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심리 Psychology 73

사후 확증편향, 事後確證偏向, Hindsight Bias, 내가 그럴 줄 알았어

사후 확증편향事後確證偏向, Hindsight Bias어떤 사건이나 일에 대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마치 사전에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던 것처럼 생각하고 말하는 심리이다. '사후확신편향(事後確信偏向)'이라고도 부른다.사후 확증편향은 '내가 그럴 줄 알았어'라는 식의 선입견으로, 누구든 이미 일어난 사건의 결과를 알고 있는 상황에서 그 사건의 이전을 되돌아본다면 결과는 당연해 보이는 이치이다.결과를 기준으로 과거의 선택을 바라보면 달리 보일 수밖에 없다. 실패라는 결과를 확인하고 보면, 그 과정과 선택은 마치 실패하려고 작정한 듯 이해할 수 없는 것들로 가득해 보인다. 반대로 성공이라는 결과를 확인하고 과거의 선택들을 바라보면, 당연히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결과를 보고 선택을 바라보면 ..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데이터 스누핑(data snooping), p-해킹(p-hacking), Data-dredging bias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데이터 스누핑(data snooping),  p-해킹(p-hacking)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는 데이터의 패턴을 찾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오용하여 오탐의 위험을 극적으로 증가시키고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에 대해 많은 통계 테스트를 수행하고 중요한 결과가 나온 데이터만 보고함으로써 수행된다. 데이터 드레징 프로세스에는 철저한 검색을 통해 단일 자료 집합을 사용하여 여러 가설을 테스트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상관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변수 조합, 평균의 차이 또는 다른 항목에 의한 분석을 보여주는 사례 또는 관찰 그룹에 대해 테스트할 수 있다.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기존 테스트는 우연이 작용할 경우 특정 결과가 발생할 확률에 기반을 두..

행복의 측정, 주관적 안녕, subjective well-being

행복의 측정, 주관적 안녕, subjective well-being 쾌락주의적 입장 (Diener, 1984, 1994)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_삶에 대한 전반적이고 주관적인 평가 1)     많은 긍정 정서(행복감, 즐거움, 환희감..)를 경험할 수록 2)     적은 부정 정서(우울감, 슬픔, 질투감..)를 경험 할수록 3)     삶의 만족도가 높을 수록 : 개인이 설정한 기준과 비교하여 삶의 상태를 평가하는 의식적이고 인지적인 판단   Diener의 SWB 측정척도가 타당도와 신뢰도는 검증된 측정치들이지만 문항 내용들이 한국인의 행복감을 제대로 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하기 어려웠기에 한국인의 정서가 개입될 여지가 있는 행복 측정치를 개발함 SWB의 3가지 요인들..

필터 버블(filter bubble), 확증 편향. Confirmation Bias

필터 버블(filter bubble) 개인화된 검색의 결과물의 하나로, 사용자의 정보(위치, 과거의 클릭 동작, 검색 이력)에 기반하여 웹사이트 알고리즘이 선별적으로 어느 정보를 사용자가 보고싶어 하는지를 추측하며 그 결과 사용자들이 자신의 관점에 동의하지 않는 정보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자신만의 문화적, 이념적 거품에 가둘 수 있게 한다.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의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이용자에 맞추어 필터링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이미 필터링된 정보만을 접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같은 단어를 검색하여도 이용자에 따라 다른 정보가 화면에 등장하는 것이다. 이 단어는 미국의 정치 참여 시민단체 '무브온'의 이사장인 엘리 패리저(Eli pariser)의 이라는 저서에서..

출판 편향, publication bias, 발표편향,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 출판된 학술 연구에서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은 실험이나 연구 결과가 출판이나 배포 결정에 편향을 줄 때 발생한다. 중요한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만 게시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선호하는 결과의 균형이 깨진다. 출판 편향에 대한 연구는 메타과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유사한 실행 및 디자인 품질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진 논문은 결과가 없는(null result) 논문보다 출판될 가능성이 3배 더 높다. 이는 연구자들이 데이터 준설(data dredging)과 같이 통계적으로 중요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자신의 관행을 조작하도록 부당하게 동기를 부여한다.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데이터 스누핑(data snoopi..

