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 1139

독립군 부대 암기, 대한독립군,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 조선의용군

●독립군 부대 암기 - "234 대한조한조 독독혁광의" 3.1운동 19만주사변 31난징학살 37192019301940     대한독립군 홍범도3부  →한국독립군 지청천  조선의용대 김원봉 →한국광복군 김구   조선혁명군 양세봉  조선의용군 김두봉   ● 대한독립군(1919.12)▪홍범도▪북간도 왕청현/봉오동 근거지▪봉오동 전투(1920.6), 청산리 전투(1920.10)▪봉오동 전투에서 안무의 대한국민회군, 최진동의 군무도독부군과 연합 대한북로독군부 편성 ● 한국독립군(한국독립당 1930. 7)▪지청천/홍진 등▪북만주▪3부에서 나눠진 혁신의회 기반 한국독립당 조직, 예하에 한국독립군 편성▪중국 호로군과 연합 작전- 쌍성보 전투(1932), 경박호 전투(1933), 사도하자 전투(1933), 동경성 전투(..

삼균주의(三均主義), 조소앙

삼균주의(三均主義)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소앙이 독립운동의 기본방략 및 미래 조국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체계화한 민족주의적 정치사상.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에 균등생활을 실시하려는 주의’이다.완전균등을 대전제로 하면서 이의 실현을 위해 정치적·경제적·교육적 균등을 주장하고 있다. 1920년대 말 기본적 구상이 정립되고, 한국독립당의 정강에 채택되었으며, 1941년 11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건국의 기본이념으로 공포하였다.일제에 의한 국권상실 이후 가혹한 정치적 유린과 토지수탈 등 경제적 파탄 및 심한 교육차별대우를 받았던 한민족은 민족적 자각을 통해 정치적 독립과 자유를 지향하고, 경제적인 자립을 추구하며, 무차별 평등교육의 실현을 목표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독..

열강 이권침탈, 두문자 암기 - 금광, 철도부설, 운산금광, 절영도, 거문도

열강 이권침탈 "미운 은영 일찍와 단독 금캐"미국 : 운산영국 : 은산일본 : 직산독일 : 당헌철도 부설권경인선 : 미국 ㅡ인천상륙경부선 : 일본 ㅡ부산앞경의선 : 불란서 의주 ㅡ불의 저질러미국 : 전기 이권 에디슨러시아 : 압록 두만 울릉 산림채벌, 절영도 조차 실패영국 : 거문도 점령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위정척사 운동 전개-척화주전론, 왜양일체론, 영남만인소, 유인석 창의문

위정척사 운동 전개● 개화 - 통항화통상(1860)  → 개항(70) → 개화(80)● 위정척사운동  - 통항화항60 통상반대→70 개항반대→80 개화반대→90 항일의병 1860년대서양의 통상 요구이항로, 기정진통상 반대 운동(척화 주전론)  ↓1870년대문호 개방최익현개항 반대 운동(왜양 일체론, 개항 불가론)  ↓1880년대"조선책략"유포이만손, 홍재학개화 반대 운동(영남 만인소, 만언 척사소 등)  ↓1890년대일본의 침략 정책유인석, 이소응항일 의병 운동(일반 민중과 결합)  사료 60 통상반대 양이의 화가 오늘에 이르러 홍수나 맹수의 해로움보다 더 심합니다. 전하께서는 ........ 안으로 관리들로 하여금 사학의 무리를 잡아 베게 하시고,  밖으로 장병들로 하여금 바다를 건너오는 적을 징벌하게..

항일 의병 전쟁, 을미의병 1895 → 을사의병 1905 → 정미의병 1907 →13도창의군, 서울진공작전 1908 → 남한대토벌 1909, 미스터 션샤인

항일 의병 전쟁 을미의병 1895 → 을사의병 1905 → 정미의병 1907 →13도창의군 서울진공작전 1908 → 남한대토벌 1909 연도 암기레일공사 의정공사 시설공사 보안공사 1904가영포을 한국영혼  1905헌정열다 화폐재료 시일장담경부선 공단서 1905경의선 공유 1906통감 열려 1906정미7 경칠 1907한국공치 국채골치 1907신민골치 신문골치 1907오산꼴찌 헤이그 공쳐 1907진공장판 1908 두문자● 을미의병 - 허기(진)유이허 경상도 허위기 전라도 기우만유 충청도 유인석이 강원도 이소응 항일 의병 전쟁전개 : 을미의병 1895 → 을사의병 1905 → 정미의병 1907 →13도창의군 서울진공작전 1908 → 남한대토벌 1909주도 : 지방의 유생과 농민성격 : 즉각적인 무장투쟁   ..

