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천문 Astronomy 31

동지, 동지점, 冬至點, winter solstice

동지(冬至)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다. 대개 팥죽을 먹는다. 양력에서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남회귀선, 곧 적도 이남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이다. 이때 태양은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데, 대한민국, 독일 등과 같은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추위는 대략 이 무렵부터 강력해지기 시작한다.  동지는 겨울의 중간 지점이자 1년 중 가장 추운 날로 여겨지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먼저, 이때는 지구 북반구에서는 겨울이지만, 남반구에서는 여름이므로, 지구 전체..

밀란코비치 주기, 이심률, 자전축 경사

밀란코비치 주기 밀란코비치 이론은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지구 자체 운동의 집합적인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구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의 기술자이며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밀루틴 밀란코비치(1879년 5월 28일 - 1958년 12월 12일)의 이름이 붙여졌으며,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억류되어 있는 동안 이 이론을 연구하였다.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과 자전축 경사의 변화, 세차운동이 지구의 기후 변화 패턴을 결정한다는 수학적인 가설을 세웠다. 지구의 자전축은 도는 팽이처럼 요동을 하면서 약 26,000년마다 한 바퀴 세차운동을 한다. 한편 지구의 타원 궤도의 축도 반대 방향으로 훨씬 서서히 회전한다. 이러한 운동들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23,000년 주기로 서서히 이..

목성 위성, 위성 수 69개, 갈릴레이 위성,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시몬 마리우스

목성의 위성(木星- 衛星, Moons of Jupiter)  2023년 3월 기준 총 95개로, 목성은 태양계에서 2번째로 많은 위성을 지닌 행성이다.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기도 한다. 위성들 중 가장 큰 위성들은 4개의 갈릴레이 위성들로,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시몬 마리우스가 발견하였으며 태양이나 지구를 돌지 않는 천체 중 최초로 발견된 천체들이다. 19세기 말부터, 더 작은 크기의 위성들이 발견되기 시작했고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관련된 이름들이 붙여졌다. 갈릴레이 위성들은 목성의 위성들의 총 질량 중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75개와 고리를 합친다고 해도 질량비는 고작 0.003%밖에 되지 않는다.  목성의 위성들 중 8개는 순행 규칙 위성으로, ..

지구의 물, 우주, 얼음 혜성, 동위원소 비율, 듀테륨, 소행성 기원설, Where Earth Got Its Water

지구에 있는 물의 형성 기원은 혜성이 아니다.소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지구로부터 5억1천만km떨어진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67P) 혜성 궤도상의 로제타탐사선이 보내온 혜성 성분분석 결과가 지구 바다의 기원설에 또다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美항공우주국(NASA)은 유럽우주국(ESA)이 쏘아올린 로제타탐사선의 로시나계측기로 측정한 결과 67P혜성 수증기의 구성성분이 지구에서 발견된 성분과 엄청나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에따라 지구 상에 있는 물의 기원이 어디인지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구토양의 물이 67P혜성에서 오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로제타탐사선의 이온및중성분석스펙트럼계측기(ROSINA,로시나) 데이터 분석결과는 10일자 사이언스잡지에 실렸다. 과학자들은 로제타가 밝..

천체, 항성, 행성, 소행성, 위성, 혜성, 은하

천체(天體, celestial body)우주에 존재하여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암석·기체·먼지 등 여러 물질이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그 집합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다. 천체의 대략적인 종류소행성: 항성 주위를 공전하지만, 그 질량이 행성 및 위성보다 작은 천체. (예:주노) 왜행성: 행성과 소행성의 중간 천체. 혜성: 태양 주위를 이심률이 큰 궤도를 그리면서 공전하는 천체. 태양 복사를 통해 핵에서 코마 및 꼬리가 생겨난다. 공전주기가 짧은 것은 몇년에서 몇십년이고, 긴 것은 수천 년에 이른다. (예:핼리 혜성) 위성: 행성 등의 주위를 도는 천체. 천체에서 다루는 위성은 자연위성을 뜻하며, 인간이 만든 인공위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예:달) 행성: 항성의 주위를 도는 ..

