곤산이 축적되어 특유의 진한 누린내를 풍긴..

맛, 온도, 식은 밥, 식은 고기, 맛없는 이유

식은 밥이 맛없는 이유 따뜻한 밥을 먹을 때와 식은 밥을 먹을 때 그 맛이 다르다. 그 이유는 무얼까. 우선 쌀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살펴보자. 쌀은 주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분자로 이뤄져 있다. 이들을 합쳐 녹말 또는 전분이라고 부른다. 아밀로오스의 형태는 200개 이상의 글루코오스(포도당)가 선형으로 결합돼 있다. 반면, 아밀로펙틴은 1천개 이상의 글루코오스가 가지를 친 구조이다. 쌀의 녹말에는 아밀로오스가 20% 포함돼 있고, 나머지는 아밀로펙틴이다. 이 녹말은 '베타 녹말' 상태고, 긴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사슬이 규칙적으로 밀집해 있는 결정 구조다. 여기에 물을 붓고 끓이면, 물 분자가 녹말 사슬 사이로 파고 들어가 밀집 구조를 파괴해 불규칙하고 느슨한 구조로 변하게 된다. 밥을 지으..

블리스 포인트, bliss point, 설탕, 지방, 소금, 최적 비율, 뇌 보상 시스템 활성화

블리스 포인트(bliss point) 설탕, 지방, 소금의 최적 비율을 찾아 맛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중독성을 유발 The "bliss point" in the context of food refers to the specific combination of sugar, salt, and fat that maximizes a consumer's pleasure and satisfaction. This term, coined by Howard Moskowitz, describes the point where food is most enjoyable and palatable. Beyond this point, adding more of any of these ingredients..

쌀, 밀, 밥, 면, 영양 성분

쌀.밀의 영양성분 / 밥과 면의 영양성분 비교표1. 쌀.밀의 영양성분(가식부 100g당)식품명열량(kcal)단백질(g)지방(g)당질(g)섬유(mg)회분(mg)칼슘(mg)비타민B1(mg)B2(mg)니아신(mg)C(mg)현미 7분도미백미밀가루(중력분)3513563663507.46.96.810.43.01.71.01.171.874.779.674.61.00.40.40.21.30.80.50.410.07.05.012.00.540.320.150.200.060.040.030.054.52.41.51.00000출처 : 한국제분협회 밀 쌀 열량(cal/100g) 330 360 단백질(%) 12.3 7.5 지방 1.8 1.9 탄수화물(%) 71.7 77.4 섬유(%) 2.3 0.9 티아민(mg/100g) 0.52 0.3..

치즈, Cheese, 락(酪), 유단백 카제인(casein), 레닛(Rennet), 가공치즈, Processed cheese

치즈Cheese 우유나 다른 동물의 젖에 함유된 유단백 카제인(casein)을 추출하여 이를 미생물이나 효소를 통해 응고·발효시키고 수분을 제거하여 만드는 음식이다. 예스러운 한잣말로는 '건락'(乾酪)이라고도 한다. 단백질, 지방,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으며 그대로 식용하거나 요리, 제과, 제빵 등에 쓰인다. 영양 치즈는 대중적으로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식재로 인식된다. '같은 무게의 우유에 비해 단백질은 7배, 칼슘은 5배'등의 문구로 홍보되기도 하는데, 이게 틀린 말은 아니지만 우유는 수분이 80-90%이라는 걸 생각해 보면 당연하다. 이렇게 계산하면 전지분유에도 우유의 8배가 넘는 단백질이 들어 있다. 유장에는 칼슘 흡수를 도와주는 성분이 있어서, 유장을 제거한 치즈는 칼슘 함량에 비해 흡수율이..

가공식품, 초가공식품, 건강에 나쁜가, 과학적 증거, 음식 섭취 습관 영향, 블리스 포인트(bliss point)

가공식품, 초가공식품은 건강에 나쁜가? 가공식품이 건강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친다는 확실한 과학적인 증거는 없다. 하지만 분명한 점은 가공식품이나 초가공식품의 재료와 음식 섭취 습관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가공식품(加工食品) 식품의 원료인 농·축·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보다 맛있게 먹기 편하게 변형하고 저장성을 좋게 한 식품원재료에 대한 변형이 가해지므로 부가가치세가 붙게 된다. 쌀, 밀가루 등 원재료는 1차 가공식품으로, 원재료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가공을 거친 빵, 딸기잼, 스팸 등은 2차 가공식품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법적인 의미(식품위생법 등)에서의 가공식품은 농축수산물에 인위적인 조리 및 가공 등의 과정이 들어간 모든 형태의 식품을 뜻한다. 즉 식품위생법에서 기준 및 규격 등을 정의하는 ..

