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압존법(壓尊法), 존대 여부를 화자 아닌 청자 기준

압존법(壓尊法) 壓 누를 압 대화의 대상이 되는 사람에 대한 존대 여부를 말하는 사람(화자)이 아닌 듣는 사람(청자)을 기준으로 하는 어법흔히 직장 등 공식적인 관계에서 쓴다고 알려져 있지만 상호 존대가 원칙이며, 한국어에서 압존법은 사적인 관계에서 사용하는 존대법  할아버지: 아범은 어디 갔느냐? 손자: 아버지는 살 게 있다고 집 앞 구멍가게에 갔습니다.  선생님: XX는 어디 갔니? 학생: XX 선배는 화장실 갔어요.    Q  다음 중 우리말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① (길에서 친구에게) 오랜만이야. 선고(先考)께서는 잘 계시지? ② (카페에서 손님에게) 주문하신 커피 나오셨습니다. ③ (평사원이 전무에게) 전무님, 과장님은 오전에 외근 나가셨습니다. ④ (병원에서 손님에게) 잠시 기다리세요. ..

띄어쓰기, 합성어, 파생어

【3절】 띄어쓰기 [3] 합성어와 파생어 3. 파생어 (2)접미사가 붙은 말 접미사(接尾辭, suffix)는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항상 다른 단어의 어근 뒤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의미를 첨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접미사가 결합된 어형을 파생어라고 하며 품사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①순 우리말 접미사가 붙은 말▷-거리: 떼거리, 패거리, 짓거리('비하'의 뜻을 더함). 이틀거리, 하루거리, 달거리, 해거리(하루 이상의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주기'의 뜻을 더함).▷-거리다: 까불거리다, 반짝거리다, 방실거리다, 비실거리다, 비죽거리다, 출렁거리다(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어근 뒤에 붙어, '그런 상태가 잇따라 계속됨'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 -대다.▷-깔: 맛깔,..

결제(決濟), 결재(決裁), 개발(開發), 계발(啓發)

‘결제’와 ‘결재’, ‘개발’과 ‘계발’  (가) 결제(決濟): 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간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것.  어음으로 결제하다. (암기-경제는 결제) (가)′ 결재(決裁): 부하 직원이 제출한 안건을 허가하거나 승인하는 것.   결재를 {받다, 맡다} / 결재가 나다 / 결재 서류를 올리다.  (나) 개발(開發): ① 개척하여 발전시킴. ∥경제 개발 / 광산을 개발하다 / 신제품을 개발하다 ② 지능이나 정신 따위를 깨우쳐 열어 줌. (나)′ 계발(啓發): 지능이나 정신 따위를 깨우쳐 열어 줌. ∥지능 계발 / 소질을 계발하다.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

덮혀, 덮여, 덮이다, 덮히다, 덥히다, 덮치다, 맞춤법

덮혀, 덮여, 덮이다, 덮히다, 덥히다, 덮치다, 맞춤법 덮혀 있다, 덮여 있다덮이다 → 덮이어→덮여'가 맞는 표기 ‘덮이다’는 ‘덮다’의 피동사 ‘덮히다’는 잘못된 표기 ‘덥히다’는 ‘덥다’의 사동사'덮치다’는 별개의 단어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방휼지쟁(蚌鷸之爭), 蚌 조개 방, 鷸 황새 휼, 어부지리(漁父之利), 견토지쟁(犬兎之爭), 전부지공(田父之功), 좌수어인지공(坐收漁人之功)

● 방휼지쟁(蚌鷸之爭) 蚌 조개 방鷸 황새 휼之 어조사 지爭 다툴 쟁  '조개와 도요새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전국책(戰國策)' 중의 '연책(燕策)'에 나오는 말이다. 대립하는 두 세력이 다투다가 구경하는 다른 사람에게 득을 주는 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전국시대 중엽, 제(齊)나라와 싸우고 있던 연(燕)나라에 흉년이 들었다. 호시탐탐 때를 노리던 이웃 조(趙)나라의 혜왕(惠王)은 연나라를 치기 위해 전쟁 준비를 서둘렀다. 위기를 느낀 연나라 소왕(昭王)은 변설가로 이름이 높은 소대(蘇代)를 보내 혜왕을 설득하려고 한다. 소대는 장의(張儀)와 더불어 중국 전국시대 최고의 유세가(遊說家)이자 진(秦)에 대항한 합종책을 완성하여 6국의 재상이 된 소진(蘇秦)의 동생이었다.조나라 혜왕을 만난 소대는 ..

