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용 과학 Applied Science/공학, 건축, 기술 Engineering 47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Artificial Sun

인공태양 Artificial Sun. 人工太陽 말 그대로, 인간이 창조해 낸 태양(항성). 주로 SF물에서 등장하는 개념으로, 인공행성이나 링 월드, 다이슨 스피어 제작과 같이 범 우주적인 구조물 건설의 예시로 들 수 있다. 다만 정말로 태양급의 항성을 만들어서 활용한다는 개념이 아닌, 태양이 막대한 빛과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원천인 핵융합의 원리를 이용한 핵융합 발전 장치도 인공태양이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아예 현실에서 핵융합 발전 장치를 일컫는 수식어로 쓰일 정도로 유명한 용례다.  핵융합 발전기를 인공태양으로 칭할 경우 태양의 특성인 광원으로써 역할보다는 그냥 단순히 막대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발전 장치로 이용되는 편이다. 고증을 크게 신경쓰지 않는 스페이스 오페라-판타지 매체에서는 실제로 작은 항성..

전자레인지, microwave oven, 원리, 마이크로파, 고주파 전장(電場), 분자 진동 발열, 유전가열(dielectric heating)

전자레인지, microwave oven, 원리, 고주파 전장(電場), 분자 진동 발열, 유전가열(dielectric heating)  고주파로 가열하는 조리 기구이다. 고주파 전장(電場) 중의 분자가 심하게 진동하여 발열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빠른 시간에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전자레인지라는 이름은 일본에서 만들어 붙인 일본식 조어(일본어: 電子レンジ)로 영어 명칭의 번역은 극초단파 오븐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오븐(microwave oven)이다. 최근에는 '전자 오븐', '광파 오븐' 등의 명칭으로 나오는 제품도 있다.전자레인지로 조리하는 경우, 조리시간이 짧다. 또 삶는 요리나 찜요리의 경우에는 냄비를 쓰지 않고도 손쉽게 조리할 수 있으며 비타민이 물에 녹아 흘러나가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극초..

머신가이던스(MG), 머신컨트롤(MC), MG/MC, Machine Guidance/Control

머신가이던스(MG)  - 장비에 부착된 센서와 모니터를 통해 작업자를 보조·가이드하는 유인시스템  - 굴착기와 같은 건설기계에 센서를 부탁하여 모니터에 작업정보가 안내되어 별도의 측량 등 관리가 불필요함.  - 유사기능 : 자동차 네비게이션 ​ 머신컨트롤(MC) -기울기 센서로 움직임을 인지하고 GPS의 위치정보 확인을 통해 컴퓨터가 작업도구를 제어하는 시스템  - 건설기계 반자동화 기술로 공정을 효율화 및 단순화를 통해 작업시간 단축, 정밀시공  - 유사기능 :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 MG/MC 도입 후 기대효과 ​ 1) 경제성 및 작업 효율성  - 측량보조원, 신호수 등 공사투입 인력 불필요 - 실시간 작업상황 모니터링 및 간단 기계조작으로 인력 계측작업 감소 ⇨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 최소화 ​ 2)..

소형 원전, Small Modular Reactor, 소형 모듈식 원자로

소형 원전, Small Modular Reactor, 소형 모듈식 원자로  기존 대비 작은 용량과 모듈식 설계를 채택한 원자로원자력 발전은 기존의 화력발전을 압도하는 수준의 대출력을 낼 수 있으며, 동시에 신재생 에너지보다도 적은 수준의 탄소를 발생시키는 친환경성까지 갖추고 있었으나, 치명적인 방사선을 내뿜는 사용 후 핵연료를 대규모로 남기고, 사고가 발생하면 수습하기 까다로운 데다 조기에 수습하지 못하면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같은 환경에 반영구적인 수준의 악영향을 남기는 초대형 사고로 번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앞서 말한 사고들이 발생하고 나서 대형 원전 시장이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하자 원전업계에서 새로운 먹거리로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

