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간격, 안도현 [현대시]

간격안도현숲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을 때는 몰랐다. 나무와 나무가 모여 어깨와 어깨를 대고 숲을 이루는 줄 알았다. 나무와 나무 사이 넓거나 좁은 간격이 있다는 걸 생각하지 못했다. 벌어질 대로 최대한 벌어진, 한데 붙으면 도저히 안 되는, 기어이 떨어져 서 있어야 하는, 나무와 나무 사이 그 간격과 간격이 모여 울울창창 숲을 이룬다는 것을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숲에 들어가 보고서야 알았다.   개관- 성격 : 상징적, 성찰적 - 표현 : 나무를 인격화하여 인간의 삶과 관련된 의미를 부여함.   전후를 대비하여 새로운 깨달음을 강조함. - 제재 : 간격(울창한 숲의 필수 조건 → 사회적 관계의 완성을 위한 필수 조건) - 거리, 기다림의 의미- 주제 : 적당한 간격의 소중함에 대한 깨달음중요시어 및 시구풀..

함의, 전제, 함의(含意), 전제(前提), 함의(Entailment), 전제(Presupposition)

함의, 전제 함의(含意), 전제(前提) 함의(Entailment), 전제(Presupposition)  1. 함의와 전제  ㅇ함의: 어떤 문장이 다른 의미를 포함하는 것.     예) ‘영이가 유리창을 깨뜨렸다.’는 ‘유리창이 깨졌다.’를 함의함.     ▶ 문장 p가 참이면 반드시 문장 q가 참이고, 문장 q가 거짓이면 반드시 문장 p가 거짓일 때, 문장 p는 문장 q를 함의한다.     ▶ 함의의 진리표           p                q        ☞ 전제와의 차이: p가 거짓이면 q는 참 또는 거짓, q가 거짓이면 p도 거짓.   ㅇ전제: 어떤 문장이 의미적 정당성을 갖기 위해 이미 참이라는 것이 보장되는 다른 의미를 갖는 것.     예) ‘그는 그녀와 결혼한 것을 후회한다...

잡스 국어 2024.11.03

음소(音素, phoneme), 음절(音節, syllable), 형태소(形態素, morpheme), 단어(單語, word), 어절(語節), 문장(文章, sentence), 이야기(narrative)

【1절】문법의 주요 요소 [1]언어의 단위 (1)음소(音素, phoneme)분절음(分節音). 자음과 모음. 언어의 궁극적 단위.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음운론상의 최소 단위. 하나 이상의 음소가 모여서 음절을 이룬다. 언어의 낱말을 구분해 주는 이론적인 낱낱의 소리. 즉, 한 낱말에서 음소가 바뀌면 그 낱말 자체가 다른 뜻이 될 수 있다. 음소 하나로 구분되는 두 낱말을 최소 대립쌍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물’, ‘불’, ‘뿔’, ‘풀’은 ㅁ, ㅂ, ㅃ, ㅍ을 구분하는 최소 대립쌍이다. 음소는 여러 가지 자질을 지니며, 음소의 차이를 가져오는 자질의 차이를 ‘변별 자질’이라고 한다. 음소는 낱소리라고도 한다. 장(음절)→ㅈ(자음), ㅏ(모음), ㅇ(자음) ※운소(韻素, prosodeme):단어의 ..

주제별 고사성어, 사자성어, 한자성어

주제별 고사성어 ● 앞길이 유망함. ① 前程萬里(전정만리) : 앞길이 구만 리 같음. ② 鵬程萬里(붕정만리) : 붕새가 날아가는 하늘 길이 만 리로 트임. ● 한 나라의 정사를 떠받들 만한 재목. ① 股肱之臣(고굉지신) : 팔, 다리가 될 만한 신하. ② 社稷之臣(사직지신) : 사직(왕조)을 지탱할 만한 신하. ③ 棟梁之材(동량지재) : 대들보(동량)가 될 만한 재목. ④ 柱石之臣(주석지신) : 주춧돌(주석)이 될 만한 신하.  ● 약자가 강자 틈에 끼어 고생함. ① 鯨戰鰕死(경전하사)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② 間於齊楚(간어제초) :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임.   ● 매우 가까운 거리나 근소한 차. ① 咫尺之地(지척지지) : 매우 가까운 곳. ② 咫尺之間(지척지간) : 매우 가까운 거리...

