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227

음운 현상, 표준 발음, 음운의 첨가, 'ㄴ' 첨가, 사이시옷 첨가

【2절】 국어의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4] 음운의 첨가 1. 'ㄴ' 첨가합성어, 파생어, 구 등에서 앞 형태소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 형태소의 두음이 '야, 여, 요, 유, 이, 예'일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어, [냐, 녀, 뇨, 뉴, 니, 녜]로 발음될 수 있다. 첨가 현상은 어휘의 차이에 따라 일어나는 수의적 음운현상이므로 단어나 구에 따라 일어나지 않기도 한다.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내복-약[배:봉냑] 한-여름[한녀름] 남존-여비..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자음 축약, 유기음화(격음화), 된소리되기(경음화), 모음동화(母音同化, vowel assimilation)

【2절】국어의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5]자음 축약두 개의 자음이 하나의 소리로 줄어드는 현상.※음운 축약(音韻縮約, contraction): 두 음운이 한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 음운이 줄어드는 현상에는 음운 축약과 음운 탈락이 있는데 이들은 발음상 노력 경제성의 작용으로 일어나게 된다. 음운이 줄어들되 하나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그 특성은 살아서 합류하는 것을 음운축약이라고 한다. 모음 축약과 자음 축약으로 나눌 수 있다. 자음 축약에서 경음화 현상은 떡국>떠꾹, 집벌>지뻘, 기음화 현상은 낙하>나카, 좋고>조코, 많다>만타 등이 있다. 모음 축약에는 아이>애>오이>외, 보아>봐, 모이어>모여, 치어>쳐 등이 있다.1.유기음화(격음화)'ㅎ'의 뒤와 앞에 안울림예사소리 'ㄱ, ㄷ, ㅈ, ㅂ..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표준 발음, 귀띔, 늴리리, 우리의, 계시다[게:시다], 귀띔[귀뜸]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표준어의 이중 모음에는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등 11개가 있다. 이중 모음은 모음 요소가 두 개로 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처음에는 ‘ㅣ’를 발음하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나중에는 입을 벌려 ‘ㅏ’나 ‘ㅓ’ 등으로 발음하는 등 처음 소리와 나중 소리가 다르다. 이러한 이중 모음은 때때로 단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이중 모음 앞에 자음이 올 때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경향은 심화된다. 예를 들어 ‘ㅘ’ 앞에 ‘ㅂ’이 오거나 ‘ㅝ’ 앞에 ‘ㅁ’이 오는 ‘봐’와 ‘뭐’는 양순음(ㅂ, ㅁ) 뒤에서 반모음 ‘w’ 발음이 생략되어 ‘바’나 ‘머’로 발음하는 경우가 흔하다. 일부 방언에서도 ‘과자’를 ‘까자’로 발음한다거나 ‘괴물’을 ‘게물’로 발음하는..

국어 음운 규칙 정리,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 동화, 구개음화, 사잇소리 현상

1. 음운의 변동한 형태소가 단독 또는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에 형태소의 음운의 일부가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발음하기에 불편하거나 거친 소리를 발음하기 쉽고 경제적으로 하려는 현상이다. 2. 음운 변동의 갈래1) 음절의 끝소리 규칙우리말에서 받침소리(끝소리)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뿐이다. 나머지 자음들은 이 중의 어느 하나로 발음된다.① 대표음* ㄲ, ㅋ → [ㄱ] 예) 밖[박], 부엌[부억]* ㅅ, ㅆ, ㅈ, ㅊ, ㅌ, → [ㄷ] 예) 낫[낟], 낮[낟]* ㅍ → [ㅂ] 예) 잎[입]② 단어의 끝자음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가 올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뀌지 않고 그대로 이어져 발음된다.예)옷에서[오세서], 젖을[저즐], 옷안[오단]..