히트펌프, Heat pump, 냉장고, 냉풍기, 동수면, 제빙기, 동결건조, 드라이아이스 제조, 눈 제조, 백신 보관, 초전도체 냉각, 입자가속기 냉각, 핵융합 발전 냉각, 기체 액화방열, 냉각기, 수랭, 컴퓨터 쿨러, 데이터센터, 결로 - 제습기, 식수 제조

히트펌프, Heat pump 열역학 · 통계역학 Thermodynamics · Statistical Mechanics 특정 장소의 열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하는 기계로 냉동 기관이라고도 한다. 열기관과 반대 작용을 하며 열은 열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적으로 고온에서 저온으로 흐르는데, 히트펌프는 이를 거슬러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퍼올리는 장치 종류 목적에 따른 분류흡열 반응 쪽만 이용 (냉각) 냉방 - 냉장고, 냉풍기 냉동 - 냉동수면, 제빙기, 동결건조, 드라이아이스 제조, 눈 제조, 백신 보관, 초전도체 냉각, 입자가속기 냉각, 핵융합 발전 냉각, 기체 액화방열 - 냉각기, 수랭, 컴퓨터 쿨러, 데이터센터 결로 - 제습기, 식수 제조  발열 반응 쪽만 이용 (가열) 공기 - 건조기, 온풍기..

냉동공조학과, 취업, 진로, 대학

학과 개요     냉동공조공학은 현재 첨단산업인 반도체, 로봇, 컴퓨터 등 각종 전자제품 및 장비의 생산 및 품질향상을 위한 공간 그리고 항공기, 인공위성 및 우주정거장에서의 첨단 기기 작동유지, 실험 및 생산과 인간의 생활공간을 최적상태로 만들어주는 냉동 및 에너지 분야와 관련된 학문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응용과학의 한분야로서 산업 및 문화의 발달과 함께 그중요성과 필요한 역할이 더욱더 고조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나노가 냉동공학에 이용되어 반도체레이저, 물 냉각기, 과학적인 기구. High End Autos 등의 분야에도 응용되고 있는 미래의 중용한 학문 분야입니다. 에어컨 수출이 세계1위인 우리나라의 냉동공조기계 관련 분야는 매년 생산 규모 및 성장률이 타 산업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고 있는 ..

사막 농사, 회전 살수농법, 사우디아라비아

사막에서 자급자족을 넘어... 사우디아라비아의 농업 혁신 물 절약의 혁신, 회전 살수농법 도입으로 농업 생산성 극대화 해수 담수화 프로젝트로 자원 고갈 문제 해결, 국가 경제 성장 견인 기후변화 시대, 사우디의 농업 혁신이 세계 식량 안보 문제에 주는 교훈  사막으로 둘러싸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자급자족을 넘어 농업 강국으로 변모하는 과정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우디는 척박한 자연환경 속에서 식량 안보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과 자연 자원을 활용해 미래 농업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회전 살수농법과 해수 담수화 같은 혁신적인 기술 도입을 통해 물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식량 생산을 극대화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토의 95%가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뜨거운 기후와 극히 적은 강수량으로 ..

태양광, 태양전지, 원리, 광기전효과(Photovoltaic effect), PN접합(PN-junction), solar cell, photovoltaic cell, PV cell

태양광  太陽光發電 / Photovoltaics 재생에너지 중 햇빛을 이용한 발전방법.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태양광발전의 원리는 아인슈타인이 수학적으로 설명한 광전효과와 다른거다. 헷갈리지 말자. 또한 소금을 태양열로 끓여 이것으로 터빈을 돌리거나 열에너지를 그대로 사용하는 태양열 발전과는 다르다.  원리광기전효과(Photovoltaic effect)라는 광전자의 물리량이 전자의 흐름으로 변환되는 원리를 이용한 발전이다. 넓은 의미에서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의 하위 분류이나, 흔히 말하는 광전효과와는 차이가 있다. 광전효과는 주로 빛에 의해 전자가 자유전자로 튀어나오는 경우를 가리키고, 광기전효과는 물질 내부에서 캐리어(전자나 양공)가 들뜬 상태가 되어 전압 또는..

