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가난한 사랑 노래, 신경림 [현대시]

가난한 사랑 노래 -신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 너와 헤어져 돌아오는 눈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 가난하다고 해서 두려움이 없겠는가 두 점을 치는 소리, 방범대원의 호각소리, 메밀묵 사려 소리에 눈을 뜨면 멀리 육중한 기계 굴러가는 소리. 가난하다고 해서 그리움을 버렸겠는가 어머님 보고 싶소 수없이 뇌어보지만, 집 뒤 감나무에 까치밥으로 하나 남았을 새빨간 감 바람소리도 그려보지만.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내 볼에 와 닿던 네 입술의 뜨거움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속삭이던 네 숨결 돌아서는 내 등 뒤에 터지던 네 울음. 가난하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1988)-  개관- 성격 : 서정적, 묘사적, 현실..

반어법, 역설법 구분, "상황이 아이러니(Irony, 반어)하다.", 반어(Irony), 역설(Paradox)

▪반어(反語)법 : 상황에 반(反)하는 말로 강조, 비꼼▪역설(逆說)법 : 말을 역(逆)으로 진실 설(說)파, 모순된 진실  "상황이 참 아이러니(Irony, 반어)하다."반어(Irony)역설(Paradox)상황과 언어 간 모순언어와 언어 간 모순상황에서 화자가 의도했던 것과는 상반되는 표현을 사용하여 오히려 자신의 진짜 속마음을 부각하는 방법으로 ‘표현된 것’과 ‘의미된 것’이 서로 충돌함으로서 시적 긴장을 만들어낸다 .역설법은 겉으로 보기에는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이나, 곰곰이 생각해 보면 그 속에 어떤 진실을 담고 있는 표현 방법이다▪으응, 잘 깼다. 또 깨라.▪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찬란한 슬픔의 봄▪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 반..

상징법, 원형적 상징, 관습적 상징, 창조적 상징

상징법 - 1. 원형적 상징 2. 관습적 상징 3. 창조적 상징​1. 상징법의 의미: 비유법처럼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로 보조관념을 통해 주제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태양처럼 불타오르는 결심" " 태양"※ 상징법과 대유법의 차이대유법은 원관념의 속성을 일부 포함하고 있거나 전체를 대신하지만, 상징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대유법] 펜은 칼보다 강하다펜 : 글을 쓰는 도구로 문화라는 속성을 지님칼 : 병기로써 무력을 뜻 함​[상징법]비둘기 : 평화를 상징할 때, 연관성을 발견하기 힘듬촛불 : 희망을 상징할 때, 공통점을 찾기 힘듬 2. 상징법의 종류(1) 원형적 상징(신화적 상징): 한 사물이 지닌 근원적이뭐 본질적인 이미지를 나타냅니다...

향가(鄕歌), 향찰, 서동요, 혜성가, 원왕생가, 모죽지랑가, 헌화가, 도솔가, 제망매가, 안민가, 찬기파랑가, 도천수대비가, 우적가, 처용가

● 향가 1. 발생 및 개념 - 발생 : 유리왕 5년(A.D 28)의 기록에서 "이 해에 민속이 환강하여 비로소 도솔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가악의 처음이다."라고 한 것을 보면, 이 '도솔가'가 최초의 향가로 추측되는데, 불행히도 이 노래는 오늘날 전해지지 않는다. - 개념 : 향찰식(鄕札式) 문자로 표기된 신라의 시가(詩歌).2. 명칭 - 향가(鄕歌) '고향의 노래' 또는 '우리 고유의 노래' 중국 시가의 상대적 개념으로서, 우리 나라 고유의 노래를 지칭하는 말 '향(鄕)'이라는 말이 자기비하의 용어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여러 근거를 통해 볼 때 비칭(卑稱)은 아닌 듯하다. - 사뇌가(詞腦歌) 양주동의 에서 '향가'를 '사뇌가'라는 말로 쓸 것을 표명함. '사뇌(詞腦)'는 '신라(新羅)'와 동의어인..

