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고려 57

공무원 한국사, 테마 분류, 고려 #01

● 고려 개관 구분 고려 전기 고려 후기 세분 초기 중기 무신집권기 원간섭기 말기 주도세력 호족 문벌귀족 무신세력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시대성격 자주적 보수적 자주적 보수적 진취적 대외관계 송ㆍ거란 요ㆍ여진 몽고 원 홍건적ㆍ왜 ● 태조 왕건 4대 정책 * 훈요10조(후대왕이 지켜야할 유훈) / 신하의 도리(정계1권ㆍ계백료서 8편) ① 민족융합: 정략결혼,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사성정책, 역분전 지급 *분사제도는 성종 ② 북진정책: 국경선(청천강~영흥만), 발해유민포용, 국호“고려”, 만부교(對 거란), 서경 중시 ③ 숭불정책: 팔관회ㆍ연등회 등 불교장려 *유교는 성종 ④ 애민정책: 조세경감(1/10), 흑창 * 진대법(2C,고국천왕) → 흑창(태조) → 의창(성종) → 의창ㆍ사창(세종) → 사창제(대원군..

고려 불교, 지눌, 의천, 혜심, 요세, 천태종, 조계종 [고려 #16]

● 고려 불교와 귀족사회 ▪공덕(功德) 사상 : 국가나 개인의 현세에 있어서의 행복을 좌우하는 현세 이익의 종교로 인식 → 많은 사찰과 불교행사 ▪上元(1월 15일)의 연등회, 仲冬(11월 5일)의 팔관회 - 祈福道場(국왕 생일), 忌辰道場(국왕의 기일), 석가탄신일 법회(4월 8일), 菩薩戒道場(6/15,국왕의 보살계), 㿻蘭盆道場(7/15, 부모 명복), 除夜道場(12/30), 仁王會(국가의 평안 기원) ▪과거제도에 승과제도 창설 - 敎宗選(승통), 禪宗選(대선사) ▪役의 의무에서 면제 → 승려의 수 늘어남 ▪사원전 - 면세의 특권, 경제적으로 부유 → 佛寶·장생고 운영, 상업·양주·목축 시행 ⇨ 승병 양성(재산보호 목적) → 정치적 간섭 ● 고려 불교 정책 (초기 국가 지원, 사원에 특혜, 승병 조..

고려 왕 업적 두문자 암기

고려 왕 10c 태광경성 11~2c 현문숙예인 13c 의명고 14c 충충공 태조왕건 광종 경종 성종 현종 문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고종 충렬왕 충선왕 공민왕 고려 광종 - 광노(안)과 공복 주제(에) 송광풍 여사 광 광종 노 노비안검법 과 과거제도 공복 백관의 공복(자.단.비.녹) 주 주현공부법 州縣貢賦法 제 제위보濟危寶 송 송과외교 광 광덕 풍 준풍 여 균여 사 귀법사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문종 - 경동 나비엔 남대문 기사 경 ..

교관겸수(敎觀兼修), 의천

교관겸수(敎觀兼修) 고려시대 승려 대각국사 의천이 교리체계인 교와 실천수행법인 지관을 함께 닦아야 한다고 주장한 불교교리. 고려시대의 선종(禪宗)은 태조의 옹호를 받아 그 세력을 떨쳤으나, 현종 이후에는 화엄종·법상종(法相宗) 등의 교종이 세력을 얻어 선종에 대항하였으며, 서로의 장점을 주장하면서 타종을 배척하기에 이르렀다. 의천은 원효(元曉)의 화쟁사상(和諍思想)과 송나라 고승 정원(淨源)과 징관(澄觀)의 천태지관(天台止觀)에 영향을 받아 학문에 있어서의 편견을 경계하고 종파의 대립을 개탄하였다. 『법화경』의 회삼귀일(會三歸一)을 국가의 통화와 민족적 이념에 합치시켰으며, 이론적으로는 화엄종의 일승(一乘)과 천태종의 일승이 우주와 개인, 전체와 개체를 따로 보지 않는 점에서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고 하..

