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고려 57

공무원 한국사, 테마 분류, 고려 #01

● 고려 개관구분고려 전기고려 후기세분초기중기무신집권기원간섭기말기주도세력호족문벌귀족무신세력권문세족신진사대부시대성격자주적보수적자주적보수적진취적대외관계송ㆍ거란요ㆍ여진몽고원홍건적ㆍ왜  ● 태조 왕건 4대 정책* 훈요10조(후대왕이 지켜야할 유훈) / 신하의 도리(정계1권ㆍ계백료서 8편)① 민족융합: 정략결혼,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사성정책, 역분전 지급 *분사제도는 성종② 북진정책: 국경선(청천강~영흥만), 발해유민포용, 국호“고려”, 만부교(對 거란), 서경 중시③ 숭불정책: 팔관회ㆍ연등회 등 불교장려 *유교는 성종④ 애민정책: 조세경감(1/10), 흑창 * 진대법(2C,고국천왕) → 흑창(태조) → 의창(성종) → 의창ㆍ사창(세종) → 사창제(대원군)태학역사기결북흑숭융만십개조학보역분전사심관기인제도결혼정책..

고려 사회구조, 귀족사회, 문벌귀족, 권문세족

고려 사회구조1. 고려 전기 사회 운영의 원리   (1) 귀족사회의 확립 : 고려 초 평민에서 귀족에 이르기까지 성과 본관을 갖는 새로운 친족공동체가 형성        ① 양인 농민 : 공민권 행사        ② 호적을 보완하여 신분 계층별 등록부를 따로 작성            - 종실을 대상으로 한 종적            - 군반씨족을 대상으로 한 군적           - 수공업자를 대상으로 한 백공안독           -  노비를 등록한 천적   (2) 호부층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정치적으로 비호해줌        농민에 대해서는 그들을 토지에 고착시킴으로써 유망을 막고 공민으로 확보하였다.   (3) 본관제(사회 운영의 원리)       ① 배경            -  고려 태조는 나말..

한중일 불교 문화 비교-혜자, 담징, 도의 선사, 감진, 엔닌, 법현(동진), 현장(당), 혜초(신라)

동아시아 불교의 교류와 소통 1. 불교 종파의 발전당과의 교류 속에서 삼국에 여러 종파 형성, 발전(열반종, 화엄종, 원효의 교리 집대성) 2. 승려들의 국제적 활동고구려혜자, 담징 - 일본에 불교 교리 ∙ 붓 ∙ 먹 ∙ 제지술 전래, 호류 사 금당 벽화신라도의 선사 - 당에서 선종 불교를 익혀 신라에 전래당감진 - 8세기 후반 일본에 불상, 불경, 약품 전래일본엔닌 - 장보고의 도움을 얻어 당에 유학, 불법 연구 → 일본 불교 발전도다이 사 낙성 때 도선(당), 보제천나(인도), 불철(참파) 등이 참여인도 순례법현(동진), 현장(당), 혜초(신라) → 불교가 한층 더 심화됨 ◇참파2세기 말엽에 지금의 베트남 남부에 참족이 세운 나라이다.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해상 교역으로 번영하였으나, 15세기 후..

묘청 서경천도운동, 문벌 귀족사회 모순, 분사제도, 3경제도 폐지, 조선 역사상 일천년래 제일대사건, 낭가사상의 재현

묘청 서경천도운동 1. 배경 : 문벌 귀족사회의 내부 모순 - 문벌 귀족 내부의 분열, 풍수지리설과 결부된 자주적 전통사상과 사대적 유교사상의 충돌, 고구려 계승 이념에 대한 의견과 갈등 그리고 정치개혁과정에서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보수적 관리들과 묘처, 정지상을 중심으로 한 지방출신의 개혁적 관리들 사이에 의견 대립이 지역 간의 갈등으로까지 확대되었다.  2. 전개   (1) 서경파의 두 부류(중앙관료로 진출한 개경 관리파와 서경 재지파)       ① 개경 관리파 : 정지상, 김안, 백수한 등은 무력보다는 정치적 타결로서 서경 천도를 주장       ② 서경 재지파 : 묘청, 조광은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서경 천도를 실시하고자 하였으며, 묘청은 서경에 불교, 도교, 민간신앙이 결합된 팔성당이라는 신당을..

