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 486

철새, 자기장, 이동경로, 인간과 조류의 적절한 거리

철새 번식지와 월동지를 해마다 정기적으로 왕복하는 새. 한자어로는 표조(漂鳥), 후조(候鳥)라고도 한다. 반대되는 개념은 텃새. 텃새보다는 관찰이 어려운데, 계절에 따라 일정 주기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사람으로 치면 유목민, 유랑민족에 해당한다. 이 철새떼의 개체수라는 것이 한 계절 사이에 수만 마리가 넘나들기 때문에 지역 생태계에 다대한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생태 보존의 척도로 주로 활용되는데, 반대로 국가와 대륙을 넘나드는 거대한 스케일 때문에 바다를 건너서 기생충/전염병의 전염원이 되어 해당 지역에서 생활하고 신나게 배설하면서 병을 퍼뜨리기도 한다. 당연히 이러한 병한테 수없이 감염을 당해온 철새들은 면역력이 보통 강한 게 아니다. 면역력이 약한 철새..

일산화이수소, 산화수소, 물, DHMO, H2O

일산화이수소 다른 말로는 산화수소(酸化水素, Hydrogen oxide) 혹은 수산화산(水酸化酸, Hydroxylic acid)라고도 한다. 일산화이수소는 공업적으로 매우 유용하지만, '수산화산'이라는 이름에서도 짐작 가듯 강한 부식성, 산화력, 중독성을 가지고 있는 등 인체에 극히 위험한 물질이다. 실제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한국 청소년 사망 원인에 관한 2008년 통계를 보면 일산화이수소의 허용량 이상 노출로 인한 사망은 심장질환 수준의 높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전문가들과 일산화이수소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일부 직업 종사자들을 제외한 일반인들은 일산화이수소의 위험성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빠른 시간 내에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일산화이수소의 특성상 일산화이수..

니콜라 테슬라, 세르비아, 물리학자, 전기공학자, 테슬라 밸브, 테슬라 터빈, 레이더, 전기차, 자기장 단위 테슬라(T), Nikola Tesla, 에디슨, 일론 머스크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 | Никола Тесла 1856년 7월 10일1오스트리아 제국 스밀랸(現 크로아티아 공화국 리카센주 스밀랸)사망1943년 1월 7일 (향년 86세)미합중국 뉴욕주 뉴욕시 물리학자, 전기공학자, 발명가 188cm, 왼손잡이 학력초등학교(졸업)중학교(졸업)하이어 리얼 김나지움(졸업)그라츠 공과대학교 (전기공학과 / 3학년 중퇴) 세르비아인 출신의 물리학자이자 전기공학자 그리고 발명가. 후에 미국으로 건너가서 활동하였다.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니콜라 테슬라를 고용하고 얼마 후, 웨스팅하우스사는 '2상 교류 회전자계(2 phase AC RMF) 유도 전동기'의 상용화를 최초로 성공, 즉 교류용 전동기의 상용화를 최초로 실현하여 전기공학에 위대한 족적을 남겼다. 1891년에 ..

산화물, Oxide, 산화된 물질, 산소 원자, 물(일산화이수소), 이산화탄소, 이산화규소, 흙, 부패, 산패, 녹

산화물 Oxide 산화된 물질을 일컫는 말이다. 쉽게는 산소 원자의 유무로 판단하기도 한다. 친숙한 물질로는 물(일산화이수소), 이산화 탄소 등이 있다. 알루미늄도 산화물과 관련이 깊다1 흔히 보는 알루미늄의 표면은 사실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 Al2O3)이다. 흙의 주성분도 산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으로 이산화규소가 있다. 세라믹의 대표적인 형태중 하나도 산화물이다. 일상에서 접하는 세라믹 재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부패(+ 산패)와 관련이 깊다. 유기화합물의 산화물은 대개 악취가 나는 등 영 좋지 않은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금속의 부식으로 인해 생기는 물질도 보통 산화물인데, 녹 역시 산화물의 일종이다. 금속의 경우 아이러니하게 산화 현상중 하나인 부식을 막기 위해 오히려 표면을 ..