화용론(話用論, Pragmatics), 담화, 화행, 직시, 함축, 전제, 은유

화용론(話用論, Pragmatics) 담화론(談話論), 대화를 분석한다.화자, 청자, 시간, 장소 따위로 구성되는 맥락과 관련하여 문장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언어학의 한 분야.  담화 1. 담화 개요 담화(談話, Discourse) : 발화 + 장면 + 상황둘 이상의 문장이 연속되어 이루어지는 말의 단위.​- 단순히 말소리가 이어져 한 문장을 이룬 것을 우리는 발화라고 하는데, 이 발화가 단순히 죽 이어진 것은 담화가 아니다. 담화는 발화에 장면과 상황 맥락이 결합되어 하나의 덩어리가 유기적인 통일체를 이룬 것이다.​- 담화는 음성언어뿐만 아니라 문자언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개념이다- 담화는 음운 - 형태 - 통사 - 담화로 이어지는 언어 단위 중 가장 큰 단위이다. ​2. 담화 4요소화자이야..

문학 미적 범주 - 숭고미, 우아미, 비장미, 골계미

문학의 미적 범주  1. 숭고미(崇高美)숭고미란 일상생활의 경지를 뛰어넘는 고결한 정신적 아름다움을 말한다. 사랑, 희생, 자비와 같은 종교적 가치, 유교의 지조나 절개와 같은 덕목들이 숭고미에 속한다. 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던져버린 예수의 희생정신은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과 감탄은 물론 아름다움까지 불러일으킨다.괴로웠던 사나이,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처럼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꽃처럼 피어나는 피를어두워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예수 그리스도가 그랬던 것처럼 화자도 희생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다  2. 우아미(優雅美)친근하지만 기품이 있으며 현실이나 자연에 순응하는 아름다움을 말한다. 주로 고전시가에서 자연과 벗 삼아 살아가는 안빈낙도의 정서에서 발견할 수 있다. 과도하거나 부..

한국 문학의 흐름, 한국 문학사 개관

한국 문학의 흐름 (1) 1. 한국 문학사 개관 한국 문학사란, 우리 민족 문화의 주체적 흐름을 말한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예술을 사랑하고 뛰어난 창조적 역량을 발휘하여 왔다. 즉, 우리 민족은 민족 고유의 뛰어난 문학적 역량으로 문학 작품들을 창조하였고, 이를 전수하였으며, 외래 문학도 주체적으로 수용, 발전시켜 왔다.   2. 상고시대 문학(~통일신라시대) 1) 시대적 배경㉠ 청동기 시대의 전개㉡ 고조선, 부여, 고구려, 옥저, 예 삼한,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중국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민족문화를 수립해 나감. 2) 문학의 특징㉠ 국가마다 온 나라 사람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여러 날 동안 노래와 춤을 즐기는 국중대회(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등)를 열었는데, 이러한 제..

시상의 전개방식, 시간의 흐름, 공간의 이동, 선경후정, 대조(대립)적 심상, 대칭적 구조, 기승전결

시상 전개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 자연적인 시간의 변화를 축으로 시상을 전개해 나가는 방식이다. 시대순이나 역사의 흐름(과거-현재-미래), 계절의 순서나 흐름(봄-여름-가을-겨울), 하루 중의 시간의 흐름 등이 기준이 되어 시의 내용이 전개되는 방식을 말한다. 가장 친근하고 익숙한 방법이며 자연스러운 흐름을 느낄 수 있으며, 추보식 시상 전개라고도 한다.   ㉠ 이육사의 → '과거(까마득한 날)-현재(지금)-미래(천고의 뒤)'로 시상을 전개하면서 의지적이고 남성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 김광균의  → 해질 무렵부터 다음 날 아침까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면서, 고독과 우수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 박두진의  → 저녁 무렵의 산을 배경으로 하여 밤까지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

문학 용어 해설

문학 용어 해설*가면극(假面劇) : 가면을 쓰고 하는 연극 정교한 형식을 지닌 궁정 오락으로서 시극 음악 무용 화려한 의상 무대 장관으로 구성.*가전 (假傳) :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체로 서술한 서사시적 문학 형태의 하나로 고려 중기 이후 성행된 문학 형식으로 실재했던 인물의 생애를 전기 형식을 빌려 서술한 것이다.*가전체 문학(假傳體 文學) : 서사시적 문학 형태의 하나. 고려 중기 이후 성행된 문학 형식. 일명 의인 전기체. 어떤 사물을 의인화시켜서 실재했던 인물의 생애를 기록한 전기 형식을 빌려 서술한 것이기 때문에 가전 혹은 의인 전기로 불림.*갈래 : 유사성을 중심으로 분류한 문학 작품의 장르. 시 소설 희곡이라든가 서정시 서사시 극시 같은 것이 그 예이다.*가정 소설 (家庭小說) : 구소설의..

