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 Humanities/동양사 Asian History 125

진한제국, 로마제국

진나라와 한나라를 통칭하여 진한제국이라고 하며, 로마 제국은 고대 로마에서 중세 로마까지의 기간진한제국과 로마제국은 둘 다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한 제국으로 역사에 큰 영향진한제국 (秦漢帝国): 진나라 (秦国): 기원전 771년 주나라 제후국 시기에 등장하여 기원전 221년 최초로 중국을 통일한나라 (汉朝): 진나라가 멸망한 후 기원전 206년 시작하여 동한이 멸망한 기원후 220년까지 지속중국 역사에 큰 영향: 진나라는 통일 중국을 만들고, 한나라는 중화 문화를 발전시키고,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마제국 (罗马帝国): 고대 로마 (古代罗马): 기원전 753년 로마 왕국이 시작되어 기원후 476년 서로마 제국이 멸망중세 로마 (中世罗马): 476년부터 1453년 동로마 제..

객가인, 客家人, 토루, 전쟁으로 중원에서 남하한 동이족 후손, 중화권의 유대인, 홍수전, 쑨원, 마오쩌둥, 덩샤오핑, 주더, 리콴유, 탁신

객가인(客家人) 동이족의 일파이다. 영어 Hakka의 발음에서 따와서 '하카'라고도 하는데 객가어 발음은 '학가'(Hàg gá)이다. 보통화로 발음하면 '커자'가 된다. 전쟁으로 중원에서 남하한 동이족의 후손이다. 피난민 특성상 중화권 각 지역에 퍼져 있으며, 다소 폐쇄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많은 객가인이 중국 대륙 최남부 지역 혹은 해외에 거주하고 있지만, 유전적으로 북부 지역의 동이족(North Dongi)과 유사하다. 중화권의 유대인이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특유의 정체성과 소수임에도 중화권 역사에 크게 성공한 사람이 많다. 역사 서진(西晉) 시절 영가의 난을 피해 마을이나 씨족 단위로 뭉쳐 이주한 중원의 동이족이 객가의 시작이라는 학설이 가장 유력하다. 객가인은 모두가 명문가의 후손..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일부, 1937~45년, 중화민국, 일본 제국

중일전쟁 中國抗日戰爭 / 中国抗日战爭 / 日中戦争Second Sino-Japanese War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1937년 7월 7일 ~ 1945년 9월 2일티베트를 제외한 중국 대륙 전역, 영국령 버마 원인루거우차오 사건의 계기로 일본 제국의 중국 침략 야욕 결과일본 제국의 항복으로 인한 중화민국의 승리 영향태평양 전쟁 발발중화민국의 UN 상임이사국 지위 획득중국공산당 세력 확대 및 국공내전 재발발 병력6,270,000명500,000명(1937년)860,000명(1939년)610,000명(1941년)600,000명(1943년)1,088,500명 + 괴뢰군 1,006,086(1945년) 피해규모3,320,000-10,000,000명 전사1,597,000명 부상455,000-700,000여 명 전사1,..

남방작전, 일본군의 동남아시아 점령전, 말레이 전역(Malayan campaign), 진주만 공습 원인, 태국 점령, 말레이 상륙, 루손 공습, 서태평양의 미국령 도서지역(괌, 웨이크 및 길버트 제도) 상륙, 홍콩 공격

남방작전(南方作戰) 1941년 말 ~ 1942년 중엽에 걸친 일본군의 동남아시아 점령전이다. 영어로는 말레이 전역 (Malayan campaign)이라고 부른다. 배경 전반적 배경은 진주만 공습의 원인과 일맥상통한다. 중일전쟁이 길어지며 물자난은 가중되었는데, ABCD 포위망으로 전쟁에 필수적인 전략자원인 석유 수급이 어려워진 일본의 입장에서는 석유, 고무와 같은 핵심 전략자원 확보를 위해 서구열강의 식민지였던 동남아시아를 기필코 획득해야 했다. 사실 진주만 공습은 남방작전을 위한 과정에 불과했지 목적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목적인 남방작전보다 과정인 진주만 공습이 더 중요시된 이유는 당시 일본의 동남아 점령을 막을 유일한 군사적 위협이 미 해군의 태평양 함대뿐이었다는 데에 기인했다. 1941년, 유럽 ..