프로폴리스, propolis, 봉교(蜂膠)

프로폴리스propolis봉교(蜂膠) 양봉의 부산물 중 하나. 꿀벌이 나무의 싹이나 수액으로부터 수집하는 수지질(樹脂質)의 혼합물이다. 로열 젤리와는 다르다. 한자어로는 봉교(蜂膠)라고 한다. 꿀벌은 이를 벌집의 작은 틈을 메우는 데 사용하며 이렇게 하여 유해한 미생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한다. 이름도 본래 그리스어로 '외곽(suburb)'을 뜻한다. 꿀벌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인 벌꿀이나 로열 젤리와는 달리 채취할 수 있는 양이 매우 적고, 인위적으로는 증량 또는 합성할 수 없는 귀중품으로, 예부터 민간 약품이나 강장제로서 세계 각지(특히 유럽)에서 이용되어 왔다. 살균성, 항산화성, 항염 작용, 항종양 작용이 알려져 있다. 지역에 따라 꿀벌이 프로폴리스를 채취하는 식물도 달라지며 지역별로 프로..

요리과학, 조미료 순서, 음식재료 궁합, 설탕·소금·식초·간장·고추장·조미료 순서

요리과학 소금은 왜 참기름에 잘 안 녹을까?용해와 침전 소금이나 설탕을 물에 녹이려면 숟가락으로 저어주거나 뜨겁게 가열을 해야만 한다. 진한 소금물이나 설탕물을 끓여서 졸이거나 냉장고에 넣어서 차갑게 식히면 소금이나 설탕이 침전으로 가라앉게 된다. 반대로 소금이나 설탕을 참기름에 넣으면 좀처럼 녹지 않는다. 그런데 커피 믹스는 물에 넣기만 하면 곧바로 녹아버린다. 이처럼 소금이나 설탕과 같은 고체를 물이나 참기름 같은 액체에 녹이는 과정에서도 복잡한 과학적 변화가 일어난다. 고체가 액체에 녹으면 더 이상 액체와 고체를 구별할 수 없는 '용액'이 만들어진다. 용액은 두 가지 이상 물질이 분자 수준에서 고르게 섞여 있는 혼합물이다.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는 우리 눈으로 직접 볼 수 없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우..

맛있던 음식이 맛 없어지는 이유, 고지방 식단, 뇌의 ‘쾌락 신호’ 꺼뜨려, 뉴로텐신(Neurotensin)

“고칼로리 먹으면 ○가 변해”…맛있던 음식이 맛 없어지는 이유 기름지고 달콤한 음식이 더 이상 맛있게 느껴지지 않는다면, 단순한 입맛의 변화가 아니라 뇌 회로에 변화가 생긴 것일 수 있다. 최근 미국 UC버클리대 연구팀은 ‘고지방 식단과 뇌의 쾌락 회로’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일반 사료와 고지방 사료를 각각 먹인 생쥐 두 그룹을 비교했다. 4주 후 젤리, 초콜릿, 땅콩버터 등 고칼로리 간식을 제공했다. 일반식 쥐는 간식을 적극적으로 먹었지만 고지방식 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고지방 식단이 음식에 대한 뇌의 보상 반응 자체를 둔감하게 만든 것이다. 이어 연구진은 쾌락 회로로 알려진 ‘측좌측핵(NAcLat)-중뇌 복측피개부(VTA)’ 신경 경..

푸드트럭, 카우보이 포장마차, 척왜건(chuckwagon)

카우보이 포장마차, 푸드트럭 푸드트럭의 출발은 19세기 미국에서 등장한 ‘척왜건(chuckwagon)’입니다. 1866년 텍사스 목장주였던 찰스 굿나이트(Goodnight)가 바깥에서 장기간 야영하며 일하는 소몰이꾼들을 먹이기 위해 개발했다고 전해집니다. 척왜건은 ‘척 박스(chuck box)’라는 바퀴 달린 상자가 뒤에 달린 마차인데요, 척 박스는 펼치면 평평한 조리 작업대로 변하지요. 마차 내부에는 조리도구와 식재료를 수납할 수 있는 선반과 서랍이 부착됐고요. 냉장고가 개발되기 전이라 소금에 절인 고기, 감자, 콩, 비스킷, 커피 등 상온 보관 가능한 재료를 이용해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는 음식을 제공했죠. 목장에서 이용하려고 개발됐지만 미국 서부 개척에도 기여했다고 평가 받습니다. 20세기에 접어..