자기이해, 다중지능이론,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다중지능이론,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인간의 지적 능력을 다양하게 바라보는 시각으로 인간의 다양한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계발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1970년대 말부터 학문적으로 체계화되기 시작했으며, IQ 및 EQ의 개념을 아우르고 단점을 극복하는 지능 이론이 성립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다중지능이론이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지교육학 교수, 하워드 가드너( Howard Earl Gardner , 1943~ )는 어떤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언어 지능이나 논리 수학 지능만이 영향을 주는 게 아닌데도 불구하고 두 지능만 지나치게 강조하고 다른 지능을 등한시했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지능 검사가 논리수학 지능, 언어 지능, 공간 지능만 측정하고 다른 지능은..

사랑 호르몬, 페닐에틸아민, 콩깍지, 유통기한 2년, 사랑

사랑 호르몬페닐에틸아민, Phenylethylamine, PEA화학식: C8H11N행복하거나 흥분할 때, 열정적이고 감정적인 사랑에 빠지는 등의 상황에 분비되는 호르몬. 중추신경계와 교감신경계를 흥분시킨다. 펜에틸아민이라고 하기도 한다. 여느 아민 합성물들처럼 염기다. 사랑에 빠지게 되면 뇌의 변연계에서 이것이 작용해 뇌에서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 각성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페닐에틸아민 수치가 올라가면 이성이 마비되고 행복감에 도취되는데 이 때문에 소위 말하는 콩깍지가 끼이게 된다. 또한 쾌감 중추의 활성화와 더불어 인지 능력과 함께 감각 인지에도 영향을 끼친다. 즉, 각성제인 천연 암페타민의 일종이다! "사랑은 마약이다"는 표현이 은유가 아니라 과학적 사실을 그대로 담은 설명..

실존주의 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

실존주의 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 실존주의실존주의는 그 교리에 여러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개인의 존재 조건과 감정, 행동, 책임 그리고 사고에 집중하는 철학들을 일컫는 말이다. 19세기 초반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는 훗날 실존주의의 아버지로 간주되는데, 그는 개인은 절망, 불안, 부조리, 소외 그리고 지루함에 이루기까지 많은 실존의 장애물과 불화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 삶을 열정적이고 진실되게 살아갈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후 나타난 실존주의 철학들은 개인에 중심을 두지만 그것들은 다양한 각도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런 차이에는 성취있는 삶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극복되어야할 장애물인가, 어떤 내외부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가,..

게슈탈트 심리학, Gestalt Psychology, 형태심리학(形態心理學), 게슈탈트(Gestalt), 창발성, 다중안정성, 불변성

게슈탈트 심리학, Gestalt Psychology, 형태심리학(形態心理學), 게슈탈트(Gestalt), 창발성, 다중안정성, 불변성게슈탈트 심리학, 형태심리학(形態心理學) 심리학의 한 학파이다. 인간의 정신 현상을 개개의 감각적 부분이나 요소의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그 자체로서 전체성으로 구성된 구조나 갖고있는 특질에 중점을 두고 이를 파악한다. 이 전체성을 가진 정리된 구조를 독일어로 게슈탈트(Gestalt)라고 부른다. 이 단어의 의미는 전체 형태의 모양, 배열인데 지금 이 순간의 경험이다.게슈탈트 심리학에서 게슈탈트(Gestalt)는 부분이 모여서 된 전체보다는 완전한 구조와 전체성을 지닌 통합된 전체로서의 형상과 상태를 가리킨다. 한편 게슈탈트법칙은 인간 경험의 구성 요소는 원자적으로 분해할 수..