토지제도, 수취제도, 두문자 암기, 관료전, 정전, 전시과, 과전법, 직전법, 관수관급제

토지제도,수취제도 두문자 암기삼국시대∙식읍⋅녹읍 지급통일신라∙관료전 지급 (신문왕, 687)∙녹읍 폐지 (신문왕, 689)∙정전 지급 (성덕왕, 722)∙녹읍 부활 (경덕왕, 757)고 려∙역분전 (태조, 940)∙시정 전시과 (경종, 976)∙개정 전시과 (목종, 998)∙경정 전시과 (문종, 1076)∙녹과전 (원종, 1271)조 선∙과전법 (고려 공양왕, 1391)∙공법(세종)∙직전법 (세조, 1466)∙관수관급제 (성종, 1469)∙직전법 폐지 (명종, 1556)  암기 : (성)시경 개목(걸이) (김)경문(꺼)★ 고려 역시개경 시경개목경문순서 : 녹읍⇨역분⇨시전⇨개전⇨경전⇨과전⇨직전⇨관수관급★ 조선 과직관직폐지고려 토지제도 : 전시과전시과국유,수조권,세습불가,녹봉*녹읍,식읍-건국초*역분전-태조개..

고려 지방제도

고려 지방제도1. 정비 과정   (1) 태조       ① 호족 지배력이 강한 주현지역과 군사상 요충지역인 진 ∙ 도호부(전주에 안남도호부 설치) ∙ 도독부 지역, 그리고 왕실세력의 기반이 되는 지역인 서경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었다.       ② 군사적 특수지역 외에 중앙에서 외관을 파견한 지방통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조부(組賦)의 수취와 운송을 위해 임시로 파견되는 조부의 징수와 보관을 담당하는 조장(租藏), 금유(今有)라는 사자, 조부를 개경으로 운반하는 전운사, 양전사 등 부세 수취를 위한 사행관(使行官)을 파견하는 정도였다.   (2) 성종       ① 양계에 병마사가 설치 : 성종 8년에 그 존재가 확인된다 - 병마사는 외직으로 이는 5도 안찰사제 성립보다 크게 앞서고 있음을 ..

고려의 불교문화, 고려의 석탑과 불상, 고려청자

고려의 불교문화 1. 불교의 발전▶ 사찰건립, 불교행사(연등회, 팔관회), 대장경간행, 국사·왕사제도, 승과설치(광종) 2. 고려 불교의 변화▶ 무신 집권 이후 교단 분열, 불교계 타락 → 결사 운동 전개의천천태종 창시(교종 중심으로 선종 통합)→ 원 간섭기 이후 결사 운동 쇠퇴 → 불교의 세속화와 타락 심화지눌조계종 창시(선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 수선사 결사 운동 3. 성리학의 도입▶ 신진 사대부가 개혁 사상으로 수용(권문 세족의 부패 및 불교의 폐단을 비판)  불교 예술의 발전불교 예술사경(불경을 베껴 적고 내용을 요약한 그림을 넣은 것), 불화(주로 귀족들이 향유, 금가루가 많이 사용됨), 쇠로 만든 철불과 거대 석불(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제작석탑평창 월정사 8각 9층 석탑(다각 다..

최충헌, 만적의 난

Q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신종 원년 사노비 만적 등이 북산에서 땔나무를 하다가 공사의 노비들을 모아 모의하기를, “우리가 성 안에서 봉기하여 먼저 (가) 등을 죽인다. 이어서 각각 자신의 주인을 죽이고 천적(賤籍)을 불태워 삼한에서 천민을 없게 하자. 그러면 공경장상이라도 우리가 모두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①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② 치안유지를 위해 야별초를 설립하였다. ③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④ 봉사십조를 올려 사회개혁안을 제시하였다. 【해설】 정답 ④(가) 최충헌은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①, ②는 모두 최우에 해당 ● 최충헌(崔忠獻)조위총의 난 토벌, 강동의 역(1219 몽고와 조공의 약속), 봉사10조, 만적의난, 불교의 탄..