해방 공간의 문학, 전후문학(1950년대 문학), 한국 문학의 흐름(3)

한국 문학의 흐름(3) : 해방공간과 전후의 문학  1. 시대적 배경 및 문학적 상황 ⑴ 8. 15 해방→ 역사적 전환점인 동시에, 좌 · 우익의 이념적 갈등이 첨예화되는 시기⑵ 6. 25 전쟁→ 우리 민족의 삶의 황폐화를 가져왔으며, 냉전 체제 강화로 냉전의식이 점차 확산되어 감.⑶ 문학적 상황㈀ 문단의 양분 현상 : 좌익 성향의 '조선 문학가 동맹'과 우익 측의 '전국 문화 단체 총 연합회'가 결성되어 이론적 논쟁을 통한 갈등이 심화됨.㈁ 일제하의 체험과 귀향의식귀향 의식 : 해방 후 일제하의 절박한 삶의 체험을 회상하고, 고향을 잃은 자들의 귀향 의식을 표현하려는 주제 의식이 나타남.㈂ 참여문학과 순수문학의 정립 : 6. 25 전쟁 후 현실참여적인 주지주의 문학과 전통 지향적인 순수 문학의 맥이 형..

현대문학의 모색과 정립기, 191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 1930년대 문학, 한국 문학의 흐름 (2)

한국 문학의 흐름 (2) : 현대문학의 모색과 정립기  1. 시대적 배경 ㈀ 개화기의 애국계몽이 일제 강점 이후 민족 독립 운동으로 전환되어 민족적 수난에 대응하는 문학의 근대적 양상이 태동됨.㈁ 3 · 1 운동의 실패 : 정치적 좌절감과 더불어 민족 해방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됨.㈂ 사회 단체의 결성과 계급주의 사상의 등장 : 3 · 1 운동 실패 후 청년단체, 정치단체, 노동단체 등이 결성되었으며, 1917년 러시아 혁명 후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한 계급주의 사상이 도입됨.㈃ 일제의 민족 탄압 : 만주 사변을 계기로 일제는 우리 민족에 대한 수탈과 탄압을 더욱 철저히 하고, 검열체제와 사상통제를 더욱 강화함.  2. 1910년대 문학 ⑴ 자유시① 형성 배경 : 근대적 잡지(소년, 청춘..

소설 배경, 소설 문체, 소설 표현

소설 배경  배경이란, 소설 속에서 인물이 활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을 가리킨다.  1. 배경의 구성 요소 - 시간 : 인물이 행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기간이나 시대를 말하며, 시간에 배경의 중점을 둔 소설은 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건이 발생하고, 주인공의 운명이 변화해 나가는 것으로 그린다. - 공간 : 행동과 사건이 일어나는 자연환경이나 생활환경을 말하며, 공간에 배경의 중점을 둔 소설은 시간 의식이 불분명한 대신에 환경과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의 성격을 그린다.  2. 배경의 종류 - 자연적 배경 : 자연 현상이나 자연환경으로 된 배경으로, 일정한 분위기와 정조를 만들어낸다. 예> 이효석의  - 낭만적 자연환경- 인위적 배경(사회적 배경) : 인간에 의해 이루어진 사회적 환경..