소유하는 인간의 한계, 저장 강박, Hoarding disorder, 애니멀 호더, 앤디 워홀, 위르겐 클롭

저장강박증(호더)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강박. 그 물건의 가치와는 무관하게 물건을 버리는 것을 극도로 기피하게 된다. 증세가 약하면 쓰지 않지만 쓸 수는 있는 물건을 '언젠가 쓰겠지'라고 아까워하며 못 버리는 수준에서 멈추지만, 심한 경우에는 비닐 봉지나 페트병 같은 쓰레기조차 버리지 못한다. 심각한 저장강박 환자의 주변 사람들이 보다 못해 치우려고 하면 미친듯이 분노하면서 화를 내기에 손도 못 댄다. 보통 이런 환자들의 집은 쓰레기장 수준을 넘어 난지도가 되게 마련이며, 대청소를 하면 1인가구에서는 2톤 정도, 심하면 10~20톤의 쓰레기가 나온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아파트 거주가 흔해 저장강박증 환자의 집을 청소하지 못하면 벌레의 번식처가 되어, 배관이나 전기배선 등으로 이웃집에 유입되거나, 악취가 풍..

칭찬, 심리학, 호혜성의 법칙, 호혜성, 互恵性, reciprocity

칭찬의 심리학, 호혜성의 법칙 연구에 따르면, 칭찬은 하는 쪽과 받는 쪽 모두의 정서에 큰 도움이 된다. 미국 문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작가 마크 트웨인은 "나는 한 마디의 칭찬으로 두 달을 기쁘게 살 수 있다(I can live for two months on a good compliment)"라고 말한 바 있다.  시카고 대학교 행동과학 교수인 니콜라스 에플리는 “칭찬은 타인을 기분 좋게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이며, 우리의 기분 역시 좋게 만든다”라고 말하며, “그러나, 사람들은 칭찬이 머릿속에 떠올라도 말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라고 말했다. 칭찬은 단순해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여러 심리학 법칙들이 존재한다. 그중 가장 최근에 나온 연구들을 통해 몇 가지 소개해보려 한다.   사회적 교환이론우리가 ..

지적 쾌감, 호기심 관련 호르몬

호기심과 관련된 호르몬1. 도파민(Dopamine) : 쾌감을 느끼게 하고 뇌의 보상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역할. 무언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새로운 경험을 할 때 증가.2.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되며, 호기심, 경계, 집중력을 높이는 역할.3.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배우고, 기억하고, 집중하는 데 필요한 역할.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발견할 때 분비.4. 세로토닌(Serotonin) : 기분을 안정시키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역할. 새로운 것을 발견할 때 분비.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ACh)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유기 분자이다. 아세트산과 콜린의 에스터이다. 아세틸콜린은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자율신경절..

외로움, 고독, Loneliness, Solicitude

외로움, 고독, Loneliness, Solicitude 타인의 지배 아래에 놓여 있는 일상세계로부터 떨어져 나온 유한하고 고독하며 불안으로 가득 찬 세계, 그곳이야 말로 우리의 본래적인 세계이며, 그곳에서 비로소 우리는 존재의 의미를 밝힐 수 있다.”                                                                      - 하이데거, ​고독과 외로움은 인간의 정서 중에서 부정적 감정에 속하는 것일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이 둘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독과 외로움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흔히 사람들은 고독과 외로움을 비슷한 유형의 감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둘은 엄연히 다른 감정 상태다. 어떻게 다를까? 고독(孤獨)은 ‘홀..