팔관회, 훈요10조, 시무28조, 팔관회에 대한 입장

팔관회에 대한 입장 훈요10조 : 긍정 시무28조 : 부정 팔관회(八關會)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 외국 상인에게 무역의 장이 되기도 하였다. 《중아함경(中阿含經)》 제55권 에 나오는 팔관법(八關法)에 의거한 불교 법회로 신라 진흥왕 12년[1][2](551년)에 팔관지법(八關之法)을 둔 것이 처음이다.[2] 그 후 전사한 병사들을 위하여 외사(外寺)에서 열린 때도 있듯이 처음에는 각 사원을 중심으로 개설되었지만 고려 때에는 국가 행사로 바뀌었다. 고려 태조 때 중요성이 강조되어 성종(成宗) 때를 제외하고는 연등회와 함께 국가의 2대 의식의 하나가 되었다 팔관회는 음력 11월 15일과 음력 10월에 개경과 서경에서만 행했는데, 불교적인 색채는 거의 띠지 않았고, 천령(天靈..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두문자 암기, 최승로, 최충, 이제현, 7재, 안향, 백이정, 이제현, 이색

고려 유학의 발달 연대 암기 과거급제 큰오빠 958 전시과거치유 976 12목 급하삼 983 국자없어 국굶니 992 강동6주 나주세 993 강조천국 1009 윤여정 천백번칠 1107 이자겸 이리욕 1126 서경천도 천백삼호 1135 삼국사기 천배사오 1145 무신마 천한직공 1170 금속활자 순서대로 1234 제왕운기 이리바치 1287 만권책 천성신사 1314 두문자 암기 ●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 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최승로 시무28조 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 예종 - 얘 7재야(양) 감(..

최승로 시무 28조 - 고려 성종 유교 정책

●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 한국은행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최승로시무28조 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고려 성종 정책 유교의 정치 원리를 바탕으로 고려의 상황에 맞는 정치 제도를 만들었음 나랏일은 관리들의 충분한 의논을 거친 뒤 왕의 허락을 받아 이루어졌음 왕 역시 외교나 군사, 관리 임명 등을 처리할 때 관리들의 생각을 물어 나라의 일을 같이 하였음 최승로 시무 28조 1. 최승로 경주 출신의 유학자로, 12세 때 태조 앞에서 를 읽고 칭찬받았을 정도로 천재성을 보였다고 함 2. 시무 ..

고려의 불교문화, 고려의 석탑과 불상, 고려청자

고려의 불교문화 1. 불교의 발전 ▶ 사찰건립, 불교행사(연등회, 팔관회), 대장경간행, 국사·왕사제도, 승과설치(광종) 2. 고려 불교의 변화 ▶ 무신 집권 이후 교단 분열, 불교계 타락 → 결사 운동 전개 의천 천태종 창시(교종 중심으로 선종 통합) → 원 간섭기 이후 결사 운동 쇠퇴 → 불교의 세속화와 타락 심화 지눌 조계종 창시(선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 수선사 결사 운동 3. 성리학의 도입 ▶ 신진 사대부가 개혁 사상으로 수용(권문 세족의 부패 및 불교의 폐단을 비판) 불교 예술의 발전 불교 예술 사경(불경을 베껴 적고 내용을 요약한 그림을 넣은 것), 불화(주로 귀족들이 향유, 금가루가 많이 사용됨), 쇠로 만든 철불과 거대 석불(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제작 석탑 평창 월정사 8각..

고려 귀족 문화의 발달 - 유학과 역사서, 불교, 과학 기술, 건축, 석탑과 불상, 자기

유학과 역사서, 불교의 발달 구분 유학 역사서 불교 초기 자주적 성격(최승로 등) 정치와 교육의 기본 바탕 7대 실록, 고금록 등 국가 정책적 지원:승과 제도, 사원전 지급, 승려에 면역 혜택 중기 보수적∙사대적 성격 최충의 문헌공도, 김부식 삼국사기:기전체, 합리적 유교 사관, 신라 계승 의식 반영 의천:천태종 창시, 교종 중심의 불교 통합 운동 전개 후기 성리학의 전래 → 신진 사대부에 의해 수용 자주적 문화 의식 강화:해동고승전, 동명왕편, 삼국유사, 제왕운기 성리학적 유교 사관:사략 지눌:수선사 결사 제창, 선종 중심의 불교 통합 보우:불교 교단 과학 기술 목판 인쇄술(초조대장경, 교장, 팔만대장경), 금속 활자 인쇄술(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 의학(향약구급방), 고려 후기 원의 수시력 사용..