유압, 油壓, Hydraulics, 파스칼의 원리, Pascal's Law, 유압 사용 분야

유압, 油壓, Hydraulics 비 압축성 액체를 펌프 등으로 압출하였을때의 토출 압력을 말한다. 유압이라고 쓴 이유는 여기에 쓰이는 액체에 기름을 쓰기 때문이다. 영단어는 "물"과 관련한 단어라 어리둥절해할 텐데, 과거에는 물을 사용한 흔적이라고 한다. 이는 파스칼의 원리를 따른다.  유압 특성원동기 동력보다 강한 힘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기계적 변속기보다 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과부하 상황에서의 안전장치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과부하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나다. 동력원과 작동장치의 배치가 자유롭다. 공압과는 달리 압력을 전달하는 액체가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귀환관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온도가 높게 올라가면 유압유가 끓어오르면서 기포가 생겨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

자이로스코프, 회전(gyros), 보는(scope), gyroscope, 회전의(回轉儀), 방향 측정, 유지, 각운동량 보존법칙, 토크, 관성모멘트, 세차운동, 장동운동

자이로스코프, gyroscope, 회전의(回轉儀)  위아래가 완전히 대칭인 팽이를 고리를 이용하여 팽이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만들고 다시 그것을 제2의 고리를 써서 앞의 것과 직각 방향으로 지탱하여 줌으로써 팽이의 회전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일어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방향의 측정 또는 유지에 사용되는 기구이다.자이로스코프는 축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놓일 수 있는 회전하는 바퀴이고 로터와 짐벌로 이루어진 하나의 메커니즘이며 각운동량 보존법칙에 근거한다. 자이로스코프가 빠르게 회전할 때에는, 외부에서 토크(torque; 회전우력-돌림힘)가 주어졌을 때 그 방향이 회전에 의한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에 의해 회전하지 않을 때보다 훨씬 적게 변화하게 된다. 자이로스코프는 수평 유지 장치인 짐벌..

화학공학과, 취업, 진로, 대학, Chemical Engineering

화학공학과, Chemical Engineering 화학공학을 다루는 학과.  세부 과목화학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과목 미적분학, 공업수학수치해석학, 선형대수학, 이산수학 일반물리학 일반화학, 물리화학, 유기화학 프로그래밍: 화공과에서 다루는 시스템은 유체가 기본인 데다 그 안에서 물질확산, 화학반응, 상변화, 열발생, 열전도, 대류가 일어나고 그에 따라 점도, 밀도, 반응속도상수, 엔탈피 등 물질상수들도 변하는 등 전부 비선형적으로 동시에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수치해석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당장 간단한 튜브형 반응로 안에서 일어나는 촉매반응을 기술하는 것도 편미분방정식 8-10개를 동시에 풀어야 한다. 전화기 모두 비선형계가 많다. 기업에서는 계산용도로는 보통 무료인 Python이나 오피스에 딸려..

전기전자공학과, 진로, 취업, 대학,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전기·전자공학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전기공학, 전자공학을 배우는 학과. 90년대 이전에는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전파공학과 등으로 나뉘어 있기도 했지만, 90년대 후반부터 통합되는 추세에 있어 현재는 많은 대학에서 통합된 학과 또는 학부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학부 교육과정은 전자기학 및 이와 가장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전파와 초고주파 공학 및 RF / 아날로그 회로 / 디지털 회로 및 컴퓨터 시스템 / 제어공학 / 통신 및 신호처리 / 전력공학 및 전기기기 / 반도체 등의 범주로 분류된다. IT 분야는 우리 일상과 모든 산업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수요가 끊이지 않는다. 전자 제품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가지고 전기전자공학과에 들어갔다가, 생각했던 것..