외계생명체 존재, 물, 우주의 가장 흔한 물질이 수소

우주의 가장 흔한 물질이 수소물기둥에 수소가 있다는 건 뭐냐면 물속 어딘가에서 수소가 녹아 나온다는 거그래서 그걸 수열작용이라고 해서 바닷속 어딘가에 녹아있는 곳에 뜨거운 물이 있다는 거뜨거운 물에 의해서 광물에서 물질이 녹아 나오고, 이런 것들이 반응하면서 거기에 수소가 나오는 거이 수소와 더불어 이산화탄소도 발견됐는데,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결합하면 메탄이때 열이 나온다. 이 에너지를 가지고 우리 지구에서도 심해조 같은 곳에서 메탄 균들이 살아간다.심해조 같은 경우에는 햇빛이 안 들기 때문에 에너지를 받을 곳이 없다.그런 곳에서 이렇게 수소와 이산화탄소가 합쳐지는 메탄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가지고 사는 균들도 있다.그래서 뭔가 에너지원이 있고 거기에 액체상태의 물이 있으니까 원시 상태의 생..

아르테미스 계획, Artemis Program, NASA, 유럽 우주국, JAXA,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영국, 아랍에미리트, 우크라이나, 뉴질랜드 등이 참여하는 유인 우주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계획(Artemis Program)  2017년 시작된 NASA, 유럽 우주국, JAXA,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영국, 아랍에미리트, 우크라이나, 뉴질랜드 등이 참여하는 유인 우주 탐사 계획역사 2024년까지 우주인을 달에 보내고, 4차인 2026년 이후 5차에서 8차 또는 그 이상 순차적으로 달에 지속가능한 유인 기지를 건설하려는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라 NASA는 SLS로켓를 이용해서 오리온을 달로 보내고,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루나 게이트웨이를 지을 것이다. 특히 이 계획은 일부 달 탐사선의 개발을 민간에 위탁하는 등 민간 기업과 여러 국가들 간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원래는 모든 미션에 SLS를 이용하려고 했으나 NASA의 2..

내가 그 박식한 천문학자의 말을 들었을 때, 월트 휘트먼, When I heard the learn'd astronomer, Walt Whitman

내가 그 박식한 천문학자의 말을 들었을 때 월트 휘트먼 내가 그 박식한 천문학자의 말을 들었을 때 증거와 숫자들이 내 앞에 줄지어 나열되었을 때 더하고, 나누고, 계량할 도표와 도식들이 내 앞에 제시되었을 때 그 천문학자가 강당에서 큰 박수를 받으며 강의하는 걸 앉아 들었을 때 나는 알 수 없게도 금방 지루하고 역겨워져 자리에서 일어나 밖으로 빠져 나온 뒤 홀로 거닐면서 젖어 있는 신비로운 밤공기 속에서 이따금 아무 말 없이 하늘의 별들을 올려다보았다 When I heard the learn'd astronomer Walt Whitman When I heard the learn'd astronomer, When the proofs, the figures, were ranged in columns befo..

북극성, polar star, 은곰자리 알파별, 북극성 찾는 방법, 작은곰자리의 α별(알파성) 폴라리스(Polaris), 지구의 자전, 별의 일주 운동

북극성(北極星/polar star, north star) 맨눈으로도 잘 보일만큼 비교적 밝은 별들 중 하늘의 북극에 가장 가까운 별 지구가 세차운동을 하여 천구의 북극 위치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바뀐다. 현재 북극성은 작은곰자리의 α별(알파성) 폴라리스(Polaris)이다. 이 별은 보통 '북극성'으로 불리며, 순우리말로 붙박이별(지금은 주로 항성의 뜻으로 쓰인다.)이라고도 한다. 현재의 북극성은 작은곰자리의 알파별로, 천구 북극과 가장 가깝기 때문에 방위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지구 자전축이 세차운동하여 약 2만6천 년 주기의 원을 그리기 때문에 천구 북극의 위치도 그에 따라 바뀐다. 현재도 천구의 북극은 실시간으로 폴라리스랑 가까워지고 있으며, 21세기 후반~22세기 초반에 절정을 찍을 ..