수신사, 조사시찰단, 영선사, 보빙사, 외교사절단 순서 두문자 암기

외교사절단 순서 두문자 암기 : 수조영보 1. 수신사(일)- 1차(1876): 강화도 조약 이후 파견, 김기수 『일동기유』 저술- 2차(1880): 김홍집이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가져옴- 3차(1882): 박영효 파견, 태극기 처음으로 공식 사용 2. 조사시찰단(일, 1881년 4월)- =신사유람단- 일본 정부의 기구와 산업 시설 시찰, 비공식적(암행어사로 위장)- 박정양, 홍영식, 어윤중, 윤치호 등 62명 파견 3. 영선사(청, 1881년 9월) - 근대 무기 제조술을 배우기 위해 김윤식을 단장으로 유학생 파견, 기기창 설립(1883)에 영향 4. 보빙사(미, 1883년)- 보빙報聘 -답례로서 외국을 방문하는 것-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이후- 미국의 공사 파견에 답례로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국학자, 민족주의 사학자, 신채호, 박은식, 정인보, 문일평, 최남선, 이능화, 홍이섭, 장지연, 손진태, 현 채, 안재홍, 정 교

국학자저 서연 구 활 동신채호[독사신론] [을지문덕전][최도통전] [천희당시화][이태리건국 3걸전] [조선혁명선언] ⇨ 의열단의 이념《해조신문》간행‘郎(화랑)사상’ [조선사연구초] 묘청의 난을 낭가사상의 대표로 인정, 민족사관 정립[조선상고사 1931] 역사는 我(한국민족)와 非我(異민족)의 투쟁 국사의 영역을 만주까지 넓히는 대륙사관단군 ⇨부여·고구려⇨ 발해 고대사 체계기자와 위만 제거했고 漢군현이 부정됨박은식[유교구신론] 양명학적 [안중근전] [스위스건국지][연개소문전] [한국독립운동지혈사][학규신론] [왕양명실기]‘조선혼’ [한국통사] “神(역사)이 존재하여 불멸하면 形(나라)은 때맞추어 부활한다.”한국통사는 최초의 한국근대사(1915)이다.국사의 중요성 강조 정인보[조선사연구] [양명학연론]‘얼’..

강화도 조약(1876)-조일수호조규, 조미수호통상조약,임오군란, 조일수호조규속약, 제물포조약, 임오군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조일통상상정 83

두문자 암기● 강화도조약 이후 조약 순서- '수일(이는) 미수(다) 이 규약(은) 무역 통일'수일 조일수호조규, 강화도조약미수 조미수호통상조약이(임) 임오군란 한발빨리 1882규약 조일수호조규속약, 제물포조약임오군란 후속대책으로 같은날 조인무역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82통일 2차조일통상상정 83  ● 강화도 조약 체결 배경국내 정세의 변화 : 흥선 대원군의 하야(1873) → 고종의 친정 체제 수립, 민씨 세력이 정권 주도 → 청과 전통적인 외교 관계 유지, 일본에 유화 정책을 폄자율적 배경 : 통상 개화론의 대두(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타율적 배경 : 일본에서 정한론 대두, 일본의 포함 외교 → 운요호 사건을 구실로 문호 개방 강요(1875) ● 성격조선의 문호 개방,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

1930년대 독립운동 두문자 암기, 국민부, 양세봉, 남만주, 영릉가, 대전자령, 쌍성보, 사도하자, 동경성, 조선혁명군

1930년대 독립운동 두문자 암기 1930년대 : '민족말살기'- 만주에서 중국 관내 이동, 한중연합 작전"3국(시)대"● 1930 - 국민 남(편) (양세봉) 영흥(에서) 혁명(하다 죽었다) ● 1930 - 대전(에) 쌍사(자) 동(물원은) 북(이) 독립 ● 1940 - 대한임정 한국광복군(충칭,지청천)   1940 - 대한임정 한국광복군(충칭,지청천) 1930 연대 암기공황이군 파업이군 광주리군 문자두근 1929-민족말살통치기한국독립당 청구 성장 1930어학세일 만보기세일 만주쌈한 애국선원 브나세원 1931농촌쌀이 봉봉삶니 한중상이 1932한글세상 1933진단서내 농지삼네 1934상록수 심오 민족혁명 굳쎄다 한국쌀로 1935조광살려 손기살려 1936중일쌈질 보천삽질 1937금지해도 한글설파 동원마쓰파..

