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0809

단어 單語, 어근(실질 형태소),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파생어(어근+파생 접사), 파생명사, 명사형 전성어미

단어 單語 1. 단어 의미 단(單) 홀로 | 어(語) 말 → 홀로 쓰이는 말 1) 어절과 형태소의 중간 단위 2) 조사는 단어로 잡고 어미는 단어로 잡지 않는다 3) 파생어, 복합어도 하나의 단어이다 4) 사전에 실리는 기본 단위 2. 단어 형성 단일어(單一語) 하나의 실질 형태소로 이루어진 말 (하나의 어근, 한 단어) 예) 나무, 하늘, 도시락, 시나브로, 집 복합어 (複合語) 파생어 (派生語) 실질 형태소(어근) + 형식 형태소(접사) : 명사형 어미: ㅁ, 음, 이, 기, 애, 웅, 엄, 개, 새, 기 .. 등이 붙어 이루어진 말 예) 선생님, 풋사과, 먹이, 덮개 합성어 (合成語)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말 실질 형태소(어근) + 실질 형태소(어근) [비교] 단어 만들기의 원리[조어법]..

잡스 국어 2023.09.27

역설(paradox), 모순 형용, 시에 쓰인 역설법

역설(Paradox, 모순 형용) 역설법 : 역으로 진실 설파, 모순된 진실 ​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논리적 모순이지만, 그 속에 참뜻이 숨어 있는 경우를 역설이라고 한다. 역설은 반어와 비슷해 보이지만 엄밀하게 보면 다른 표현 방식이다. 둘 다 상반되는 표현을 통해 진리 발견에 기여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반어의 경우 진술 자체에는 오류가 없으니 역설의 경우 진술 자체에 오류가 드러난다. ​ 1. 모순 형용 역설의 기교 중에 '수식어 + 피수식어+의 관계가 서로 의미상 호응이 되지 않으나, 자세히 살펴보면 깊은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를 모순 형용이라고 한다. '찬란한 슬픔', '소리 없는 아우성', '텅 빈 충만', '작은 거인' 등 의미상 대립적인 관계지만 피수식어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 ..

접속사, 전치사, 접속부사 비교 [기출]

전치사, 접속사 구분 전치사, 접속사, 접속부사 비교 등위접속사 ● 등위접속사의 종류와 용법 (1) and :「그리고, ~와」 He heard an explosion and phoned the police. (2) but/yet :「그러나」 It is a strange but/yet true story. (3) or :「또는」 Do you go there on foot or by bus? (4) so :「그래서, 그러므로」 I had a headache, so I went to bed. (5) for :「왜냐하면 ~이니까」 부가적인 이유를 나타내며, 문두에 나올 수 없다. For she looks pale, she must be ill. .(X) → She must be ill, for she looks..

잡스 영어 2023.09.27

삼국사기, 삼국유사 비교 - 기전체, 편년체, 기사본말체

● 삼국사기 삼국유사 삼국사기 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총50권), 현존 최고 사서,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삼국유사 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총5권),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수,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기전체(본기·세가·지·열전등으로 구분) 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지~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년·월·일 등의 사실을 편술) 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

자음 체계도, 단모음 체계도 두문자 암기

자음 체계도, 단모음 체계도 두문자 암기 자음 체계도 두문자 암기 ※ 자음 체계도 가로 : 양치경연후 세로 : 파파마비유 마찰음 ㅅ ㅆ ㅎ 비음 ㅁ ㄴ ㅇ 류음 ㄹ 후음 ㅎ "바다가자 서해 물놀이" 모음 체계도 두문자 암기 단모음 체계도 전설 모음 -> 후설 모음 순으로 암기. 전설 모음 암기법: '이 위에 외로운 애' 후설 모음 암기법: 전설 모음에서 'ㅣ'를 빼면 후설 모음 기출 문제 Q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ㄴ, ㅁ, ㅇ’은 유음이다. ② ‘ㅅ, ㅆ, ㅎ’은 마찰음이다. ③ ‘ㅡ, ㅓ, ㅏ’는 후설 모음이다. ④ ‘ㅟ, ㅚ, ㅗ, ㅜ’는 원순 모음이다. 【해설】 정답 ① 국어의 유음은 ‘ㄹ’뿐이다. 제시된 ‘ㄴ, ㅁ, ㅇ’은 유음이 아니라 ‘비음’이다. [오답 정리] ② ‘ㅅ, ㅆ, ㅎ’은..