고려 현종 (1009~1031년), 팔관회, 군현제, 면군급고법, 주창수렴법, 주현공거법, 정종, 문종

고려 현종 (1009~1031년) 1. 제도 정비   (1) 팔관회 ∙ 연등회 부활, 2군(목종과 현종의 두 설)과 주현군이 설치되었다.   (2) 경기가 설치되고 군현제가 완성되었으며, 주 ∙ 부 ∙ 군 ∙ 현의 향리의 수가 정해졌다.   (3) 면군급고법(免軍給告法) : 노부모가 있는 정남의 군역 면제 또는 외직을 피해주었다.   (4) 주창수렴법과 의창수렴법 : 현종 14년에 기금의 확보책으로 모든 전정(田丁)은 지목(地目)과 넓이에 따라 의창미를 납부토록 제도화하였다.   (5) 주현공거법 : 향리 자제의 과거시험 허용2. 거란 침입 전후 대책 : 감목양마법, 개경에 나성 축조, 7대 실록, 초조대장경   정종 (靖宗, 1034~1046년) 1. 경행(經行)의식 : 승려가 백성의 복을 빌기 위해 ..

최치원 시무10조, 훈요10조, 최승로 시무28조, 최충헌 봉사10조

최치원 시무10조- 신라 하대 - 당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 6두품 최치원, 진성여왕- ​원문이 정확히 전하지는 않지만, 당시 신라의 폐쇄적 골품제를 비판하고,   과거제 실시와 유교 정치 이념을 수용할 것을 주장- 당시 최치원을 포함한 여러 6두품들과 선종 승려들이 결탁하여 신라의 체제와 모순들을 비판- 하지만 시무 10조는 진골 귀족들의 반발로 무산왕건 훈요10조- 고려 초기- 태조 왕건, 박술희,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정책 방향을 제시- 숭불 정책의 일환으로 연등회와 팔관회를 장려- 전진 기지로서 서경을 중시하고, 대 거란 강경책을 펴는 등 북진 정책을 강조- 또한 서경과 차현 이남 공주강 밖을 지적하며 풍수지리 사상을 강조- 백성의 마음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등의 민생 안정책을 제시- 반드시 중국..

삼국사기, 삼국유사 비교, 기전체, 편년체, 기사본말체

● 삼국사기 삼국유사삼국사기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총50권), 현존 최고 사서,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삼국유사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총5권),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수,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기전체(본기·세가·지·열전등으로 구분)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지~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년·월·일 등의 사실을 편술)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국통감,..

고려 몽고와의 전쟁

고려와 몽고의 접촉 1. 13세기 초 동북아시아의 정세   (1) 몽고 : 징기스칸 1206년 몽고제국 건설 - 금에 압력   (2) 거란 : 금에 약화에 자극 - 요하 상류에 대요수국 건설   (3) 금의 장수 포선만노 : 두만강 유역 - 동진국 2. 거란의 침입과 강동(평양의 동쪽)의 역   (1) 1차 침입 : 제천방면에서 김취려가 격퇴   (2) 2차 침입(1219년 강동의 역) : 고려, 몽고, 동진국이 연합 격퇴 - 결과는 거란인의 집단 거주지인 거란장의 발생과 여 ∙ 몽 협약 체결(이에 따른 무리한 조공문제가 발생하였다)  몽고와의 전쟁 1. 배경 : 넓게는 몽고의 세계정복전의 일환으로 좁게는 동아시아에 대한 지배권 확보책의 하나로 이루어졌다 - 발단 은 고종 12년 고려에 온 몽고 사신 저..

최승로 시무 28조 - 고려 성종 유교 정책

●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 한국은행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최승로시무28조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고려 성종 정책유교의 정치 원리를 바탕으로 고려의 상황에 맞는 정치 제도를 만들었음나랏일은 관리들의 충분한 의논을 거친 뒤 왕의 허락을 받아 이루어졌음왕 역시 외교나 군사, 관리 임명 등을 처리할 때 관리들의 생각을 물어 나라의 일을 같이 하였음 최승로 시무 28조1. 최승로경주 출신의 유학자로, 12세 때 태조 앞에서 를 읽고 칭찬받았을 정도로 천재성을 보였다고 함2. 시무 28조의 주요..