포유류 진화, 단공류(單孔類), 유대류(有袋類), 진원류(眞猿類)

포유류의 진화evolution of mammals 포유류는 고생대의 단궁류에서 분화한 것인데, 그 후 각 방면으로 환경에 적응하여 번성하였다. 마이오세(中新世)와 플리오세에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번성했다. 신생대는 기후나 지표의 변화가 컸기 때문에, 상온동물이고 작고 민첩한 포유류 쪽이 생존하기 쉬웠다. 그러나 플라이스토세(홍적세, 洪積世))에 이르러 빙하가 4번이나 지표를 덮쳤기 때문에 양극에 가까운 지방의 대부분의 동물은 추위와 식량 및 주거의 결핍으로 사라졌고, 가까스로 생존한 일부와 적도 가까이에서 서식한 동물이 살아남았다. 따라서 원시적인 동물로 알려져 있는 단공류(單孔類)와 유대류(有袋類), 그리고 인류에 가까운 진원류(眞猿類) 등은 현재도 추운 지방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포유류의 몸..

양성자(proton), 중성자(neutron)

양성자(陽性子, proton)중성자와 함께 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이며, 양의 전하를 가지고 있다. 양성자의 전하량은 전자의 전하량과 비교했을 때 그 크기는 같으나 부호는 반대이고, 전자 질량의 약 1836배에 해당하는 질량을 지닌 입자이다.1803년 영국의 화학자 돌턴이 원자설을 제안한 후, 많은 과학자들이 원자의 구조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그 과정에서 원자는 더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 입자들이 전자, 양성자, 중성자 등이며, 그 중 양전하를 띠고 있는 입자가 양성자이다. 양성자는 소립자(쿼크)로 구성되어 있다. 1886년 독일의 골트슈타인은 음극선실험을 하던 중, 기체방전실험을 통해 양극에서 음극으로 방출되는 방사선을 발견하여 양극선이라 하였다. 1897년 톰슨이 음극선이 ..

바닷물 마실 수 없는 이유, 삼투압, 몸 무기 염류 농도 0.9%, 바닷물 농도 3%, 탈수 현상, 바닷물 짠 이유

바닷물 마실 수 없는 이유 아무리 목이 마르더라도 바닷물을 마실수는 없다.그 이유는 바로 우리 몸의 삼투압 현상 때문인데 우리몸 세포의 무기 염류 농도는 0.9%정도이며 바닷물의 농도는 약 3% 정도이다.따라서 바닷물을 마시면 혈액 속에 있는 무기 염류 농도가 세포액의 농도보다 진해져 세포로부터 물이 빠져 나오게 된다. 결국 목이 말라 바닷물을 마시면 마실수록 우리 몸 속의 수분은 점점 빠져나오기 때문에 결국 탈수 현상으로 죽게 된다. 바닷물을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닷물 속 염분 농도가 우리 몸의 세포액 염분 농도보다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에 있는 염분 농도는 3% 정도인데, 우리 몸 세포액의 염분 농도는 0.9% 정도로 낮습니다. 따라서 바닷물을 마시면 세포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탈수 현상이..

순간접착제, Cyanoacrylate, 시아노아크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종류,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순간접착제Cyanoacrylate 시아노아크릴계 접착제를 흔히 부르는 이름. 주성분이 공기 중의 수분과 닿아 고분자화합물을 만들어 물질과 물질을 연결하는 원리인데, 이때 가스와 함께 열이 나게 된다. 흔히 접할 수 있는 상표는 독일 록타이트(Loctite) 401 제품으로, 401이라고도 한다. 거의 모든 재료에 쓸 수 있으며 접착력도 강력하고, 1분 정도면 건조가 완료되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사실 너무 빨리 굳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순간접착제는 수지를 첨가하여 경화 속도를 늦춘다. 수지를 아예 넣지 않는 무수지 접착제의 경우 소재에 그냥 도포하면 거의 즉시 굳어버려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접착면을 미리 밀착시킨 다음 그 사이에 극소량을 흘려넣는 방식으로 도포한다. 역사 1940년대 초..