일제 식민지 정책, 헌병경찰제도, 토지조사사업, 문화통치, 민족말살정치

일제 식민지 정책   ● 정치 : 헌병경찰제도 일본 헌병사령관이 중앙의 경무총감이 되고, 각 도의 헌병대장이 해당 도의 경무부장이 되었다. 헌병경찰은 한국인의 모든 행위에 대해 재판없이 구류, 벌금, 태형 등을 가할 수 있는 을 가지고 있었다. 헌병경찰은 민간인이 아닌 군인신분이고, 관리에서 교원까지 모두 제복에다 칼까지 차고 다녔다. * 민족탄압책 언론, 출판, 집회, 결사 등 국민의 기본권 박탈 105인 사건으로 신민회 탄압 ● 경제 : 토지조사사업 토지조사령(1912)을 발표하고 토지조사사업(1912~1918) 실시 기한부 신고제, ‘과세’대상, 까다로운 규정․절차, 민족감정 ⇨ 신고기피 전 국토의 약 40% 조선총독부 소유 ⇨ 동척, 불이흥업, 일본 이주민에게 헐값으로 불하 10만건의 토지소유권분..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 개헌과 정치형태

●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내각책임제) + 국무원(대통령중심제) ===> 민주공화정체, 자유주의 한성정부의 정통성 계승 10개조 본문 58조의 신헌법 3권 분립 그러나 사법부가 없고 대신 중앙심판처가 있었다. 임시사료편찬소 ===> 한일관계 사료집 미국 : 구미위원부 설치 연통제 ⇨ 임시정부와 국내외 조직과의 연락망 (독판,군감,면감: 비밀행정조직) 종교·양심의 자유 언론·출판·집회의 자유 귀족 특권의 단계적 폐지 『한국독립운동사』 편찬 육군주만참의부·애국단(김구 1926)·광복군 창설(1940) 군자금 조달 ⇨ 이륭양행(만주) 백산상회(안희제. 부산)  ● 1941년 11월 임정이 채택한 [건국강령]  친일파·민족반역자의 재산 몰수 ⇨ 국유 대생산기관, 국가기간 산업 ⇨ 국유 but 중소기업 ..

이회영(李會榮), 서전서숙, 신흥무관학교, 경학사, 서로군정서, 고문, 옥사

● 이회영 '서신경로' 서) 서전서숙(서간도 1906) 신) 신흥무관학교(만주 1909.5) 경) 경학사(랴오닝성 1911) 로) 서로군정서(만주 1919.5) ● 일제강점기 신민회 중앙위원, 항일구국연맹 의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교육진흥운동가 상동청년학원 무정부주의자 항일구국연맹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우당(友堂). 서울 출신. 아버지는 판서를 지낸 이유승(李裕承)이다.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1907년 2월 귀국한 안창호(安昌浩)를 중심으로 4월경 이갑(李甲)·전덕기(全德基)·양기탁(梁起鐸)·이동녕(李東寧)·신채호(申采浩) 등과 같이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고 중앙위원으로 정치·경제·교육·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활약하였다. 한편, 만주에 독립운동 근거지를 마련할 ..

단재 신채호, 두문자 암기, 조선상고사, 낭가사상, 독사신론, 아, 비아

단재 신채호(1880 - 1936)고대사 연구에 치중하여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반을 마련대륙사관 완성(단군~부여, 고구려~발해 고대사 체계 완성)조선사연구초에서 묘청의 난을 낭가사상의 대표로 인정하며 민족사관 정립.조선상고사(1931)에서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 정의대한매일신보에 독사신론을 연재하여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방향 제시을지문덕전, 최도통전, 이순신전 등 영웅위인전 저술의열단 선언문으로 조선혁명선언 채택.국민대표회의 창조파1925년 이후 무정부주의자로 전향하여 외교론, 준비론, 문화운동론, 자치론 모두 부정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 항일 논설 발표 신채호 두문자 암기 ● 신생아 사청가신 신채호생(상) 조선상고사아 아 , 비아사 조선사 연구회청 묘청 극찬가 낭가사상    기출 문제 Q  다음 자료를 ..