전시과, 고려 토지제도 두문자 암기

전시과, 고려 토지제도 두문자 암기암기 : '성시경 개목걸이 김경문꺼' ★ 고려 역시개경 시경개목경문 순서 : 녹읍⇨역분⇨시전⇨개전⇨경전⇨과전⇨직전⇨관수관급 ★ 조선 과직관직폐지고려 토지제도 : 전시과 전시과 국유,수조권,세습불가,녹봉 *녹읍,식읍-건국초 *역분전-태조 개국공신,경기도 *시정전시과-경종 전현직,인품,최초  전국, 군인전시과,4색 공복 *개정전시과-목종 전현직,관직18품,한외과, *경정전시과(공음전시과)-문종 현직,공음전,한인전,별사전 *녹과전-원종 무신정변  전시과 붕괴,현직,미봉책 조선 토지제도 : 과전법 *과전법-공양왕 18품,전현직,신진사대부 수신전,휼양전  세습 *직전법-세조 현직,수신전,휼양전  폐지 *관수관급제-성종 국가가  수조권 대행 직전법도  존재 *직전법 폐지-명종  고..

대장경, 활자, 제1차 대장경(=초조대장경), 속장경, 제2차 대장경(=8만대장경=재조대장경), 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

● 고려 대장경 "초란 속의 팔고"▪제1차 대장경(초조대장경)부인사에서 조판, 거란 대비, 몽고 침입 때 소실▪속장경(신편제종교장총록=교장)흥왕사 조판, 의천이 송·요·일 등에서 수집, 선종 내용 무, 몽고 3차 침입때 소실, 송광사에 일부 전함▪제2차 대장경(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몽고 침입시 최우가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조판, 선원사에 보관→조선초기에 해인사로 이전, 국보로 해인사 장경각 보존  ● 금속활자  "직접본 직지, 상상속 상정"▪금속활자 - 상정고금예문전하지 않는 세계최고 금속활자 본▪금속활자 - 직지심체요절현전하는 세계최고 금속활자 본(청주 ‘흥덕사’,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금속활자 순서대로 1234 상정고금예문▪칠칠(직지)심체요절 1377 직지심체요절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조선..

팔관회, 훈요10조, 시무28조, 팔관회에 대한 입장

팔관회에 대한 입장훈요10조 : 긍정시무28조 : 부정팔관회(八關會)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외국 상인에게 무역의 장이 되기도 하였다.《중아함경(中阿含經)》 제55권 에 나오는 팔관법(八關法)에 의거한 불교 법회로 신라 진흥왕 12년[1][2](551년)에 팔관지법(八關之法)을 둔 것이 처음이다.[2] 그 후 전사한 병사들을 위하여 외사(外寺)에서 열린 때도 있듯이 처음에는 각 사원을 중심으로 개설되었지만 고려 때에는 국가 행사로 바뀌었다.고려 태조 때 중요성이 강조되어 성종(成宗) 때를 제외하고는 연등회와 함께 국가의 2대 의식의 하나가 되었다팔관회는 음력 11월 15일과 음력 10월에 개경과 서경에서만 행했는데, 불교적인 색채는 거의 띠지 않았고, 천령(天靈) · 5악(五..

고려 청자, 조선 백자, 도자기 발달 두문자, 순청자, 음각청자 ,상감청자, 분청사기, 순백자, 청화백자 ,철사·진사백자

도자기 발달 두문자순·음·상·분·순·청·철 ● 도자기고려 : 청자, 귀족적조선 : 백자, 실용적15C 고려자기를 계승한 분청사기(실용적)가 등장16C 순백자, 청화백자, 칠사백자, 진사백자 등이 발달순청자→음각청자→상감청자 12C→분청사기 15C→순백자(사림)16C→청화백자 16C→철사·진사백자순·음·상·분·순·청·철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