태양에서 지구까지 거리 1억5천만km, 빛속도 8분, 8광분

행성들 사이의 거리, 태양계의 규모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는 약 1억5천만km이다. 이 거리는 빛으로도 8분이 넘는 시간 동안 달려야 도착할 수 있는 거리이기도 하다. 그럼 태양계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 해왕성이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이기 때문에 그곳이 끝이고, 따라서 태양과 해왕성의 거리 약 46억 km가 태양계의 반지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 멀리 카이퍼벨트와 오르트 구름의 발견으로 인하여 태양계는 우리의 생각보다 거대했다. 단주기 혜성의 출발지로 알려져 있는 카이퍼벨트는 해왕성 외부에서부터 약 1000AU(약 1천500억km정도)이상에 퍼져있다고 한다. 그리고 오르트 구름에서 출발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장주기 혜성의 궤도 반지름은 3000AU 내지 10만 AU이다. 이는 빛으로도 약 1..

우주의 역사, 우주, 시공간과 물질의 기원

우주 우주는 우리가 속해 있는 (하나로 연속적으로 연결돼있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 안에 있는 모든 물질의 총체다.1 우주에 대한 이런 관념은 20세기 초 일반상대성의 등장으로 시간과 공간, 그리고 물질의 동역학이 서로 엮여있음을 인지함으로써 확고해졌다. 그 이전에는 땅과 하늘로 대표되는 공간적인 실체가 더 강조됐다. 우주 변화의 시간 척도에 비해서 인간의 수명, 나아가 인류 문명의 기간이 지극히 짧았기 때문이다. 땅과 하늘에 대한 빈약한 관찰 위에 얹은 상상력의 산물인 고대의 우주론에서는 우주의 탄생과 소멸에 대한 얘기도 담겼지만, 세밀한 관찰과 실험에 근거한 근대 과학이 등장하면서 대체로 우주는 변하지 않는다고 믿어졌다. 하지만 일반상대성의 등장 이후 100년에 걸쳐 다듬어진 현대 우주론은 우주의..

우주 나이, 태양계 나이, 지구 나이

우주의 나이 현재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와 지구가 속해있는 태양계, 그리고 우주.. 이러한 시스템은 언제부터 시작되어 왔을까? 가장 먼저 우주가 생겼을 것이고,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계가 발원하여 지구가 형성되었을 것인데, 과학의 진보에 따라 그 기원과 나이를 추정하는 이론들이 많아졌다. 우선 우주의 기원에 대해서는 빅뱅이라고 불리는 대폭발이론이 우주론의 한 분야로 정상우주론과 함께 가장 유력한 모델로 발전해왔다. 빅뱅 이 이론에 따르면, 우주의 폭발에 앞서,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작은 점에 갇혀 있었는데(절대적인 무의 세계), 우주 시간 0초의 폭발 순간에 그 작은 점으로부터 물질과 에너지가 폭발하여 서로에게서 멀어지기 시작했고, 이 물질과 에너지가 은하계와 은하계 내부의 천체들을 형..

최초의 별, 중력 렌즈

최초의 별은 언제 만들어졌나 최초의 항성은 언제 생겨났을까요? NASA∙ESA 허블우주망원경이 초기 우주에 대한 놀라운 발견을 했습니다. 바로 초기 우주의 최초의 별과 은하의 형성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빨리 만들어졌을지 모른다는 사실인데요. 유럽의 천문학자 연구팀이 우주가 탄생한 이후 5억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봤지만, 항성종족 III 항성으로 알려진 1세대 별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최초의 은하가 언제 생성됐을까 하는 문제는 현대 천문학에서 중요한 도전으로 남아있습니다. 아직 인류는 우주 최초의 별과 은하가 언제 어떻게 형성됐는지 모릅니다. 이 질문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통해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허블 우주망원경은 빅뱅이 발생한 직후 5억년 이내의 우주를 다시 볼 ..