자주 틀리는 기출 한자 #03 - 어원 연상 암기 [공무원 한자]

비슷해 헷갈리는 한자 態(모양 태)능동적으로(能) 마음(心)이 정하는 것은 몸의 모습 태(態)머리(厶)와 몸통(月)과 다리(匕)로 된 곰은 재주 능할 능(能):태도(態度*: 몸을 가누는 모습), 행태(行態), 姿態,  實態.   熊(곰 웅)능력(能)있고 성질 불(灬)같은 곰 웅(熊):熊膽.  扁(작을 편)지게(戶)에 담긴 책(冊)이 작을 편(扁):扁桃腺,  扁平.   偏(치우칠 편)사람(亻)이 한쪽에만 좁게(扁) 치우칠 편(偏):偏頗*, 偏見,  偏在.  가죽(皮)을 벗기면 얼굴(頁)을 찡그려 자못 파(頗)遍(두루 편)작은(扁) 죽간이 퍼져 가는(辶) 것은 두루 편(遍):普遍的*, 遍在,  遍讀,  遍歷   篇(책 편)대(竹)로 만든 작은(扁) 죽간은 책 편(篇):續篇, 短篇, 篇談,  篇法.   실(糸..

복수 표준어 - 자주 틀리는 국어 기출 맞춤법

완력성당/울력성당(협박)오뚝/우뚝단모음만  표준어 : 미루나무/으레/자질구레.케케묵다/괴팍하다옥수수와 강냉이는 복수표준어친구와 벗은 각각 뜻이있는 표준어터뜨리다/터트리다끼적이다/끄적이다윗덧줄/윗동아리/윗바람/윗세장(나무)웃국/웃기(모양내기)/웃비(내리다그친)머무르다/머물다서두르다/서둘다서투르다/서툴다서럽다/섧다가엾다/가엽다 (가엾은 아이 /가여운 아이)단 머물어 서툴어 서둘어 는 안됨CF 짓무르다/짓물다(X)다다르다/다닫다(X)외우다/외다이기죽거리다/이죽거리다옹차다/골차다/옹골차다괴다/괴이다꾀다/꼬이다쐬다/쏘이다죄다/조이다쬐다/쪼이다꺼름하다/께름칙하다매스껍다/메스껍다독장치다/독창치다/독판치다게을러빠지다/게을러터지다교정보다/준보다개밸새발/괴발개발 (쇠발개발:더러운발)재롱,극성,기승/ 떨다, 부리다다기/ 지..

잡스 국어 2025.01.24

자음-조음 위치, 조음 방법,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목청을 통과한 공기가 조음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당한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가 자음(子音)이다. 이때 장애가 일어나는 위치를 조음 위치(place of articulation)라 한다. 조음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음가가 달라진다.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할 때, 자음에는 두 입술에서 나는 입술소리[=양순음(兩脣音)],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나는 잇몸소리[치조음(齒槽音)],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硬口蓋音)],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軟口蓋音)], 목청 사이에서 나는 목청소리[후음(喉音)] 등이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① 입술소리[양순음] : ㅂ,ㅃ,ㅍ,ㅁ② 잇몸소리[치조음] : ㄷ,ㄸ,ㅌ,ㅅ,ㅆ,ㄴ,ㄹ③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

잡스 국어 2025.01.21

국어 문학 기출 작품 목록 02, 현대시, 고전시, 현대소설, 고전소설, 희곡수필

국어 문학 기출 작품 목록2016학년도 고3 수능 모의고사 기출 문학 작품 목록현대시고전시현대소설고전소설극수필머슴 대길이(고은)즐거운 나의 집(신경림)성산별곡(정철)소리의 빛(이청준)사씨남정기(김만중)봄날(이강백) 이별가(박목월)북어(최승호)만흥(윤선도)탄궁가(정훈)삼포 가는 길(황석영)왕경룡전살아 있는 이중생 각하(오영진)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파밭가에서(김수영)규원가(허난설헌)견회요(윤선도)삼대(염상섭)임진록아벨만의 재판(이근삼) 우리가 물이 되어(강은교)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개야미 불개야미(작자미상)속미인곡(정철)쥐잡기(김소진)전우치전봇물은 터졌어라우(천승세) 선한 나무(유치환)섬진강 1(김용택)몽천요(윤선도)명월음(최현)조그만 체험기(박완서)구운몽(김만중)역마(최금동 외) 산유화(김소월..