몽골 제국, 파편화, 계승 제국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백장 칸국 (칸국의 서부) 이흐 칸국 모스크바 대공국이 멸망시킴 카심 칸국 → 러시아 차르국 카잔 칸국 → 러시아 차르국 아스트라한 칸국 → 러시아 차르국 크림 칸국 오스만 제국의 보호국 → 러시아 제국의 후원 아래 독립 → 러시아 제국 화레즘 티무르 제국이 정복 청장 칸국 (칸국의 동부) 시비리 칸국 → 러시아 차르국 스큐발드 칸국 → 러시아 차르국 노가이 칸국 대 노가이 칸국 노가이-칼미크 전쟁으로 인해 멸망 소 칸국 흑해 북부로 이주 사르다리아 울루스 킵차크 칸국이 파괴 우즈베크 칸국 카자흐 칸국 소 주즈 → 러시아 제국 속국인 부케이 칸국이 점령 중앙 주즈 중가르 칸국이 점령 → 러시아 제국 대 주즈 → 러시아 제국 → 우즈베크족 국가 원나라 오이라트 볼가강 하류로 이주..

만주사변, 중일전쟁의 서막, 9.18 사변, 류탸오후 사건, 만보산 사건, 나카무라 사건

만주사변(滿洲事變) / 9.18 사변(구일팔사변) 천연 자원이 풍부한 만주를 병참기지로 만들고 식민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1931년 9월 18일, 일본 제국의 관동군이 본국의 승인없이 독단적으로 류탸오후 사건을 조작하여 일으킨 침략 전쟁이다. 만주를 점령하고 난 후 일본 제국은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아이신기오로 푸이를 옹립하여 괴뢰국인 만주국을 건국했으며, 이후 소련과 몽골 인민 공화국의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이 성공할 때까지 존속했다. 사변(事變)의 기본 의미는 '사람의 힘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천재(天災)나 그 밖의 중대한 사건.'이다. 그러나 '사변'이라는 명칭이 붙은 여러 사건에 의해, 무력을 사용하게 되는 난리 또는 상대국에 선전포고도 없이 침입하는 일을 뜻하게 되었다. 일본어와 중국어에도 유사..

중국사 시대구분

중국사 선진시대(? ~ BC 221)진한시대(BC 221 ~ 220)위진남북조시대(220 ~ 581)수당시대(581 ~ 907)오대십국시대(907 ~960)송원시대(960 ~ 1368)명청시대(1368 ~ 1912)근현대(1912 ~ ) / 신중국청말민초중화민국민말공초 선진시대황하 문명하(夏)상(商)주(周)서주(西周)동주(東周)춘추전국시대 ( 춘추 | 전국 )춘추오패 | 전국칠웅진한시대진(秦)초한쟁패기후초(後楚) | 서초(西楚) | 십팔제후국한(漢)전한(前漢)신(新)현한(玄漢)후한(後漢)위진남북조시대삼국위(魏)촉(蜀)오(吳)진(晉)서진(西晉)동진(東晉)환초(桓楚)오호십육국전진(前秦)남북조송(宋)북위(北魏)제(齊)양(梁)후량(後梁)서위(西魏)동위(東魏)진(陳)북주(北周)북제(北齊)수당시대수(隋)당(唐)무..