우주 역사 연표, 우주 탄생, 우주 끝, The history of the universe in a chronological table, the birth of the universe, the end of the universe

연표로 보는 우주의 역사 137.2 + - 1.2억년 전: 빅뱅으로 우주가 출현하다. 극도의 온도와 밀도를 가진 작은 점, 우주의 씨앗이 되는 플랑크 길이(약 10-33cm) 크기의 ‘원시의 알’이 대폭발을 일으켜 시간, 공간, 물질의 역사가 시작되다. 빅뱅 이후 10^-43초 : 플랑크 시간.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물리학이 정의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간단위. 플랑크 시간보다 짧은 시간은 측정할 수도, 설명도 할 수 없다. 10^-43 ~ 10^-35초 : 대통일 이론 시대. 우주의 온도 약 10^27°. 원자핵도 존재할 수 없는 온도로, 빛과 입자의 원료들이 뒤섞인 형태의 에너지만이 존재한다. 4가지 기본 힘인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 중 중력 외의 나머지 3가지 힘은 이 시기에 대통..

해 달 크기 같아 보이는 이유, 개기일식, 태양계에 166개 달

태양의 지름은 달의 지름의 약 400배. 그러나 태양은 또한 달보다 약 400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 놀라운 우연의 일치로 인해 지구에서 보이는 두 별의 겉보기 크기는 약 0,5º로 동일 하늘에 떠 있는 해와 달 중에 어느 게 더 클까? 당연히 태양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런데 이 질문을 어린 아이에게 한다면 어떤 답을 얻을까? 해라고 하는 아이도 있고 달이라고 하는 아이도 있을 것이다. 그들이 하늘에서 보기엔 둘의 크기가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태양과 달의 실제 크기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태양이 크다. 달이 우리의 엄지손톱만 하다면 태양은 지름이 4미터도 넘는 거대한 구이다. 태양은 달보다 400배 크다. 그런데도 우리 하늘에서는 태양과 달의 크기가 같다. 태양계에 166개 있어도 우..

광자, 전자, 어둠, 광자 결여 상태

광자는 파동의 입자이다. 이는 파동의 주파수에만 의존하는 고정 된 양의 에너지이다. 광자의 에너지는 방정식 E = h f로 주어지며, 여기서 E는 광자의 에너지, h는 판 상수, f는 파동의 주파수이다. 광자는 에너지의 패킷으로 간주. 상대성 이론의 발달로 파동에도 질량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파동이 물질과의 상호 작용에서 입자처럼 행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광자의 나머지 질량은 0이다. 광자가 빛의 속도로 움직일 때, 그것은 E / C 2 의 상대론적 질량을 가지며, 여기서 E는 광자의 에너지이고 C는 진공 속의 빛의 씨앗이다. 광자와 전자의 차이는? • 광자는 에너지의 패킷이고 전자는 질량이다. • 광자는 정지 질량을 가지지 않지만 전자는 정지 질량을 갖는다. • 광자는 빛의 속도로 움직일..

드레이크 방정식, Drake equation, 외계 생명체 수 계산, 페르미 역설, 그린 뱅크 방정식(Green Bank equation), 세이건 방정식(Sagan equation)

드레이크 방정식, Drake equation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지적인 외계 생명체의 수를 계산하는 방정식이다. 1960년대에 방정식을 최초로 고안한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의 이름이 붙었다. 그린 뱅크 방정식(Green Bank equation) 또는 세이건 방정식(Sagan equation)이라고도 한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페르미 역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N: 우리 은하 내에 존재하는 교신이 가능한 문명의 수 R*: 우리은하 안에서 1년동안 탄생하는 항성의 수 (= 우리은하 안의 별의 수/평균 별의 수명) fp: 이들 항성들이 행성을 갖고 있을 확률 (0에서 1 사이) ne: 항성에 속한 행성들 중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의 수 fl: 조건을 갖춘 행성에서 실제로 생명체가 탄생할 확률 (0에..