잡스 국어 2023.09.27

소명(疏明), 증명, 심증(증명도), 증명과 소명으로 구별

소명(疏明) 대한민국의 법률에서 소명(疏明)은 법관에게 까닭이나 이유를 밝혀 설명하는 것 즉, 판단에 필요한 최소한의 근거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확실하다는 심증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확신을 가지게 하지 아니하여도 좋으며 증명과는 다르다. 절차상의 파생적인 사항으로서 경미(輕微)한 사실이며 신속을 요하는 경우에는 소명만으로 족하다. 신속을 요하는 경우인 까닭에 증거방법은 조사할 수 있는 재정증인(在廷證人)이나 수중에 있기 때문에 바로 제출할 수 있는 서증(書證) 등이며(271조 1항), 이것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법원은 보증금의 공탁이나 선서에 의하여 소명에 대신하는 것을 허용한다(271조 2항·3항, 272조 이하). 다만 소명으로 그치는 것은 예외로서 명문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 한한다. ..

법률, 판례 2023.09.27

추야우중(秋夜雨中), 최치원, 5언 절구 한시 [고전 운문]

추야우중(秋夜雨中) 秋風唯苦吟(추풍유고음) 世路少知音(세로소지음) 窓外三更雨(창외삼경우) 燈前萬里心(등전만리심) 가을 바람에 괴로이 읊조리나, 세상에 알아 주는 이 없네. 창 밖엔 밤 깊도록 비만 내리는데, 등불 앞에 마음은 만리 밖을 내닫네. 秋(추) : 가을 唯(유) : 오직 苦(고) : 괴롭다 吟(음) : 읊다 路(로) : 길 窓(창) : 창 更(경) : 시각 燈(등) : 등불 萬(만) : 일만 당나라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던 최치원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고독과 외로움을 표현한 5언 절구의 한시이다. * 갈래 : 한시, 5언 절구 * 성격 : 서정적, 애상적 * 제재 : 비 내리는 가을밤 * 주제 :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는 지식인의 고뇌/고국에 대한 그리움 * 특징 ① 자연물을 통..

문화 변동, 문화 접변, 문화 융합, 문화 병존, 문화 동화, 문화 지체, 아노미, 문화 충격, 자극 전파

● 문화 변동의 양상 기존문화와 외래문화가 상호작용하여 나타난 문화접변 (자발적, 강제적 접변) 가, 문화 병존(공존) 나, 문화 동화 다, 문화 융합(제 3의 문화) “자국의 음식 맛을 그대로 살린” 융합 x 변동 요인 내재적 변동 문화 체계 내부에서 발명과 발견을 통해 이루어지는 변동 예) 한글 창제로 인한 생활 전반의 변화 문화 접변 두 문화 간에 장기간에 걸친 전면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변동 예) 불교 문화와 우리의 토속 신앙이 혼합되어 생긴 산신각 변동 기간 문화 진화 장기간에 걸친 점진적인 변동 예) 서구 민주주의의 발전 문화 개혁 단기간에 인위적인 노력에 의한 변동 예) 갑오개혁, 메이지 유신 변동 정도 문화 공존 새로운 문화 요소와 기존의 문화 요소가 고유한 성격을 잃지 않고 한 사회..

사회 2023.09.24

절대 시제, 상대 시제, 발화시, 사건시

시제란? 어떤 상황이나 사건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한 관념이 문법적인 범주로 나타난 것, 전통적으로는 단어, 그중에서도 동사(혹은 용언)의 형태 변화에 의하여 범주화된 시간개념 시제의 유형 (1) 현재 시제: 발화시(말하는 시점)=사건시(실제 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난 시점)---> 일치 [철수가 지금 과제를 한다.] (2) 과거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 앞에 온다. [철수가 어제 과제를 했다.] (3) 미래 시제: 발화시 뒤에 사건시가 온다. [철수가 내일 과제를 할 것이다.] 절대 시제와 상대 시제 1) 절대 시제: 발화시(발화자의 말하는 시점) 기준으로, 사건시가 일정한 형태에 의해 나타나는 것 2) 상대 시제: 발화시 외의 시제, 주로 주절의 시제를 기준으로 하여 성립하는 시제를 말하는바, 전체 문장의 ..