튀르크, 투르크족, 튀르크 분류, 튀르키예,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크 튀르크 제족(Türk 諸族, Türk halkları) 혹은 튀르크는 튀르크어족의 언어들을 모어로 사용하는 민족 부분 집단이다. 어원과 발음 튀르크/투르크족 사이에서도 발음이 다른데, 튀르키예 등에서는 튀르크라고 발음하지만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쪽 일부 지역에서는 투르크라고 발음한다. 사실 이들 대부분이 거주하는 지역이 중앙아시아이기 때문에 투르크가 오리지널 발음에 가깝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현대 튀르크계 제족 가운데 튀르키예인 인구 비중이 압도적인 관계로 묻히는 경향이 있다. 고대 튀르크어로 '강한'이라는 의미의 '튀뤼크(𐱅𐰇𐰼𐰰 / Türük)'에서 유래하였다. 한국에서는 사료에 기록된 쾩튀뤼크(𐱅𐰇𐰼𐰰:𐰜𐰇𐰛 / Kök Türük)의 가차 표현에서 유래한 '돌궐(..

티무르 제국, 1370~1507, 몽골 계승, 무굴 제국, 티무르 르네상스, 울루그 베그

티무르 제국 · 1370년 티무르, 차가타이 칸국의 실권 장악 · 1371년 ~ 1405년 티무르의 대원정 · 1405년 티무르, 명나라 원정 도중 사망 · 1405년 ~ 1420년 1차 내전기 · 1420년 ~ 1447년 샤 루흐의 치세 · 1447년 울루그 베그 집권 · 1447년 ~ 1459년 2차 내전기 · 1459년 ~ 1469년 아부 사이드의 치세 · 1469년 ~ 1506년 후세인 바이카라의 치세 · 1507년 우즈벡 칸 무함마드 샤이바니에게 수도 헤라트가 함락됨 지리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서북부 수도 사마르칸트 (1370년~1405년) 헤라트 (1405년~1507년) 면적 4,400,000km² (1405년) 언어 페르시아어 (궁정어, 고등 문학어, 공통어, 행정어)[4] 차가타..

셀주크 제국, 수니파 이슬람 세계 통일, 11세기

셀주크 제국 살주크국دولت سلجوقیانDawlat-i Saljūqiān 1037년 ~ 1157년 / 1194년 멸망 이후가즈니 왕조룸 술탄국부와이 왕조호라즘 왕조 위치페르시아, 중앙아시아, 중동, 아나톨리아 수도니샤푸르 (1037~1043)레이 (1043~1051)이스파한 (1051~1118)하마단 / 메르브 (1118~1194)정치 체제전제군주제국가 원수술탄 주요 술탄알프 아르슬란말리크 샤 언어페르시아어 (정부, 공용어)오구즈어 (왕족, 군대)5아랍어 (종교계) 종교수니파(하나피파) 면적3,900,000km² (1080년 경) 10세기에 트란스옥시아나에서 진출해 11세기 수니파 이슬람 세계를 통일했으나 얼마 못 가 12세기에 멸망한 제국이다. 지배 계급은 튀르크계 부족이었지만 정치 체제는 ..

의화단 운동, Boxer Rebellion, 반외국인, 반기독교 운동, 부청멸양

"Boxer Rebellion"은 영어로 "의화단 운동" 또는 "의화단의 난"이라고 번역되며, 중국 청나라 말기에 일어난 의화단(義和團)이라는 무술 집단의 반란을 지칭"의화단 운동"은 중국의 외세 배척 운동으로, 특히 반외국인, 반기독교 운동 의화단 운동(義和團運動):1899년부터 1901년까지 청나라에서 발생한 반외국인, 반기독교 운동Boxer Rebellion:의화단 운동을 영어로 부르는 명칭입니다. 의화단의 무술 스타일이 복싱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여 "Boxer"라는 단어가 사용의화단:의화단 운동을 주도한 비밀 결사 조직으로, 무술과 체조를 중요시반외국인, 반기독교 운동:의화단은 외세의 침략과 기독교의 확산을 반대청나라 말기:19세기 말 청나라의 혼란한 시기에 의화단 운동이 발생 의화단義和團 /..