고려 몽고와의 전쟁

고려와 몽고의 접촉 1. 13세기 초 동북아시아의 정세 (1) 몽고 : 징기스칸 1206년 몽고제국 건설 - 금에 압력 (2) 거란 : 금에 약화에 자극 - 요하 상류에 대요수국 건설 (3) 금의 장수 포선만노 : 두만강 유역 - 동진국 2. 거란의 침입과 강동(평양의 동쪽)의 역 (1) 1차 침입 : 제천방면에서 김취려가 격퇴 (2) 2차 침입(1219년 강동의 역) : 고려, 몽고, 동진국이 연합 격퇴 - 결과는 거란인의 집단 거주지인 거란장의 발생과 여 ∙ 몽 협약 체결(이에 따른 무리한 조공문제가 발생하였다) 몽고와의 전쟁 1. 배경 : 넓게는 몽고의 세계정복전의 일환으로 좁게는 동아시아에 대한 지배권 확보책의 하나로 이루어졌다 - 발단 은 고종 12년 고려에 온 몽고 사신 저고여가 과도한 공물을..

고려 대외 관계,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 거란의 침입과 격퇴, 여진정벌과 동북9성

고려 대외 관계의 변천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 1. 국제 정세의 변동 (1) 중국 : 5대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 10국의 분열 시대 ① 후백제 : 거란, 오월, 일본과 연결 ② 고려 ㉠ 태조 : 후량, 후당, 후진과 연결, 후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나주(금성)를 점령 ㉡ 혜종 : 후진과 연결 ㉢ 정종 : 후한 ㉣ 광종 : 후주, 송 (2) 거란의 성장 : 916년 거란의 건국 → 918년 고려 건국 → 926년에 발해를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동단국(東丹國)을 세웠다 → 936년 거란은 후진의 건국을 후원하고 연운 16주를 획득하였다 → 946년 국호를 요로 고쳤다 → 986년 압록강 유역의 정안국을 멸망시켰다. (3) 송의 건국(960, 고려 광종)과 통일(979, 고려 경종) : 연운 ..

최씨 무신정권, 최충헌의 집권

최씨 무신정권 1. 최충헌의 집권 (1) 재추회의 활성화와 교정도감의 설치를 통해 중방을 약화시켰고 선종계통인 조계종을 후원 (2) 시무 10조(봉사10조) : 최충헌이 명종에게 올린 건의안으로 집권 직후에 정치적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되는 것을 왕에게 건의한 것이다. 기만적, 형식적이고 자기모순에 빠져 실시되지는 못하였다. 그 의도는 권력 장악을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당시 고려 사회의 당면 과제를 적절히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권을 확고하게 장악한 뒤에는 그 자신이 잘못되었다고 한 짓을 오히려 거리낌 없이 자행하였다. * 최충헌은 정권을 잡자 무신정권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하여 봉사 10조와 같은 사회개혁 책을 제시하는 한편, 농민항쟁의 진압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사회개혁..

삼국사기, 삼국유사 비교 - 기전체, 편년체, 기사본말체

● 삼국사기 삼국유사 삼국사기 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총50권), 현존 최고 사서,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삼국유사 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총5권),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수,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기전체(본기·세가·지·열전등으로 구분) 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지~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년·월·일 등의 사실을 편술) 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