수사법 총 정리-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 직유법, 은유법, 의인법, 활유법, 의성법, 의태법, 풍유법, 대유법, 중의법

수사법 * 수사법 : 문장 표현의 기교, 언어와 문장을 꾸미는 여러 방법* 수사법 효과 : 글의 뜻을 효과적으로 전달함. 글의 흐름을 지루하지 않게 함. 말하고자 하는 바를 강조함.* 수사법 종류 :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  ● 비유법 ① 비유란 말하고자 하는 사물이나 의미를 다른 사물에 빗대어서 표현하는 방법이다.② 비유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것(원관념)과 비유하는 사물(보조 관념)의 상관관계가 성립된다. 즉,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에 유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1. 직유법 원관념을 보조 관념에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수사법이다. 이를 '명유(明喩)'라고도 하는데 '찢긴 깃발처럼 허공을 향한 도시의 하늘'과 같이 '마치', '흡사', '~같이', '~처럼', '~양', '~듯..

동녘, 들녘, 새벽녘, 아침녘, 해뜰 녘, 동틀 녘, 녘, 띄어쓰기

‘녘’의 띄어쓰기 (가) 동녘, 서녘, 남녘, 북녘, 들녘, 새벽녘, 아침녘, 황혼녘 (나) 해뜰 녘, 동틀 녘  ☞ 관형사형어미 뒤에서만 띄어 씀 무렵을 뜻하는 ‘녘’은 의존 명사. 따라서 띄어쓰기 ​아침 녘 황혼 녘 해 질 녘 해거름 녘 동틀 녘 동이 틀 녘 날이 샐 녘 해 저물 녘 해가 기울 녘 새벽 어스름 녘​ 한편, 널리 쓰인다고 보아 한 단어가 된 예는 붙여쓰기​샐녘 어슬녘 저녁녘 저물녘 새벽녘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

국어 음운 규칙 정리,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 동화, 구개음화, 사잇소리 현상

1. 음운의 변동한 형태소가 단독 또는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에 형태소의 음운의 일부가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발음하기에 불편하거나 거친 소리를 발음하기 쉽고 경제적으로 하려는 현상이다. 2. 음운 변동의 갈래1) 음절의 끝소리 규칙우리말에서 받침소리(끝소리)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뿐이다. 나머지 자음들은 이 중의 어느 하나로 발음된다.① 대표음* ㄲ, ㅋ → [ㄱ] 예) 밖[박], 부엌[부억]* ㅅ, ㅆ, ㅈ, ㅊ, ㅌ, → [ㄷ] 예) 낫[낟], 낮[낟]* ㅍ → [ㅂ] 예) 잎[입]② 단어의 끝자음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가 올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뀌지 않고 그대로 이어져 발음된다.예)옷에서[오세서], 젖을[저즐], 옷안[오단]..

부화수행(附和隨行), 내란죄, 附(붙을 부), 和(고를 화), 隨(따를 수), 行(갈 행), 부화뇌동(附和雷同)

부화수행(附和隨行)하거나 단순히 폭동에만 관여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에 처한다   제1장 내란의 죄제87조(내란) 대한민국 영토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국가권력을 배제하거나 국헌을 문란하게 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처벌한다.1. 우두머리는 사형, 무기징역 또는 무기금고에 처한다.2. 모의에 참여하거나 지휘하거나 그 밖의 중요한 임무에 종사한 자는 사형,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에 처한다. 살상, 파괴 또는 약탈 행위를 실행한 자도 같다.3. 부화수행(附和隨行)하거나 단순히 폭동에만 관여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에 처한다. 부화수행(附和隨行) 줏대 없이 다른 사람의 주장에만 따라서 그가 하는 짓을 따라 행동함. 附 (붙을 부): 붙다, 알을..