동도서기, 중체서용, 화혼양재, 동양삼국 산업혁명

동도서기, 중체서용, 화혼양재 19세기 후반 서양 문명에 대응하기 위해 동아시아 삼국(중국, 조선, 일본)이 각각 내세운 이념 즉, 동양의 정신이나 문화는 그대로 유지하고 서양의 과학 기술만 받아들이자는 전략 동도서기 (東道西器): 조선에서 쓰인 말로, 동양의 도덕, 윤리, 지배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양의 기술을 받아들이자는 주장 중체서용 (中體西用): 중국에서 사용된 말로, 중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제도(체)를 그대로 유지하고 서양의 기술과 문물(용)을 받아들이자는 주장 화혼양재 (和魂洋才): 일본에서 사용된 말로, 일본의 전통 정신(혼)은 그대로 유지하고 서양의 기술과 지식(재)을 받아들이자는 주장 이 세 이념은 모두 서양의 문물과 기술을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문화와 정신을 훼손..

무굴 제국, 티무르 후손, 바부르, 아크바르, 아우랑제브, 몽골 인도-페르시아 발음

무굴 제국 1526년에 건국되어 1857년에 멸망할 때까지 약 330여 년 동안 인도 반도에 존재했던 왕조였다. 몽골계 국가임을 자처하면서 이슬람 왕조를 내세운 인도의 제국으로 꽤 복잡한 정체성을 가진 나라였다. 마우리아 왕조 이래 인도에 존재했던 역대 왕조들 가운데 가장 넓은 영토를 자랑했던 대제국이었으며, 전성기 시절에는 인도 아대륙 거의 대부분을 통치하며 국력을 과시했다. 티무르 제국 출신의 바부르가 건국했으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흘러들어온 막강한 화기를 바탕으로 델리 술탄국, 아프가니스탄, 라지푸트 등을 꺾으며 빠른 속도로 인도 북부의 패권국가로 떠올랐다. 이후 바부르의 손자인 악바르 대제의 치세때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았으며, 샤 자한 황제의 치세때는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통해 명청교체기라는 중..

조선왕조실록, 국보 제151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5대 472년, 후손 왕이 보지 못한다는 원칙 지킨 나라 조선왕조 뿐, 세계 가장 긴 시간 작성 기록

조선왕조실록 조선 왕조가 자신들의 역사를 편찬한 사서. 국보 제151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정족산사고본, 태백산사고본, 오대산사고본과 함께 국보명으론 기타산엽본이 유네스코 측에는 상편 21책으로 되었다. 국가유산청에서는 태조실록부터 철종실록까지의 25대 472년의 기록만을 조선왕조실록으로써 취급하여 국보 151호 지정 및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도 이들 기록에만 되어 있다. 고종실록과 순종실록도 없는 건 아니고 조선왕조실록의 연장선으로 편찬되었으나, 이 실록을 편찬한 시기는 이미 일제강점기였으므로 전통적인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방법으로 편찬하지 않았고, 일제가 의도적으로 왜곡한 부분이 있어 별도로 취급된다. 북한도 적상산사고본의 대부분을 보유했는데, 북한에서는 '조선봉건왕조실록', '리조실록..

종법(宗法), 종법제, 적장자(嫡長子) 중심 가족 질서, 호주제 폐지

종법제(宗法制)는 중국 고대부터 형성되어 적장자(嫡長子) 중심의 가족 질서를 운영하는 데 기본이 되었던 제도이며, 조선 시대에는 가족 윤리를 기반으로 한 사회 규범 체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원리 중 하나였다.  종법제는 '대종소종지법(大宗小宗之法)' 또는 '종자법(宗子法)'에서 유래된 말로, 종가(宗家)를 중심으로 방계 친족을 결속시키는 고대 중국의 친족 제도 주요 내용장자 중심: 적장자에게 특권과 책임을 부여하여 가족 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다. 가족 윤리: 가족 간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며,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5종: 5종은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이종(禰宗),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조종(祖宗), 증조부를 중심으로 한 증조종(曾祖宗), 고조부를 중심으로 한 고조종(高祖宗)의 4종과 대종을 ..