탄산 칼슘, 炭酸 calcium, CaCO3, 석회암, 백악, 대리석 , 분필, calcium carbonate, 계란 껍데기, 조개, 소라, 굴 껍데기

탄산 칼슘 炭酸 calcium, calcium carbonate 칼슘의 탄산염이다. 화학식은 CaCO3. 상온에서 흰색의 고체. 산을 만나면 이산화 탄소를 내놓으면서 반응한다든가, 열을 가하면 이산화 탄소를 내놓으면서 산화물로 분해되는 점 등 일반적인 탄산염의 특성을 갖고 있다.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성분이다. 각종 암석에 흔하게 들어 있고, 생명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방해석이나 아라고나이트(선석, 霰石)는 순수한 탄산 칼슘으로 이루어졌고, 석회암, 백악, 대리석 등에도 탄산 칼슘이 많다. 또한 분필의 주성분도 탄산칼슘이다. 이처럼 흔한 물질인 데다 화학식량이 딱 100이라서 화학 문제에 자주 등장한다. 탄산 칼슘은 이산화 탄소가 녹아 있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수소칼슘2이 된다. 물에 이산화 ..

티탄, 티타늄, 타이타늄(Titanium), 광촉매, 항공기, 스마트폰, 안경, 초소성(Superplasticity)

22 Ti 타이타늄·티타늄 / 티탄 / Titanium / Titan분류전이 원소상태고체원자량47.867밀도4.506 g/cm3녹는점1668 °C끓는점3387 °C용융열14.15 kJ/mol증발열425 kJ/mol원자가4이온화에너지658.8, 1309.8, 2652.5 kJ/mol전기음성도1.54전자친화도7.6 kJ/mol발견W. Gregor (1791)CAS 등록번호7440-32-6 티타늄 원소기호 Ti, 원자번호 22. 티탄 혹은 티타늄. 대한화학회에서 권장하는 이름은 타이타늄(Titanium)이다. 영어 발음은 타이테이니엄. 한자로는 鈦(钛 - 티타늄 태)로 쓰고, 중국어 발음은 타이(tài). 어원은 그리스어로 거인을 뜻하는 티탄(titan). 결정구조는 육각 밀집 결정이며, 공간군은 P63/mm..

해무(海霧), 4월~6월, 바다안개, 찬 공기, 따뜻한 해수 위, 물의 냉각 효과, 안개(Fog)

해무(海霧) 바다 위 수면 부근에서 발생하는 안개를 말한다. 영어로 'Sea fog' 또는 'Marine layer'라고 칭한다. 주로 4월~6월에 많이 발생하며, 해무가 심하면 시야 확보가 매우 힘들어져서 운항 중인 선박에 큰 위협요소로 작용한다. 비단 해상 위의 문제뿐만 아니라 연안 지역 및 섬 지역의 해무도 문제가 된다. 이를테면 해상 및 해안 경계 작전에 만전을 기해야하는 서해 5도(연평도와 백령도, 행정구역상의 옹진군 부속도서들.)의 경우에는 1년 사시사철 해무가 심하고, 특히 봄, 여름 시즌에는 오전과 밤중에는 가시거리가 심각할 때면 1m 이내이기 때문에 경계 작전에도 많은 문제가 있으며, 실제로 과거 몇십년 전에는 해무를 틈탄 소규모 상륙도발이 우도에서 벌어졌었다. 또한 주로 서풍이 불때 나..

유모목, 有毛目, Pilosa, 아메리카, 개미핥기, 나무늘보

유모목(有毛目, Pilosa) 태반류 포유류의 일종으로, 현재는 아메리카에만 살고 있다. 신생대에 멸종된 땅늘보를 포함하여 개미핥기와 나무늘보가 있다.하위 분류개미핥기아목 (Vermilingua)애기개미핥기과 (Cyclopedidae)애기개미핥기속 (Cyclopes)큰개미핥기과 (Myrmecophagidae)큰개미핥기속 (Myrmecophaga)작은개미핥기속 (Tamandua)나무늘보아목 (Folivora)세발가락나무늘보과 (Bradypodidae)세발가락나무늘보속 (Bradypus)두발가락나무늘보과 (Megalonychidae) : 두발가락나무늘보와 멸종된 나무늘보두발가락나무늘보속 (Choloepus)땅늘보과 (Megatheriidae) †† Mylodontidae† Orophodontidae† Sce..