기계공학과, 진로, 취업, 대학,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과, Mechanical Engineering, 취업, 진로, 대학  기계를 설계하고 제작하는데 필요한 학문인 기계공학을 배우는 학과고학년 전공 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저학년 때 수학, 물리학을 집중적으로 배워야 한다. 이는 다른 공대 학과들도 마찬가지지만, 기계공학과는 4년 동안 배울 모든 전공과목이 수학, 물리학 지식을 많이 사용하기에 더욱 중요하다. 학부생 기준으로 굳이 공모전 같은 것이 필요하다면 공과대학장이 개최하는 공업수학 경시대회라든지, 설계 공모전, 아니면 공학 부문 우수논문 공모전이나 4학년 논문연구 우수상을 노리는 게 가장 좋다. 일반적으로 취준 정보 찾아보면 나오는 마케팅 공모전, 서포터즈 이런 것들은 문과 취준생들 얘기다. 물론 본인이 공대를 나와놓고 문과 직무로 틀거면 얘..

항공우주공학과, 진로, 취업, 대학, Aerospace Engineering

항공우주공학과航空宇宙工科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 Department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학교 교육과정학교마다 다르지만 항공우주공학을 공기역학, 구조역학, 추진공학, 제어공학 4가지로 분류하여 기본적으로 배우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항공기를 다루는 항공시스템과, 우주선을 다루는 우주발사체 이 두 가지에 대해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체로 1학년 때는 항공우주공학개론, 일반물리학, 미적분학, 프로그래밍 등을 배운다. 오랜 시간 동안 학부 레벨에서의 항공우주공학은 기계공학과 겹치는 내용이 많기에 그 둘은 서로 비슷하지만 결만 다른 학과로 여겨져 왔다. 그렇기에 학문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2000년경에는 국내의 많은 대학교..

균형(balance), CG(무게중심 ), 안정성(stability), Center of Gravity

균형(balance)이란 항공기의 CG(무게중심) 위치를 의미하며 이는 안정성(stability)과 안전에 중요한 요소이다. 항공기 균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로축에 대한 CG의 전방/후방 위치이다. CG는 고정된 지점이 아니며 항공기 내 무게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변경될 수 있는 적재 물품들이 이동되거나 소모됨에 따라 CG 위치가 변화한다. CG range(CG 위치에 대한 전방 한계와 후방 한계 사이의 거리)는 제조업체에 의해 증명된다. 만약 CG가 세로축으로부터 너무 앞으로 이동하면 nose-heavy 상태가 발생한다. 반대로 만약 CG가 세로축으로부터 너무 뒤로 이동하면 tail heavy 상태가 발생한다. CG의 위치가 불안정 조건을 만들어내면 조종사가 항공기를 제어하지 못할 수도 있다. [..

활성슬러지법, Activated Sludge Process, 하수처리, 생물학적 수처리, 1914년, 영국, Arden, Lockett

활성슬러지법 Activated Sludge Process 환경공학에서의 하수처리의 기본. 활성슬러지법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처리, 혹은 그 변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역대 하수처리 공법 중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세계 어느 나라에서건 쓰이는 방식. 기본적으로 활성슬러지를 만들어서, 활성슬러지가 호기성 상태에서 하수 속의 유기물을 저분자 물질인 이산화 탄소, 물로 바꾸는 과정이다. 근대 하수도의 도입은 19세기 영국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데, 산업 혁명으로 도시에 인구수가 늘어남과 동시에 전염병 발병이 늘자, 빈민구호법 수정안이라는 법률로 하수도를 만들기로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런던시가 이를 먼저 도입하게 된다. 18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전세계적으로 폐수의 ..

데시벨(dB), 헤르츠(Hz), 주파수 : 소리의 음색, 데시벨 : 소리의 음고, 소리의 세기 데시벨(dB), 진동수 헤르츠(Hz)

주파수 : 소리의 음색 데시벨 : 소리의 음고   데시벨(decibel, dB) 기준에 대한 비율에 상용로그를 취한 물리량의 단위이다. 비SI 병용 단위에 벨(Bel, B)과 함께 등록되어 있다. 상용로그의 값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차원이 없다. 데시벨의 수치는 기준치에 대한 비율에 상용로그를 취한 것이기 때문에 데시벨 자체는 절대치가 아니라 상대치이다. 일상적으로 절대치처럼 쓰이는 단위들은 기준값이 고정되어 있고 데시벨 뒤에 부가적인 기호를 붙여야 하는데 이걸 보통 생략하고 쓰기 때문에 절대치인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를 데시벨(dB)라고 한다.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벨의 이름에서 따왔다. 0dB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다...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Perovskite, 차세대 태양전지, 태양전지 분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perovskite solar cell)