최치원 시무10조, 훈요10조, 최승로 시무28조, 최충헌 봉사10조

최치원 시무10조 - 신라 하대 - 당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 6두품 최치원, 진성여왕 - ​원문이 정확히 전하지는 않지만, 당시 신라의 폐쇄적 골품제를 비판하고, 과거제 실시와 유교 정치 이념을 수용할 것을 주장 - 당시 최치원을 포함한 여러 6두품들과 선종 승려들이 결탁하여 신라의 체제와 모순들을 비판 - 하지만 시무 10조는 진골 귀족들의 반발로 무산 왕건 훈요10조 - 고려 초기 - 태조 왕건, 박술희,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정책 방향을 제시 - 숭불 정책의 일환으로 연등회와 팔관회를 장려 - 전진 기지로서 서경을 중시하고, 대 거란 강경책을 펴는 등 북진 정책을 강조 - 또한 서경과 차현 이남 공주강 밖을 지적하며 풍수지리 사상을 강조 - 백성의 마음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등의 민생 안정책을 제..

권문세족, 신진 사대부, 신흥 무인 세력

권문세족의 등장 1. 등장 배경 ▶ 원과의 관계를 배경으로 한 세력이 새로운 지배층으로 성장 2. 성장과 폐단 ▶ 음서로 신분 세습, 불법적으로 토지와 노비를 차지, 대농장 경영 3. 폐단 ▶ 세금을 내야할 백성들의 감소, 국가 재정 궁핍, 새로운 관리에게 줄 토지의 부족 4. 개선 노력 ▶ 충선왕·충목왕의 개혁 시도 → 권문세족의 반발로 실패 신흥 무인 세력의 등장 1. 신흥 무인 세력의 등장 ▶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 최영, 이성계 등의 활약 → 이들이 신흥 무인 세력으로 성장 홍건적은 원이 쇠약해진 틈을 타 일어난 한족 농민 반란군으로 고려에 침입하여 수도 개경을 함락시키기도 하였으며, 이에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난을 가기도 하였음 남쪽 해안 지역은 왜구의 침입이 잦아 치안이 극도로 불안하였으며, ..

최충헌, 만적의 난

Q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종 원년 사노비 만적 등이 북산에서 땔나무를 하다가 공사의 노비들을 모아 모의하기를, “우리가 성 안에서 봉기하여 먼저 (가) 등을 죽인다. 이어서 각각 자신의 주인을 죽이고 천적(賤籍)을 불태워 삼한에서 천민을 없게 하자. 그러면 공경장상이라도 우리가 모두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①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② 치안유지를 위해 야별초를 설립하였다. ③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④ 봉사십조를 올려 사회개혁안을 제시하였다. 【해설】 정답 ④ (가) 최충헌은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 ①, ②는 모두 최우에 해당 ● 최충헌(崔忠獻) 조위총의 난 토벌, 강동의 역(1219 몽고와 조공의 약속), 봉사10조, 만적의난, 불교..

고려 사회 동요,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민란

고려 사회 동요 1. 반무신란 (1)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명종 3년, 1173년 계사년) : 문신세력의 반발 (2)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명종 4년, 1174년) (3) 귀법사, 중광사, 흥화사, 흥왕사, 왕륜사, 경복사 등 교종계통의 반발 : 왕실과 문신귀족은 교종과 본래부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무신정권 때 문신의 도피처가 되어 무신에 반발하였다 - 최충헌은 정책적으로 선종계통인 조계종을 후원하였다. 2. 민란 (농민과 천민의 난) (1) 민란의 배경 (사회, 경제적 모순) ① 전통적인 신분질서가 와해되면서 피지배층의 사회의식이 크게 성장하였다. ② 무신들은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주요 관직을 독차지하고 토지와 노비를 늘려 나갔다. 또한 저마다 사병을 길러 권력쟁탈..