카제인, casein, 카세인, 포유동물 젖, 단백질, 단백질 보충제

카제인 카제인(casein) 또는 카세인은 포유동물의 젖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말한다. 어원은 치즈를 뜻하는 라틴어 caseus에서 유래하였다. 분자량은 75,000 ~ 375,000 정도이다. αs1-카제인, β-카제인, γ-카제인 등으로 나뉜다. 모유에는 100mL당 0.3g가량 들어 있다. 우유의 경우 전체 무게의 3% 정도가 카제인이다. 참고로 우유의 총 단백질의 80%가 카제인으로 구성된다. 물에 대한 용해도는 0.001 % 정도. 커피믹스에 들어가는 카제인나트륨은 용해성을 좋게 하기 위해 나트륨을 붙인 것. 산에 응고되는 성질이 있다. pH를 등전점까지 낮춰 카제인 분자 간 음전하에 의한 반발을 줄이면 서로 결합하여 침전하게 된다. 여기에 주로 쓰이는 것은 구연산이나 깔라만시 원액. 이것이 ..

완전 단백질, 9가지 필수 아미노산, 달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우유, 유청 단백질, 피스타치

완전 단백질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한 단백질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만들어지지 않아 식품으로 섭취. 완전 단백질 특징신체의 성장과 유지를 효율적으로 돕는 양질의 단백질 식품 예시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달걀, 우유, 유청 단백질, 피스타치오 등 완전 단백질은 신체의 면역 시스템을 유지하는 항체의 구성 성분 또한, 체중 관리나 근감소증 예방에도 도움 미국 체력관리학회(NSCA)에 따르면 운동을 따로 하지 않는 좌식생활자는 체중당 0.8g의 단백질을 섭취 근육을 키우기 위해서는 근력 운동 종료 후 2시간 내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이 좋다. 또한, 3~4시간마다 20~40g의 단백질을 보충하고, 취침 전 최대 30~40g의 카제인을 섭취하는 것도 좋다. 아침에 달걀, 점심-저녁엔 고기?....

당면, 분탕, 唐麵, 잡채, 녹말 이쑤시개, Glass noodles

당면, 분탕한자: 唐麵일본어: 春雨はるさめ2중국어: 粉絲/粉丝(fěnsī)영어: Glass noodles, Cellophane noodles 감자나 고구마 등에 들어 있는 녹말을 가루로 내어 만든 국수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건조 상태로 유통된다. 조리 전에는 조금 불투명하고 바싹 말라있는 모양이며, 탄성이 있어 구부려도 잘 부러지지 않는다. 조리를 통해 열과 수분을 가하면 더 투명해지며 쫄깃함을 가진다. 예전에는 녹두를 주성분으로 만든 당면도 꽤 많았다. 국민음식 잡채의 필수요소이다. 역사 중국당면에서 유래된 면으로 한반도에는 청나라 때 최초로 들어왔다고 알려졌다. 청나라에서 전래되었으므로 오랑캐 면이라는 뜻의 호면(胡麺), 중국에서 들어왔다는 뜻의 당면 등으로 불리다가 당면으로 불리게 되고, 호면은 ..

콜린(choline), 동맥경화, 지방간 예방, 수용성 비타민, 돼지간, 달걀, 콩, 피땅콩, 완두콩, 고구마

콜린(choline) 동맥경화, 지방간 예방에 효과적인 수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이다. 체내에서 세포막을 구성하는 레시틴과 혈압을 내리는 아세틸콜린의 재료이다. 예방간에 침착한 지방을 다른 물질로 바꾸어 혈액으로 내보내어 지방간을 예방한다. 또한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내리고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여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을 예방한다. 섭취하루 500mg 정도가 필요하다. 체내에서도 합성되지만, 평소 식사에서 적당히 섭취하는 것이 주요하다. 과잉의 콜린(Choline) 섭취 및 상대적으로 불충분한 운동량에서 이러한 불균형적인 영양상태는 좋지 않다는 맥락(context)의 연구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작은 장내 박테리아가 콜린(Choline)을 TMA(Trim..

마요네즈, Mayonnaise, 유화 작용, 기름, 계란 노른자, 식초, 계란말이, 스위트콘

마요네즈Mayonnaise 식초와 기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만든 프랑스식 반고체형 드레싱. 이제는 드레싱은 물론 굉장히 다양한 곳에서 응용되는 다용도 소스가 되었다. 마요네즈는 프랑스어이며 영어 발음은 메이어네이즈. 일상에서는 짧게 '메이오'(mayo)로 칭하는 경우가 많다.  마요네즈는 1756년, 7년 전쟁 당시 스페인 메노르카 섬의 마옹(Mahon) 항구를 점령한 프랑스군의 승리 만찬을 위해 리슐리외 추기경의 후손인 3대 리슐리외 공작 루이 프랑수아 아르망 드 비네로 뒤 플레시(Louis François Armand de Vignerot du Plessis)의 지시로 요리사가 항구 이름에서 유래한 소스를 만든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본적으로 식용유와 식초를 섞어서 만들며 소금 등의 향..