센고쿠 시대 ,전국시대, 일본, 15~16세기, 오닌의 난~세키가하라 전투, 무로마치 막부

센고쿠 시대(일본어: 戦国時代, 전국시대)   일본에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사회적, 정치적 변동이 계속된 내란의 시기이다. 개요 1493년의 메이오 정변, 더 이르게는 1467년의 오닌의 난에서 시작한다고 보며, 1573년에 무로마치 막부 제15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에서 추방되어 무로마치 막부가 무너질 때까지의 시대를 가리킨다. 무로마치 시대 말기, 혹은 오다 노부나가의 상락(1568년) 이후 오다 가문과 도요토미 가문이 정권을 잡은 시기를 쇼쿠호 시대(織豊時代) 또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라고 불러 구분하기도 한다. 이 시대의 싸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집권한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장소만 조선으로 바뀌었을 뿐 싸움은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가 세키가하라 전투를..

기전체, 본기(本紀), 기(紀)+열전(列傳), 편년체, 기사본말체, 강목체

기전체(본기·세가·지·열전등으로 구분)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지~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년·월·일 등의 사실을 편술)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    기사본말체(사건마다 발단과 결과를 실증사학적으로 기술)통감기사본말, 삼국유사, 연려실기술 강목체(대의·세목으로 나누어 기술)~주자의 자치통감강목, 강목집요, 고려말 성리학 전래와 함께 유행   기전체(紀傳體) 본기(本紀), 기(紀) + 열전(列傳)   역사를 군주의 정치 관련 기사인 본기와 신하들의 개인 전기인 열전, 통치 제도 · 문물 · 경제 · 자연 현상 등을 내용별로 분류해 쓴 지와 연표 등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기전체는 전한시대 ..

살수대첩, 612년, 제2차 고구려-수 전쟁, 을지문덕, 고구려, 우중문과 우문술, 수나라, 수양제, 영양왕

살수대첩, 612년, 제2차 고구려-수 전쟁, 을지문덕, 고구려, 우중문과 우문술, 수나라, 수양제, 영양왕  살수대첩(薩水大捷) 612년(영양왕 23) 7월,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에서 벌어진 주요 전투의 하나612년 7월 24일에 을지문덕이 지휘한 고구려군이 우중문과 우문술 등이 지휘한 수나라군을 살수에서 크게 격파한 전투고구려 측의 지휘관은 을지문덕(乙支文德)이었고, 수나라 측의 지휘관은 우중문(于仲文)과 우문술(宇文述) 등이었다. 612년 7월 살수(薩水)에서 전투하였는데, 살수는 지금의 청천강(淸川江)이다. 612년 수나라의 양제(煬帝)는 113만의 대규모 군대를 동원해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육군은 40개의 부대로 편성하였는데, 각 부대를 군(軍)이라고 하였다. 우중문과 우문술 등은 40개의 군..

백화(白話), 백화문(白話文), 백화 운동

백화(白話)  당나라 대에 발생하여, 송, 원, 명, 청 시대를 거치면서 확립된 중국어의 구어체를 말하며, 이를 글로 표기한 것을 백화문(白話文)이라고 한다.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고전 등에 나오는 문구를 근거로 쓰인 문언문(文言文, 한문)에 비해, 백화문은 각 시대를 거치며 북경어를 중심으로 민간에서 사용되는 일상 언어가 반영되어,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갖추어졌다. 당 시대의 백화로 들 수 있는 것으로 둔황(敦煌)의 변문(變文)이 있다. 이는 민중에게 들려주기 위한 의도로 기록된 것으로, 구어를 문장으로 표현하는 기교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적지 않게 문언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당에서 송을 거치며 유행을 했던 어록에도 구어를 기록한 내용들을 볼 수 있다. 송 시대에 들어서면 큰 도..