잡스 국어 2023.09.23

국어 기출 문제 - 한글 맞춤법 #05

Q 한글 맞춤법에 맞게 표기된 문장은? ① 너도 어떻게 하는지 모르면 나는 어떡해. ② 셋방을 구하려거든 전셋방부터 알아봐라. ③ 어렵살이 결심을 하고서도 하릴없이 시간을 보냈다. ④ 함께 음식을 만듬으로써 화목한 분위기를 만듭니다. 【해설】 정답 ① ② 셋방을 구하려거든 전셋방부터 알아봐라. → 전세방 ③ 어렵살이 결심을 하고서도 하릴없이 시간을 보냈다. → 어렵사리 ④ 함께 음식을 만듬으로써 화목한 분위기를 만듭니다. → 만듦으로써 Q 다음 한글 맞춤법 총칙의 내용에 모두 부합하는 것은? 한글 맞춤법은 ㄱ. 표준어를 ㄴ. 소리대로 적되, ㄷ.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차례로 ㄱ, ㄴ, ㄷ) ➀ 거시기, 수탕나귀, 오십시오 ➁ 천정(天障), 곱빼기, 학생이었다. ➂ 윗층, 돌잔치, 우윳값 ..

잡스 국어 2023.09.23

고려 불교, 지눌, 의천, 혜심, 요세, 천태종, 조계종 [고려 #16]

● 고려 불교와 귀족사회 ▪공덕(功德) 사상 : 국가나 개인의 현세에 있어서의 행복을 좌우하는 현세 이익의 종교로 인식 → 많은 사찰과 불교행사 ▪上元(1월 15일)의 연등회, 仲冬(11월 5일)의 팔관회 - 祈福道場(국왕 생일), 忌辰道場(국왕의 기일), 석가탄신일 법회(4월 8일), 菩薩戒道場(6/15,국왕의 보살계), 㿻蘭盆道場(7/15, 부모 명복), 除夜道場(12/30), 仁王會(국가의 평안 기원) ▪과거제도에 승과제도 창설 - 敎宗選(승통), 禪宗選(대선사) ▪役의 의무에서 면제 → 승려의 수 늘어남 ▪사원전 - 면세의 특권, 경제적으로 부유 → 佛寶·장생고 운영, 상업·양주·목축 시행 ⇨ 승병 양성(재산보호 목적) → 정치적 간섭 ● 고려 불교 정책 (초기 국가 지원, 사원에 특혜, 승병 조..

Always Remember Us This Way, 가사, 번역, Lady Gaga

That Arizona sky burning in your eyes 애리조나 하늘처럼 타오르는 너의 눈동자 You look at me and, babe, I wanna catch on fire 너는 나를 바라보고, 나는 그 눈길에 불타고 싶어 It's buried in my soul like California gold 마치 캘리포니아 황금처럼 나의 영혼 속에 파묻혀 있는 You found the light in me that I couldn't find 나도 찾지 못한 내 안의 빛을 네가 찾아줬어 So when I'm all choked up, But I can't find the words 목이 메고 할 말을 찾지 못할 때 Every time we say goodbye, Baby, it hurts 우..

한국어족, 한국어, 제주어, 육진어, 한국어 유래

한국어족 韓國語族 Koreanic languages 교착어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원어민 78,039,165명 하위 언어 고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 한국어 (현대 한국어) 제주어 육진어 언어 코드 ISO 639-1 KO ISO 639-2 KOR ISO 639-3 KOR 글로톨로그 한국어: kore1280 한국어족: kore1284 언어를 비교언어학적으로 분류할 때 쓰는 어족의 하나로 한반도와 부속도서에서 쓰이는 언어들이다. 현대에 존재하는 언어로는 한국어와 제주어, 육진어 등이 속한다. 보통 이 용어는 현대 존재하는 언어를 묶을 때보다는, 고대 만주-한반도에서 사용되었던 여러 언어를 통틀어 분류해 가리킬 때 사용한다. 한국어족에 속하는 고대 언어들에 대해서는 아직 학문적 합의..