만듦, 이끎, 만듬, 이끔, 얾에, 맞춤법

‘만듦, 이끎’인지 ‘만듬, 이끔’  (가) 만들다/만듦, 이끌다/이끎  ※ ‘ㄹ’로 끝나는 말의 명사형은 ‘-ㄻ’ 꼴임. 다만 ‘삶, 앎’은 파생명사 용법도 지님. (나) 울음, 얼음  ※ ‘ㄹ’로 끝나는 말의 파생명사는 대체로 ‘-ㄹ음’ 꼴임. (나)′ 욺, 얾  ※ “강이 꽁꽁 얾에 따라 …”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도긴개긴, 도찐개찐, 도진개진, 도토리 키 재기

대상들 간에 별 차이가 없음을 이르는 말. 비슷한 말로 도토리 키 재기, 그 나물에 그 밥, 오십보백보, 피차일반, 대동소이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내는 낱말로 명사 ‘긴’을 등재 '도긴개긴', '도찐개찐'('도긴개긴'의 비표준어, 사투리)이 2015년 6월 15일 자로 표준국어대사전 등재긴 품사: 명사 의미: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 예문 긴이 닿다. 모와 윷을 놓으니 걸 긴이 되었다. 동일하거나 비슷한 표현거기서 거기 대동소이(大同小異) 도토리 키 재기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유유상종(類類相從) 그놈이 그놈 엎어치나 메치나 극과 극은 통한다 이거나 저거나 난형난제   PDF 교재 ✽ 책 구..

소설의 구성, 복선(under plot), 소설의 어조

● 소설의 구성1. 개념소설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건과 사건을 일관성 있고 놀라움과 긴장을 동반하며, 통일성 있게 계획적으로 배열해 놓은 틀을 구성이라고 한다.* 이야기(story)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나열* 구   성(plot) :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재구성한 사건의 인과적, 미적 질서2. 역할① 인과 관계에 의한 사건의 전개② 소설의 예술미 형성③ 주제를 표현하는 기법④ 논리적 · 지적인 활동3. 구성의 3요소① 인물 : 특정한 성격(도덕성, 개성)을 부여받고 행동하는 자② 사건 : 인물의 행위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상황③ 배경 : 인물이 행동하는 시간적, 공간적 세계4. 구성의 단계소설의 구성은 작가의 의도에 의한 사건의 배열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의도적이고 필연적인 전개 방..

심상, 심상 표현 방법, 묘사적 심상, 비유적 심상, 원형적 심상, 상징적 심상, 공감각적 심상, 지배적 심상

심상(心象, imagery) 1. 개념 → 감각기관에 의해 떠오르는 대상에 대한 영상이나 대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도록 자극하는 말이다. 즉, 시를 읽을 때 떠오르는 대상의 구체적인 모습과 움직임, 상태 등을 말한다. 감각을 재현하는 감각적인 표현을 일컫는다. 이미지(imagery) · 형상(形象)이라고도 한다. 이미지는 추상적인 관념을 형상화하여 대상을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제시하며, 특정한 정서를 환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미지는 시어나 시구의 함축적 의미까지 포함한다.예> 그는 용감하게 싸웠다.(추상적 의미) → 그는 성난 사자처럼 싸웠다.(이미지) 2. 기능⑴ 함축적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⑵ 대상을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표현한다.⑶ 보통의 언어로써 풀이하기 어려운 마음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

현대 소설 작가와 작품 해설 #12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최일남(1932~)  소설가. 언론인. 전북 전주 출생. 1953년 에 “쑥 이야기”가 추천 발표되고, 1956년 에 소설 “파양”이 추천 완료되어 등단하였다. 논설위원, 논설 고문 등 언론 생활을 하였다. “흐르는 북”으로 이상문학상(1986)을 수상하였다. 가난한 농촌 현실과 그들의 생활상, 도시 서민의 생활고로부터 오는 갈등 문제를 인도주의적인 입장에서 그려내고 있다. 작품으로 “서울 사람들”, “어디로 가시나요”, “살아남은 자”, “우화”, “노래”, “누님의 거울” 등이 있다. ▶ 서울 사람들  1. 줄거리 주인공인 ‘나’는 국영기업체 비서실장인 김성달과 고교 교사인 윤경수, TV가게를 하는 최진철 등과 함께 답답하고 현기증 나는 서울을 빠져나가 여행을 하고자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만나기로 ..