외래어 정리 #01

[A] acacia 아카시아 academic 아카데믹 academy 아카데미 acanthus 아칸서스 accelerator 액셀러레이터 accent 악센트 acceptor 억셉터 access 액세스 accessory 액세서리 accordion 아코디언 ace 에이스 acetate 아세테이트 acetaldehyde 아세트알데히드 acetic acid 아세트(산) acetone 아세톤 acetyl 아세틸 acetylene 아세틸렌 Achilles tendon 아킬레스(건) acre 에이커 acrylic acid 아크릴(산) action 액션 active 액티브 acyl 아실 AD ..

관계언, 조사(助詞), 격조사(格助詞), 교착어(膠着語)

【2절】품사 [2] 관계언-조사 조사(助詞)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다. 크게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나눈다. 걸림씨, 관계사, 관계어, 토, 토씨라고도 한다. 하나의 형태소이기는 하지만 자립할 수 있는 자립형태소가 아니라 주로 체언에 붙어서 뜻을 더해주거나 문법적인 역할을 한다. 다만, 한 낱말 뒤에서 띄어 쓰지 않고 붙여 쓴다. 이 때문에 조사를 하나의 접미사로 보기도 한다.조사는 교착어(膠着語)에서만 나타나는 품사다. 조사는 명사 뒤에 부속되므로 후치사라고도 하며 문장에 있어서 단어와 단어, 또는 절과 절의 관계를 나타내주기 때문에 관계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어의 조사에는 병립을 나타내는 '와, 과', 소..

의미론(意味論: Semantics)

04 의미론 의미론(意味論: Semantics)1. 언어의 구조는 말소리[형식]와 의미[내용]로 이루어진다.2. 말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사회적 약속에 의해서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자의성(恣意性)이라 하고,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단어를 상징어(象徵語)라 한다.3. 단어들의 의미 관계에는 동의 관계․이의 관계․유의 관계․반의 관계․하의 관계가 있다.4. 의미의 사용에는 중의적 표현, 간접적 표현, 관용적 표현, 잉여적 표현이 있고, 의미의 변화에는 의미의 확장․축소․이동이 있다. 언어의 의미1. 의미(意味) 1) 언어의 의미 : 청각영상과 개념이 결합하여 실제 대상을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1) 청각영상(聽覺映像) : 머릿속에 ‘기억된 말소리’를 청각영상이라 한다. ⇒시니피앙(Signifiant)..

통사론(統辭論), 문장론(文章論)

통사론(統辭論, Syntax) 문장론(文章論), 구문론(構文論)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가장 작은 자립 형식인 낱말의 구조와 그 생성에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분야를 형태론이라고 하는 데 대하여, 최소 자립 형식인 낱말 또는 그 이상의 자립 형식으로 이루어진 더 큰 자립 형식의 구조에 관하여 연구하는 분야를 통사론이라고 한다. 문장의 성분 ● 문장 성분의 성립 1) 문장 정의① 어느 어절이 다른 어절이나 단어에 대해 갖는 관계. 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② 문장은 문장을 이루는 성분들의 관계가 긴밀한 정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석되며, 그 자체로서 통일성을 가진다. 2) 문장의 골격 ① 우리말에는 ‘동사, 형용사, 명사’ 등이 서술어 자리에서 주체를 서술한다. 영어의 경우에는 서술어 자리에 동사만 쓰..

부치다, 붙이다, 부치는, 붙이는, 붙다, 맞춤법

‘부치다’와 ‘붙이다’의 구분: ‘붙다’와의 의미적 연관성이 기준 (가) 힘이 부치다 / 편지를 부치다 / 논밭을 부치다 / 빈대떡을 부치다 (가)′ 식목일에 부치는 글 /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나)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 / 흥정을 붙이다 / 불을 붙이다 / 꽃꽂이에 취미를 붙이다 / 조건을 붙이다 / 별명을 붙이다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띄어쓰기, 합성어와 파생어, 기타 합성어