페르미 역설, Fermi paradox, 노벨 물리학상, 외계의 지적 생명체

페르미 역설, Fermi paradox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이탈리아의 천재 물리학자였던, 엔리코 페르미가 외계의 지적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두고 '모두 어디에 있는가?'라고 물었던 일화에서 유래 페르미는 당시에 여겨졌던 것처럼 우주의 나이가 오래 되었고 무수히 많은 항성이 있으며 그 항성들이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면, 인류가 아닌 지적생명체 역시 우주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야하며, 그 중에서 몇몇은 지구에 도달했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1950년에 그는 동료들과의 점심식사에서 그에 대한 논의가 나오자, "그러면 그들은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했다고 한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제기는 페르미가 처음이 아니었으나, 페르미는 이 문제를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문제로 단순화한 것이 특징이..

암흑물질, dark matter, 귀신, 중력,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dark matter 우주를 구성하는 총 물질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등과 같은 전자기파로도 관측되지 않고 오로지 중력을 통해서만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물질 1930년대 초, 스위스인 천체물리학자 프리츠 츠비키(Fritz Zwicky)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으로 ‘머리털자리 은하단’의 질량을 관측했다. 하나는 은하단이 내뿜는 빛을 근거로 삼는 ‘광도 질량’, 하나는 은하단 속에 있는 천체의 이동속도를 근거로 삼은 ‘역학 질량’을 이용하는 방법이었다. 이론상으로는 두 질량의 값이 똑같이 나와야 했지만, 실험 결과 전혀 다른 값이 나왔다. 광도 질량보다 역학 질량이 400배 이상 더 높게 나온 것이다. 그는 이 차이가 눈으로 감지할 ..

다중우주, Multiverse, 인플레이션 다중우주, 누벼이은 다중우주, 평행우주론

다중우주, 多重宇宙, Multiverse 다중우주는 우리 우주 A 외에도 다른 우주 B, C, D, …가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다중우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서로 다른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인류 원리 논의의 전제가 되는 이론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다중우주 이론 종류 미디어물에서 자주 등장하는 평행세계와는 다르다. 다중우주론은 우리 우주 말고, 다른 우주도 있지만 우리 우주와는 전혀 무관하다는 것을 이론으로 정립시킨 것이다. 반면, 평행세계(우주)는 일단 우리 우주와 관련은 있지만 같은 시공간 자체에 있지 않고 별도의 시공간에 위치한 세계에 대해 논하는 것이다. 다중우주론의 대표적인 예로 인플레이션 다중우주가 있다. 일본 도쿄대학 수물연휴우주연구기구 기구장인 무라야마 히토시는 인플레이션 다중우..

하야부사, 隼(はやぶさ, 매), 일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 소행성 류구, 로버

하야부사(일본어: 隼, 정식 명칭: MUSES-C)는 일본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으로 일본어로 매를 의미한다. 2003년에 발사해 샘플을 채취하고 2010년 6월 14일 60억km를 비행한 후 귀환했다. 세계최대의 고체로켓인 M-V 로켓에 의해 발사되었으며 지구 스윙바이를 통해 2005년에 도착할 수 있었다. 소행성을 여러 가지 관찰하면서 그중에서 선택해 금속구로 발사해 채취한다. 무엇보다 이 탐사선을 통해 달 이외의 천체의 물질을 가져온 것은 세계 최초이며 가장 멀리 여행하고 돌아온 탐사선으로 기록 되었다. 하야부사는 2010년 6월 13일 대기권에 진입하였으며 본체는 모두 불타 소멸되고 캡슐만이 호주 우메라 사막에 안착하여 회수되었다. 캡슐은 초속 12 km, 시속 4만km의 속도로 대기권에 재돌입, ..

독수리 성운, Eagle Nebula, M16, NGC 6611, 창조의 기둥

독수리 성운(Eagle Nebula, M16 또는 NGC 6611)은 뱀자리에 있는 전리수소영역이자 산개성단이다. 1745 ~ 46년에 장필리프 드 세조(Jean-Philippe de Cheseaux)가 발견하였다. 모양이 수리와 유사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이 성운 내부에는 항성 형성이 활동적으로 일어나는 수많은 가스와 먼지가 있으며, 그 중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창조의 기둥은 특히 유명하다. "별의 첨탑"(Stellar spire) 수리 성운은 사실 널리 퍼져 있는 발광성운 또는 전리수소영역 IC 4703의 일부분이다. 항성 형성이 활동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이 영역은 지구에서 약 7000 광년 떨어져 있다. 성운에서 떼어내어 볼 수 있는 "별의 첨탑"(Stellar spire)의 높이는 약 9...