나무늘보, 생존, 환경 적응, 신진대사 낮게 진화, 맛이 없다, 유모목

나무늘보Sloth 학명Folivora 계동물계(Animalia)문척삭동물문(Chordata)강포유강(Mammalia)목유모목(Pilosa)아목나무늘보아목(Folivora)과세발가락나무늘보과(Bradypodidae)두발가락나무늘보과(Choloepodidae)  포유강 유모목 나무늘보아목에 속하는 동물들의 총칭. 한국어는 나무와 느림보를 뜻하는 늘보의 합성어인 나무늘보, 북한에서는 게으름뱅이라고 하는, 그야말로 이름이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동물. 영어로는 Sloth(나태), 일본어 なまけもの(樹懶)나 프랑스어 Paresseux, 독일어 Faultiere, 네덜란드어 Luiaards, 스페인어 Perezoso도 마찬가지로 나태함이나 게으름뱅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리고 러시아어에서는 ленивый(게으르다..

희토류, 원소, 디스프로슘, 네오디뮴, Rare-earth element

희토류 원소 稀土類元素 / Rare-earth element 주기율표상 3족인 원자번호 21번 스칸듐(Sc), 39번 이트륨(Y) 및 란타넘족(57번 란타넘(La) ~ 71번 루테튬(Lu)), 총 17종류 원소의 총칭이다. 란타넘에서 사마륨까지의 6원소를 세륨족 원소, 유로퓸에서 루테튬까지와 이트륨·스칸듐을 합친 11원소를 이트륨족원소라고 한다. 모두 희유원소에 속하며, 프로메튬은 방사성원소로 안정동위원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원자번호가 홀수인 것은 짝수인 것에 비해 존재량이 적다. 그런데 이름과는 달리 매장량 자체는 매우 풍부하다. 백금족 원소, 금, 은, 구리, 붕소, 카드뮴, 수은, 인듐, 셀레늄, 텔루륨, 안티모니, 비스무트, 아이오딘보다 풍부할 정도. 단지 한 곳에 집중된 광맥을 찾기 어렵고..

데니소바인, Denisovan, 알타이산맥 데니소바

데니소바인(Denisovan)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살던 화석 인류의 하나로서 2008년 7월에 시베리아의 알타이산맥에 위치한 데니소바 동굴에서 41,000년 전의 손가락뼈와 어금니 화석이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43만년 전부터 2-3만년 전 경까지 시베리아와 우랄 산맥, 알타이산맥,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생존했다고 추정된다. 현생인류 및 네안데르탈인,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등과는 별도로 생존했던 고생인류의 일종으로,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치아 화석 및 다리뼈 화석,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일부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개요2008년 7월, 시베리아의 알타이산맥에 위치한 데니소바 동굴에서 30~50세 가량으로 추정되는 손가락뼈, 치아 화석 및 다리뼈 일부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

철, Fe, 鐵, Iron, 가장 무거운 물질, 가장 흔한 금속, 전체 질량의 32%, 동물의=녹슨 쇳물

Fe 철, 鐵, Iron분류전이 원소상태고체원자량55.845밀도7.874 g/cm3녹는점1538 °C끓는점2862 °C용융열13.81 kJ/mol증발열340 kJ/mol원자가3이온화에너지762.5, 1561.9, 2957 kJ/mol전기음성도1.83전자친화도15.7 kJ/mol발견? (5000 BCE 이전)CAS 등록번호7439-89-6이전 원소망가니즈(Mn)다음 원소코발트(Co) 4주기 8족에 위치하는 금속 원소. 융점(녹는점)은 상압에서 1538℃, 결정구조는 체심입방결정이며 공간군은 Im3m 산화수는 2+, 3+로 알려져 있는데, 각각 판이한 특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서 산화철(II)(FeO)는 검은색, 산화철(III)(Fe2O3)은 붉은색을 띤다. 자연 상태에서는 철광석의 형태로 존재하..

소행성대, 화성 목성 사이, 100,000개, Asteroid belt

소행성대, Asteroid belt      소행성대(小行星帶, Asteroid belt)는 태양계의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한 원반 모양 영역으로, 흔히 소행성이나 소행성체라고 칭하는 작고 불규칙한 고체 천체로 이루어져 있다. 간혹 근지구 소행성이나 트로이군과 구별하기 위해, 소행성대를 주 소행성대(Main Asteroid belt 또는 단순히 Main belt)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행성대 질량의 절반가량은 1 세레스, 4 베스타, 2 팔라스, 10 히기에이아가 차지한다. 또한, 소행성대 전체의 질량은 달의 4%가량이다. 소행성대의 천체 중 유일하게 왜행성 자격을 받은 세레스의 지름은 약 950 km이고, 베스타, 팔라스, 히기에이아는 지름이 600 km 미만이다. 다른 소행성의 크기는 먼지 입자 정..