백암 박은식, 두문자 암기 - 애국계몽사학, 유교구신론, 임시정부 대통령

백암 박은식 (1859~ 1925)신채호와 함께 2대 민족주의 사학자로 국사의 중요성 강조 이승만 위임통치 청원서 비판 임시정부 2대 대통령 역임. 한국통사에서 신이 존재하여 불멸하면 형은 때 맞추어 불활한다는 혼사상 강조 한국통사(1915) - 일본의 한국 침략과정을 밝힌 최초의 한국근대사 저술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3.1운동 등 우리민족의 독립운동 저술 양명학 연구 심화 - 유교구신론, 왕양명실기 저술 위인전 저술 - 안중근전, 연개소문전 박은식 두문자 암기1910 독립운동 중국본토-"상하이동 신박 귀염 청년"상하이 임시정부동 동제사 : 독립후원 상회신규식 : 위장 점원 등록박은식귀 김규식 : 파리강화회의여 여운형 당수청년 신한청년당 계몽사학 - 박혼식 지혈(이) 통(안돼)박 박은식혼 혼백식 혼식지혈..

갑신정변 두문자 암기 - 한성조약, 텐진조약, 거문도사건,방곡령,동학농민운동,갑오개혁,청일전쟁

갑신정변갑신파네 우정파네 1884연대 암기강화도땅 첨밟지유 1876통리기무 책략파장 1880조선별 팔팔하나 1881조미 임오 조청 빨리 1882태극기 천번빠세 1883박문판서 전환파세 윈산파세1883갑신파네 우정파네 1884거문파로 광혜판다 1885배제판다 주보판다 1885육영팔려 1886전등밝지 1887조로팔팔 1888방구팔구 1889보은고생 1893갑오농민 전쟁에서 총쿡싸 1894 두문자 암기● 갑신정변 후 - '갑한톈 거방 교동갑청'갑 갑신정변한 한성조약톈 톈진조약거 거문도사건방 방곡령사건교 교조신원운동동 동학농민운동갑 갑오개혁청 청일전쟁● 갑신정변 14개조 - 갑순 근혜 환(갑까지) 지조(지키니) 내시(들이) 호(시)탐(탐) (사)귀(자고)순 순사제도근 근위대설치혜 혜상공국폐지 보부상환 환곡제폐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건국 준비, 민족 통일 전선,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 한인애국단, 한국독립당,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 건국 준비 활동 ● 국제회의의 진행1. 카이로 회담(1943)제2차 세계 대전 중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일본 항복 후의 문제 합의참가 국가 : 미국, 영국, 중국의 수뇌 참가합의내용 : 상호 협력과 전후 일본의 처리 문제 합의, '적당한 시기(in due course)'에 한국의 독립 약속2. 얄타 회담(1945. 2.)미국, 영국, 소련의 수뇌 참여, 소련의 대일전 참전 문제 합의3. 포츠담 회담(1945. 7.)미국, 영국, 중국의 수뇌 참여, 일본의 즉각적 항복 요구, 한반도 독립 약속 재확인연합국의 한국 독립 약속의 내용미ㆍ영ㆍ중 3국은 조선 인민의 노예 상태에 유의하여 적당한 시기(in due course)에 조선이 자주독립할 것을 결의한다. 이 목적으로 3국은 일본과 교전 중..

공무원 한국사, 테마 분류사-근대 01

● 근대사 흐름년 도사 건내 용1860동학창시서세동점, 최제우(경주) * 1864년 혹세무민의 죄목으로 대원군이 처형베이징조약영불의 북경점령, 러의 연해주 획득(우리나라와 국경선이 맞닿는 계기)1863고종즉위흥선대원군 집권 [경 고 임]1866병인박해(6月)천주교 금압령, 프랑스 선교사 9명 처형제너럴셔먼호사건미국인 프레스톤병인양요(8月)프랑스 로즈호 강화도 점령(한성근의 문수산성, 양헌수의 정족산성)1868메이지유신정한론 대두←일본의 근대화(막부타도,입헌군주제,봉건제타파)오페르트도굴사건독일인 주도 다국적 범죄단체조직: 서양에 대한 쇄국강화1871신미양요어재연ㆍ어재순 형제, 광성진ㆍ갑곶진, 미국 로저스제독척화비건립“병인작 신미립” 강한쇄국 의지1873대원군하야최익현의 상소1875명성황후정권성립 운양호사건..