자화상 2, 오세영 [현대시]

자화상 2오세영전신이 검은 까마귀,까마귀는 까치와 다르다.마른 가지 끝에 높이 앉아먼 설원을 굽어보는 저형형한 눈,고독한 이마 그리고 날카로운 부리.얼어붙은 지상에는그 어디에도 낱알 한 톨 보이지 않지만그대 차라리 눈발을 뒤지다 굶어 죽을지언정결코 까치처럼인가의 안마당을 넘보진 않는다.검을 테면철저하게 검어라. 단 한 개의 깃털도남기지 말고......겨울 되자 온 세상 수북이 눈을 내려저마다 하얗게 하얗게 분장하지만나는빈 가지 끝에 홀로 앉아말없이먼 지평선을 응시하는 한 마리검은 까마귀가 되리라.  * 형형한 : 광채가 반짝반짝 빛나며 밝은    핵심 정리갈래: 자유시, 서정시성격: 의지적주제: 올곧은 지조와 기개를 지키려는 의지특징: 까마귀를 의인화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삶을 보여줌색채에 일반적인 통념과..

문법의 기능, 피동 표현, 파생적 피동, 통사적 피동, 단형 피동, 긴 피동, -어지다, -게 되다

문법의 기능과 의미 [4] 피동(被動) 표현동작이나 행위를 누가 하느냐에 따라 능동문과 피동문으로 나누어지는데, 주어가 동작을 제 힘으로 하는 것은 능동(能動),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서 동작을 당하게 되는 것을 피동(被動)이라고 한다.피동법은 파생적 피동과 통사적 피동으로 나뉜다.※능동문(能動文):능동사가 서술어로 쓰인 문장. '철수가 친구를 업다', '아이가 밥을 먹다', '사냥꾼이 토끼를 잡다' 따위가 있다.※피동문(被動文):피동사가 서술어로 쓰인 문장. '도둑이 경찰에 잡히었다', '아기가 엄마에게 안기었다' 따위이다. 능동문의 목적어가 주어로 나타나고 능동문의 주어가 사격어(斜格語:oblique)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사자가 쥐를 먹었다'와 같은 능동문에 대해 '쥐가 사자에게 먹혔다'와 같..

소설의 인물(character) 유형, 인물 갈등, 성격 창조의 방법

소설의 인물(character) 유형과 갈등  1. 인물의 개념 소설 속의 등장인물 및 그 인물의 개성을 말한다. 보통 ‘캐릭터(character)’라고 한다. 인물은 행동의 주체, 주제의 구현자라는 점 때문에, 현대소설의 궁극적 목표가 대개 인물을 통한 인간성의 탐구에 있다는 점 때문에 중요하다. 물론 인물 중 가장 중요한 인물은 주인공이며, 근대 이후 소설에서 주인공은 대개 ‘문제적 개인’이다. 문제적 개인이란 이 변화무쌍한 세계 속에 내던져져 자신의 운명을 알지 못한 채, 진정한 가치를 찾기 위해 좌충우돌하며 자기 길을 찾아 일종의 여행을 떠나는 인물을 말한다. 그 인물의 모습을 보며 독자는 자신이 살아가는 이 세상이 과연 살만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2. 인물의 유형 (1) 역할에 ..

하늘, 박두진 [현대시]

하늘박두진하늘이 내게로 온다여릿여릿멀리서 온다하늘은,멀리서 온 하늘은호수처럼 푸르다.호수처럼 푸른 하늘에내가 안긴다. 온몸이 안긴다.가슴으로 가슴으로 스며드는 하늘향기로운 하늘의 호흡초가을따가운 햇볕에목을 씻고내가 하늘을 마신다.목말라 자꾸 마신다.마신 하늘에 내가 익는다.능금처럼 마음이 익는다.【주제】신비로운 자연과의 합일(合一) 【내용 풀이】 ▶제1문단(1연∼4연) : 하늘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 하늘이 내게로 다가오는 것 같이 느껴진다. 천천히, 천천히 멀리서 온다. 멀리서 오는 하늘은 호수처럼 푸르다. 내가 푸른 하늘에 안기면, 어머니의 품에서처럼 향기로운 하늘의 호흡을 가슴으로 느낀다.    ― 도취와 무아의 세계에서 ‘자연의 품’에 안기는 과정을 노래한 부분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순수 국어..