헷갈리는 언어 표현

헷갈리기 쉬운 언어 표현  감각적(感覺的) : 감각이나 자극에 예민한. 감각 기관으로 포착된 외부의 자극에 의한.감상적(感傷的) : 어떠한 일에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쉽게 감동하는.감성적(感性的) : 자극에 대하여 느낌이 일어나는 것과 관계되는. 외계(外界)로부터 받는 자극에 의하여 어떤 인상을 감지(感知)하는 능력이 빠르거나 날카로운.개성적(個性的) :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그 사람만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낱낱의 물건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질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개연적(蓋然的) : 확실하지는 아니하나 그럴 것이라고 예견되는. 격정적(激情的) : 감정이 강력하고 갑작스러워 누르기 어려운.경세적(警世的) : 세상을 깨우치는. 세상 사람을 깨우치는.고답적(高踏的) : 세상에 초연하거나 현실과 동떨..

순화어 정리, 국어 기출 어휘

순화대상어어원순화어의미 및 참고 사항가십거리gossip거리입방아거리소문이 될 만한 내용.갈라쇼gala show뒤풀이공연큰 경기나 공연이 끝나고 나서, 축하하여 벌이는 큰 규모의 오락 행사.게이트gate의혹사건정치가·정부 관리와 관련된, 비리 의혹에 싸여 있는 사건.골드미스Gold Miss황금독신여성30대 이상 40대 미만 미혼 여성 중 학력이 높고 사회적, 경제적 여유를 갖추고 있는 계층.교례회交禮會어울모임어떤 단체, 조직의 구성원들이 특정한 날, 일을 계기로 어울리며 덕담을 주고받는 모임이나 행사.그라피티graffiti길거리그림길거리 여기저기 벽면에 낙서처럼 그리거나 페인트를 분무기로 내뿜어서 그리는 그림.그룹홈group home자활꿈터어려운 환경에 처한 노숙자, 장애인, 가출 청소년 등이 자립할 때까..

縱, 세로 종, 橫, 가로 횡, 종횡무진(縱橫無盡), 횡설수설(橫說竪說)

암기 : 가로질러 가는 횡단보도, 가로 횡  縱, 세로 종橫, 가로 횡종횡무진(縱橫無盡)  : 마음 내키는 대로 자유롭게 행동하는 모습.횡설수설(橫說竪說): 조리 없이 말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인다.  橫-가로 횡 領-차지할 령 縱-세로 종 竪-세울 수 厄-재앙 액 財-재물 재 橫, 가로 횡 木(목)과 黃(황)의 결합으로 옛날 돼지 따위의 가축이 집밖으로 달아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문이나 사립문에 걸쳐두었던 나무(木)막대기를 말했다. 여기서 黃은 나무의 색깔을 뜻한다. 나무가 오래되면 누런 색깔을 띠게 된다. 그러니까 橫은 ‘사립문에 걸쳐놓은 누런 나무’가 되겠다. 가로로 걸쳐져 있었으므로 후에는 ‘가로’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물론 세로는 縱(종)이다. 縱, 세로 종 방위에서 볼 때 東西(동서)가 橫..

평서문, 감탄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5. 문장의 종결 1) 평서문  -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  (1) 평서형 어미- 격식체     해라체 : -다     하게체 : -네, -ㅁ세     하오체 : -(시)오     하십시오체 : -(시)ㅂ니다.      예) 날씨가 무척 춥다.      예) 그만 집에 가오.  - 비격식체     해체 : -아/어, -지     해요체 : -아요/어요       예) 너 어디 가니?     집에 가.       예) 지금 어디 가요?  (2) 유형  - 원칙 평서문      화자가 일반적인 원칙이라고 믿고 있는 것을 말할 때 쓰인다.     규범에 속하는 객관적 믿음을 일깨워 줄 때 쓰인다.       예) 진실을 말해야 하느니라.  -..