마그마 바다, magma ocean, 초기 지구

마그마 바다, magma ocean   지구 탄생 직후의 지구는 바깥부분이 거의 완전히 녹은 상태를 경험하게 되면서 성장한다. 이렇게 바깥부분이 거의 완전히 융해된 상태를 마그마 바다라고 한다. 지구의 나이는 46억 년이라고 알려져 있다. 원시 태양 주위에 있던 암석 종류와 철, 니켈 등의 금속성분이 공전하면서 합쳐서 미행성이 되고, 엄청난 수의 미행성이 충돌하고 합체하여 원시 지구를 탄생시켰다. 탄생 직후의 지구는 바깥부분이 거의 완전히 녹은 상태를 경험하게 되면서 성장한다. 이렇게 바깥부분이 거의 완전히 융해된 상태를 마그마 바다라고 한다. 깊이 수백㎞의 마그마 바다를 이루었을 때 수증기가 두꺼운 구름층을 만들었고, 미행성의 충돌이 잠잠해지면서 마그마 바다는 냉각하기 시작하고 얇은 지각이 형성되었다...

태양계 기원설, 미행성 응집설(현대 성운설), 조석설

태양계 기원설Formation hypothesis of the Solar System  태양계의 기원과 그 형성 과정에 대한 천문학계의 가설을 말한다.  예로부터 태양계의 형성에 대해서는 수많은 가설이 존재했다. 대표적인 가설로는 성운설, 와동설, 조석설, 미행성 응집설(현대 성운설) 등이 있다. 성운설은 성운이 수축되어 태양계가 형성되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 가설은 오늘날 태양의 느린 자전을 설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와동설과 조석설은 모두 태양에서 떨어져나온 물질이 태양계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두 가설 모두 태양에서 떨어져 나온 물질은 행성으로 성장하기 전에 증발하므로 행성이 만들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태양계의 여러 특징을 비교적 잘 설명해 ..

암석권, 암권, 리소스피어, lithosphere

암석권岩石圈lithosphere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각 표층부를 말하며 암권, 리소스피어라고도 한다. 지각과 상부맨틀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다. 암석권은 지각과 상부 맨틀을 포함하는 두께 100km 내외의 암권으로 판( 板 plate)을 말한다. 대륙 지각은 평균 밀도 2.7g/cm3 의 화강암질 암석으로, 해양 지각은 평균 밀도 3.0g/cm3 의 현무암질 암석으로, 상부 맨틀의 암석권은 약 100km 깊이까지 평균 밀도 3.3g/cm3 의 감람암질(橄欖岩質) 암석로 되어 있다. 대륙 지각의 두께는 평균 30∼40km(큰 산맥 밑에서는 50∼70km)이고, 해양 지각의 두께는 5∼6km이다. 이렇듯 암석권내에서는 밀도가 큰 물질이 아래에 밀도가 작은 물질이 위에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암권(岩圈)을..

판 구조론, 판의 경계

판구조론 판 구조론(板構造論, plate tectonics)은 대륙 이동을 설명하는 지질학 이론이다. 판구조론은 '대륙 이동설'을 설명하는 것으로부터 발전해 왔으며 현재 이 분야의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판 구조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판 구조론에 따르면 지구 내부의 가장 바깥 부분은 암석권(lithosphere)과 연약권(asthenosphere)의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석권은 지각과 식어서 굳어진 최상부의 맨틀로 구성되며, 그 아래의 연약권은 점성과 유동성이 있는 맨틀로 구성된다. 수백만 년 이상의 시간 동안 맨틀은 극도로 점성이 높은 액체와 비슷한 행동을 보이지만, 지진파의 전파와 같이 짧은 시간 동안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서는 탄성체와 같은 행동을 보인다. 암석권은 연약권 위에 떠 있다. 암석권은..