고려 무신정변

무신정변 1. 무신난의 선구 : 현종 때 김훈, 최질의 난 2. 배 경 (1) 근본적 : 문벌 귀족사회의 모순에 의한 지배체제의 동요와 지배층 내부의 갈등 심화 - 귀족층 내부의 권력투쟁과 부패, 숭문천무정책, 군인들의 열악한 처지, 의종의 향락과 실정, 이자겸 난 이후 지배층의 분열과 농민수탈의 강화 등이 깔려 있었다. (2) 귀족사회의 수탈체제에 신음하던 피지배층의 광범위한 지지와 성원 : 11세기 후반 이후 문신귀족들의 토지점탈과 농민에 대한 과중한 수취에 의한 농촌사회의 동요 그리고 12세기 전후 지배층 내에서 여러 가지 개혁책들이 구상되었으나 그에 대한 대응의 한계 - 유신 15조(인종, 이자겸 난 뒤 서경에서), 신령 9조(의종, 서경에서) 등에서 토지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다든지, 불교나 도참..

이자겸의 난, 문벌 귀족사회 모순, 서경 천도론 대두

이자겸의 난 1. 배 경 (1) 외척에 의한 왕권 약화 (2) 문벌귀족의 형성 : 국초에는 극단적인 근친혼이 실시되었으므로 외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점차 국왕이 왕족 이외의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게 되면서 외척과 문벌이 형성되었다. ① 안산 김씨(김은부) : 현종~문종에 이르기까지 4대 50여 년간 욍실 외척으로서 득세 ② 경원 이씨(이자연~이자겸) : 문종~인종 대까지 10여대에 걸쳐 5명의 수상과 20명에 가까운 재상을 배출하여 史書에서는 이 집안을 해동갑족(海東甲族)이라 표현하고 있다. ③ 기타 : 경주 김씨(김부식), 강릉 김씨, 광양 김씨, 남평 문씨, 청주 이씨, 수주 이씨, 정안 임씨, 해주 최씨(최충), 수주 최씨, 파평 윤씨(윤관) (3) 문벌 귀족사회의 모순 : 측근세력과 문벌 귀..

고려 군사제도

고려 군사제도 1. 군사제도의 성격 (1) 중앙군과 지방군의 이원 조직으로 구성되어 남방의 주현군과 북방의 주진군은 그 병종이나 군사조직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2) 군인은 군량과 무기, 피복 등 군역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마련하였다. (3) 군인들의 지휘관격인 무신이 제도 면에서나 출신성분 면에서 문신보다 하위였다 : 무신의 최고위인 상장군이 정3품에 불과하며, 무반은 재상이 될 수 없는 것이 원칙이었다. 무반을 3품에 묶어두었다는 것은 결국 문반만이 재상이 되어 가장 중요한 정책에 대한 최종적 결정권을 가질 수 있었다는 뜻이 된다. 무신들 중에는 노비나 농민출신들도 있었다. 2. 무신합좌기구 : 중방(重房), 장군방(45령, 1령 천명, 정4품의 장군), 낭장방(정5품의 낭장),..

고려 지방제도

고려 지방제도 1. 정비 과정 (1) 태조 ① 호족 지배력이 강한 주현지역과 군사상 요충지역인 진 ∙ 도호부(전주에 안남도호부 설치) ∙ 도독부 지역, 그리고 왕실세력의 기반이 되는 지역인 서경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었다. ② 군사적 특수지역 외에 중앙에서 외관을 파견한 지방통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조부(組賦)의 수취와 운송을 위해 임시로 파견되는 조부의 징수와 보관을 담당하는 조장(租藏), 금유(今有)라는 사자, 조부를 개경으로 운반하는 전운사, 양전사 등 부세 수취를 위한 사행관(使行官)을 파견하는 정도였다. (2) 성종 ① 양계에 병마사가 설치 : 성종 8년에 그 존재가 확인된다 - 병마사는 외직으로 이는 5도 안찰사제 성립보다 크게 앞서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안찰사와 병마..

고려 중앙 관제

통치조직의 정비 중앙의 관제 1. 고려의 중앙관직 체계 (1) 실직(實職)과 산직(散職) : 실직은 직사(職事)가 있는 관직이고, 산직은 직무를 보지 않는 관직으로 검교직과 동정직 고려후기 공민왕 때 설치된 첨설직 등이 있다. ① 청요직(淸要職, 맑고 긴요한 관직)과 관직(館職) : 관직의 중요성과 성격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은 모두가 과거 급제자만이 진출할 수 있는 임로(任路)였다. ㉠ 청요직(淸要職 : 대간직, 정조(正曺, 문무인사를 관장한 이부와 병부의 관직), 학사(學士)와 지제고(知制誥)를 말한다. 학사와 지제고는 문한관(금내 6관)을 말한다. ㉡ 관직(館職) : 예문관(한림원)과 시정의 기록을 관장한 춘추관(사관)의 관직을 말한다. ② 문한직으로 금내(禁內) 6관 : 한림원(일명 옥당, ..