분수, 김춘수 [현대시]

분수김춘수                    1발돋움하는 발돋움하는 너의 자세(姿勢)는 왜 이렇게 두 쪽으로 갈라져서 떨어져야 하는가.   그리움으로 하여 왜 너는 이렇게 산산이 부서져서 흩어져야 하는가.                         2 모든 것을 바치고도 왜 나중에는 이 찢어지는 아픔만을 가져야 하는가.   네가 네 스스로에 보내는 이별의 이 안타까운 눈짓만을 가져야 하는가.                         3 왜 너는 다른 것이 되어서는 안 되는가.   떨어져서 부서진 무수한 네가 왜 이런 선연(鮮然)한 무지개로 다시 솟아야만 하는가.    개관- 제재 : 분수- 주제 : 끝없이 다시 발돋움하게 하는 영원한 그리움- 성격 : 주지적, 관념적, 상징적, 감각적 - 표현 : 분수..

고향, 정지용 [현대시]

고향정지용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뫼끝에 홀로 오르니 흰 점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개관- 성격 : 회고적, 애상적, 감각적(시각적, 청각적) - 표현 : * 1연과 6연의 수미상관적 구조 * 대구와 반복으로 리듬감 조성 * 자연과 인간사의 대비 * 애절함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하는 탄식적 어조 - 주제 : 그리운 고향을 잃어 버린 자의 상실감과 비애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 반복을 통해 고향을 그리는 간절함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 1연의..

형태론, 형태소, 형태적 특성, 통사적 특성, 국어 문법, 기출 문제

02 형태론형태론(形態論, Morphology)국어의 문법적 특성은 '형태적 특성'과 '통사적 특성'으로 나눌 수 있다. - 형태적 현상 : 단어 형성, 품사 및 조사나 어미와 관련되는 현상. - 통사적 현상 : 구성, 성분, 어순, 구성의 기능 및 문법 요소와 관련되는 현상. ● 형태적 특성1. 적극적인 가치를 갖는 특성가.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된 언어이다. (교착어, 첨가어)나. 국어의 문법 형태는 대체로 한 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가진다.(국어의 문법 형태는 문법 범주를 달리하여 둘 이상의 이질적인 기능을 가지는 일은 없다.)다. 국어에는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의 구분이 문법에서 중요성을 가진다.라. 국어에는 분류사(classifier, 이를 '단위성 의존명사' 또는 '단위명사'라고도 함)가 발..

비문(非文) 유형 - 주어를 빠뜨린 경우, 주어와 서술어 간의 호응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문장 접속시 조응 규칙을 어긴 경우, 중의적 문장(문장의 모호성), 동어의 반복 사용, 장황하고 복잡.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비문(非文)의 유형문법에 맞지 않은 문장들을 ‘비문(非文)’이라고 한다. ● 주어를 부당하게 빠뜨린 경우주어와 서술어는 문장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두 요소인데, 그중 하나라도 부족함이 있거나 호응을 이루지 못하면 비문이 된다. 국어는 주어를 생략하기 쉬운 언어에 속하지만, 아무 때나 생략하면 안 된다. 다음은 주어를 ..

본용언, 보조 용언, 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 규칙 용언, 불규칙 용언

용언의 활용  1. 본용언 / 보조 용언 1) 본용언자립성을 가지고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며,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있는 용언 2) 보조용언자립성이 없거나 약하여, 단어의 뜻이 변질되었거나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없는 용언 예) ▪철수가 책을 들고 간다.      → ‘철수가 책을 들다’가 성립되므로 ‘들고’는 본용언         ‘철수가 간다’가 성립되므로 ‘간다’는 본용언     ▪일이 잘 돼 간다.      → ‘일이 잘 되다’가 성립하므로 ‘돼’는 본용언         ‘일이 간다’가 성립되지 않으므로 ‘간다’는 진행의 뜻을 지닌 보조 용언    ▪이것을 들어 보아라.      → ‘이것을 보아라’라 하여 서술어가 될 수 있는 듯하나 여기서의 ‘보아라’는 경험의 뜻을 나타내어 ..