플룸 구조론, Plume Tectonics, 아시아 플룸 하강류, plume, 큰 깃털, 뜨거운 플룸(플룸 상승류)

플룸 구조론Plume Tectonics / 構造論 plume n, (large feather), 큰 깃털  1990년대에 발전한 지구 단층촬영(tomography)으로 얻은 지구 내부의 3차원 구조를 해석하면서 만들어진 이론이다. 플룸 구조론은 플룸의 상승이나 하강으로 지구 내부의 변동이 일어난다는 이론으로 판 내부의 대규모 화산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했다. 판구조론은 화산활동을 지구 표층 운동으로 한정시킨다는 점, 맨틀 대류설로는 일부 판의 이동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을 플룸 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플룸 플룸은 지각에서 맨틀 하부로 하강하거나 맨틀과 핵의 경계에서 지각으로 상승하는 폭이 100km 미만인 원기둥 모양의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을 말한다. 플룸은 뜨거운 플룸과 차가운 플룸으로 구별된..

부생식물, saprophyte ,腐生, 기생식물, parasitic plant, 寄生

부생 - 사체의 분해작용기생 - 생체의 분해작용 부생식물saprophyte腐生植物 동ㆍ식물의 죽은 사체나 배설물 또는 이들이 분해되어 생긴 유기물을 양분으로 하여 살아가는 식물을 말한다. 죽은 식물에 의지하여 살므로 사물기생식물이라고도 한다. 독립적으로 양분을 조달하지 못하는 종속영양식물로써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부생식물은 고사체 중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무기물화하므로 부생식물은 자연계에서 생물공동체의 물질순환상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고등식물 중에서는 초종용, 개종용, 수정란풀, 구상난풀, 무엽란 등이 있다.  기생식물parasitic plant寄生植物 기생생활을 영위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특히 기생생활에 적응된 특별한 분화를 보이는 유관속 식물이다. 예: 새삼, 겨우살이, ..

빙하기, ice age, 빙기(glacial), 간빙기(interglacial), 밀란코비치 이론

빙하기, 氷河期, ice age 지구의 기온이 오랜 시간 동안 하강하여 남북 양극과 대륙, 산 위의 얼음층이 확장되는 시기를 의미한다. 빙하학적으로는 빙하기라는 말은 남반구와 북반구에 빙상이 확장한 특정 시기를 의미하며, 이 정의에 의하면 그린란드와 남극의 빙상이 존재하는 현재도 지구는 빙하기에 있는 것이다. 과거 수백만 년 전의 빙하기는 일반적으로 북아메리카와 유럽 대륙으로 빙상이 확대된 한랭기를 가리킨다. 아시아 지역은 빙상이 발달하지 않았고 한랭 지대가 확장된 것 같다. 이런 의미에서 마지막 빙하기는 10,000년 전에 종료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약 1만 년 전에 끝난 빙하기를 마지막 빙하기로 표현하고 있지만, 과학자의 상당수는 '빙하기'가 끝난 것이 아니라 '빙기'가 끝났다고 생각하며, 현재를 《..

밀란코비치 주기, 지구 궤도 및 축 기울기의 변화, 이심률

밀란코비치 이론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지구 자체 운동의 집합적인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구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의 기술자이며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밀루틴 밀란코비치(1879년 5월 28일 - 1958년 12월 12일)의 이름이 붙여졌으며,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억류되어 있는 동안 이 이론을 연구하였다.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과 자전축 경사의 변화, 세차운동이 지구의 기후 변화 패턴을 결정한다는 수학적인 가설을 세웠다. 지구의 자전축은 도는 팽이처럼 요동을 하면서 약 26,000년마다 한 바퀴 세차운동을 한다. 한편 지구의 타원 궤도의 축도 반대 방향으로 훨씬 서서히 회전한다. 이러한 운동들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23,000년 주기로 서서히 이동시킨다. 또한 황..

균류, 균계, 菌界, 부생, 체외소화

균계(菌界, Kingdom Fungi)  부생 - 사체의 분해작용기생 - 생체의 분해작용  균계는 진핵생물을 분류하는 생물계의 하나로, 이 가운데 오피스토스포리디아 분류군(Opisthosporidia)에 속하면서 아펠리디움문(Aphelidiomycota)이 아닌 것을 가리켜 진균류(眞菌類, Eumycota) 또는 곰팡이류라고도 부른다. 버섯과 곰팡이는 대표적인 균류 생물이다. 이들은 일견 식물이나 원생생물, 또는 세균과 혼동되기도 하나, 한때 동물 취급받던 아메바보다 동물에 가까운 생물이다.균계는 동물계, 식물계와 함께 생태계의 한 축을 이룬다. 생물은 양분을 얻는 방법에 따라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식물은 광합성을 해서 스스로 몸에 필요한 양분을 만들어 살아..