고려 현종 (1009~1031년), 팔관회, 군현제, 면군급고법, 주창수렴법, 주현공거법, 정종, 문종

고려 현종 (1009~1031년) 1. 제도 정비 (1) 팔관회 ∙ 연등회 부활, 2군(목종과 현종의 두 설)과 주현군이 설치되었다. (2) 경기가 설치되고 군현제가 완성되었으며, 주 ∙ 부 ∙ 군 ∙ 현의 향리의 수가 정해졌다. (3) 면군급고법(免軍給告法) : 노부모가 있는 정남의 군역 면제 또는 외직을 피해주었다. (4) 주창수렴법과 의창수렴법 : 현종 14년에 기금의 확보책으로 모든 전정(田丁)은 지목(地目)과 넓이에 따라 의창미를 납부토록 제도화하였다. (5) 주현공거법 : 향리 자제의 과거시험 허용 2. 거란 침입 전후 대책 : 감목양마법, 개경에 나성 축조, 7대 실록, 초조대장경 정종 (靖宗, 1034~1046년) 1. 경행(經行)의식 : 승려가 백성의 복을 빌기 위해 거리를 순행하면서 반..

고려 성종 (981~997년) : 유교 정치이념의 확립과 거란의 1차 침입 격퇴, 목종 (997~1009년) 개정전시과, 음서제도

고려 성종 (981~997년) : 유교 정치이념의 확립과 거란의 1차 침입 격퇴 1. 광종 전 ∙ 후의 정치적 혼란에 새로운 정치 질서 필요 : 개혁 정치의 주도세력은 신라 6두품 출신 * 유교 정치이념 : 제왕의 권위를 뒷받침하고 정치와 법제를 설명하는 정치이념으로 왕도사상과 충효사상을 기본으로 한다. 仁과 德에 바탕을 둔 정치를 통해 민생안정을 이루어야 한다는 왕도사상은 위정자들의 도덕적 책임의식을 일깨우는 기능과 국가통치의 억압적 성격을 합리화하는 기능을 하였다. 충효를 바탕으로 모든 인간관계에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 대한 복종을 도덕적 의무로 가르치는 충효사상은 군주를 정점으로 하는 중앙집권국가와 신분제적 사회질서의 유지에 기여하는 정치이념이었다. 2. 김심언 : 설원(說苑)의 6정(正) 6사(邪)..

고려 광종 (949~975년) : 왕권강화, 국가기틀 마련, 962년 송과 수교, 경종, 시정전시과, 공신계열의 반동 정치

고려 광종 (949~975년) : 왕권강화와 국가기틀 마련과 962년 송과 수교 1. 국가기틀 마련과 왕권강화 정책 : 신진관료 양성을 통한 왕권강화와 국가기반 확립 (1) 개혁정치의 주도세력 : 개국공신계열의 대립된 지방의 군소 호족세력(비 공신계열), 이들은 과거를 통하여 관계에 진출한 신진관리들과 쌍기 등 중국의 귀화인, 가문의 기반이 없는 사람들 이었다 - 광종은 준흥(大相), 왕동(佐丞) 등 구신(舊臣), 숙장(宿將)들을 숙청하였다. (2) 순군부(巡軍部)를 군부(軍部)로 개칭하여 국왕의 병권 장악과 그 조직과 기능을 강화하였고, 내군(內軍)을 장위부(掌衛部)로 개편하여 중앙의 시위군을 강화하였다. (3) 자주성과 왕실의 위엄 과시 : 황제, 연호(광덕, 준풍), 개경(황도), 서경(서도) (4..