흉노 정벌, 한무제, 곽거병, 흉노족(훈족) 서진, 게르만족 대이동, 로마제국 멸망, 유럽 각국 원형 탄생

로마 멸망을 초래한 흉노 정벌의 영웅, 곽거병 기원전 2세기 한 무제는 흉노와 총력전을 펼친 끝에 흉노를 고비 사막으로 몰아냈다. 이것은 중국 역사에서도 의미 있는 사건이었지만, 최초의 세계사적 사건이기도 했다. 서쪽으로 이동해간 흉노족(훈족)으로 인해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일어나 로마제국이 멸망하고, 오늘날 유럽 각국의 원형이 탄생했다. 한 무제는 흉노를 협공할 동맹국을 찾기 위해 장건(張騫)을 서역으로 파견했는데, 장건의 모험은 실크로드를 개척하는 계기가 됐다. 지구사적 관점에서 볼 때, 이보다 더 극적인 사건이 있을까?   흉노는 중국 북방에 거주하던 유목 민족이다. 단일 민족은 아니고 몽골과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중앙아시아의 유목민까지 포함한 혼성 국가였다. 흉노 정벌은 한나라 입장에서 보면 대단한..

식민지 근대화론, 낙성대연구소, 내재적 발전론, 수탈론, 자본주의 맹아론, 식민사관, 실증주의

1926년 조선총독부 조선산림회에서 발행한 에 삽입된 경성시가의 모습. 극도로 낙후하고 정체된 조선 사회가 식민지 지배를 통해 경제적으로 발전되었다는 지배의 정당성을 공간의 변화를 통해 홍보하였다.    식민지 근대화론 현대 한국의 경제적 · 정치적 성장의 원동력을 일제 식민지 시대에서 찾는 역사적 관점. 일제강점기를 해석하는 국내 역사학계의 관점은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으로 크게 갈린다. 내재적으로 발전하고 있던 조선사회가 일제에 의해 수탈당함으로써 발전을 방해받았다는 것이 종전 역사학계의 ‘내재적 발전론’(수탈론)이라면, 식민지 시기 일제에 의해 경제가 성장하고 근대화의 토대가 마련된 점을 인정하자는 것이 안병직, 이영훈 등 낙성대연구소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식민지 근대화론’이라고 할..

천안문 사태, 1989년 6월, 천안문 6.4 항쟁

천안문 사태, 天安門事態 천안문 광장 앞에서 있었던 일련의 민주화 운동들을 말한다. 흔히 1차 천안문 사태라 불리는 1976년 천안문 사태와 2차 천안문 사태 혹은 천안문 항쟁으로 불리는 1989년의 천안문 6.4 항쟁이 유명하고 이중에서도 천안문 6.4 항쟁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중국 공산당이 보병은 당연하고 전차, 인민해방군 수송을 위한 트럭을 동원해 무고한 시민들을 깔아죽인 사건이 유명하다.  제1차 천안문 사태마오쩌둥 체제 말기인 1976년 4월 5일에 일어났던 봉기. 온 중국인들의 존경을 받던 저우언라이 총리의 사망을 계기로 하여 중국인이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에 반발한 봉기이다. 아래의 천안문 사태와는 천안문광장이라는 같은 장소에서 일어났다는 것 빼고는 관계가 별로 없다. 같은 장소에서 주석과..

문화대혁명, 반달리즘, 홍위병, 마오쩌둥파 덩샤오핑파 권력 투쟁, 덩샤오핑, 류샤오치, 스탈린, 흐루쇼프, 무산계급문화대혁명

무산계급문화대혁명, 无产阶级文化大革命, 無産階級文化大革命,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문혁, 文革, 원거무산계급문화대혁명, 无产阶级文化大革命, 無産階級文化大革命,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문혁, 文革, 원거  1966년 5월 16일의 5·16 공지부터 1976년 10월 6일 문혁사인방의 베이징정변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벌어졌던 대규모 파괴운동, 친위 쿠데타, 내란이다. 중국에서는 이 기간을 십년 동란(十年動亂)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국의 문화를 자국민들이 스스로 멸절시키려 한 전례가 드문 대사건으로, 공산주의 체제의 내재적 폭력성과 경직성, 그리고 체제적 한계를 예시할 때 킬링필드, 대숙청, 대약진 운동, 고난의 행군, 차우셰스쿠의 인구 정책과 함께 빠짐없이 언급되는 역사적 사건 중 하나이기도 하다...