태양전지 별 효율연구실에서 측정된 최대 효율 상용화된 태양전지 효율단결정 Si 태양전지(1세대)26.7%20%박막 Si 태양전지 (2세대)14%10%GaAs 태양전지 (2세대)>= 40%30%CIGS (2세대 박막 태양전지)20.1%12%CdTe (2세대 박막 태양전지)10%-염료감응 태양전지 (3세대 유기 태양전지)10%-유기분자 태양전지 (3세대 유기 태양전지)3~5%-페로브스카이트 (3세대 유기 태양전지)단결정 Si 태양전지와 비슷-  태양전지 분류태양전지 시장은 종류에 따라 유기 태양전지와 무기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perovskite solar cell) 태양 전지의 한 종류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물질을 광흡수층으로 사용하는 태양 전지이다. 납이나 주석을 중심 금속으로 ..

스타십, 스페이스X, 스타십 추진체 귀환, 스타십 발사 시스템(Starship Launch System), 엔진 수 39개, 일론 머스크, 스타십 우려, 회의적 시선

스타십, 스페이스X호기심과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는, 별 너머로 떠나는 여행. 그것이 우리 인간의 미래입니다. - 일론 머스크, 2019년 9월 28일 스타십 최신 발표회에서 스페이스X에서 개발 중인 다목적 초대형 우주발사체. 단기적으로는 팰컨 9과 팰컨 헤비를 대체하며, 나아가 발전된 재사용으로부터 우주 수송 산업의 새로운 경제적 접근을 구축, 확립하고, 달과 화성 탐사, 그리고 장차 먼 미래에 있을 화성보다 더 멀리 위치한 천체들에 대한 탐사 계획까지 고려해 설계된 기체이다. 스타십(Starship, 2단부)과 부스터(Booster, 1단부), 그리고 재사용 시스템으로서 발사, 정비, 급유, 회수 장비인 OLT/OLM(OLIT)으로 구성된다. 전장 119m, 직경이 9m로, 전장 110.6m인 전대의..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자기유체역학, 공기역학

유체역학Fluid Mechanics유체. 즉, 전단응력을 받을 때 저항하지 못하고 연속적으로 변형하는 물질의 역학적 상태를 설명하는 학문역사적으로 유체역학의 시초는 뉴턴으로 본다. 물론 아르키메데스의 부력의 원리도 유체역학에 기여하였지만,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시킨 것은 뉴턴의 연구가 처음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후로 다니엘 베르누이, 오일러 등의 학자들이 유체역학을 발전시켜 왔으며, 유체역학 관련 학회에서 새로운 논문이 수천수만 편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현재에도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학문 분야이다.   오일러 관점유체역학에서는 관찰할 지점은 고정해놓고, 그곳을 지나는 유체에 대해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을 해석하는 오일러 관점을 이용한다. 또한, 오일러 관점을 이용하여 기존의 보존 법칙들을 다시 전..

탄성(elasticity), 점성(Viscosity), 훅의 법칙(Hooke's law), 점성계수(viscosity coefficient)

탄성(elasticity)힘을 더하면 형태가 바뀌지만, 힘을 빼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성질을 말한다. 원칙적으로는 고체로 보이는 성질이다. 영어로 elasticity라고 하며, 어원을 따져 보면 그리스어의 "돌아오다"라는 뜻이 된다. 많은 물질은 탄성 범위 안에서는 형태를 바꾸어도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 말은 보일이 처음 사용하였다.탄성은 응력(stress)과 변형(strain) 사이의 선형 관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선형 탄성이라고 한다. 고무 밴드와 잘 튀는 공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개념은 처음에 로버트 훅(Hook) 이 1675년에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선형 관계는 훅 법칙으로 불린다. 선형 탄성의 전형적인 모델은 "완벽하게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용수철이다.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