조선 후기 통치 체제, 비변사, 5군영, 3사, 진관, 제승방략, 속오군, 훈련도감

비변사- 삼포왜란 - 비변사 임시기구- 을묘왜변 - 비변사 상설기구화- 임진왜란 - 비변사 기능 강화, 최고기구화- 흥선대원군 - 비변사 혁파 조선 후기 통치 체제 변화 1) 정치 구조 변화① 비변사의 기능 강화    설치 : 3포왜란(1510) 이후 국방문제 처리 임시기구    상설기구: 을묘왜변(1555) 후    최고기구(임진왜란 후): 군사, 외교, 사회, 인사 문제 등 총괄, 최고기구로 발전,  →붕당 간의 이해관계 조정 기능 담당     결과 : 왕권 약화, 의정부·6조 기능 유명무실, 19세기 세도 정치의 중심 기구 역할② 3사와 전랑의 기능 변질    3사 기능 : 공론의 반영이 아닌 각 붕당의 이해 관계를 대변, 상대 세력에 대한 비판을 통한 자기 세력 유지와 상대 세력의 견제    이·..

농서 두문자 - 농상집요,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농가집성, 색경, 산림경제, 과농소초. 임원경제지, 농정촬요

● 농서의 변화고려말~이암의 농상집요, 독자성이 없음, 원의 것, 우경에 의한 심경법, 윤작법, 시비법 발달조선초~정초의 농사직설, 최초, 강희맹의 금양잡록,강희맹의 시시찬요,농종법(밭),직파법(논),이앙법 등장조선중기~신속의 농가집성, 박세당의 색경, 이앙법 보급조선후기~18C 홍만선의 산림경제, 박지원의 과농소초, 경종법등장, 이앙법 확대              19C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정병하의 농정촬요, 광작유행, 농민계층분화● 농서 : 요(14C) → 직(설금사 15C) → 성.색(17C)  → 산과(18C) → 임촬(19C)(농상집요,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농가집성, 색경, 산림경제, 과농소초. 임원경제지, 농정촬요)(요, 직, 성 ㅇㅈㅅ - 이암, 정초, 신속 ㅇㅈㅅ : 농상집요..

사림정치사, 사림 계보, 사림정치 전개

사림정치사 ※ 사림진출의 배경고려말 상황권문세족(친원세력,기득권) vs 신진사대부(고려말 신흥세력) 대립신진사대부 분화 : 새왕조 개창(혁명파) vs 기존왕조 옹호(온건파)⇨ 위화도 회군 후 신진사대부 세력 장악⇨ 혁명파 승리(이성계, 정도전, 권근, 조준, 남은 등)※ 온건파는 왕조개창 참여 않고 대부분 경상도로 낙향(길재 등) → 나중에 이들이 “사림세력”이 됨 15C~16C중반 상황훈구의 성장성종·중종의 훈구견제책⦁세조정변 후(계유정난) 잦은 공신 책봉으로 훈구세력의 성장⦁→ 훈구세력이 성장하면서 농장 확대, 향촌사회 세력 확대 등으로 사림과 마찰(→훈구는 경재소 통해 유향소를 장악함으로써 향촌패권까지 잡으려 했고, 농장 확대 등으로 지방중소 지주들인 사림들과 경제적 이해관계도 충돌)⦁국왕의 사림등..

정도전 저서, 경제문감, 경제육전, 고려국사, 조선경국전, 불씨잡변, 심기리편, 세종대왕 서적, 삼강행실도, 농사직설, 사시찬요, 고려사, 의방유취, 칠정산내외편, 팔도지리지, 향약집성방

개인 저서 ㆍ정도전: 삼봉집, 진법서, 경제문감, 경제육전, 고려국사, 조선경국전(왕조의 기틀마련), (암기 : 삼진경고불조심!) [불씨잡변, 심기리편 - 불교배척 및 도교비판] ㆍ세종대왕 때 간행된 서적: 삼강행실도, 농사직설, 사시찬요, 고려사, 의방유취, 칠정산내외편, 팔도지리지, 향약집성방,용비어천가,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암기법: 삼사고유칠팔)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