【3절】 띄어쓰기 [3] 합성어와 파생어 2. 기타 합성어가랑잎 가로놓이다 가로막다 가로젓자 가로지르다 가시밭가시밭길 가위바위보 가을밤 간유리 감잣국 값나가다 값비싸다값싸다 강줄기 개고기 개소리괴소리 개울둑 거센소리 걷잡다걸터앉다 겁나다 겉모양 겉치레 게으름피우다 겨우살이겹옷 곁들이다 계집아이 고기잡이배 고깃배 고래수염 곧은결공들이다 구멍가게 궂은일 궂은비 궂은살 귀담아듣다 그전기름때 기와집 길바닥 길조심 그림붓 그림일기 그만두다그만하다 그물코 글공부 글모음 글쓴이 꽃가루 꽃구름꽃나무 꽃다발 꽃동네 꽃동산 꽃마을 꽃바구니 꽃사슴꽃소식 꽃시계 꿈같다 꿈꾸다 꿈나라 끌그물 끝인사 나들다남다르다 남몰래 낯설다 낯익다 냇가 냉잇국 네눈이 노랫말노랫소리 노루발장도리 논농사 농사일 회사일 놋그릇 누비옷눈대중 눈뜨다..

받침의 발음법, 대표음화, 겹자음의 홑자음화, 절음법칙

【2절】국어의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1] 받침의 발음법 1. 대표음화음절의 종성에 오는 끝소리가 'ᄀ, ᄂ, ᄃ, ᄅ, ᄆ, ᄇ, ᄋ'의 7개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대표음화라고 한다. 평폐쇄음화와 겹자음의 홑자음화가 있다. (1) 평폐쇄음화파열음 중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파찰음이 평음인 폐쇄음 'ㅂ, ㄷ, ㄱ' 중의 하나로 바뀌는 것.①ㅍ→[ㅂ] : 잎→[입], 앞→[압], 덮고→[덥꼬]②ㅌ→[ㄷ] : 끝→[끋], 바깥→[바깓]③ㅅ→[ㄷ], ㅆ→[ㄷ], ㅎ→[ㄷ]: 옷[옫], 웃고→[욷꼬], 있고→[읻꼬], 잡았다→[자받따], 히읗→[히흗], 놓는→[녿는]→[논는]④ㅈ→[ㄷ], ㅊ→[ㄷ] : 낮→[낟], 늦고→[늗꼬], 꽃→[꼳]⑤ㄲ→[ㄱ], ㅋ→[ㄱ] : 밖→[박], 부엌→[부억], 동..

깐죽거리다, 깐족거리다, 깐죽깐죽하다, 깐죽대다, 깐족깐족하다, 깐족대다, 표준어

깐죽거리다 어원: 깐죽 + 거리다 활용: 깐죽거리어(깐죽거려), 깐죽거리니 1. 쓸데없는 소리를 밉살스럽고 짓궂게 들러붙어 계속 지껄이다.유의어: 깐죽깐죽하다, 깐죽대다 깐족거리다 어원: 깐족 + 거리다 활용: 깐족거리어(깐족거려), 깐족거리니 1. 쓸데없는 소리를 밉살스럽고 짓궂게 달라붙어 계속 지껄이다. 깐족거리는 아이들의 음성.유의어: 깐족깐족하다, 깐족대다.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띄어쓰기, 합성어, 파생어

【3절】 띄어쓰기 [3] 합성어와 파생어 3. 파생어 (2)접미사가 붙은 말 접미사(接尾辭, suffix)는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항상 다른 단어의 어근 뒤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의미를 첨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접미사가 결합된 어형을 파생어라고 하며 품사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①순 우리말 접미사가 붙은 말▷-거리: 떼거리, 패거리, 짓거리('비하'의 뜻을 더함). 이틀거리, 하루거리, 달거리, 해거리(하루 이상의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주기'의 뜻을 더함).▷-거리다: 까불거리다, 반짝거리다, 방실거리다, 비실거리다, 비죽거리다, 출렁거리다(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어근 뒤에 붙어, '그런 상태가 잇따라 계속됨'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 -대다.▷-깔: 맛깔,..

