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시의 특성, 시어(詩語), 행(行), 연(聯), 운율(韻律)

시의 특성, 시어(詩語) 1. 시의 개념⇒ 인간의 사상과 정서를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형상화한 운문 문학의 한 갈래- 시는 율어에 의한 모방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시는 모방의 기술이다.   (필립 시드니)- 시는 강력한 감정의 자발적 발로이다. (워즈워드)- 시는 정에 감응하여 말소리로 나타낸 것이다.  (이규보의 )- 시는 감흥을 주고, 볼 수 있게 하고, 사귀게 하고, 원망하게 하며,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기고 멀리는 임금을 섬기며, 새와 짐승과 풀과 나무의 이름을 많이 알게 한다.(공자)- 시는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이다.(맥리쉬) 2. 시의 특성- 절제된 언어와 압축된 형태로 표현한다.- 내면화된 세계의 주관적이고 은밀한 토로(吐露)이다.- 언어가 지니는 '소리(운율)'를 많이 ..

소설의 서술자, 소설의 시점, 소설의 거리, 시점과 거리의 관계

● 소설의 서술자1. 서술자 ㉠ 작가가 아니라 작가가 만들어 낸 허구적 대리인 ㉡ 서사 내용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화자 ㉢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의 서술 방식과 효과가 달라짐. 2. 서술자의 개입 : 서술자가 자신의 입장이나 생각을 드러내는 것 ㉠ 인물의 내면 심리 분석 →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이나 심리를 모두 알고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독자는 인물의 심리와 행동을 직접 알 수 있어 작중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 ㉡ 서술자의 논평 → 서술자가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는 것이다. 주로 "~하지 않으랴. ~이구나" 등의 의문형이나 감탄형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고전소설에서 보이는 서술 방법이다. 3. 서술 방식 ㉠ 묘사 → 서술자가 장..

화행(話行, Speech act), 화행 이론, 언표적 행위, 언향적 행위, 언표내적 행위 유형, 화행 유형, 직접 화행, 간접 화행

화행 1. 화행 정의- 화행(話行, Speech act) ​: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행위​- 발화 행위라고도 한다.- 일상생활에서 어떤 문장을 발화하여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고, 전달되는 의미에 따라 그 발화가 특정한 행위로 인식되는데, 이처럼 문장을 발화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언어 행위를 화행이라고 한다.​​2. 화행 이론 ​- 오스틴(1962)은 의사소통에 주안점을 두고 화행을 언표적 행위, 언표내적 행위, 언향적 행위로 구분했다.​1) 언표적 행위 (言表的 行爲, Locutionary act)- 발화 행위라고도 하며, 일정한 의미와 지시를 가진 문장을 발화하는 것을 말한다.​- 그냥 발화(말하는 것)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즉, 낱말을 문법에 맞게 배열한 문장을 제대로 소리 내거나 낱말이 지닌 의..

잡스 국어 2024.11.27

시의 운율과 음악성, 운(韻)의 유형, 운율의 구성 요소

● 운율과 음악성시가 일반적인 산문과 다른 점은 운율이 있는 언어로 표현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시의 생명력은 운율에 있다고 할 수 있다.현대 시에 와서는 주로 이미지를 중시하기 때문에 운율은 내재화되어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으나, 현대 시도 낭독을 할 경우에는 리듬감이 느껴지게 마련이다. 시를 시답게 만드는 일차적인 요소는 운율에 있기 때문이다. ● 운율의 개념1. 운(韻)유사한 소리가 일정한 위치에서 규칙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 두운, 요운, 각운 등예) 들길에 들장미 열매 붉어.(신석정,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자음 'ㄹ'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운을 이루고 있다.2. 운(韻)의 유형▶ 두운(頭韻):음절의 첫소리를 반복하여 리듬감을 살리는 것.우리 현대 시는 부분적으로 두운이..

한숨아 셰한숨아~, 작자 미상, 사설시조

한숨아 셰한숨아~ 작자 미상, 사설시조 한숨아 셰 한숨아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고모장ᄌᆞ 셰살장ᄌᆞ 가로다지 여다지에 암돌져귀 수돌져귀 ᄇᆡ목걸새 ᄯᅮᆨ닥 박고 용(龍) 거북 ᄌᆞ물쇠로 수기수기 ᄎᆞ엿ᄂᆞᆫ듸 병풍(屛風)이라 덜걱 져븐 족자(簇子)ㅣ라 ᄃᆡᄃᆡ글 ᄆᆞᆫ다 네 어ᄂᆡ 틈으로 드러온다어인지 너 온 날 밤이면 ᄌᆞᆷ 못 드러 ᄒᆞ노라● 현대어역한숨아 세(가느다란) 한숨아,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온다고모장지, 세살장지, 들장지, 열장지,(이상 문의 종류) 암돌쩌귀, 숫돌쩌귀,(문 다는데 필요한 도구들) 배목걸새(문고리 거는 쇠) 뚝딱 박고, 크나큰 자물쇠로 깊이깊이 채웠는데, 병풍이라 덜컥 접은 족자라 대대굴 마느냐?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어찌된 일인지 네가 오는 날이면 잠 못 들어 하는..