소설의 구성 요소, 소설의 3요소, 소설 구성의 3요소, 주제 구성 문체, 인물 사건 배경

소설의 구성 요소 1. 소설의 3요소① 주제(theme): 작자의 인생관이 용해된 작품의 중심 사상. 직접적으로 명시되기보다는 인물의 성격과 사건의 전말을 통해 제시되는 것이 보통.② 구성(plot): 필연적인 인과 관계에 따라 사건을 유기적으로 배열하는 것.③ 문체(style): 언어를 부려 쓰는 작가의 태도로서 문장으로 구현된 작가의 개성.  2. 소설 구성의 3요소① 인물(character): 작중 행동의 주체로 개성, 전형성, 보편성 등을 지녀야 함.② 사건(story): 작중에 전개되는 이야기로 복선(伏線)이나 암시(暗示)에 의해 인과성, 필연성을 지녀야 함.③ 배경(setting): 인물 간의 갈등이 펼쳐지는 시간적∙공간적 환경으로, 인물의 심리와 사건 전개에 대한 암시적 역할을 담당함. PD..

추론, 연역, 귀납, 유비추론, 변증법적 추론

추론 추론이란 특정한 전제로부터 어떤 결과를 이끌어 내는 논증의 형식을 말한다. 추론에는 크게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이 있다. 전자는 일반적 지식 또는 보편적 원리를 전제로 하여, 그것으로부터 특수한 지식, 원리, 사실을 논증하는 방법인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단 논법을 들 수 있다. 반면, 후자는 특수한 사실을 토대로 해서 일반적 원리를 이끌어 내는 방법으로 일반화와 유추(유비추론)의 두 가지가 있다. 일반화는 충분한 수효의 개별적인 사례에 비추어 같은 종류의 나머지 모든 사례도 같으리라는 결론에 이르는 방법이고, 유비추론은 두 대상의 일련의 속성이 동일하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그것들의 기타 속성도 동일하리라는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식이다. 또한 변증법적 추론은 어떤 주장에 반론을 소개하고 그 주..

대화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협력의 원리, 순서 교대의 원리

● 대화 1. 대화의 개념•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벌어지는 가장 일상적인 의사소통 행위•두 사람 이상이 모여 말로써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상호 교섭적 활동*임.• ‘언제, 어디서, 누가, 누구에게’ 말하느냐 하는 대화 상황과, ‘무엇 혹은 누구에 대하여’ 말하느냐 하는 대화의 대상, ‘왜’ 말하느냐 하는 대화의 목적에 맞게 말을 할 때 원활한 대화가 이루어짐. * 상호 교섭적 활동어떤 정보나 정서를 단지 서로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대화를 진행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함께 형성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2. 대화의 유형- 사적인 대화: 가족, 친구 등 주변 사람과의 대화- 공적인 대화: 방송 대담, 회견, 정상 회담 등   ● 대화의 원리 대화 상황 : 언제, 어디서, 누가, 누구에게 말하는가..

어조(語調. tone), 정서적 거리

어조(語調. tone) 1. 개념 → 어조(語調. tone)란 시적 대상에 대한 시적 화자 특유의 말투 혹은 가락을 말한다. 사람마다 음성 · 억양 · 강세 · 음색 등에 의한 어조가 다른 것처럼, 시에 나타나는 화자의 어조(개성적 목소리) 역시 다르다. 2. 어조의 양상㉠ 화자가 자기 자신을 향한 목소리→ 화자가 혼자 독백하듯이 말하며, 영탄과 감탄의 어조를 띠며, 서정성을 주조로 한 서정시에 알맞다. 시인의 내면세계와 직접 관련되어, 사색적이고 명상적인 성격을 지니게 된다.예>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김소월의 )㉡ 화자가 청자인 '너'를 향한 목소리→ 화자는 숨고 청자인 '너(독자)'에게 제..