탄성 한계, Elastic limit, 탄성한도

탄성 한계Elastic limit 물리학의 법칙이자 용어. 모든 물체는 정해진 탄성의 한계가 존재하며 그 한계를 넘는 힘이 가해질 경우 그 물체가 지닌 탄성의 힘은 소멸된다는 물리학 법칙. 또는 그 한계.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그 힘을 없애면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힘의 범위를 말하며 탄성한도라고도 한다. 외부의 힘을 받아 생긴 변형이 탄성한계를 넘어서면 외부의 힘을 없애더라도 완전히 본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 변형된 상태로 남게 되며 이를 소성변형이라고 한다. 탄성한계는 탄성한도(彈性限度)라고도 한다. 물체에 외부의 힘을 가하면 물체가 변형되고, 어느 정도까지 외부의 힘을 가한 뒤 그 힘을 없애면 물체는 본래의 형태를 다시 회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과 고무는 길게 당기면 후크의 ..

대지구대(大地溝帶), Great Rift Valley, Rift, 협곡, 요르단강, 사해, 홍해, 킬리만자로

대지구대(大地溝帶)  Rifta large crack in the ground or in rock협곡Great Rift대협곡특히 동아프리카를 가로지르는 지질학적 특징을 지칭할 때 사용 Great Rift Valley 시리아의 요단 골짜기에서 아프리카의 동쪽으로 이어지는 거대한 틈새 지대서아시아의 시리아 북부에서 동아프리카의 모잠비크 동부에 걸쳐 아프리카 대륙의 동쪽을 따라 5000 km를 발달한 지구대 지구대는 레바논산맥과 안티레바논산맥 사이에 있는 레바논의 베카 계곡에서 시작한다. 남쪽으로 이스라엘에 이르면 갈릴리와 골란고원을 나누는 훌라 계곡이 된다. 남쪽으로는 사해로 흘러드는 요르단강이 있다. 사해를 지나면 아라바 계곡과 아카바만을 지나 홍해에 이른다. 탄자니아 킬리만자로산 인근의 그레이트 리프트 ..

대륙 갈라지는 이유, 융기

융기(隆起, uplift)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어떤 지역의 땅덩어리가 주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일을 말한다. 융기와 반대로 땅이 주변보다 낮아지는 현상은 침강이라고 한다. 융기와 침강은 연약권 위에 떠 있는 암석권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육지에 커다란 빙하가 있을 때 온도가 올라가면 빙하는 모두 녹아버린다. 녹아버린 빙하 때문에 그 지역의 밀도는 낮아지게 되고 밀도가 낮아지면 평형을 맞추기 위해 그 지역은 융기하게 된다. 이런 융기와 침강이 나타나는 이유는 크게는 조륙운동과 조산운동이 있다. 조륙운동과 조산운동으로 암석권은 변형한다. 이때 받는 압력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은 융기하고 일부 지역은 침강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 말고도 해수면의 변화에 의해서도 생긴다. 주변의 해..

아라비아판(Arabian Plate), 홍해 열곡대, 홍해, 1천만년 아프리카판 아라비아판 이동 결과

아라비아판(Arabian Plate) 100만년 이상 북동쪽으로 움직여 유라시아판과 충돌한 3개의 해양(아프리카판, 인도판, 아라비아판)의 하나이다. 이러한 충돌의 결과로 서쪽의 피레네산맥에서부터 남유럽과 중동을 거쳐 히말라야산맥 및 동남아시아에 이르는 산맥이 형성되었다.  아라비아판은 대부분 아라비아반도로 이루어져 있고 북쪽은 터키에 이른다. 동쪽은 인도판, 남쪽과 서쪽은 홍해 지구대를 따라서 소말리아판과 아프리카판, 북쪽은 아나톨리아판 및 유라시아판과 접한다. 아라비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는 곳에는 자그로스산맥(이란)이 형성되어 있다. 홍해 열곡대 발산형 경계인 북서 30° 주향의 홍해 열곡대에 의해, 후기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아라비아-누비아 순상지(Arabian-Nubian Shield)는 아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