현대소설, 현대수필, 현대시, 고전소설, 문학작품 주제별 핵심 정리 #01

● 현대소설 주제별 핵심 정리 ■ 일제 식민지 시대(1)​□ 가난(빈곤) - 일제 강점기 하층민의 비참한 삶 ▶ 김동인 전지적 작가 시점. ▷환경으로 인한 한 여인의 타락과 비극적 종말을 그린 자연주의 소설. 한 여성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운명이 변하는가를 '환경 결정론'의 입장에서 보여 줌. 현실의 추악한 면(물적 욕구 추구), 인간의 존엄성 상실이 그려져 있음 ▶ 나도향 전지적 작가 시점. ▷본능적 육욕(신치규) + 물질에 대한 탐욕(방원 아내) → 인간의 도덕성 타락. ▷이면 주제 : 일제의 상업 자본에 의한 한민족의 정신적 순결성 훼손 비판. ▷소재 '물레방아' → 인생의 덧없음(운명의 수레), 에로티시즘(성적 충동), 서정성(농촌의 향토적 배경) ▶ 현진건 1인칭 주인공 시점. ▷경제적으로 무능..

잡스 국어 2024.11.25

흰 광목 빛, 나희덕 [현대시]

흰 광목 빛나희덕먼 길 가는 모양이다동네 어귀 느티나무 그늘 아래어떤 부부가 버스를 기다리며 서 있다조금은 떨어져 선 두 사람은목도리가 같아서인지 한눈에 부부 같다지아비가 한 손을 올린 채 앞으로 나와 있고지어미는 조금 뒤에서 웃고 있다시골버스의 유일한 승객인 나는그 부부를 발견하고 내심 반가웠지만운전기사는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지나치는 게 아닌가두 사람이 늘 거기 서 있으면서도한번도 버스를 탄 적이 없다는 듯이아아, 버스로는 이를 수 없는 먼 길을 가는모양이다그 부부는 이미 오랜 길을 걸어 저기 당도했을 것이고잠시 나무 그늘에서 쉬고 있는지 모르겠다그런데 정갈하게 풀을 먹인 광목 목도리는누가 둘러주고 간 것일까목도리에 땀을 닦고 있을 그들을 뒤돌아보니미륵 한쌍이 석양 속으로 사라진다 두 개의 점, 흰 ..

귀촉도(歸蜀途), 서정주 [현대시]

귀촉도(歸蜀途)서정주눈물 아롱아롱 피리 불고 가신 임의 밟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서역(西域) 삼만리 흰 옷깃 여며여며 가옵신 임의 다시 오진 못하는 파촉(巴蜀) 삼만리   신이나 삼아줄 걸, 슬픈 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육날 메투리. 은장도 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없는 이 머리털 엮어 드릴 걸.   초롱에 불빛 지친 밤하늘 구비구비 은핫물 목이 젖은 새. 차마 아니 솟는 가락 눈이 감겨서  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임아.    개관- 성격 : 전통적, 상징적, 애상적 - 표현 * 전통적 정서와 상징적 시어 * 반복과 음성 상징어의 적절한 활용 * 도치법과 행간걸림(2연) - 소재 및 제목과 관련하여  → 귀촉도는 불여귀, 자규, 두견, 소쩍새, 접동새 등으로 ..

본용언, 보조용언,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구분, 기출문제

‘잘생기다’ 등 형용사의 품사 변경에 대한 안내최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낡다’, ‘못나다’, ‘못생기다’, ‘잘나다’, ‘잘생기다’ 등 5개 어휘의 품사가 형용사에서 동사로, ‘빠지다’, ‘생기다’, ‘터지다’ 등 3개 어휘의 품사가 보조 형용사에서 보조 동사로 변경하였다.● 용언 - 동사 : 명령형, 청유형, 현재시제, 의도나 목적(려, 러) 등에 사용 가능 - 형용사 : 명령형, 청유형, 현재시제, 의도나 목적(려, 러) 등에 사용 X ● 본용언, 보조용언 나는 밥을 (먹어) 버렸다. 보조용언 나는 밥을 (먹고) 싶다. 보조용언 나는 밥을 (먹고) 갔다. 본용언 - 생략후 주어 동사 말되면 본용언 그가 책을 (들고) 가셨다. 본용언 그가 밖으로 나가 버렸다. 보조용언 자고 나서 어디 갈 거야? - 보..