형태론, 형태소, 형태적 특성, 통사적 특성, 국어 문법, 기출 문제

02 형태론형태론(形態論, Morphology)국어의 문법적 특성은 '형태적 특성'과 '통사적 특성'으로 나눌 수 있다. - 형태적 현상 : 단어 형성, 품사 및 조사나 어미와 관련되는 현상. - 통사적 현상 : 구성, 성분, 어순, 구성의 기능 및 문법 요소와 관련되는 현상. ● 형태적 특성1. 적극적인 가치를 갖는 특성가.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된 언어이다. (교착어, 첨가어)나. 국어의 문법 형태는 대체로 한 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가진다.(국어의 문법 형태는 문법 범주를 달리하여 둘 이상의 이질적인 기능을 가지는 일은 없다.)다. 국어에는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의 구분이 문법에서 중요성을 가진다.라. 국어에는 분류사(classifier, 이를 '단위성 의존명사' 또는 '단위명사'라고도 함)가 발..

간(間), 띄어쓰기, 부부간, 내외간, 형제간, 자매간, 세대V간

간(間), 띄어쓰기‘간(間)’은 ‘동안, 장소’를 나타낼 때는 ‘접사’로 앞말에 붙여 쓰지만, 예) 두 달간, 외양간 그 이외의 ‘사이, 관계, 선택’의 의미일 때는 의존명사로 일반적으로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맞다. 예) 서울과 부산V간 / 부모와 자식V간/ 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V간에 / 세대V간 ※ 다만 예외적으로 ‘관계’의 의미일 때도 붙여 쓰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 ‘부부간, 내외간, 형제간, 자매간 등(가족 관계, 3음절)’ Q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집에서만이라도 제발 편히 쉬어라. ② 요즘 세대간 갈등이 심화되었다. ③ 이번 출장은 현지 시장 조사를 위해서입니다. ④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도 성적이 떨어졌다. 【해설】 정답 ② ‘..

-지, 지, 띄어쓰기, 의존명사 ‘지’, "니 내 누군지 아니?"

* 의존명사 ‘지’ : ((어미 ‘-은’ 뒤에 쓰여))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말. (예) 그를 만난 지도 꽤 오래되었다./집을 떠나온 지 어언 3년이 지났다./강아지가 집을 나간 지 사흘 만에 돌아왔다. "니 내 누군지 아니?" '-ㄴ지'는 어미이기 때문에 반드시 앞말과 붙여써야 ● 어미 '-지'어미란 동사 형용사 등이 활용될 때 변하는 부분으로 (예. 웃다, 웃고, 웃으니) 어간에 붙여 써야 한다.어미 '-지'는 어떤 사실을 긍정적으로 서술하거나 묻거나 명령하거나 제안하는 따위의 뜻을 나타낸다.서술, 의문, 명령, 제안 등에 두루 쓰인다.예) 나도 가지.(서술) / 언제 오시지?(의문) / 어떤 사람인지 몰라(의문) /그만하지. (명령) / 이제 슬슬 가지. (제안..

중세 국어 특징, 방점, 8종성법,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ㆆ, ㅸ, ㅿ, ㆁ, ㆍ

중세 국어 특징 1. 국어사의 시대 구분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①고려 건국 ②임진왜란 ③갑오개혁(1894) ①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 지방의 말을 중심으로 통일됨-현대 국어의 근간이 됨. 그러나 고려의 건국으로 중앙어가 이동(경주 중심어->개성 중심어)②고려 건국과 함께 중세국어 시작됨.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눔. 조선 개국은 중앙어의 변동을 가져오지 않음. 2. 표기상의 특징 (1) ‘ㆆ, ㅸ, ㅿ, ㆁ, ㆍ’ 사용음운소멸시기변천과정ㆆ(여린 히읗)세조 이후(15세기 중엽)소멸ㅸ(순경음 비읍)세조 이후(15세기 중엽)ㅂ>ㅸ>오/우/φ예) 돕아->도..