권문세족, 신진 사대부, 신흥 무인 세력

권문세족의 등장1. 등장 배경▶ 원과의 관계를 배경으로 한 세력이 새로운 지배층으로 성장2. 성장과 폐단▶ 음서로 신분 세습, 불법적으로 토지와 노비를 차지, 대농장 경영3. 폐단▶ 세금을 내야할 백성들의 감소, 국가 재정 궁핍, 새로운 관리에게 줄 토지의 부족4. 개선 노력▶ 충선왕·충목왕의 개혁 시도 → 권문세족의 반발로 실패  신흥 무인 세력의 등장1. 신흥 무인 세력의 등장▶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 최영, 이성계 등의 활약 → 이들이 신흥 무인 세력으로 성장홍건적은 원이 쇠약해진 틈을 타 일어난 한족 농민 반란군으로 고려에 침입하여 수도 개경을 함락시키기도 하였으며, 이에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난을 가기도 하였음남쪽 해안 지역은 왜구의 침입이 잦아 치안이 극도로 불안하였으며, 이들은 내륙 지방까지..

고려 군사제도

고려 군사제도 1. 군사제도의 성격   (1) 중앙군과 지방군의 이원 조직으로 구성되어 남방의 주현군과 북방의 주진군은 그 병종이나 군사조직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2) 군인은 군량과 무기, 피복 등 군역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마련하였다.   (3) 군인들의 지휘관격인 무신이 제도 면에서나 출신성분 면에서 문신보다 하위였다 : 무신의 최고위인 상장군이 정3품에 불과하며, 무반은 재상이 될 수 없는 것이 원칙이었다. 무반을 3품에 묶어두었다는 것은 결국 문반만이 재상이 되어 가장 중요한 정책에 대한 최종적 결정권을 가질 수 있었다는 뜻이 된다. 무신들 중에는 노비나 농민출신들도 있었다. 2. 무신합좌기구 : 중방(重房), 장군방(45령, 1령 천명, 정4품의 장군), 낭장방(정5품..

이자겸의 난, 문벌 귀족사회 모순, 서경 천도론 대두

이자겸의 난 1. 배 경   (1) 외척에 의한 왕권 약화   (2) 문벌귀족의 형성 : 국초에는 극단적인 근친혼이 실시되었으므로 외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점차 국왕이 왕족 이외의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게 되면서 외척과 문벌이 형성되었다.       ① 안산 김씨(김은부) : 현종~문종에 이르기까지 4대 50여 년간 욍실 외척으로서 득세       ② 경원 이씨(이자연~이자겸) : 문종~인종 대까지 10여대에 걸쳐 5명의 수상과 20명에 가까운 재상을 배출하여 史書에서는 이 집안을 해동갑족(海東甲族)이라 표현하고 있다.       ③ 기타 : 경주 김씨(김부식), 강릉 김씨, 광양 김씨, 남평 문씨, 청주 이씨, 수주 이씨, 정안 임씨, 해주 최씨(최충), 수주 최씨, 파평 윤씨(윤관)   (3) ..

최씨 무신정권, 최충헌의 집권

최씨 무신정권1. 최충헌의 집권   (1) 재추회의 활성화와 교정도감의 설치를 통해 중방을 약화시켰고 선종계통인 조계종을 후원   (2) 시무 10조(봉사10조) : 최충헌이 명종에게 올린 건의안으로 집권 직후에 정치적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되는 것을 왕에게 건의한 것이다. 기만적, 형식적이고 자기모순에 빠져 실시되지는 못하였다. 그 의도는 권력 장악을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당시 고려 사회의 당면 과제를 적절히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권을 확고하게 장악한 뒤에는 그 자신이 잘못되었다고 한 짓을 오히려 거리낌 없이 자행하였다.       * 최충헌은 정권을 잡자 무신정권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하여 봉사 10조와 같은 사회개혁 책을 제시하는 한편, 농민항쟁의 진압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고려 사회 동요,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민란

고려 사회 동요1. 반무신란   (1)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명종 3년, 1173년 계사년) : 문신세력의 반발   (2)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명종 4년, 1174년)   (3) 귀법사, 중광사, 흥화사, 흥왕사, 왕륜사, 경복사 등 교종계통의 반발 : 왕실과 문신귀족은 교종과 본래부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무신정권 때 문신의 도피처가 되어 무신에 반발하였다 - 최충헌은 정책적으로 선종계통인 조계종을 후원하였다. 2. 민란 (농민과 천민의 난)   (1) 민란의 배경 (사회, 경제적 모순)       ① 전통적인 신분질서가 와해되면서 피지배층의 사회의식이 크게 성장하였다.       ② 무신들은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주요 관직을 독차지하고 토지와 노비를 늘려 나갔다...