테트라포드, Tetrapod, TTP, 4(tetra), 발(pod), 파도 에너지 흡수, 방파제, 20톤, 60만원, 항만법상 출입금지 규정, 과태료 100만원

테트라포드, Tetrapod, TTP, 발(pod), 넷(tetra) 달린 마름쇠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가리킨다. 방파제 등 해안 구조물에서 물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구조적 특징파도를 감쇄시키는 각각의 구조물을 여러 개 쌓아 방파제를 건설하는 것을 '소파 블록(消波-, wave-dissipating block)' 방식이라고 하는데, 테트라포드는 소파 블록 중에서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 형태의 소파 블록은 1949년 프랑스의 공업 회사 NEYRPIC에서 처음 생산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방파제 건설에 이용된다. 무게는 소형이 2톤 이상,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중형은 20톤 정도, 아주 거대한 대형은 80톤 이상이다. 방파..

성, 城, castle, 성채, 城砦, citadel, 성관, 城館

성채, 城砦, citadel   마을, 읍, 소도시 등 거주지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요새다. 유사시 도시 방어의 핵심 역할을 하는 곳이다. "시타델"이라는 말은 "작은 도시(시티)"라는 뜻이다.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를 비롯한 도시국가들에서부터 이런 형태의 방어시설이 나타난다. 성채는 거주지 요새화에서 가장 강력한 부분이다. 도시 성곽 내부에 지어지기도 하지만 때로 성곽 경계 또는 성곽 밖에 지어지기도 한다. 성채는 도시의 최후 방어선으로, 다른 방어시설들이 모두 뚫렸을 때 시민과 방어군이 성채에 틀어박힌다. 한편, 성관에서 다른 곳보다 방벽이 높은 부분을 성채라고 칭하기도 한다. 성관의 성채는 성주가 거주하는 핵심부인 아성 바로 앞의 최후 방어선이다. 성. 城, castle 적을 방어하기 위한 거점으로 ..

어댑터, 충전기, 어댑터(Adaptor) 필요 이유, AC 전류, DC 전류

전원 어댑터, 충전기 차이점전자 장치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전원 어댑터와 충전기라는 용어는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두 용어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장치의 안전과 최적의 기능을 보장하려는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입니다 . 전원 어댑터는 벽면 콘센트의 고전압 AC 전류를 전자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전압 DC 전류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장치입니다. 기본적으로 전기 콘센트와 전자 장치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전원 어댑터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공되며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와 함께 작동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노트북 전원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노트북이 작동하는 데 더 많은 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전원 어댑터보다 더 높은 전압 출력을 공급..

미국, 목조 주택, 이유, 경제성, 공사기간 단축, 재료 가용성

왜 콘크리트로 짓지 않고 가벼운 나무로 지을까경제적인 이유  미국에서는 콘크리트 기술자가 별로 없습니다.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콘크리트 관련 인건비가 비쌉니다.​반면 대부분의 기술자들이 목조주택을 짓기 때문에 인건비가 저렴합니다.게다가 미국에선 나무가 풍족한 건축자재이기 때문에 저렴합니다. ​미국의 경우 2020년 미국의 산림 면적은 약 3억 1천만 헥타르로 전 세계 면적의 8%를 차지하며 년간 약 3억 7천만 톤의 나무를 생산합니다.​​​공사기간 단축​건물을 지을 때 공사비와 가장 맞닿아 있는 부분이 공사기간입니다.공사기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건축비가 줄어듭니다.​​• 30평 콘크리트 주택의 경우 설계, 인허가, 토목, 구조, 외장, 내장, 인테리어 등의 공정과 날씨, 자재, 인력, 예산 등의 조건을 포..