제사해 운동, 네 가지 해충, 除四害運動, Four Pests campaign, 타마작 운동, 打麻雀運動, smash sparrows campaign, 참새 죽이기 운동, 消滅麻雀運動, eliminate sparrows campaign, 대약진 운동 첫 단계

제사해 운동, 네 가지 해충, 除四害運動, Four Pests campaign, 타마작 운동, 打麻雀運動, smash sparrows campaign, 참새 죽이기 운동, 消滅麻雀運動, eliminate sparrows campaign, 대약진 운동 첫 단계 대약진 운동의 첫 번째 단계로서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장려된 정책이다. ‘제사해’란 “네 가지 해충을 제거한다”라는 뜻으로, 그 네 가지 해충은 들쥐, 파리, 모기, 그리고 참새였다. 이 정책의 결과 중국 참새의 멸종으로 인해 생태학적 균형이 무너졌고, 농업해충이 창궐하였다. 제사해 운동의 네가지 해충 참새들쥐파리모기 이 정책은 애초 마오쩌둥이 1958년에 들고 나온 위생 운동이었는데, 마오는 모기, 파리, 들쥐, 그리고 참새를 멸종시켜야 하..

대약진 운동, 원시 공산주의 실험, 3,000만 명 아사, 토법고로, 大跃进运动, 다웨진 윈둥, Great Leap Forward, Second Five Year Plan

대약진 운동, 大跃进运动, 다웨진 윈둥, Great Leap Forward, Second Five Year Plan 공산 혁명 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부강한 사회주의 국가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1958년부터 1961년말-1962년초까지 마오쩌둥(毛澤東)의 주도로 시작된 농공업의 대증산 정책이다. 마오는 《생산성 이론》에 근거해 이 정책을 실시했지만, 농촌의 현실을 무시한 무리한 집단 농장화나 농촌에서의 원시적인 철강 생산 등을 진행시킨 결과 2,500만 명에 이르는 사상 최악의 아사자를 내고 큰 실패로 끝이 난다. 이 때문에 마오의 권위는 추락하고 이 권력 회복을 목적으로 문화 대혁명을 일으키게 된다. 반대파 숙청 1957년 11월 6일 소련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소련이 공업 생산 및 농업 생산으로 ..

토하라인. Tocharians, 인도유럽인, 아파나시에보 문화

토하라인. Tocharians기원전 2000년경부터 9세기경까지 오늘날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일대에 거주한 코카소이드계 민족으로,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를 쓰는 민족들 중에서는 가장 동쪽에 거주한 민족이다. 타림 분지 일대의 옛 주민이자 현 위구르인의 조상중 하나로 그 기원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누란의 미녀 미라 등으로 미루어보아 꽤 오랜 옛날부터 중국의 역사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민족명인 '토하라'는 알란족의 언어로 '무사'를 뜻하는 토하르(tokhar)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2세기 그리스 기록에서 고전 그리스어로 '토카로이'라고 하였는데, 로마인들이 라틴어로 '토카리'라고 음역하여 그대로 민족명으로 굳어졌다. 토하라인은 달리, 토하리인, 토카리아인으로 불린다.  기원 토하..