공포관리이론, Terror Management Theory, TMT, 죽음 방어 기제

죽음 방어 기제 죽음의 공포는 너무나 커서 사람들은 평소에 이 공포를 억누르며 사는데, 억누르는 방법은 공포의 강도에 따라 중심 방어와 말단 방어로 나눌 수 있다. 중심 방어는 죽음의 공포가 강할 때 죽음에 대한 생각 자체를 없애려는 것으로 단순히 억압하거나, 주의를 딴 데로 돌리거나, 자신에겐 먼 미래의 일이라는 둥 합리화로 애써 무시하려 한다. 반면 말단 방어는 죽음의 공포가 그나마 약할 때 자신의 불멸성을 추구함으로써 죽음의 공포를 해결하려 하는데 자신의 자존감을 올리거나, 주변 공동체에 의지하거나, 자신이 가진 세계관(과 관련된 사람들)을 찬양하고 다른 세계관(과 관련된 사람들)을 배척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똑같이 죽음의 공포를 느껴도 중심 방어를 사용할 때와 말단 방어를 사용할 때 다른 반응이..

언어성지능, 장의존적, 분석지능, 장독립적, 나무위키, 학습법, 인지양식, 認知樣式, Cognitive Style

인지양식, 認知樣式, Cognitive Style 인지행동에 있어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뜻하며, 대상에 대하여 자극상황이나 상태를 초월하여 개인이 일관성 있게 나타내는 반응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지양식을 학습장면에 적용하여 논의할 때는 학습양식(learning styles)이라고 하는데, 이는 학습활동 또는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고유한 반응양식을 말한다.  장독립적-장의존적 인지양식 장의존 (field-dependent), 장독립(filed-independent)위트킨은 삽입된 도형을 찾아내는 잠입도형 검사를 통해 인지양식을 장독립형과 장의존형으로 구분했다. 장독립적 인지양식: 인식의 대상이 있는 환경, 즉 장(場)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 사람의 인지양식을 말한다. 분석적, 구조화, 체..

남자 자동차, 여자 명품, 열광 이유, 진화심리학, 인간의 역사는 전쟁과 약탈의 역사, 계급과 서열, 인간의 본능, 계급 표시, 신호 효과, 인상 관리

남자 자동차, 여자 명품, 열광 이유, 진화심리학, 인간의 역사는 전쟁과 약탈의 역사, 계급과 서열, 인간의 본능, 계급 표시, 신호 효과, 인상 관리  남자는 자동차에, 여자는 명품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어떠한 현상의 이유를 찾을 때 ‘here & now'에서 찾곤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현상의 이유는 ’there & then'에 있는 경우가 더 많다. 사람이라는 존재가 백지상태로 있어서 ‘here & now'에서 딱 결정하는 존재가 아니라, ’there & then'에서 이미 만들어진 마음의 모양을 가지고 ‘here & now'에서 결정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there & then'에서 만들어진 마음의 모양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은 어떠한 현상의 이유를 찾을..

착한 사람 증후군, 착한 아이 콤플렉스, Nice Guy Syndrome, How to Cure Nice Guy Syndrome Without Becoming an Asshole, 바보가 되지 않고 착한 사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착한 사람 증후군, 착한 아이 콤플렉스, Nice Guy Syndrome, How to Cure Nice Guy Syndrome Without Becoming an Asshole, 바보가 되지 않고 착한 사람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착한 아이 증후군'이라 불리기도 하며, 콤플렉스 중 하나가 되어 '착한 사람 콤플렉스'라 부르기도 한다. 쉽게 말하면 남의 말을 잘 들으면 착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강박관념이 되어버리는 증상이다. 꼭 말을 잘 듣는다는 생각보다도 '착한 사람으로서의 이미지'를 유지해야 한다는 사고방식에 매여 있다. 그 이미지를 완벽하게 내재화해서 본능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은 착한사람 증후군을 앓은 게 아니라 그냥 착한 사람이다. 속으로는 이건 아닌 것 같다고 생각하면서도 겉으로는 고분고분해서 내..