되어 발음, 되여/되어/뒈여/뒈어, 표준 발음법

되어 발음, 되여/되어/뒈여/뒈어, 표준 발음법 되어 발음표준 발음법 제22항에 따라 [되어/되여]표준 발음법 제4항에 따라 'ㅚ'는 [ㅚ/ㅞ]네 가지로 발음 Q ㉠~㉣의 발음 중 표준 발음이 아닌 것은? - ㉠마음의 소리를 듣다. - 바람이 ㉡스쳐 지나간다. - 건강을 잃으면 모든 걸 ㉢잃는다. - 첨성대의 몸체는 27단으로 ㉣되어 있다. ① ㉠ [마으메] ② ㉡ [스처] ③ ㉢ [일는다] ④ ㉣ [되여] 【해설】 정답 ③ ㉢‘잃는다.’는 [일른다]로 유음화 현상① ㉠ [마으메/마으믜] ② ㉡ [스처]: ‘져/쳐/쪄’는 단모음으로 발음해야 하므로 [스쳐]라고 발음해서는 안 되고 [스처]. ④ ㉣ [되여/되어/뒈여/뒈어] 모두 맞다.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

문장의 구조, 문장성분, 주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

【제1절】 문장의 구조 [2] 문장의 기본 골격과 문장성분국어의 문장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사어, 관형어 등이 서로 결속하여 이루어진다.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를 주성분, 부사어와 관형어를 부속성분(附屬成分)이라고 한다. 주성분 중 주어는 서술어가 나타나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이다. 목적어는 서술어 구실을 하는 동사의 동작 대상이 되는 말이다. 보어는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완전하지 못한 문장에서 그 불완전한 곳을 보충하여 뜻을 완전하게 하는 성분이다. 부속성분 중 부사어는 주로 서술어를 한정(수식)하는 성분이고,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하는 성분이다. 주성분 중 서술어는 주성분이나 부속성분과 결속하여 문장의 핵심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이러한 것들 중 중심 성분은..

띄어쓰기, 파생어

【3절】 띄어쓰기 파생어 (1)접두사가 붙은 말㉮순 우리말 접두사가 붙은 말▷강: 강굴, 강된장, 강술, 강참숯, 강풀('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의 뜻을 더함). 강기침, 강모, 강서리('마른' 또는 '물기가 없는'의 뜻을 더함). 강울음, 강호령('억지스러운'의 뜻을 더함), 강더위, 강추위, 강마르다, 강밭다('호된' 또는'심한'의 뜻을 더함).▷갖: 갖두루마기, 갖저고리, 갖옷, 갖신▷개: 개꿀, 개떡, 개먹, 개살구('야생 상태의' 또는 '질이 떨어지는'의 뜻을 더함). 개꿈, 개나발, 개수작, 개죽음('헛된', '쓸데없는'의 뜻을 더함). 개고생, 개꼴, 개망신, 개망나니, 개잡놈(부정적 뜻을 가지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 '정도가 심한'의 뜻을 더함).▷군: 군것, 군글자, 군기침, 군말, 군살..

깨나, 꽤나, 맞춤법

● '깨나'어느 정도 이상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 돈깨나 있다고 남을 깔보면 되겠니? - 보아하니 힘깨나 쓰게 생겼구나. - 심술깨나 부리겠더구나. - 여자깨나 울릴 남자. - 칼깨나 써 본 솜씨. ● '꽤나'부사 꽤(보통보다 조금 더한 정도로, 제법 괜찮을 정도로.)에 보조사 -나가 붙은 단어. - 꽤나 괜찮았던 여행 - 음식이 꽤나 맛있게 됐다. - 그 날은 꽤나 더운 날이었다. ● '깨나'와 '꽤나'의 구분 '깨나'와 '꽤나'는 비슷한 듯한 의미로 그 쓰임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단어는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쓰이는 지를 알아 두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깨나' : '글깨나', '총깨나', '힘깨나' 등과 같이 체언에 붙어서 쓰임. '꽤나' : '꽤나 덥다', '꽤나 많..