한혈마 전쟁, War of the Heavenly Horses, Han–Dayuan war, 汉攻大宛之战, 천리마 전쟁, 한-대원 전쟁, 토하라인

한혈마 전쟁, War of the Heavenly Horses, Han–Dayuan war, 汉攻大宛之战, 천리마 전쟁, 한-대원 전쟁 기원전 104년~102년 동안 한 왕조가 대원(大宛)의 명마였던, 한혈마(또는 천리마)를 무력으로 찾아오기 위해 벌어졌던 전쟁이었다. 기원전 2세기경의 중국을 다스리고 있었던 제국, 한나라는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제국 중 하나였다. 특히 한나라는 끊임없는 정복 전쟁을 통해 서쪽으로는 인도의 북부에 닿았고, 동쪽으로는 한민족 국가들과 국경선을 맞대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베트남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런 강력한 제국이었던 한나라에도 커다란 문제가 있었다. 바로 북쪽의 거대한 유목 연합 제국이 끊임없이 한나라의 북부 영토를 침입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은 100년 이상, 끊이지..

전한(前漢: 기원전 202년~기원후 8년), 유방(劉邦), 왕망(王莽)

전한(前漢: 기원전 202년~기원후 8년)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 대륙 쟁탈 뒤에 세운 왕조로서 진(秦)에 이어서 중국을 두 번째로 통일한 왕조이다. 수도는 장안이었는데 그 위치가 후에 세워진 후한의 수도 낙양보다 서쪽에 있어서 서한(西漢)이라고도 불린다.  건국고조 유방은 원래 정장(亭長)으로 의병을 일으켜 패공(沛公)의 자리에 올라 초(楚)의 의제(義帝)를 섬기다가 그 세력이 커져 또다른 거대 세력인 항우와 경쟁하였다. 처음에는 거듭 패배하였으나 한신(韓信), 장량(張良), 소하(蕭何)를 위시해 많은 인재를 기용하여 기원전 202년 전세를 역전하기 시작했고 최종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격파하고 한(漢)을 건국했다. 수도를 장안으로 삼았다.  전성기 문경지치(文景之治)로 일컬어지는 문제..

고구려 기원, 고구려 성립과 발전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1. 고구려의 기원  고구려 건국설화인 朱蒙說話는001) 백제나 신라의 건국설화에 비해 내용이 풍부하고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고구려인이 직접 남긴 자료가 전해지고 있어 고구려의 성립과정을 밝히는 데 중요한 시사를 준다. 현전 주몽설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廣開土王陵碑>의 서두 부분이고,<牟頭婁墓誌>와≪魏書≫고구려전의 주몽설화도 5세기경의 기록이다.≪三國史記≫高句麗本紀나≪三國遺事≫·<東明王篇> 등 국내문헌은 5세기경의 기록에 후대적 윤색이 가해진 것을 전하고 있다.002)   주몽설화는 부여의 東明說話에 바탕을 두고,003) 4세기 후반 집권적 국가체제의 정비와 함께 건국설화로 확립되었다.004) 그리하여 고구려 왕실의 입장을 반영한 주몽설화의 경우, 주몽의 出自를 비롯..

삿초 동맹, 사쓰마번(가고시마현), 조슈번(야마구치현), 에도 막부 타도, 사카모토 료마

삿초 동맹(일본어: 薩長同盟 삿초도메이) 일본의 에도 시대 후기에 사쓰마번(오늘날 가고시마현)과 조슈번(오늘날 야마구치현)이 맺은 정치적, 군사적인 동맹을 가리킨다. 1866년 3월 7일에 맺었으며, 에도 막부를 타도하는 게 목적이었다. 삿초 맹약, 삿초 연합이라고도 한다. 원래 사쓰마번은 1864년에 금문의 변 사건을 일으켜 교토에서 조슈번을 추방하였고, 몇 차례 조슈번을 공격하여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도사번 출신의 사카모토 료마, 나카오카 신타로 중재로 동맹을 맺었다. 사쓰마번과 조슈번은 교토를 중심으로 에도 시대 막부 말기의 정계에서 웅번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사쓰마가 공무합체의 입장에서 막부의 개국 노선을 지지하면서 막부의 정치 개혁을 요구한 반면, 조슈번은 급진적이고, 파격적인 양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