고려 역사서, 두문자 암기, 삼국사기, 칠대실록, 삼국유사, 해동고승전, 제왕운기, 동명왕편, 동국사략, 고려국사

고려 역사서 두문자 암기 ● 유자성 (성자존민 근대)유교 자주 성리학 성리학 자주 존화 민족 근대● 유고칠사유교 사관고구려 계승의식칠대실록삼국사기● 자유해제동자주 사관삼국유사해동고승전제왕운기동명왕편● 성사고성리학적 사관사략, 동국사략고려국사  Q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묘청의 천도 운동에서 그가 패하고 묘청이 이겼더라면 조선사는 독립적․진취적으로 진전하였을 것이니 이것이 어찌 일천년래 제일 사건이라 하지 아니하랴.① 성리학적 유교 사관에 입각한 사략을 저술하였다. ②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최고(最古) 역사서를 편찬하였다. ③ 우리나라 역사를 단군에서부터 서술한 역사서를 저술하였다. ④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영웅 서사시인 동명왕편을 저술하였다. 【해설】 정답 ② 1135년-묘청의 서..

고려 성종, 유교 정치이념의 확립, 거란의 1차 침입 격퇴, 목종, 개정전시과, 음서제도

고려 성종 (981~997년) : 유교 정치이념의 확립과 거란의 1차 침입 격퇴 1. 광종 전 ∙ 후의 정치적 혼란에 새로운 정치 질서 필요 : 개혁 정치의 주도세력은 신라 6두품 출신   * 유교 정치이념 : 제왕의 권위를 뒷받침하고 정치와 법제를 설명하는 정치이념으로 왕도사상과 충효사상을 기본으로 한다.       仁과 德에 바탕을 둔 정치를 통해 민생안정을 이루어야 한다는 왕도사상은 위정자들의 도덕적 책임의식을 일깨우는 기능과 국가통치의 억압적 성격을 합리화하는 기능을 하였다. 충효를 바탕으로 모든 인간관계에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 대한 복종을 도덕적 의무로 가르치는 충효사상은 군주를 정점으로 하는 중앙집권국가와 신분제적 사회질서의 유지에 기여하는 정치이념이었다.  2. 김심언 : 설원(說苑)의 6정..

고려 불교, 지눌, 의천, 혜심, 요세, 천태종, 조계종 [고려 #16]

● 고려 불교와 귀족사회 ▪공덕(功德) 사상 : 국가나 개인의 현세에 있어서의 행복을 좌우하는 현세 이익의 종교로 인식 → 많은 사찰과 불교행사 ▪上元(1월 15일)의 연등회, 仲冬(11월 5일)의 팔관회     - 祈福道場(국왕 생일), 忌辰道場(국왕의 기일), 석가탄신일 법회(4월 8일), 菩薩戒道場(6/15,국왕의 보살계), 㿻蘭盆道場(7/15, 부모 명복), 除夜道場(12/30), 仁王會(국가의 평안 기원) ▪과거제도에 승과제도 창설     - 敎宗選(승통), 禪宗選(대선사) ▪役의 의무에서 면제 → 승려의 수 늘어남 ▪사원전 - 면세의 특권, 경제적으로 부유 → 佛寶·장생고 운영, 상업·양주·목축 시행     ⇨ 승병 양성(재산보호 목적) → 정치적 간섭  ● 고려 불교 정책(초기 국가 지원, ..