Perfect, 가사, 해석, Perfect Lyrics, Ed Sheeran, 에드 시런

[Verse 1] I found a love for me 나는 내 사랑을 찾았어 Oh darling, just dive right in and follow my lead 자기야, 그냥 뛰어들어서 내 리드를 따르면 돼 Well, I found a girl, beautiful and sweet 난 한 여인을 찾았어, 아름답고 스윗하지 Oh, I never knew you were the someone waiting for me 네가 나를 기다리는 그 한 사람이라는 걸 몰랐어 'Cause we were just kids when we fell in love 우리가 사랑에 빠졌을 때는 어렸으니까 Not knowing what it was 그게 뭔지도 모르고 I will not give you up this ti..

가마귀 눈비 맞아, 박팽년, 평시조, 절의가(節義歌), 수양대군

가마귀 눈비 맞아 박팽년 가마귀 눈비 마자 희ᄂᆞᆫ 듯 검노ᄆᆡ라 夜光明月이 밤인들 어두오랴 님 향한 一片丹心이야 고칠 즐이 이시랴 까마귀가 눈비를 맞아 흰듯 검구나 밤에 밝게 빛나는 달이 밤이 된들 어둡겠느냐 임 향한 일편단심이 변할리가 있겠느냐 창작 배경 사육신의 한 사람인 박팽년은, 단종을 보필하라는 세종의 유훈을 받들어 세조에게 저항하다 죽음을 맞이하게 된 사람이다. 작자는 다른 동지들과 함께 단종의 복위에 뜻을 두고 힘을 썼지만, 같은 동지(김 질)의 배신으로 투옥되었고, 작자의 마음을 떠보는 세조에게 답하기 위해 지어진 작품이다. 이해와 감상 까마귀가 한때의 눈비를 맞아 희게 되었다고 해도 결국은 자신의 본 모습으로 돌아오며, 야광 명월의 구슬이 어둔 밤에도 변하지 않는 것처럼, 임(단종)에게..

문장의 구조, 안긴문장, 안은문장, 안긴문장을 안은문장

【제1절】 문장의 구조 [3] 문장의 짜임 3. 안긴문장을 안은문장 안긴문장은 한 문장이 성분절의 형태로 바뀌어 더 큰 문장 속에 문장성분으로 포함돼 있는 문장이고 안은문장은 그 절을 안고 있는 전체 문장을 말한다. 즉, 안긴문장은 원래 하나의 문장이 다른 큰 문장에 하나의 문장성분으로서 안겨 있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문장성분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안긴문장은 '절'이라고 하는데, 절은 그 기능에 따라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나뉜다. 이런 안긴문장을 안고 있는 큰 문장을 '안은문장'이라고 한다. (1)명사절(名詞節, a noun clause) 명사 구실을 하는 절. 한 문장이 명사화하여 전체 문장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안긴문장이다. 이를 '명사화 구성'이라고도 하는데, ..

깐죽거리다, 깐족거리다, 깐죽깐죽하다, 깐죽대다, 깐족깐족하다, 깐족대다, 표준어

깐죽거리다 어원: 깐죽 + 거리다 활용: 깐죽거리어(깐죽거려), 깐죽거리니 1. 쓸데없는 소리를 밉살스럽고 짓궂게 들러붙어 계속 지껄이다. 유의어: 깐죽깐죽하다, 깐죽대다 깐족거리다 어원: 깐족 + 거리다 활용: 깐족거리어(깐족거려), 깐족거리니 1. 쓸데없는 소리를 밉살스럽고 짓궂게 달라붙어 계속 지껄이다. 깐족거리는 아이들의 음성. 유의어: 깐족깐족하다, 깐족대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

문학 미적 범주 - 숭고미, 우아미, 비장미, 골계미

문학의 미적 범주 1. 숭고미(崇高美) 숭고미란 일상생활의 경지를 뛰어넘는 고결한 정신적 아름다움을 말한다. 사랑, 희생, 자비와 같은 종교적 가치, 유교의 지조나 절개와 같은 덕목들이 숭고미에 속한다. 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던져버린 예수의 희생정신은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과 감탄은 물론 아름다움까지 불러일으킨다.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그랬던 것처럼 화자도 희생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다 2. 우아미(優雅美) 친근하지만 기품이 있으며 현실이나 자연에 순응하는 아름다움을 말한다. 주로 고전시가에서 자연과 벗 삼아 살아가는 안빈낙도의 정서에서 발견할 수 있다. 과..