음운 변화, 음운 변천, 음운 변동

【1절】음운과 음운 변화 [3] 음운 변화1. 음운 변화의 개념, 음운 변천과 음운 변동음운의 변화란 형태소의 정해진 발음이 바뀌는 것을 말하고, 이를 음운 현상이라고 한다. 음운 현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음이 바뀌는 통시적(通時的) 변화와 현대의 공시적(公示的) 변화가 있다. 통시적 변화를 음운 변천, 공시적 변화를 음운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의 변천은 발음의 변화가 형태소 내부에서 일어난 것이 많고 바뀐 소리를 음절자로 표기한다.음운변화(音韻變化)는 언어의 소리가 역사의 흐름에 따라 겪는 변화를 말한다. 음운 체계 안의 어떤 음운 또는 그 체계 자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일. 예를 들면 중세 국어에서 쓰이던 'ㅿ' 등이 현대 국어로 오면서 'ㅅ' 등으로 변한 것 따위가 있다.고유한 의미의..

추야우중(秋夜雨中), 최치원, 5언 절구 한시 [고전 운문]

추야우중(秋夜雨中) 秋風唯苦吟(추풍유고음)世路少知音(세로소지음)窓外三更雨(창외삼경우)燈前萬里心(등전만리심) 가을 바람에 괴로이 읊조리나,세상에 알아 주는 이 없네.창 밖엔 밤 깊도록 비만 내리는데,등불 앞에 마음은 만리 밖을 내닫네.   秋(추) : 가을 唯(유) : 오직 苦(고) : 괴롭다 吟(음) : 읊다路(로) : 길 窓(창) : 창 更(경) : 시각 燈(등) : 등불萬(만) : 일만 당나라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던 최치원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고독과 외로움을 표현한 5언 절구의 한시이다.* 갈래 : 한시, 5언 절구* 성격 : 서정적, 애상적* 제재 : 비 내리는 가을밤* 주제 :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는 지식인의 고뇌/고국에 대한 그리움* 특징 ①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부..

어미, 어간, 어말어미, 선어말어미, 용언, 서술격조사

【1절】문법의 주요 요소 [2]용언과 서술격조사 1. 용언(用言)의 활용문장의 주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동사와 형용사를 통틀어 용언이라고 한다. 용언은 체언(體言)에 대립되고 어간(語幹)과 어미로 되어 있다.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나눈다. 풀이씨, 활어(活語)라고도 한다. ▷본용언(本用言):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하면서 보조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 '나는 사과를 먹어 버렸다', '그는 잠을 자고 싶다'에서 '먹다', '자다' 따위이다. ▷보조용언(補助用言):본용언과 연결되어 그것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용언. 보조동사, 보조형용사가 있다. '가지고 싶다'의 '싶다','가게 되다'의 '되다' 따위이다. 도움풀이씨라고도 한다.용언은 서술어 구실을 하면서 평서형, 명령형..

중세 국어 특징, ㆆ, ㅸ, ㅿ, ㆁ, ㆍ, 모음 조화, 8종성법, 방점,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중세 국어 특징 1. 국어사의 시대 구분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①고려 건국 ②임진왜란 ③갑오개혁(1894)①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 지방의 말을 중심으로 통일됨-현대 국어의 근간이 됨. 그러나 고려의 건국으로 중앙어가 이동(경주 중심어->개성 중심어)②고려 건국과 함께 중세국어 시작됨.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눔. 조선 개국은 중앙어의 변동을 가져오지 않음. 2. 표기상의 특징(1) ‘ㆆ, ㅸ, ㅿ, ㆁ, ㆍ’ 사용음운소멸시기변천과정ㆆ(여린 히읗)세조 이후(15세기 중엽)소멸ㅸ(순경음 비읍)세조 이후(15세기 중엽)ㅂ>ㅸ>오/우/φ예) 돕아->도ᄫᅡ>..

용언(用言), 본용언, 보조용언, 동사, 형용사, 구별

【2절】품사 [용언(用言)] 문장의 주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동사와 형용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나눈다. 풀이씨, 활어(活語)라고도 한다. 체언(體言)에 대립되며 어간(語幹)과 어미로 되어 있다.어간에는 여러 가지 어미가 붙어서 여러 가지의 문법적 의미를 나타낸다. 어간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근(語根)이 결합돼 이루어진 것도 있고, 접사(接辭)에 의해 파생된 어간도 있다. 어미는 종결어미와 연결어미, 또한 이들 어미와 어간 사이에 들어가 존대법, 시제법 등의 법범주(法範疇)를 이루는 선행어미(先行語尾)로 나누어진다. 용언은 대개 동사, 형용사, 지정사로 나누어진다. 이들은 모두 사물의 동작, 성질, 상태, 환언(換言)의 뜻을 나타내면서 활용하며 서술..