태양의 수명, 100억 년 후 소멸, 블랙홀, 적색 거성, 백색 왜성(white dwarf)

태양의 수명 태어난 지 45억 년 앞으로 100억 년 후 소멸 50억 년만 지나도 대폭발로 지구를 삼키고 땅 위에 생명이 생긴지는 6억 년 앞으로 다시 6억 년 후 땅 위 아무도 없을 확률 양성자-양성자 연쇄반응의 결과로 생성된 헬륨-4 원자핵과 반응에 사용된 양성자 4개의 질량을 비교해보면 0.7%의 질량 감소가 있다. 이 질량은 아인슈타인의 질량 에너지 변환식 E=mc2에 의해 에너지로 전환된다. 방출되는 에너지는 얼마나 될까? 수소 1kg이 헬륨으로 전환되면 60,000J의 에너지가 나온다. 우리는 태양이 매초 4 × 1026J에너지를 우주공간으로 방출한다는 것을 안다. 이 에너지는 매초 6억 톤의 수소를 헬륨으로 전환하면 얻어진다. 그러면 태양은 얼마나 오래 탈 수 있을까? 만약 태양의 전 질량 ..

우주 거대구조, 우주의 연대기, 수소와 헬륨 가스로 가득한 암흑시대

우주 거대구조 우주 거대구조(宇宙巨大構造, large‐scale structure of the cosmos)란 우주에 분포한 은하들이 나타내는 거품 모양의 구조이다. 꾸준한 우주 은하들의 3차원 공간 분포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빅뱅 이후의 초기 은하들은 무분별하게 퍼져있다가 점차 암흑물질의 중력 영향을 받아 암흑물질 분포와 비슷하게 뭉쳐져 결국 거품 형태가 되었음이 밝혀졌다. 거품 안의 빈 공간은 거시공동이라고 한다. 우주의 연대기 오늘날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들은 수많은 매체를 통해 기록된다. 어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 1년 전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가 무엇이었는지 알고 싶다면 어렵지 않게 많은 기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고자 한다면 어떨까? 10년 전보다 10..

허블 울트라 딥 필드, 로버트 윌리엄스, Hubble Ultra Deep Field, HUDF,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 사진

Hubble Ultra Deep Field, HUDF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가장 유명한 사진 중 하나. 허블 우주 망원경이 2003년 9월 24일부터 2004년 1월 16일까지 800회에 걸쳐 노출시간 통산 약 1백만 초를 들여 촬영한 4색 사진이다. 이후 2009년에 3가지 색을 더 촬영함으로써 자외선에서부터 근적외선에 이르기까지 7색으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완성되었다. 에리다누스자리와 화로자리 사이 밝은 별이 거의 없는 공간을 선택하여 촬영되었으며, 사진의 총 면적이 보름달 넓이의 1/50밖에 되지 않는 매우 좁은 영역이다. 허블 딥 필드 1995년, 한 천문학자의 머리에서 아주 엉뚱한 아이디어가 제시되었다. 그 아이디어란 바로 "아무것도 없는 우주공간을 찍어보자"는 것. 이 이상하고도 괴이한 발..