현대시 모음 #10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서시- 윤동주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잎새에 이는 바람에도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걸어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1941년 11월 20일 지음,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이 시는 윤동주가 연희 전문학교 졸업을 1개월 앞둔 1941년에 시집의 서문으로 쓴 작품이다. 시집의 서시(序詩)인 만큼 윤동주의 시 세계를 단적으로 알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시에는 윤동주 문학이 지니는 대표적 주제들인 순결성(1-4행), 인간애(5-6행), 운명애(7-8행)가 나타나 있다.윤동주는 자신이 ‘어둠’(일제치하)의 중심에 있다고 생각하고, 그 어둠 속에서의 삶..

정언(定言) 삼단 논법, 가언(假言) 삼단 논법, 선언(選言) 삼단 논법, 양도 논법(디렘마) , 연역법

정언(定言) 삼단 논법, 가언(假言) 삼단 논법, 선언(選言) 삼단 논법, 양도 논법(디렘마) 1. 연역법의 갈래 연역법은 전통적으로 삼단 논법이라 부른다. 그것은 대전제, 소전제 및 결론의 3 단계로 나뉘어 추론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삼단 논법은 명제의 종류에 따라 정언(定言) 삼단 논법, 가언(假言) 삼단 논법, 선언(選言) 삼단 논법, 양도 논법(디렘마) 등으로 나뉜다. 우선 그 보기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정언 삼단 논법 (가) 모든 포유동물은 척추동물이다. [대전제] (나) 모든 소는 포유 동물이다. [소전제] (다) 그러므로 모든 소는 척추 동물이다. [결론] (2) 가언 삼단 논법 (가) 봄이 오면 뒷 산에 진달래가 핀다. [대전제] (나) 봄이 왔다. [소전제] (다) 그러므로 뒷 ..

국어 문학, 비문학 공부법

공무원 문학의 장르에는 시, 소설, 수필, 희곡 등이 있습니다.고전 운문, 산문, 현대 운문, 문학이론, 문학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특히 현재 공무원 문학에서는 고전 운문과 현대 운문이 중요합니다.​현대문학, 고전문학을 이론(기본서) 강의를 듣되기본서에 있는 문학작품은 기출에서 중요한 작품 위주로선별된 작품들입니다 따라서 강의를 듣고 정리를 해보셔도 좋습니다.​만일 수험생분들 중에서 공무원 시작을 늦게 하거나 시간이 없다면 기본서에 있는 작품들은 참고만 하고단원별 기출 문학 지문으로 연습하셔도 좋습니다.이런 부분은 수험생분들 개개인마다 다르므로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신 수험생분들은 기본서 작품부터차근차근 연습해 보고 시간이 많이 없는 수험생분들은 기출 문학 지문에서 연습해 보시기 바랍니다.​요즘 공무원 기..

현대 소설 정리 #02-현대 소설의 흐름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 현대 문학의 태동기 (1908년~1919년)1. 시대 개관(1) 기간 : 1910년 (1908~1919년 (3․1운동)) 의 문학으로, 이 시기를 『2인 문단 시대』라고도 한다. (2) 배경 : 한일 합방(1910년)을 계기로 민족 의식의 제고가 요청되던 시기였고, 문학적 측면에서는 신문학의 흐름이 계속되면서도 서구 문학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기법과 의식을 담은 현대 문학이 출현한 때였다. (3) 특성 ① 최남선과 이광수의 문학활동이 두드러진 2인 문단 시대였다. ② 서구의 근대 의식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보수와 진보의 대립과 갈등이 있었으며, 전근대적 사회를 극복하고 우리 민족의 새 역량을 길러야 한다는 민족주의적 계몽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③ 최남선의『신체시』와 이광수의 최초의 ..