문장의 구조, 문장성분, 주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

【제1절】 문장의 구조 [2] 문장의 기본 골격과 문장성분국어의 문장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사어, 관형어 등이 서로 결속하여 이루어진다.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를 주성분, 부사어와 관형어를 부속성분(附屬成分)이라고 한다. 주성분 중 주어는 서술어가 나타나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이다. 목적어는 서술어 구실을 하는 동사의 동작 대상이 되는 말이다. 보어는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완전하지 못한 문장에서 그 불완전한 곳을 보충하여 뜻을 완전하게 하는 성분이다. 부속성분 중 부사어는 주로 서술어를 한정(수식)하는 성분이고,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하는 성분이다. 주성분 중 서술어는 주성분이나 부속성분과 결속하여 문장의 핵심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이러한 것들 중 중심 성분은..

수정가(水晶歌), 박재삼 [현대시]

수정가박재삼 집을 치면 정화수 잔잔한 위에 아침마다 새로 생기는 물방울의 선선한 우물집이었을레. 또한 윤이 나는 마루의, 그 끝에 평상의, 갈앉은 뜨락의, 물냄새 창창한 그런 집이었을레. 서방님은 바람 같단들 어느 때고 바람은 어려 올 따름, 그 옆에 순순(順順)한 스러지는 물방울의 찬란한 춘향이 마음이 아니었을레.   하루에 몇 번쯤 푸른 산 언덕들을 눈 아래 보았을까나. 그러면 그 때마다 일렁여 오는 푸른 그리움에 어울려 흐느껴 물살짓는 어깨가 얼마쯤 하였을까나. 진실로,  우리가 받들 산신령은 그 어디 있을까마는 산과 언덕들의 만 리 같은 물살을 굽어보는, 춘향은 바람에 어울린 수정빛 임자가 아니었을까나.     개관- 제목 : 수정가(水晶歌) - 수정같이 아름답고 단단하 춘향의 마음- 성격 : 전..

마음의 고향 6 - 초설, 이시영 [현대시]

마음의 고향 6 - 초설이시영내 마음의 고향은 이제참새떼 왁자히 내려앉는 대숲 마을의노오란 초가을 초가지붕에 있지 아니 하고내 마음의 고향은 이제 토란잎에 후두둑 빗방울 스치고 가는여름날의 고요 적막한 뒤란에 있지 아니하고내 마음의 고향은 이제추수 끝난 빈 들판을 쿵쿵 울리며 가는서늘한 뜨거운 기적 소리에 있지 아니하고내 마음의 고향은 이제빈 들길을 걸어 걸어 흰 옷자락 날리며서울로 가는 순이 누나의 파르라한 옷고름에 있지 아니하고내 마음의 고향은 이제아늑한 상큼한 짚벼늘에 파묻혀나를 부르는 소리도 잊어버린 채까닭 모를 굵은 눈물 흘리던 그 어린 저년 무렵에도 있지 아니하고내 마음의 고향은 싸락눈 홀로 이마에 받으며내가 그 어둑한 신작로 길로 나섰을 때 끝났다눈 위로 막 얼어붙기 시작한작디작은 수레 바큇..

문예 사조 - 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유미주의, 데카당스, 다다이즘, 주지주의, 실존주의

문예 사조(文藝思潮)1. 문예 사조의 근원과 개념 (1) 문예 사조의 근원 :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 헬레니즘(Hellenism)     ㈀ 발생지 : 그리스     ㈁ 특징 : 인성(人性)을 중시하고, 감성, 지성, 현세, 자아적이다.     ㈂ 영향 : 고전주의, 자연주의 등으로 전개된다.  ② 헤브라이즘(Hebraism)     ㈀ 발생지 : 히브리     ㈁ 특징 : 신성(神性)을 중시하고, 덕성, 내세, 신성적이다.     ㈂ 영향 : 낭만주의, 상징주의 등으로 전개된다. (2) 문예 사조의 개념 : 뜻을 같이 하는 문인들이 유파(流派)를 형성하고, 문학 운동을 전개하여 하나의 사상적 흐름을  형성한 것을 일컫는다. 이는 문학사상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시대적. 집단적 사조라는 점에서 문학 사..