바넘 효과, Barnum effect, 바넘 효과 예, 혈액형 성격, MBTI, 포러 효과(Forer effect),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심리학 용어로 영어로는 Barnum effect이다.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포러 효과(Forer effect)라고도 한다. 일반적이고 모호해서 누구에게나 적용 가능한 성격 묘사를 특정한 개인에게만 적용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성향이다. 쉽게 말해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인 상황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점을 보러온 사람에게 점쟁이가 무슨 우환이 있나고 물었을 때, "어떻게 알았지"라고 생각이 드는 상황이 있다. 일반적으로 점을 보러 오는 사람들은 우환이 있지만, 받아 들이는 사람은 자기 자신한테만 적용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바넘 효과라는 이름의 유래는 조작으로 유명했으며 서커스 단장 겸 흥행업자였던 피니어스 테일러 바넘으로부터 유래한다. 바넘은 "모든 사람을 만족하게 할 수 있는 무..

행복은 진화의 산물, 생존과 번식, 행복의 기원,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행복은 단지, 생존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정신적 도구일 뿐이다. 정서의 본질적 관심사는 행복이 아닌 ‘생존’이다.  사람들은 보통 행복한 삶이 가장 좋은 삶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나 또한 행복이 최고의 선이라고, 추구해야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살았다. 그러나 왜 행복한 삶을 살아야 하고, 왜 행복을 추구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없었다. 그냥 좋으니까 행복은 좋은 거니까 라고 생각했다. 이 책은 행복에 대해 WHY 라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인간은 왜 행복을 느끼고, 왜 행복하고 싶을까? 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인간에게 행복은 무엇이란 말인가? 인간이 행복감을 느끼고 그토록 행복을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한 왜 행복한 감정은 오래가지 못할까? 행복감과 관련 있는 감정들을 떠올려 보자. 기분 ..

진화심리학, 행동주의, 생물학적 결정론, 자연주의적 오류, 도덕주의적 오류

진화심리학, 進化心理學, evolutionary psychology 인간의 마음이 진화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인간의 많은 심리 기제들이 어떠한 근원을 가지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진화생물학, 신경과학, 인지주의 심리학 등의 발달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용어가 자연과학에서 통하기 시작한 것은 아마도 1973년 기셀린의 논문으로 추측되지만, 심리학계에서는 오히려 미국의 1세대 심리학자라 불리는 윌리엄 제임스(W. James)가 자신의 저서에서 처음으로 "evolutionary psychology" 단어를 주창했다. 또한 심리학사(史)를 훑어보다 보면 20세기 초엽에 맥두갈 같은 사람들을 비롯하여 본능(instinct) 담론이 굉장히 활발히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진화심리학의 정신적..

바른 마음, 코끼리 위에 올라탄 기수, 도덕성 기반 이론, 진보 윤리, 보수 윤리, 조너선 하이트

조너선 하이트 Jonathan Haidt 미국의 심리학자. 뉴욕 출신으로 예일 대학교 철학 학사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심리학 박사를 마친 후로는 뉴욕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다루는 범주는 대략 도덕, 정치, 종교 정도를 아우르는 응용사회심리학. 그가 낸 책인 《바른 마음》 은 미국과 영국에서 엄청난 열풍을 일으켰다. 주요 연구 성과 우선 본인이 《바른 마음》의 출간으로 크게 재미를 봤고 그걸로 전세계를 돌며 강연을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 전후 맥락까지 함께 고려해서 본다면 하이트는 순간적인 도덕적 판단의 개인차 설명 방법에 대해서 논의의 수준을 몇 단계 끌어올렸다고 평가되고 있다. 현대 도덕심리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스타 연구자 도덕성 기반 이론 동료 연구자 제시 그레이엄(J.Graham..