모음 체계도 암기, 단모음 체계, 이중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모음 체계도 두문자 암기 단모음 체계도전설 모음 -> 후설 모음 순으로 암기.전설 모음 암기법: '이 위에 외로운 애'후설 모음 암기법: 전설 모음에서 'ㅣ'를 빼면 후설 모음   【1절】 음운과 음운 변화 [2] 음소의 체계 1.모음 체계모음은 목청 울림을 띤 날숨이 발음기관의 장애를 받지 않고 입 안에서 공명돼 나는 소리인데 단모음(單母音)과 이중모음(二重母音)으로 나뉜다. 단모음은 발음 도중 혀의 위치나 입 모양이 변하지 않는 모음이고, 이중모음은 발음 도중 혀의 위치나 입 모양이 변하는 모음으로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된 것이다.  (1)단모음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고정되어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지 않는 모음. 국어의 단모음은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

안, 않, 맞춤법, 안 하다, 않다, 안 가다, 가지 않다, 않았다, ‘안’ 부사, ‘않-’ 용언 어간, 안, 아니 준말

‘안’과 ‘않’의 구분: ‘안’은 부사이고 ‘않-’은 용언의 어간  (가) 안 가다, 안 보이다, 안 먹는다, 안 어울린다, 담배를 안 피움 (나) 집에 가지 않다(아니하다), 철수가 먹지 않았다(아니하였다). ※ ‘않다’는 ‘아니하다’의 준말로서 주로 ‘-지 않다’ 구성으로 쓰임.   '안'은 '아니'의 준말이고, '않-'은 어간 '아니하-'의 준말이다. 즉, 사용 시에 '아니하'를 대입하여 말이 되면 '않'을 쓰고, 안(아니) 되면 '안'을 쓴다. 예)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아니하다(O) 예) 그건 않된다 = 그건 아니하된다(X)  구별하는 방법헷갈리는 부분을 잠깐 가려서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는 이 물건을 안 훔쳤어요."와 같은 문장에서 '안'을 가리고 읽어도 문장이 성립한다. 위와 ..

보조용언, 띄어쓰기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예시ㄱㄴ불이 꺼져 간다.불이 꺼져간다.내 힘으로 막아 낸다.내 힘으로 막아낸다.어머니를 도와 드린다.어머니를 도와드린다.그릇을 깨뜨려 버렸다.그릇을 깨뜨려버렸다.비가 올 듯하다.비가 올듯하다.그 일은 할 만하다.그 일은 할만하다.일이 될 법하다.일이 될법하다.비가 올 성싶다.비가 올성싶다.잘 아는 척한다.잘 아는척한다.다만,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용언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잘도 놀아만 나는구나!책을 읽어도 보고…….네가 덤벼들어 보아라.이런 기회는 다시없을 듯하다.그가 올 듯도 하다.잘난 체를 한다. 해설 여기서 ..

잘 틀리는 맞춤법, 외래어

잘 틀리는 맞춤법, 외래어[ㄱ] 가까와지다 → 가까워지다 가까히 → 가까이 가냘퍼 → 가냘파 가늘으니 → 가느니 가늘은 → 가는 가늘음 → 가늚 가당챦다 → 가당찮다 가동율 → 가동률 가득이 → 가득히 가디간 → 카디건(cardigan) 가디건 → 카디건(cardigan) 가뜬이 → 가뜬히 가라사되 → 가라사대 가래줄 → 가랫줄 가랭이 → 가랑이 가로대 → 가로되 가르키다 → 가리키다, 가르치다 가리마 → 가르마 가벼히 → 가벼이 가스 렌지 → 가스 레인지(gas range) 가와사끼 → 가와사키(川崎) 가운데소리 → 가운뎃소리 가위날 → 가윗날 가위표 → 가새표 가을내 → 가으내 가재미 → 가자미 가진 고생 → 갖은 고생 간지르다 → 간질이다 각출 → 갹출(醵出) 간난아이 → 갓난아이 강남콩 → 강낭콩..

된소리되기, 경음화, 한자어, 갈등[갈뜽], 발동[발똥], 절도[절또], 말살[말쌀] , 허허실실[허허실실], 절절-하다[절절하다](切切-)

된소리되기, 경음화, 한자어  제26항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갈등[갈뜽] 발동[발똥] 절도[절또] 말살[말쌀] 불소[불쏘](弗素) 일시[일씨] 갈증[갈쯩] 물질[물찔] 발전[발쩐] 몰상식[몰쌍식] 불세출[불쎄출]다만, 같은 한자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허허실실[허허실실](虛虛實實) 절절-하다[절절하다](切切-)해설: 한자어에서 받침 ‘ㄹ’ 다음에 된소리로 발음되는 것을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결과, 물건, 불복, 설계, 열기, 절기, 출고, 팔경, 활보’ 등 된소리로 발음되지 않는 예들이 많다.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사전에서 그 발음을 표시하여야 한다.다만. 같은 한자가 겹친 첩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되지 않는다..