계란, 鷄卵, 달걀, egg, 영양소, 완전단백질, 알부민, 콜린, 레시틴, 철분, 칼슘, 아연, 비타민 A/B/D

계란(鷄卵, egg) 또는 달걀은 닭의 알을 가리킨다. 부화하면 병아리가 된다. 오랜 옛날부터 계란은 영양식으로 세계 각지에서 이용되었다. 새알 중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유통되는 식재료로, 전 세계를 통틀어 평균적으로 한 사람당 1년에 약 9kg의 계란을 먹는다. 멕시코나 페루처럼 1인당 20kg 가까이 먹는 나라도 있으며, 자메이카처럼 1인당 2kg 정도밖에 안 먹는 나라도 있다. 세계적으로는 멕시코가 연간 409개로 압도적 1위. 일본 337개, 콜롬비아 334개, 아르헨티나 298 개, 미국 285개 등으로 남미국가가 많이 먹는 편이다. 러시아 283개, 중국 274개, 한국은 8위로 연간 270개, 호주 260개, 브라질 257개 등 (2021년 통계) 일본도 생달걀을 규동에 섞어 먹는 등 생각보다..

단물, 연수, 軟水, soft water, 센물, hard wate, 경수, 硬水, 에비앙, 미네랄(광물)

단물 학문적 의미 단물 또는 연수(軟水, soft water)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광물) 및 미량원소의 함량이 낮은 물을 말한다. 국어사전에는 단맛이 나는 물과 연한 물이라는 뜻은 서로 동음이의어가 아닌 다의어로 실려있다. 반의어는 '센물' 또는 '경수(硬水, hard water)'이다. 연수는 말려도 마른 자국이 깔끔하지만, 경수는 증발할 때 결정을 남겨 물때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연수는 수도관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특히 열을 받아도 칼슘 때를 남기지 않기 때문에 조리용은 물론, 세탁기 등 가전제품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센물이 수돗물로 나오는 지역에서는 관리를 위해서라도 연수기를 설치한 집이 많다. 세계적으로 보면 생수(식수) 시장에서는 비주류다. 이는 식수 시장 자체..

쪽파무침, 쪽파나물무침, 40초 데치기

[양념] 까나리액젓 2T 진간장 1T 매실청 1T 고춧가루 2/3T 다진 마늘 1/2T 깨 약간 참기름 약간 조리순서쪽파부터 다듬기 가장 먼저 뿌리 부분을 잘라주고껍질을 벗겨잎 끝자락을 톡톡 따주기그래야 잘 데쳐져 양념이 맛있게 스며든다. 소금 1/2T를 넣은 물이 끓어오르면 가장 먼저 줄기를 잡고 머리 부분만 20초, 몸통까지 다 넣어 20초 총 40초 데치기 찬물에 2~3번 헹궈준 다음 체에 밭쳐 물기를 적당히 빼주고 그릇에 데친 쪽파와 밑에 재료(양념)를 넣고 잘 버무려주기까나리액젓 2T, 진간장 1T, 매실청 1T, 고춧가루 2/3T, 다진마늘 1/2T 마무리로 깨와 참기름을 약간 넣고 한번만 더 버무려주면 요리 끝

캐서롤, casserole, 요리한 채 식탁에 놓는 냄비, 냄비 요리

캐서롤, casserole캐서롤(요리한 채 식탁에 놓는 냄비), 그러한 냄비 요리, (화학 실험용) 자루 달린 냄비, 캐서롤로 요리하다 명사1.화학 실험 기구의 하나. 액체 증발용(液體蒸發用)의 자루가 달린 냄비로, 보통 사기로 만듦.2.뚜껑이 딸린 두꺼운 냄비. 구리, 내열성 도자기로 만듦. 직접 오븐에 넣을 수 있어서 찜 요리에 최적임.캐서롤(casserole)은 가금류 등의 딱딱한 고기를 야채와 양념과 함께 불로 삶는 요리를 만들 때 사용되는 도구이다. 오븐에서 다양한 요리를 요리하는데 사용되는 일종의 크고 깊은 팬 또는 그릇이다. 또한 그러한 용기에서 조리된 음식의 범주이기도 하다. 두 가지 용도를 구별하기 위해 팬은 "캐서롤 접시" 또는 "캐서롤 팬"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음식은 단순히 "캐서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