됩니다, 됍니다, 맞춤법, 되, 돼, 됩, 됍 자리에 합, 햅, 됩니다, 됍니다 구분 방법

됩니다, 됍니다됩니다, 됍니다 구분 방법  1. 되, 돼, 구분'돼'는 '되다'의 어간 '되' 뒤에 어미 '어'가 붙은 '되어'가 줄어든 형태입즉 '되어'를 줄여서 '돼'그래서 되/돼 를 구분할땐 그 자리에 '되어'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돼'를 사용이상하면 '되'를 사용  2. 됩, 됍 자리에 합, 햅'합'이 자연스러우면 '됩'을 '햅'이 자연스러우면 '됍'합니다와 햅니다 중 합니다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됩니다를 사용됩니다, 됍니다 중 정답은 '됩니다' 되나요, 돼나요 '하'  또는 '해' 대입 => 하나요, 해나요 하나요와 해나요 중 하나요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정답은 되나요 되요, 돼요 '하' 또는 '해' 대입 => 하요, 해요 하요와 해요 중 해요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정답은 돼요 잘되?, 잘돼? ..

의미 중복, 이중 표현

Q  의미의 중복이 없이 자연스러운 문장은?① 나는 오늘 저녁에 역전 앞에서 선이를 만나기로 했다.② 그 문제에 대해서는 더 이상 다시 재론할 필요가 없다.③ 요즘 들어 여러 가지 제반 문제들이 우리를 난처하게 한다.④ 민수는 단풍이 울긋불긋하게 물든 설악산으로 여행을 떠났다.⑤ 언어의 의미 변화가 왜 일어나는가의 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해설】 정답 ④ ① 역전(驛前) 앞: ‘전(前)’과 ‘앞’의 의미가 중복. ② 다시 재론(再論): 이미 논의한 것을 다시 논의함.‘다시’ 와 ‘재(再)’의 의미가 중복.③ 여러 가지 제반(諸般): ‘여러 가지’와 ‘제반’의 의미가 중복.⑤ 왜 일어나는가의 원인(原因):‘일어나다’와‘원인’의 의미가 중복. ● 이중 표현 (중복 표현, 군더더기 표현, 잉여적 표현, 동의..

압존법(壓尊法), 존대 여부를 화자 아닌 청자 기준

압존법(壓尊法) 壓 누를 압 대화의 대상이 되는 사람에 대한 존대 여부를 말하는 사람(화자)이 아닌 듣는 사람(청자)을 기준으로 하는 어법흔히 직장 등 공식적인 관계에서 쓴다고 알려져 있지만 상호 존대가 원칙이며, 한국어에서 압존법은 사적인 관계에서 사용하는 존대법  할아버지: 아범은 어디 갔느냐? 손자: 아버지는 살 게 있다고 집 앞 구멍가게에 갔습니다.  선생님: XX는 어디 갔니? 학생: XX 선배는 화장실 갔어요.    Q  다음 중 우리말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① (길에서 친구에게) 오랜만이야. 선고(先考)께서는 잘 계시지? ② (카페에서 손님에게) 주문하신 커피 나오셨습니다. ③ (평사원이 전무에게) 전무님, 과장님은 오전에 외근 나가셨습니다. ④ (병원에서 손님에게) 잠시 기다리세요. ..

결제(決濟), 결재(決裁), 개발(開發), 계발(啓發)

‘결제’와 ‘결재’, ‘개발’과 ‘계발’  (가) 결제(決濟): 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간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것.  어음으로 결제하다. (암기-경제는 결제) (가)′ 결재(決裁): 부하 직원이 제출한 안건을 허가하거나 승인하는 것.   결재를 {받다, 맡다} / 결재가 나다 / 결재 서류를 올리다.  (나) 개발(開發): ① 개척하여 발전시킴. ∥경제 개발 / 광산을 개발하다 / 신제품을 개발하다 ② 지능이나 정신 따위를 깨우쳐 열어 줌. (나)′ 계발(啓發): 지능이나 정신 따위를 깨우쳐 열어 줌. ∥지능 계발 / 소질을 계발하다.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