공무원 한국사, 테마 분류, 고대 #01

● 역사 서술 두 경향 1. 객관적 측면의 역사(일제강점기에 들어옴) ⇒ 事實 [ 객 사 랑 ]1) 사실로서의 역사: 과거에 실제 있었던 사실, 시간적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어났던 모든 과거2) 랑케: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오직 역사적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3) 이병도: 실증주의 사관, 진단학회4) 역사가의 임무는 사실을 정확히 기록하는데 있다, 자신의 시대정신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2. 주관적 측면의 역사 ⇒ 史實1) 기록으로서의 역사: 조사되어 기록된 과거, 탐구하여 획득한 지식, 역사가가 주관적으로 재구성2) 이에치 카: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역사가는 자신의 생각으로 사실을 만든다.`3) 크로체, 콜링우드, 토인비, 신채호, 박은식 등 민족주의 사학과 관련4) 역..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두문자 암기, 최승로, 최충, 이제현, 7재, 안향, 백이정, 이제현, 이색

고려 유학의 발달 연대 암기과거급제 큰오빠 958전시과거치유 97612목 급하삼 983국자없어 국굶니 992강동6주 나주세 993강조천국 1009윤여정 천백번칠 1107이자겸 이리욕 1126서경천도 천백삼호 1135삼국사기 천배사오 1145무신마 천한직공 1170금속활자 순서대로 1234제왕운기 이리바치 1287만권책 천성신사 1314두문자 암기●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2 2성6 6부12 12목 지방관 파견의 의창義倉상 상평창常平倉 비 비서성(도서관)수 수서원(도서관)건 건원중보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분 분사제도정비유 유교정치 최승로 시무28조향 향교설치노 노비환천법문 문신월과법국 국자감● 예종 - 얘 7재야(양) 감(좋은) 보청기 구해도얘(예) 예종7재 관학진흥책 7재 :..

삼국, 발해 고분, 두문자 암기, 돌무지무덤, 굴식돌방무덤, 벽돌무덤, 돌무지덧널무덤

● 삼국/발해 고분 초기, 5C중기, 6C초후기, 6C후~7C고구려돌무지무덤 장군총→굴식돌방무덤강서대묘, 무용총, 쌍용총, 각저총백제돌무지무덤한성 시대, 석촌동벽돌무덤웅진 시대, 무령왕릉굴식돌방무덤사비 시대, 능산리신라돌무지덧널무덤황남대총, 천마총→굴식돌방무덤통일 후, 김유신 묘발해  굴식돌방무덤돌사자상, 정혜공주 벽돌무덤당, 정효공주  ● 고분 종류돌무지무덤▪부장품 매장▪엄청난 노동력 요구로 주로 왕족이 무덤의 주인▪왕실의 고분은 주로 수도와 중심부에 있는 경우가 다수굴식돌방무덤▪돌무지 무덤보다 정교한 기술이 요구되는 양식▪도굴이 쉽다는 단점▪입구를 통해 항상 출입하면서 무덤을 장식하기 위한 벽화▪굴식 돌방무덤 벽화 : 강서대묘(사신도), 무용총(수렵도)돌무지덧널무덤▪나무 덧널을 사용▪껴묻거리와 함께 ..

한국사 역대 왕 두문자 총 정리

고구려 태고동 미원왕 소개장문 영영보개 태조왕 1C 조계옥 고국천왕 2C고부행진 동천왕 3C동안실패오수위반 미천왕 4C 미랑안대 고국원왕 4C 원통 저년이하며 전사 소수림왕 4C 소학교령 전수 광개토대왕 5C광호 내가야금 왜빽빽 요동만 후비신영동 장수왕 5C장수평 나한혼경영양왕 6C양양신집 담벽에 보장왕 7C보개천리안 고구려 멸망 668 고구려 부훙운동검안고 백제 고초침 아비 개로와 문진 동무성왕 무의자 고이왕 3C 고기육 유복남밥 근초고왕 4C근마아직 왕부자 요서싼똥 규슈양 고기서 진칠지도 침류왕 4C백동마침 아신왕 4C비유왕 5C 비눌나제 개로왕 5C  개국 개로와 죽어문주왕 5C 문진공주 동성왕 5C동성탐나 소지섭왕결혼 무령왕 6C 무웅담 양공주송 벽돌남 성왕 6C성사부 오빵 두두 노리 불남 관전 ..

잡스 한국사 2025.03.28

삼국사기, 삼국유사 비교, 기전체, 편년체, 기사본말체

● 삼국사기 삼국유사삼국사기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총50권), 현존 최고 사서,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삼국유사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총5권),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수,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기전체(본기·세가·지·열전등으로 구분)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지~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년·월·일 등의 사실을 편술)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국통감,..