고려 혜종, 정종, 왕규의 난

혜종 (943~945년) : 왕규의 난 1. 태조 사후 왕규의 난 등 외척들의 왕위쟁탈전이 발생 (1) 배경 : 호족의 통합과 단결을 위한 결혼 정책의 부작용, 왕자와 왕녀들의 근친혼으로 인한 호족세력의 이해관계, 서경을 거점으로 한 서경세력의 형성 그리고 후삼국통일정책의 수행과정에서 왕권이 약화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왕과 왕자들의 모후인 태조의 후비 및 그들과 연결하여 호족세력들이 왕권 다툼에 직접 관여하였다. (2) 결과 : 혜종은 재위 2년 만에 의문의 최후를 맞이하였다. 이와 아울러 혜종의 충실한 후견인이었던 박술희도 왕위쟁탈의 과정에서 살해당하고 말았다. 정종 (定宗, 945~949년) 1. 왕규의 난을 진압(945) : 추대 형식으로 혜종의 뒤를 이어 제 3대 왕이 된 정종은 혜종의 이복동생으로..

고려 태조 (918~943, 천수), 훈요 10조, 호족 통합 정책,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북진 정책

고려 태조 (918~943, 천수) 1. 중앙집권 정책 : 왕권과 호족세력의 균형 유지(상호 결속 및 견제) (1) 훈요 10조 :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정책 방향을 제시 (2) 서경 경영 : 고려 왕실의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육성하였다. (3) 토성의 분정과 본관제 : 토성(土姓)을 분정하고 직역을 고정시킴으로써 지배층을 확정하고 본관제(本貫制)에 입각한 향촌 사회 통제책을 마련하였다. (4) 호족 통합 정책 : 결혼 정책(왕건은 모두 6왕후 23부인), 사성(賜姓)정책(의제가족제:擬制家族制), 기인제도와 사심관제도 - 지방의 중소 호족들에게는 향촌 사회에서의 지배권을 부분적 인정해 주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 호족들을 견제하고 지방 통치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심관제도와 기인제도를 활용하였다...

고려의 건국, 왕건의 등장, 후삼국의 통일, 중세 사회의 성격

고려의 건국 1. 왕건의 등장 (1) 출신 : 송악을 기반으로 한 호족 출신 - 해상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였다. (2) 세력의 확대 : 예성강 유역의 해상세력과 제휴 (3) 후백제 견제 : 궁예의 부하로 수군을 이끌고 금성(나주) 지방 점령 2. 고려 왕조 개창 (1) 918년에 건국 : 국호를 태봉에서 고려로 바꾸고 연호를 천수(天授)로 고쳤으며, 이듬해 국도를 철원에서 송악(개성)으로 다시 옮겼다. (2) 의의 : 신라와 발해로 양립되었던 남북국시대를 하나로 통일함으로써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통일국가가 되었다. (3) 한계 : 영토상 - 고구려의 영토를 모두 차지하지 못하였다. 정신적 - 고구려 계승의식과 신라 계승의식의 갈등을 해소하지 못한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는 조선시대 들어..

중국 전래 문화, 당 → 통일신라: 나전칠기, 송 →고려: 인쇄술, 원 → 고려, 화약, 수시력, 목화, 임제종, 송설체, 경천사지 10층석탑, 농상집요, 성리학, 천산대렵도, 석왕사 응진전

중국 전래 문화 ㆍ당 → 통일신라: 나전칠기(고려는 송으로 수출) ㆍ송 →고려: 인쇄술(의천에 의해 속장경 조판),은입사,월정사 팔각9층석탑,대성악, 도자기(암기법: 송인은월정대도) ㆍ원 → 고려: 화약(최무선이 이원주고 배움), 수시력(역법, 칠정산내외편), 목화(문익점), 임제종(보우), 송설체(조맹부의 서체), 경천사지 10층석탑(라마불교영향, 원각사지 10층석탑의 원형), 농상집요(이암이 소개), 성리학(충렬왕때 안향이 전래), 천산대렵도, 석왕사 응진전(다포양식)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고려 왕 업적 두문자 암기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