동음이의어 및 다의어 정리 #02

동음이의어, 다의어 '쓰다'① 돈을 쓰다 ② 모자를 쓰다 ③ 맛이 쓰다 ④ 글을 쓰다  ⇒  동음이의어  의미 연관성 X       └→① 사용하다             : 세제를 쓰다, 인부를 쓰다, 돈을 쓰다, 힘을 쓰다 ⇒  다의어  의미 연관성 O  다의-어 (多義語)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진 단어. ‘다리’는 원래 ‘사람이나 짐승의 몸통 아래에 붙어서 몸을 받치며 서거나 걷거나 뛰게 하는 부분’을 가리키지만, ‘책상 다리’, ‘지겟다리’처럼 ‘물건의 하체 부분’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이러한 단어를 이른다. 동음이의-어 (同音異義語)소리만 같을 뿐 그 의미에 서로 연관성이 없다. ≒동음어.  발1 (명사)① (사람이나 짐승의 다리에서) 발목뼈 아래의 부분 (예)발에 꼭 맞는 신② 가구 따위의 밑을..

잡스 국어 2024.12.14

辡. 辯, 辨, 변, 기출 한자 연상 암기

辡죄인(辛) 둘이 서로 다투는 따질 변(辡)  辯*말(言)로 따지는(辡) 말씀 변(辯) 辯論* 논할 론 達辯 땅(土)에서 양(羊)을 몰아가는(辶) 것은 통달할 달(達) 辯護* 말(言)로 붙잡는(蒦) 사람을 보호할 호(護) 雄辯 굳센(厷클 굉) 새(隹)는 수컷 웅(雄) 조리(條理) 있고, 힘차고 거침없는 변설 答辯 죽간(竹)으로 합하게(合) 편지에 대답 답(答) 代辯 사람(亻)이 화살이 아닌 주살(弋)로 대신할 대(代) 熱辯* 熱 더울 열 烈X 심어진(埶심을 예) 불(灬)인 마그마는 더울 열(熱) 언덕(坴)에 알(丸)을 묻는 것은 씨를 심을 예(埶) 심어진(埶) 씨앗이 힘(力)써 갖추는 것은 형세 세(勢) 抗辯 손(扌)으로 목(亢)을 잡고 겨룰 항(抗) 訥辯 말(言)이 안(內)에서 더듬거릴 눌(訥)  辨 ..

도떼기시장, 도깨비시장, 도때기시장(X), 돗대기시장(X), 돗떼기시장(X)

도떼기시장, 도깨비시장, 도때기시장(X), 돗대기시장(X), 돗떼기시장(X)사람들이 북적거리는 곳을 “돗떼기시장 같다.”라고 한다. 일본어로 “시장에서 우수리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을 ‘도따(どた)’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유래한 말이라는 설이 있다. 그래서 우리말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일본어를 대신해 ‘도깨비시장’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돗떼기시장’은 ‘도떼기시장’의 잘못된 말로 ‘도’는 “물건을 낱개로 팔지 않고 모두 모아서 판다.”라는 뜻이고, ‘떼기’는 “장사를 하려고 한꺼번에 많은 물건을 사다.”를 뜻하는 ‘떼다’의 명사형이다. 따라서 ‘도떼기’는 오늘날의 ‘도매’와 같은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돗떼기시장’이라고 하지 말고 ‘도떼기시장’‘도때기시장’(X) ‘돗대기시장’(X) ..

피력, 披瀝, 들출 피(披), 스밀 력(瀝)

피력(披瀝)생각하는 것을 숨김없이 말하는 것동사로 사용할 때는 '피력하다' 들출 피(披) 스밀 력(瀝) 들출 피(披) 손( 扌=手=又:又의 원래 모양은 손을 본뜬 형태이다)으로 동물의 가죽을 벗기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 동물의 가죽을 나타내는 글자 중에는 ‘가죽 피(皮)’와 ‘가죽 혁(革)’이 있는데 皮는 막 벗겨낸 생가죽을 의미하고 革은 이미 가공을 마친 가죽을 뜻한다 스밀 력(瀝) ‘물(水=氵)’과 ‘력(歷)’이 합쳐진 글자인데 ‘歷’은 ‘지낼 력’이라고 훈독하며 ‘지나온 길’이라는 의미를 가진 글자. 물이 땅 위를 지나다 보면 땅속으로 스미기 마련인데 ‘瀝’은 바로 그렇게 스민 물을 이르는 글자 따라서 披瀝은 동물의 생가죽을 벗겨내듯이 “평소에 가슴에 스며 있던 숨겨 둔 생각을 모조리 털어내어 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