공터, 최승호 [현대시]

공터최승호아마 무너뜨릴 수 없는 고요가 공터를 지배하는 왕일 것이다 빈 듯하면서도 공터는 늘 무엇인가로 가득 차 있다. 공터에 자는 바람, 붐비는 바람, 때때로 바람은 솜털에 싸인 풀씨들을 던져 공터에 꽃을 피운다 그들의 늙고 시듦에 공터는 말이 없다 있는 흙을 베풀어주고 그들이 지나가는 것을 무심히 바라볼 뿐. 밝은 날 공터를 지나가는 도마뱀 스쳐가는 새가 발자국을 남긴다 해도 그렇게 오래가지 않을 것이다. 하늘의 빗방울에 자리를 바꾸는 모래들, 공터는 흔적을 지우고 있다 아마 흔적을 남기지 않는 고요가 공터를 지배하는 왕일 것이다.   개관- 성격 : 관념적, 사색적, 명상적 - 특성 ① 대상을 의인화하여 대상의 의미를 부각하고 있다. ②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 보여줌. ③ ..

고향, 현진건, 일제 강점기, 농민(민중)의 참혹한 생활상 폭로 [현대소설]

현진건, 고향기차 안에서 만난 조선 유랑민과의 대화를 통해 일제의 수탈로 농토와 고향을 잃은 사람들의 참담한 삶을 형상화하여 일제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작가의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 갈래 : 단편 소설, 액자 소설* 성격 : 사실적, 현실 고발적* 배경① 시간 - 일제 강점기② 공간 - 대구발 서울행 열차 안*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주제 : 일제 강점기 우리 농민(민중)의 참혹한 생활상의 폭로* 특징① 1920년대 민족 항일기의 시대상을 조명함.② 농토를 빼앗긴 농민의 참상을 사실적으로 그림.* 출전 : “조선일보”(1926)에 ‘그의 얼굴’로 발표했으나 단편집 “조선의 얼굴”에서 ‘고향’으로 제목을 고침. 어휘 풀이* 옥양목 : 생목보다 발이 고운 무명. 빛이 썩 희고 얇음.* 뉘엿거..

멸치, 김기택 [현대시]

멸치김기택굳어지기 전까지 저 딱딱한 것들은 물결이었다. 파도와 해일이 쉬고 있는 바닷속 지느러미의 물결 사이에 끼어 유유히 흘러다니던 무수한 갈래의 길이었다. 그물이 물결 속에서 멸치들을 떼어냈던 것이다. 햇빛의 꼿꼿한 직선들 틈에 끼이자마자 부드러운 물결은 팔딱거리다 길을 잃었을 것이다. 바람과 햇볕이 달라붙어 물기를 빨아들이는 동안 바다의 무늬는 뼈다귀처럼 남아 멸치의 등과 지느러미 위에서 딱딱하게 굳어갔던 것이다. 모래 더미처럼 길거리에 쌓이고 건어물집의 푸석한 공기에 풀리다가 기름에 튀겨지고 접시에 담겨졌던 것이다. 지금 젓가락 끝에 깍두기처럼 딱딱하게 집히는 이 멸치에는 두껍고 뻣뻣한 공기를 뚫고 흘러가는 바다가 있다 그 바다에는 아직도 지느러미가 있고 지느러미 흔드는 물결이 있다. 이 작은 물..

가소롭다, 어원: 가소 (可笑) + 롭다, 같잖아서 우습다

가소롭다 어원: 가소 (한자 可笑) + 롭다 터무니없거나 같잖아서 우습다. (비유) 상대하기가 보잘것없다. 또는 생각해 볼 가치가 적다. 주제에 대학교 다닌다고 목에 힘을 주며 떠드는 말이 듣기에 가소롭다. 책임과 자유가 무엇인지 모르면서 민주주의 운운하는 것이 무척 가소롭다. 그는 챔피언의 적수로는 가소롭기 짝이 없다. 그 사람이 하는 말은 가소로와서 할 말이 없다. 여기가 어디라고 가소롭게 큰소리를 치느냐!  활용: 가소로워, 가소로우니 부사: 가소로이 참조: 같잖다, 어처구니없다 가소, 可笑우스운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

무서운 시간, 윤동주 [현대시]