제습기 원리, 제습 원리, 압축식 제습기, 에어컨, 전기요금

제습기(除濕機, dehumidifier) 또는 감습기(減濕器)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로, 특히 실내 공간을 쾌적하게 만들거나 습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물건을 보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주로 장마가 있는 여름에 사용한다. 이것과 반대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는 가습기가 있다.   원리제습기의 제습 원리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물로 바꿔서 기계안의 물통에 채우는 형식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압축기를 통해 차가운 부위를 만들어 거기에 수분을 응결시켜 모으는 것과, 제습제를 이용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모으는 것으로 나뉜다. 각각의 방식은 서로 상반되는 장단점이 있다. 공통된 특징으로는 습도를 낮춰서 같은 온도에 비해 시원하게 느껴지며, 에어컨에 비해 전기요금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

회생 제동, 回生制動, regeneration brake, 전력 회생 브레이크, 전기 자동차

회생 제동, 回生制動, 전력 회생 브레이크 토크력으로 움직이고 있는 전동기가 폐회로 상태가 됐을 때의 관성력을 이용해 바퀴 등에 달려 있는 회전자를 돌려 전동기를 발전기 기능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 회수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는 전기 제동 방법을 통칭하는 말이다. 발전시의 회전저항을 제동력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철도 철도에서는, 전동차나 전기 기관차의 주전동기로 발전해 발생한 전기 에너지는 가선을 통해 송전한다. 이를 통해 열차의 소비전력을 감소(역행 시간과 제동 시간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며, 터널 내 온도 상승 문제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신형 전동차 대부분이 이 회생 제동을 채용하고 있다. 회생 제동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소비해 줄 수요..

밀링머신(Milling Machine)

밀링머신(Milling Machine) 다수의 날을 가진 밀링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고정한 공작물을 이송하면서 절삭하는 공작기계이다.밀링 머신(Milling Machine) 이란 원판 또는 원통체의 외주면이나, 단면에 다수의 절삭날로 평면, 곡면 등을 절삭하는 기계를 말한다. 선반과는 달리 커팅날, 즉 엔드밀 등이 회전하고, 공작물이 바이스 등에 고정되어 있다.[1]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니(Knee) 형 밀링머신을 주로 사용한다. 선반은 축이 X, Z라 2차원 가공을 하는 가공 기계인 반면에 밀링은 축이 X, Y, Z 이므로 3차원 가공을 할 수 있다. 보통 일반 밀링 기계의 경우에는 1,400 RPM 정도지만, 10,000 RPM이 넘는 밀링 머신도 있다. 휘발유 내연기관 승용차의 최대 R..

보링머신(Boring Machine)

보링머신(Boring Machine) 보링머신은 드릴머신의 드릴로 뚫겨 있는 구멍이나 단조품, 주조품 등에 각각의 공정중에 만들어진 구멍의 지름의 크기, 진원도, 원통도, 진직도, 위치 결정정도 등이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이들의 구멍을 정확한 치수로 절삭하는 공작기계를 보링머신이라 한다. 테이블형 수평보링머신 테이블이 새들안내면 위를 스핀들과 평행, 직각방향으로 수평면내에서 이동한다. 보링이외의 기계가공이 요구되는 일반공작에 사용된다. 플로어형 수평보링머신 공작물을 고정하는 데는 T홈이 있는 바닥판을 사용한다. 공작물이 크고 테이블에서 가공하기 어려운 공작물을 가공하는데 사용 된다. 주축대는 칼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칼럼은 베드 위를 전후로 이송하여 스핀들의 위치를 정한다. 외부지지대가 되는 직립 ..

선반, 旋盤, Lathe, 모즐리

선반, 旋盤, Lathe공작기계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되며,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것이며, 주요 구성요소는 베드, 주축대, 심압대, 왕복대, 공구대 및 이송장치로 되어 있다. 가공할 공작물을 고정구에 물려 고정한 다음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공구를 대어 가공하는 공작기계. 모즐리가 1877년 완성한, 근대적인 미끄럼공구대가 붙은 선반 기계를 지칭한다. 공작기계의 대표 선두주자이자, 가장 역사가 오래된 공작기계이다. 동작 구조를 살펴보면, 도자기를 빚는 물레와 상당히 유사하다. 사실 원리 자체는 같다. 종류나 필요에 따라서 범용선반, NC선반, CNC선반, 전용선반 등 여러가지로 나누지만, 보통 산업현장에서는 사람이 직접 조작해야 하는 선반인 범용선반과, 컴퓨터로 프로그램을 입력하면 기계가 스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