고려 대외 관계,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 거란의 침입과 격퇴, 여진정벌과 동북9성

고려 대외 관계의 변천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1. 국제 정세의 변동   (1) 중국 : 5대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 10국의 분열 시대       ① 후백제 : 거란, 오월, 일본과 연결       ② 고려          ㉠ 태조 : 후량, 후당, 후진과 연결, 후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나주(금성)를 점령          ㉡ 혜종 : 후진과 연결          ㉢ 정종 : 후한          ㉣ 광종 : 후주, 송   (2) 거란의 성장 : 916년 거란의 건국 → 918년 고려 건국 → 926년에 발해를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동단국(東丹國)을 세웠다 → 936년 거란은 후진의 건국을 후원하고 연운 16주를 획득하였다 → 946년 국호를 요로 고쳤다 → 986년 압록강 유역의 정안국을..

고려 성종, 조선 성종, 업적, 두문자 암기

고려 성종(981~997) 고려의 중앙 집권 체제와 유교 사회의 기틀을 확립   고려 성종-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 한국은행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1. 최승로의 시무 28조 수용  2. 2성 6부 체제 확립 - 당의 3성 6부 체제를 모방하여 독자적으로 2성 6부 체제  3. 중추원/삼사 설치 - 송의 관제를 모방하여 중추원을 국왕 비서 기관으로 설치 중추원은 왕명 출납/군국 기무/군사 기밀 등을 담당 조선의 승정원과 역할이 일맥상통 - 삼사는 단순한 화폐/곡식 ..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두문자 암기, 최승로, 최충, 이제현, 7재, 안향, 백이정, 이제현, 이색

고려 유학의 발달 연대 암기과거급제 큰오빠 958전시과거치유 97612목 급하삼 983국자없어 국굶니 992강동6주 나주세 993강조천국 1009윤여정 천백번칠 1107이자겸 이리욕 1126서경천도 천백삼호 1135삼국사기 천배사오 1145무신마 천한직공 1170금속활자 순서대로 1234제왕운기 이리바치 1287만권책 천성신사 1314두문자 암기●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2 2성6 6부12 12목 지방관 파견의 의창義倉상 상평창常平倉 비 비서성(도서관)수 수서원(도서관)건 건원중보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분 분사제도정비유 유교정치 최승로 시무28조향 향교설치노 노비환천법문 문신월과법국 국자감● 예종 - 얘 7재야(양) 감(좋은) 보청기 구해도얘(예) 예종7재 관학진흥책 7재 :..

고려 왕 업적 두문자 암기

고려 왕 10c 태광경성  11~2c 현문숙예인 13c 의명고 14c 충충공태조왕건 광종 경종 성종 현종 문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고종 충렬왕 충선왕 공민왕  고려 광종 - 광노(안)과 공복 주제(에) 송광풍 여사광 광종노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공복 백관의 공복(자.단.비.녹)주 주현공부법 州縣貢賦法제 제위보濟危寶송 송과외교광 광덕풍 준풍여 균여사 귀법사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2 2성6 6부12 12목 지방관파견의 의창義倉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비 비서성(도서관)수 수서원(도서관)건 건원중보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분 분사제도정비유 유교정치향 향교설치노 노비환천법문 문신월과법국 국자감 문종 - 경동 나비엔 남대문 기사경 경정전시과동 동서대비원나 흥왕사비 국청사남 남경..

고려 귀족 문화의 발달 - 유학과 역사서, 불교, 과학 기술, 건축, 석탑과 불상, 자기

유학과 역사서, 불교의 발달구분유학역사서불교초기자주적 성격(최승로 등)정치와 교육의 기본 바탕7대 실록, 고금록 등국가 정책적 지원:승과 제도, 사원전 지급, 승려에 면역 혜택중기보수적∙사대적 성격최충의 문헌공도, 김부식삼국사기:기전체, 합리적 유교 사관, 신라 계승 의식 반영의천:천태종 창시, 교종 중심의 불교 통합 운동 전개후기성리학의 전래 → 신진 사대부에 의해 수용자주적 문화 의식 강화:해동고승전, 동명왕편, 삼국유사, 제왕운기성리학적 유교 사관:사략지눌:수선사 결사 제창, 선종 중심의 불교 통합보우:불교 교단  과학 기술목판 인쇄술(초조대장경, 교장, 팔만대장경), 금속 활자 인쇄술(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 의학(향약구급방), 고려 후기 원의 수시력 사용, 최무선의 화약 제조 건축, 석탑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