무서운 시간윤동주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가랑잎 잎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나 아직 여기 호흡(呼吸)이 남아 있소한 번도 손들어 보지 못한 나를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어디에 내 한 몸 둘 하늘이 있어나를 부르는 것이오.일을 마치고 내 죽는 날 아침에는서럽지도 않는 가랑잎이 떨어질 텐데……나를 부르지마오.  어구 풀이* 무서운 시간 : 주체적으로 살지 못하고 있는 화자가 자신의 양심과 마주하는, 부끄러움을 느끼는 성찰의 시간을 의미함* 나를 부르는 것 : 내면의 소리, 화자의 양심* 가랑잎 이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 : 나약하게나마 남아 있는 희망을 보여 줌* 한 번도 손들어 보지 못한 : 주체적인 삶을 살지 못한* 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없는 자유가 없는* 하늘..

침향(沈香), 서정주 [현대시]

침향(沈香)서정주 침향(沈香)을 만들려는 이들은, 산골 물이 바다를 만나러 흘러내려 가다가 바로 따악 그 바닷물과 만나는 언저리에 굵직굵직한 참나무 토막들을 잠거 넣어 둡니다. 침향은, 물론 꽤 오랜 세월이 지난 뒤에, 이 잠근 참나무 토막들을 다시 건져 말려서 빠개어 쓰는 겁니다만, 아무리 짧아도 2 ~ 3백 년은 수저(水底)에 가라앉아 있은 거라야 향내가 제대로 나기 비롯한다 합니다. 천 년쯤씩 잠긴 것은 냄새가 더 좋굽시요. 그러니, 질마재 사람들이 침향을 만들려고 참나무 토막들을 하나씩 하나씩 들어내다가 육수(陸水)와 조류(潮流)가 합수(合水)치는 속에 집어넣고 있는 것은 자기들이나 자기들 아들딸이나 손자 손녀들이 건져서 쓰려는 게 아니고, 훨씬 더 먼 미래의 누군지 눈에 보이지도 않는 후대들을 ..

토의 • 토론

● 토의 • 토론 1. 토의 1) 토의의 문제- 시의성이 있는 것, 다룰 만한 의미가 있는 것, 다양한 의견의 접근이 가능한 것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하여 다양한 의견 도출이 가능한 것이 좋다.-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의문문의 형태로 진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토의의 개념여러 사람이 모여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의하는 화법의 한 형태 3) 토의의 성격공동의 목적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함으로써 문제에 다각도로 접근하여 최선의 해결 방안을 찾아내고자 함. 4) 토의의 유형심포지엄•토의 문제에 대해 여러 분야의 권위자나 전문가가 주제별로 각자의 의견을 발표함.•발표자 간 상호 토의 없음.•청중은 주제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전문적 의견을 들을 수 있음.패널 토의•..

반어(irony), 언어적 반어(표현적 반어), 상황적 반어(구조적 반어), 반어 표현의 예시

반어법 : 반대말로 강조, 비꼼역설법 : 역으로 진실 설파, 모순된 진실  반어(irony) : 반대말로 강조, 비꼼​반어란, 머릿속의 생각과 입 밖으로 나온 말이 다를 때를 가리킨다. 문학 작품상에서 반어란 거짓 꾸밈으로 정반대의 표현을 통해 오히려 대상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언어적 반어(표현적 반어): 드러난 말과 실제 의도 사이에 상반된 관계가 있는 표현으로 빈정, 비난, 조롱 등의 경우.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언어적 반어의 예시로는 '잘했네(잘못한 경우).', '똑똑하네(어리석은 상대에게)', '멋있네(못 미더울 때).' 등이 있다. 문학 작품 중 특히 김소월의 시에서 반어 표현이 자주 등장.​ 2. 상황적 반어(구조적 반어): 현재 진행 중인 상황과 전혀 반대되는 양상..