고유어, 한자어 표준어

제21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용도를 잃게 된 것은, 고유어 계열의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예시ㄱㄴ비고가루-약말-약 구들-장방-돌 길품-삯보행-삯 까막-눈맹-눈 꼭지-미역총각-미역 나뭇-갓시장-갓 늙-다리노-닥다리 두껍-닫이두껍-창 떡-암죽병-암죽 마른-갈이건-갈이 마른-빨래건-빨래 메-찰떡반-찰떡 박달-나무배달-나무 밥-소라식-소라큰 놋그릇.사래-논사래-답묘지기나 마름이 부쳐 먹는 땅.사래-밭사래-전 삯-말삯-마 성냥화-곽 솟을-무늬솟을-문(∼紋) 외-지다벽-지다 움-파동-파 잎-담배잎-초 잔-돈잔-전 조-당수조-당죽 죽데기피-죽‘죽더기’도 비표준어임.지겟-다리목-발지게 동발의 양쪽 다리.짐-꾼부지-군(負持-) 푼-돈..

깐죽거리다, 깐족거리다, 깐죽깐죽하다, 깐죽대다, 깐족깐족하다, 깐족대다, 표준어

깐죽거리다 어원: 깐죽 + 거리다 활용: 깐죽거리어(깐죽거려), 깐죽거리니 1. 쓸데없는 소리를 밉살스럽고 짓궂게 들러붙어 계속 지껄이다.유의어: 깐죽깐죽하다, 깐죽대다 깐족거리다 어원: 깐족 + 거리다 활용: 깐족거리어(깐족거려), 깐족거리니 1. 쓸데없는 소리를 밉살스럽고 짓궂게 달라붙어 계속 지껄이다. 깐족거리는 아이들의 음성.유의어: 깐족깐족하다, 깐족대다.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

단어 간 의미 관계, 동의 관계, 이의 관계, 유의 관계, 반의 관계, 하의 관계

단어 간 의미 관계 의미 관계횡적 관계 - 동의․이의․유의․반의 관계종적 관계 - 하의 관계      1. 동의 관계(同意關係) 1) 의미 :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서로 소리는 다르나 의미가 같을 때의 관계를 말하며, 이들을 동의어(同義語) 또는 이음동의어(異音同義語)라 한다.     예) 책방 : 서점;  속옷 : 내의;   죽다 : 숨지다, 사망하다;   희귀하다 : 드물다 2) 조건에 의한 동의 관계① 방언적 차이    예) 고깃간(표준어) : 푸줏간(표준어) : 육줏간 ...② 사회 계층적 차이    예) 교도소 : 형무소 : 감옥소 : 빵깐 ...③ 말하는 이의 태도 차이    예) 사람 : 놈 : 새끼 ...  2. 유의 관계(類義關係) 1) 의미 :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서로 소리는 다르나 ..

잡스 국어 2024.11.04

간격, 안도현 [현대시]

간격안도현숲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을 때는 몰랐다. 나무와 나무가 모여 어깨와 어깨를 대고 숲을 이루는 줄 알았다. 나무와 나무 사이 넓거나 좁은 간격이 있다는 걸 생각하지 못했다. 벌어질 대로 최대한 벌어진, 한데 붙으면 도저히 안 되는, 기어이 떨어져 서 있어야 하는, 나무와 나무 사이 그 간격과 간격이 모여 울울창창 숲을 이룬다는 것을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숲에 들어가 보고서야 알았다.   개관- 성격 : 상징적, 성찰적 - 표현 : 나무를 인격화하여 인간의 삶과 관련된 의미를 부여함.   전후를 대비하여 새로운 깨달음을 강조함. - 제재 : 간격(울창한 숲의 필수 조건 → 사회적 관계의 완성을 위한 필수 조건) - 거리, 기다림의 의미- 주제 : 적당한 간격의 소중함에 대한 깨달음중요시어 및 시구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