동기부여 내용이론, Maslow 욕구단계설, Murray 명시적 욕구이론 , Alderfer ERG이론, McClelland 성취동기, Magrego의 XY이론 , Likert 관리체제이론, Argris 성숙미성숙이론, Herzberg 욕구충족 2개 요인 이론

● 동기부여 내용이론 관계 Magregor Maslow Alderfer Herzberg Argris Likert x이론 생리적욕구 생존의 욕구 위생요인 (불만요인) 미성숙인 체제 1.2 안전욕구 y이론 애정·사회적욕구 관계의 욕구 동기요인 (만족요인) 성숙인 체제 3.4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 욕구 성장의 욕구 ●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1) 의의 ①단계적·상향적으로 충족될 수 있도록 예정된 질서라고 주장 ②인간의 욕구는 서로 상관되어 있으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의 계층을 이룸. 가장 구체적이고 강도 높은 욕구는 생리적 욕구임.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갈수록 하급 욕구에서 고차원적인 자아실현 욕구로 성장해 나간다 ③어느 정도(부분적으로) 욕구가 충족되면(100%가 아닌 불완전한 충족) 다음 단계 욕구로 나..

고도를 기다리며, Waiting for Godot, 블라디미르, 에스트라공

원제는 'En attendant Godot'. 영문 'Waiting for Godot'. 사뮈엘 베케트의 희곡. 1953년 1월 5일 파리의 바빌론 극장(Théâtre de Babylone)에서 초연된 이래, 베케트의 대표작이자 부조리극의 대명사로 자리잡고 있다. 부조리극의 '부조리'라는 낱말은 인간 존재의 의미와 무의미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부조리극이 이 문제의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부조리극 작품들은 깊은 나락의 염세주의와 기괴한 유머가 독특하게 뒤섞인 형태로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요소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연극이 처음 상연되었을 때에는 일반 대중은 물론이고 연극 평론가들에게까지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안 된다'는 혹평에 시달렸다. 반면에 캘리포니아 산 ..

고도를 기다리며, 대본

고도를 기다리며 등장인물 에스트라공-------------------------------------------------------------------- 브라디미르-------------------------------------------------------------------- 포 조-------------------------------------------------------------------- 럭 키-------------------------------------------------------------------- 소 년-------------------------------------------------------------------- [페이지] 에-001,, 0A0010..

명사절 접속사 that+ 완전 문장, 의문사what/which/who(m)+ 불완전 문장, whether/if

명사절 접속사: 일반적인 절을 명사화 시키는 접속사로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 명사절 접속사 that + 완전 문장 ● 의문사 what/which/who(m) + 불완전 문장 ● 의문사 when/where/how/why/whose + 완전 문장 ● whether/if + 완전 문장 ● whoever/whomever, whichever/whatever + 불완전 문장 ● 명사절 접속사 that + 완전 문장 ▷ 주어 That he was badly injured is a pity. ▷ 목적어 I know (that) he was badly injured. that은 생략 가능 ▷ 보어 The truth is that he was badly injured. ▷ 동격 I heard the n..

사뮈엘 베케트, 부조리극,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 승부의 종말(Fin de Partie / Endgame), Samuel Barclay Beckett,

사뮈엘 바클레이 베켓 Samuel Barclay Beckett 1906년 4월 13일 아일랜드 더블린 1989년 12월 22일 (향년 83세) 프랑스 파리 아일랜드 20세기 부조리극을 대표하는 극작가이자 실험 문학의 대표 소설가, 그리고 시인 본명은 새뮤얼 바클레이 베켓(Samuel Barclay Beckett)으로 사뮈엘 베케트라는 이름은 본명을 프랑스어로 읽은 것이다. 아일랜드에서 태어났지만 주로 프랑스에서 활동했으며, 근현대 문학의 대표적인 거장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사이)/(pause) 를 처음 사용한 극작가 1906년에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태어났고,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프랑스 문학과 이탈리아 문학을 공부한 후 프랑스로 가서 파리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했다. 졸업한 직후인 1920년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