논리적 오류, 무지의 오류, 논점 일탈의 오류, 순환 논증의 오류, 흑백 사고의 오류

● 오류 1. 심리적 오류 : 논지에 대해 심리적으로 설득하려고 하면 오류를 범하게 된다.① 감정에의 호소 : 동정, 연민, 공포, 증오 등의 감정에 호소해서 논지를 받아들이게 하는 오류 예) 내가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죽을 줄 알아!② 사적관계에의 호소 : 정 때문에 논지를 받아들이게 하는 오류   예) 넌 나하고 제일 친한 친구잖아. 네가 날 도와주지 않는다면 난 누굴 믿고 이 세상을 살아가란 말이니?③ 군중에의 호소 : 군중 심리를 자극하여 논지를 받아들이게 하는 오류   예) OO화장품은 세계의 여성이 애용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여성의 필수품, OO화장품을 소개합니다.④ 부적합한 권위에의 호소 : 논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권위자의 견해를 근거로 신뢰하게 하는 오류   예) 이 화장품이 얼..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사동과 피동, 파생적 피동, 통사적 피동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1. 사동과 피동 1) 사동(使動) 표현  (1) 사동과 주동     ㈀사동사 :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냄.     ㈁주동사 : 동작주가 스스로 행하는 동작을 나타냄.  (2) 사동문 되기     ㈀자동사 어근 + 접사(-이-,-히-,-리-,-기-,-우-,-구-,-추-)        예) 얼음이 녹는다 →아이가 얼음을 녹인다.(주동문 주어→목적어)        속이다, (먼지를) 묻히다, 울리다, 숨기다, 깨우다, 맞추다     ㈁타동사 어근 + 접사   (주동문 주어→부사어)        예) 영호가 책을 읽었다.→선생님이 영호에게 책을 읽혔다.        보이다, 입히다, 들리다(擧), 물리다, 맡기다, 지우다(負), 갖추다     ㈂형용사 어근 ..

잡스 국어 2024.10.22

공무원 국어 문학 정리 - 서정, 서사

Ⅰ. 상고시대의 운문(원시시대~통일신라)[원시 가요]개념 : 삼국 시대 이전의 노래로 음악, 무용, 시가가 분화되지 않았던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내용의 시가. 한문으로 기록되어 본래의 모습을 알기 어렵다.기원과 전개 : 고대 가요집단적, 서사적, 노동요 → 개인적, 서정적, 독자적으로 분화 발전특징 : 가. 초기 : 집단적, 의식요, 노동요가 창작 → 개인적 서정가요로 변모나. 배경설화가 동반됨다. 후대에 한역(漢譯)되어 전승작품 : , , (두 토막씩 넉 줄로 된 기본적인 형태) [향가]개념 : 신라~고려 초까지 창작되었던 서정시, 표기수단 : 향찰전승 : 6세기 초 진평왕 대 에서 고려 광종 때인 까지.향가를 집대성한 「삼대목」이 간행되었다고 함.특징 가. 향찰식 표기나. 형..

문학의 갈래 - 운문(韻文), 산문(散文), 서정, 서사, 극, 교술, 시, 소설, 수필, 희곡, 평론, 시나리오

문학의 갈래 1. 갈래의 정의문학의 갈래란, 개인 또는 민족에 의해 형성된 예술적 경험들이 일정한 형식과 형태를 갖추어 다수의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 여러 작품들이 일정한 규모의 군집을 이루는 체계를 뜻하며, 작품의 준거를 결정짓는 기본 토대.  2. 언어의 형태에 따른 갈래(1) 운문(韻文) 문학 : 언어의 운율적 기능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주로 인간의 정서와 감정 표현에 초점을 맞춘 문학 갈래(2) 산문(散文) 문학 : 일상적인 언어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건이나 사상 등을 서술한 문학 갈래  3. 언어의 전달 방식에 따른 갈래(1) 구비문학(口碑文學) : 구전문학이라고도 하며 문자를 거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온 방식으로 존재해 온 문학 갈래. 구전 과정 동안 여러 사람들에 의해 변..

시 -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시 -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1. 감정이입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 혹은 투영시켜 마치 대상이 그렇게 느끼고 생각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으로 주로 의인법을 통해 드러난다. 화자의 감정 상태가 직접 드러나지 않고 대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날 경우 감정이입이라고 한다.예) 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 /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님아. 새가 운다고 표현했지만, 생물학적으로 새는 울지 않는다. 운다라는 표현을 통해 자기 자신의 슬픔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감정이입이라고 볼 수 있다.​ 2. 객관적 상관물직접적인 정서 노출을 대신 간접적인 정서 환기를 할 때 대상이 되는 사물을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한다. 앞서 감정이입의 경우, 화자의 감정 상태를 드러낼 수 있는 대상은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볼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