공무원 한국사, 테마 분류, 고려 #01

● 고려 개관구분고려 전기고려 후기세분초기중기무신집권기원간섭기말기주도세력호족문벌귀족무신세력권문세족신진사대부시대성격자주적보수적자주적보수적진취적대외관계송ㆍ거란요ㆍ여진몽고원홍건적ㆍ왜  ● 태조 왕건 4대 정책* 훈요10조(후대왕이 지켜야할 유훈) / 신하의 도리(정계1권ㆍ계백료서 8편)① 민족융합: 정략결혼,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사성정책, 역분전 지급 *분사제도는 성종② 북진정책: 국경선(청천강~영흥만), 발해유민포용, 국호“고려”, 만부교(對 거란), 서경 중시③ 숭불정책: 팔관회ㆍ연등회 등 불교장려 *유교는 성종④ 애민정책: 조세경감(1/10), 흑창 * 진대법(2C,고국천왕) → 흑창(태조) → 의창(성종) → 의창ㆍ사창(세종) → 사창제(대원군)태학역사기결북흑숭융만십개조학보역분전사심관기인제도결혼정책..

고려 불교, 지눌, 의천, 혜심, 요세, 천태종, 조계종 [고려 #16]

● 고려 불교와 귀족사회 ▪공덕(功德) 사상 : 국가나 개인의 현세에 있어서의 행복을 좌우하는 현세 이익의 종교로 인식 → 많은 사찰과 불교행사 ▪上元(1월 15일)의 연등회, 仲冬(11월 5일)의 팔관회     - 祈福道場(국왕 생일), 忌辰道場(국왕의 기일), 석가탄신일 법회(4월 8일), 菩薩戒道場(6/15,국왕의 보살계), 㿻蘭盆道場(7/15, 부모 명복), 除夜道場(12/30), 仁王會(국가의 평안 기원) ▪과거제도에 승과제도 창설     - 敎宗選(승통), 禪宗選(대선사) ▪役의 의무에서 면제 → 승려의 수 늘어남 ▪사원전 - 면세의 특권, 경제적으로 부유 → 佛寶·장생고 운영, 상업·양주·목축 시행     ⇨ 승병 양성(재산보호 목적) → 정치적 간섭  ● 고려 불교 정책(초기 국가 지원, ..

고려 태조 (918~943, 천수), 훈요 10조, 호족 통합 정책,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북진 정책

고려 태조 (918~943, 천수)1. 중앙집권 정책 : 왕권과 호족세력의 균형 유지(상호 결속 및 견제)    (1) 훈요 10조 :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정책 방향을 제시    (2) 서경 경영 : 고려 왕실의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육성하였다.    (3) 토성의 분정과 본관제 : 토성(土姓)을 분정하고 직역을 고정시킴으로써 지배층을 확정하고 본관제(本貫制)에 입각한 향촌 사회 통제책을 마련하였다.    (4) 호족 통합 정책 : 결혼 정책(왕건은 모두 6왕후 23부인), 사성(賜姓)정책(의제가족제:擬制家族制), 기인제도와 사심관제도 - 지방의 중소 호족들에게는 향촌 사회에서의 지배권을 부분적 인정해 주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 호족들을 견제하고 지방 통치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심관제도와 기..

고려 광종 (949~975년) ,왕권강화, 국가기틀 마련, 962년 송과 수교, 경종, 시정전시과, 공신계열의 반동 정치

고려 광종 (949~975년) : 왕권강화와 국가기틀 마련과 962년 송과 수교 1. 국가기틀 마련과 왕권강화 정책 : 신진관료 양성을 통한 왕권강화와 국가기반 확립    (1) 개혁정치의 주도세력 : 개국공신계열의 대립된 지방의 군소 호족세력(비 공신계열), 이들은 과거를 통하여 관계에 진출한 신진관리들과 쌍기 등 중국의 귀화인, 가문의 기반이 없는 사람들 이었다         - 광종은 준흥(大相), 왕동(佐丞) 등 구신(舊臣), 숙장(宿將)들을 숙청하였다.   (2) 순군부(巡軍部)를 군부(軍部)로 개칭하여 국왕의 병권 장악과 그 조직과 기능을 강화하였고, 내군(內軍)을 장위부(掌衛部)로 개편하여 중앙의 시위군을 강화하였다.   (3) 자주성과 왕실의 위엄 과시 : 황제, 연호(광덕, 준풍), 개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