아름다운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 솜브레로 은하(Sombrero Galaxy), 소용돌이 은하(Whirlpool Galaxy), M 51a, 검은 눈 은하(Black Eyed Galaxy) M 64, 은하 M81

우주의 주민은 은하 이 우주라는 동네의 주민은 은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민의 수는 약 2천만이다.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 살듯이 우주의 별들도 이 은하 안에 모여서 산다. 은하는 말하자면 별들의 도시인 셈이다. ​ 별들은 은하 속에는 태어나고 반짝이며 살다가 이윽고 폭발해서 생을 마감하면서 자신을 만든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다 돌려놓는다. 그러면 이 물질들은 다시 떠돌다가 다른 별을 만드는 것이다. ​ ​영어권에서는 은하는 갤럭시(galaxy)라 하고, 은하수는를 밀키 웨이(Milky Way)라 하는데, 우리말로는 미리내라 한다. 그러니까 은하는 보통명사이고, 은하수는 우리은하의 고유명사인 셈이다. 우리은하를 미리내은하라고도 한다. ​ 그럼 각 은하들은 얼마나 많은 별들을 갖고 있을까? 작은 것은 1천만 ..

은하, 銀河, Galaxy, 항성, 가스, 암흑물질

은하, 銀河, Galaxy 은하는 항성, 밀집성,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뭉친 거대한 천체이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가장자리에 있으며, 지구에서 바라본 우리 은하가 천구 상에서 띠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은하수이다. 천문학에서 은하는 생물학의 세포와 유사한 일종의 단위가 된다. 규모는 은하마다 다양하나, 작은 은하일지라도 개별 항성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무진장 크다. 우리 은하만 해도 너비가 약 10만 광년으로 추정된다. 발견된 것 중 가장 거대한 타원 은하인 IC 1101는 반경 200만 광년에다 별 100조개가 모여있다. 고대 이전부터 은하수는 인류에게 잘 알려져 있었지만 그 정체가 무수히 많은 별들의 무리라는 사실은 갈릴레오가 천체망원경을..

알파 센타우리, Alpha Centauri

알파 센타우리(Alpha Centauri) 센타우루스자리는 천구의 남쪽에 있는 별자리로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 13h 10m, 적위 45°이다. 늦봄부터 초여름에 보이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위도에서는 별자리의 북쪽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관측할 수 없다. 알파 센타우리는 센타우루스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실제로는 육안으로는 하나로 보이지만 실은 쌍성계로 알파 A, B로 나누어져 있다. 알파 A, B와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로 4.22광년 떨어져 있다.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와 프록시마는 안시 이중성을 구성하는데, 이 별들이 삼중성계를 이룬다고 볼 경우에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C’로 나타낼 수 있다. TESS 우주망원경이 최근 101광년 거리에서 지..

별, 태양, 만유인력, 중력, 블랙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천체는 태양이다. 동시에 태양계에서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항성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이 별의 크기는 어떻게 정해질까? 힘이 셀수록 크기가 커질까? 만약 그렇다면 어떤 힘이 세야 크기가 커지는 걸까? 이 질문에 대답하려면 일단 중력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봐야 한다. 중력, 즉 만유인력의 법칙은 뉴턴이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처음 생각해낸 것으로 유명하다. 과연 뉴턴은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 것을 보고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만유인력 법칙까지 도출할 수 있었을까? 뉴턴의 사고 과정 "물리학적으로 보면 사과의 상태가 아무 이유 없이 변화할 리가 없어." ↓ "지구가 사과를 끌어당긴 게 틀림없어!" ↓ "그렇다면 작용-반작용 법칙에 의해..

우주개발 목적, 우주탐사

망원경을 통해 새로운 천체를 발견하거나 새롭고 특이한 현상을 탐지하는 것은 천문학자나 아마추어 천문가로서 가슴 벅찬 경험이 아닐 수 없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직접 우주탐사선에 올라 탐사 대상에 접근해 보는 것은 또 다른 경이로움을 안겨줄 것이다. 오늘날 우주개발과 탐사는 꿈이나 동경을 넘어 ‘현실’이 되었다. 비록 비용은 좀 비싼 편이지만 푸른 지구를 감상해 볼 수 있는 상업적인 우주여행 상품들이 이미 시장에 나와 있다. “천문학과 우주개발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입니다. 천문학 이론을 기반으로 우주탐사선을 띄우고, 다양한 종류의 탐사선을 통해 새로운 발견을 하거나, 이론을 세우고 증명하는 데 도움을 얻기도 합니다.” 아폴로 달 착륙, 우주개발의 신기원 열어 – 우주개발 50년 역사에서 가장 획기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