인정 욕구, 매슬로우, 인정 욕구 극복, 인정받고 싶은 마음

인간의 인정 욕구 인간은 선천적으로 자신의 생존 이유에 대해 늘 어떤 확신을 필요로 하는데 그 확신으로 인해 인간은 생존력을 완성하게 된다. ‘살고자 하는 의지’를 ‘생존력’이라고 할 수 있다면, 생존력의 완성을 위해 필요한 욕구 중 식욕과 수면욕이 인간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생리적 욕구이고, 인정욕(구)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심리적 욕구이다.  인간의 인정욕은 생존과 관련한 생리적이고 본능적인 욕구로 다룰 수 없는 순전히 심리적 욕망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인정욕은 심리적 욕망으로 동식물과 같은 범주에 넣을 수는 없다. 식욕과 수면욕은 생리적이고 본능적인 욕구로 생존력에 필요한 것이나, 인간의 인정욕은 자기 존재감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끝이 없는 심리적 욕망이지 생리적 욕구의..

카그라스 증후군, Capgras syndrome, 망상적 동일시, Delusional misidentification syndrome

카그라스 증후군, Capgras syndrome, 망상적 동일시, Delusional misidentification syndrome 카그라스 증후군(Capgras syndrome, Capgras delusion)은 망상적 동일시(Delusional misidentification syndrome)의 하나로써 자신의 친구나 배우자 또는 주변인들이 완전히 똑같은 모습으로 분장한 전혀 다른 사람으로 바꿔치기 되었다고 믿는 증상이다. 자신이 겪은 사건에 대한 기억이 왜곡되었거나 전혀 다른 것으로 대체되었다고 믿는 경우도 보고된 바 있으며 심지어 과거의 자기 자신조차 자신과 닮은 다른 누군가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카그라스 증후군은 뇌손상이나 치매등에서 유발되는 경우도 있으나 조현증(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서 ..

사회심리학, Social psychology

사회심리학(社會心理學, Social psychology)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상황, 즉 사회적 상황하에서 개인이 보이는 심적 과정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갈래이다. 국내에서는 사회(社會)라는 단어가 갖는 거시적 특성 때문인지 집단, 공동체, 시사 이슈, 대중, 공중 같은 복잡성이 큰 주제만을 주로 떠올리지만, 서구에서는 개인주의 성향이 있어서인지 사회적 상황이라고 하면 일단 배우자와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같은 것부터 생각하고 들어간다. 즉, 우리나라에서 상상하는 "social" 은 사실 서구의 "public" 에 더 가깝다. 사회심리학이 그런 걸 다루지 않는 건 결코 아니나, 대인관계 심리학이라고 이해되는 주제 역시 사회심리학의 핵심적 영역이다. 사회심리학의 주제들은 분석수준에 따..

문화심리학, 개인주의-집단주의 이론, 주요 이론

문화심리학에서 가장 유명한 이론은 개인주의-집단주의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문화를 개인이 중심이 되는 개인주의 문화와, 집단이 중심이 되는 집단주의 문화로 나눈다. 그러나 이 이론이 모든 문화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때문에 개인주의-집단주의를 넘어서는 여러 이론이 발전하였다. 호프스테드의 이론 또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심리학 바깥에서는 WVS와 슈워츠의 가치 이론이 발달하고 있다. 1.호프스테드의 문화 유형 전세계의 문화는 3가지의 차원에서 나눌 수 있다. 권력거리, 개인주의-집단주의, 남성성-여성성이 그것이다. 이는 호프스테드(hofstede ,홉스테드)가 전세계에 분포한 IBM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추출되었는데, 호프스테드는 여기에 불확실성 회피도 중요한 ..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복수, 복수의 본능과 보상회로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복수는 자신과 자신의 집단을 보호하고, 타인의 보복을 염두에 둔 적응적 행동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복수하고 나면 기분은 좋아질까요? 복수의 본능과 보상회로 이별을 고하는 애인, 갑질하는 직장 상사, 층간소음을 내는 이웃, 방향지시등 없이 끼어드는 운전자... 분노를 유발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심리적, 육체적 피해를 줍니다. 피해를 헤아리다 보면 가해자에게 그것을 되갚아주고 싶은 욕망인 복수심이 차오르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분통하다고 앙갚음해 버리면 나도 상대방과 별반 없는 사람이 되는 법이기에, 우리는 나쁜 상상을 접고 ‘그 사람과 같은 부류가 아님'을 위로하며 살아갑니다. 사실 보복에 관한 생각이나 충동은 인간이 가진 본능입니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복수는..