덮혀, 덮여, 덮이다, 덮히다, 덥히다, 덮치다, 맞춤법

덮혀, 덮여, 덮이다, 덮히다, 덥히다, 덮치다, 맞춤법 덮혀 있다, 덮여 있다덮이다 → 덮이어→덮여'가 맞는 표기 ‘덮이다’는 ‘덮다’의 피동사 ‘덮히다’는 잘못된 표기 ‘덥히다’는 ‘덥다’의 사동사'덮치다’는 별개의 단어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동녘, 들녘, 새벽녘, 아침녘, 해뜰 녘, 동틀 녘, 녘, 띄어쓰기

‘녘’의 띄어쓰기 (가) 동녘, 서녘, 남녘, 북녘, 들녘, 새벽녘, 아침녘, 황혼녘 (나) 해뜰 녘, 동틀 녘  ☞ 관형사형어미 뒤에서만 띄어 씀 무렵을 뜻하는 ‘녘’은 의존 명사. 따라서 띄어쓰기 ​아침 녘 황혼 녘 해 질 녘 해거름 녘 동틀 녘 동이 틀 녘 날이 샐 녘 해 저물 녘 해가 기울 녘 새벽 어스름 녘​ 한편, 널리 쓰인다고 보아 한 단어가 된 예는 붙여쓰기​샐녘 어슬녘 저녁녘 저물녘 새벽녘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

만듦, 이끎, 만듬, 이끔, 얾에, 맞춤법

‘만듦, 이끎’인지 ‘만듬, 이끔’  (가) 만들다/만듦, 이끌다/이끎  ※ ‘ㄹ’로 끝나는 말의 명사형은 ‘-ㄻ’ 꼴임. 다만 ‘삶, 앎’은 파생명사 용법도 지님. (나) 울음, 얼음  ※ ‘ㄹ’로 끝나는 말의 파생명사는 대체로 ‘-ㄹ음’ 꼴임. (나)′ 욺, 얾  ※ “강이 꽁꽁 얾에 따라 …”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문장의 구조, 안긴문장, 안은문장, 안긴문장을 안은문장

【제1절】 문장의 구조 [3] 문장의 짜임 3. 안긴문장을 안은문장안긴문장은 한 문장이 성분절의 형태로 바뀌어 더 큰 문장 속에 문장성분으로 포함돼 있는 문장이고 안은문장은 그 절을 안고 있는 전체 문장을 말한다. 즉, 안긴문장은 원래 하나의 문장이 다른 큰 문장에 하나의 문장성분으로서 안겨 있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문장성분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안긴문장은 '절'이라고 하는데, 절은 그 기능에 따라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나뉜다. 이런 안긴문장을 안고 있는 큰 문장을 '안은문장'이라고 한다.  (1)명사절(名詞節, a noun clause)명사 구실을 하는 절. 한 문장이 명사화하여 전체 문장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안긴문장이다. 이를 '명사화 구성'이라고도 하는데, 문..

짜집기, 짜깁기, 표준어, 짜깁기(짜고 깁기), 짜다, 깁다

기출 문제 Q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올바른 것은? ① 가슴을 옭죄는 아픔이 밀려왔다.② 나는 해마다 양력과 음력으로 설을 쇤다.③ 퇴근하는 길에 포장마차에 들렸다가 친구를 만났다.④ 바지의 해어진 부분에 짜집기를 했다.【해설】 정답 ②① 옭죄는(×) → 옥죄는(○): ‘옥죄다’가 바른 표기. ‘옥여 바싹 죄다’의 의미② 쇤다(○): ‘쇠다’는 ‘명절, 생일, 기념일 같은 날을 맞이하여 지내다’의 의미로 바르게 쓰였다. ‘쇠- + -ㄴ다 → 쇤다’이므로 ‘쇈다(×)’로 쓰지 않도록 주의③ 들렸다가(×) → 들렀다가(○):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를 뜻하는 말은 ‘들르다’④ 짜집기(×) → 짜깁기(○): ‘짜깁기’가 바른 표기. ‘직물의 찢어진 곳을 그 감의 올을 살려 본디대로 흠집 없이 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