소리공포증, 층간소음, 진화심리학, 칵테일파티 효과, 음량이 통증 지각에 영향, 소리 진통 효과

층간소음, 진화심리학 층간소음이라는게 어마어마한 정신적 폭력 진화심리학적으로 우리 인간은 구석기 시대부터 신석기까지. 내 가족, 부족, 나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생존하기 위해 항상 경계와 촉각을 세우면서 살았다 200만년 전에 우리가 아직 원시인이었을 때, 동굴 안에서 아니면 수풀 속에서 살면서 검치 호랑이 지나가는 소리나 다른 부족애들이 움직이는 소리나 뱀 기어다니는 소리만 들려도 벌떡 일어나서, 목숨이 걸린 위협이라 여기면서 사주경계 했다. 이게 우리의 후성유전적 정보기억이 되서 현생 처럼 안전한 콘크리트 집에서 살게 되었어도, 이때의 이 본능적 발현은 절대 없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내 집, 내 영역에서 쿵! 쿵쿵! 쿵! 하는 소음은 '실제적 위협' 마치 뱀이나 검치 호랑이나 창을 든 다른 원시인들의 ..

자기자비, Self-Compassion, Neff, 자기자비 척도, self-pity, self-indulgence, self-esteem

자기자비 개념 및 특징 인간은 스스로를 가치 있다고 여길 때 행복감을 느끼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자신이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긍정적인 가치로써 자존감의 중요성을 언급해왔고, 자존감을 인간의 생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주제로 다뤄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높은 자존감은 행복과 심리적 안녕감을 예언하고, 낮은 자존감은 우울, 불안을 비롯한 정서문제, 행동문제 등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자존감이 자기중심성, 공격성, 타인을 평가절하 하는 경향과도 관련된다는 연구 결과 들은 자존감이 심리적 건강을 보장해준다는 증거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은정(2014)은 자존감은 실패와 좌절과 같은 ..

분노 폭발, 15분만 참아라, 화병(hwa-byung)

화병(hwa-byung)은 수백 가지 정신병 가운데 유일하게 우리나라 말로 만들어진 병명이다. 별로 자랑스럽지 않게도, 한국 사람들이 가진 분노적 기질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분노의 부정적 효과는 다양하다. 금세 전파된다. 건강에 좋지 않다. 중독된다. 화가 치민다면 15초만 참아보자. 15번만 규칙적으로 호흡을 해보자. 화를 내야 한다면 스마트하게 내자. 유머를 구사하거나 상대방을 논리적으로 지적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분노의 칼날이 사람에게 향하도록 하지 말고 그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업무 현장에서 마음을 경영하는 데 가장 흔하면서 어려운 것이 바로 분노다. 서양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울하다’ ‘불안하다’고 표현한다. 하지만 필자가 국내에서 연구한..

통증, 감작현상(pain sensitization), 만성통증, 고통

통증, 감작현상(pain sensitization), 만성통증, 고통 통증은 다른 모든 감각과는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나는 참으로 이상한 감각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뜨거운 목욕탕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뜨겁게 느껴지던 온탕에 한참을 머무르면 오히려 따뜻하고 좋은 감각으로 변하는 것을 느낄 것이다. 이것은 온도감각에 인체가 적응(adaptation)한 것이다. 통증 이외에 모든 감각(진동각, 위치감각, 차가운 감각, 만지는 감각, 온도각, 압력 감각 등)은 모두 적응현상을 보인다. 즉 감각이 주어지면 주어질수록 그 역치가 높아지면서 그 감각에 무뎌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런데 통증은 이러한 감각과 정반대로 통각이 주어지면 주어질수록 그 역치가 낮아지면서 통증에 예민해진다. 이러한 기전을 통증 감작현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