잡스 국어 2024.11.22

문장의 구조, 안긴문장, 안은문장, 안긴문장을 안은문장

【제1절】 문장의 구조 [3] 문장의 짜임 3. 안긴문장을 안은문장안긴문장은 한 문장이 성분절의 형태로 바뀌어 더 큰 문장 속에 문장성분으로 포함돼 있는 문장이고 안은문장은 그 절을 안고 있는 전체 문장을 말한다. 즉, 안긴문장은 원래 하나의 문장이 다른 큰 문장에 하나의 문장성분으로서 안겨 있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문장성분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안긴문장은 '절'이라고 하는데, 절은 그 기능에 따라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나뉜다. 이런 안긴문장을 안고 있는 큰 문장을 '안은문장'이라고 한다.  (1)명사절(名詞節, a noun clause)명사 구실을 하는 절. 한 문장이 명사화하여 전체 문장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안긴문장이다. 이를 '명사화 구성'이라고도 하는데, 문..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중세 국어 특징

중세 국어 특징 1. 국어사의 시대 구분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①고려 건국 ②임진왜란 ③갑오개혁(1894) ①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 지방의 말을 중심으로 통일됨-현대 국어의 근간이 됨. 그러나 고려의 건국으로 중앙어가 이동(경주 중심어->개성 중심어)②고려 건국과 함께 중세국어 시작됨.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눔. 조선 개국은 중앙어의 변동을 가져오지 않음.  2. 표기상의 특징 (1) ‘ㆆ, ㅸ, ㅿ, ㆁ, ㆍ’ 사용음운소멸시기변천과정ㆆ(여린 히읗)세조 이후(15세기 중엽)소멸ㅸ(순경음 비읍)세조 이후(15세기 중엽)ㅂ>ㅸ>오/우/φ예) 돕아->도..

잡스 국어 2024.11.21

짜집기, 짜깁기, 표준어, 짜깁기(짜고 깁기), 짜다, 깁다

기출 문제 Q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올바른 것은? ① 가슴을 옭죄는 아픔이 밀려왔다.② 나는 해마다 양력과 음력으로 설을 쇤다.③ 퇴근하는 길에 포장마차에 들렸다가 친구를 만났다.④ 바지의 해어진 부분에 짜집기를 했다.【해설】 정답 ②① 옭죄는(×) → 옥죄는(○): ‘옥죄다’가 바른 표기. ‘옥여 바싹 죄다’의 의미② 쇤다(○): ‘쇠다’는 ‘명절, 생일, 기념일 같은 날을 맞이하여 지내다’의 의미로 바르게 쓰였다. ‘쇠- + -ㄴ다 → 쇤다’이므로 ‘쇈다(×)’로 쓰지 않도록 주의③ 들렸다가(×) → 들렀다가(○):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를 뜻하는 말은 ‘들르다’④ 짜집기(×) → 짜깁기(○): ‘짜깁기’가 바른 표기. ‘직물의 찢어진 곳을 그 감의 올을 살려 본디대로 흠집 없이 짜..

황석영, 삼포 가는 길 [현대소설]

삼포 가는 길황석영 1. 핵심 정리갈래 : 단편 소설, 사실주의 소설, 여로형 소설성격 : 사실적, 현실 비판적배경 : ① 시간 - 1970년대의 겨울날② 공간 - 공사장에서 삼포로 가는 길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주제 :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애환과 연대 의식특징 : ① '정 씨'가 고향을 찾아가는 여로를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됨.② 여운을 남기는 방식으로 결말을 처리함.​​2. 전체 줄거리발단 : 영달은 공사가 중단되자 밀린 밥값을 떼어먹고 도망치다가, 고향인 삼포를 찾아가는 정 씨를 만나 동행하게 된다.전개 : 두 사람은 찬샘이라는 마을의 국밥집에서 술집 작부인 백화가 도망쳤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고, 그녀를 잡아 오면 만 원을 주겠다는 술집 주인의 제안을 받는다. 둘은 삼포로 가는 기차를 ..

받침의 발음법, 대표음화, 겹자음의 홑자음화, 절음법칙

【2절】국어의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1] 받침의 발음법 1. 대표음화음절의 종성에 오는 끝소리가 'ᄀ, ᄂ, ᄃ, ᄅ, ᄆ, ᄇ, ᄋ'의 7개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대표음화라고 한다. 평폐쇄음화와 겹자음의 홑자음화가 있다. (1) 평폐쇄음화파열음 중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파찰음이 평음인 폐쇄음 'ㅂ, ㄷ, ㄱ' 중의 하나로 바뀌는 것.①ㅍ→[ㅂ] : 잎→[입], 앞→[압], 덮고→[덥꼬]②ㅌ→[ㄷ] : 끝→[끋], 바깥→[바깓]③ㅅ→[ㄷ], ㅆ→[ㄷ], ㅎ→[ㄷ]: 옷[옫], 웃고→[욷꼬], 있고→[읻꼬], 잡았다→[자받따], 히읗→[히흗], 놓는→[녿는]→[논는]④ㅈ→[ㄷ], ㅊ→[ㄷ] : 낮→[낟], 늦고→[늗꼬], 꽃→[꼳]⑤ㄲ→[ㄱ], ㅋ→[ㄱ] : 밖→[박], 부엌→[부억], 동..

가사(歌辭), 4음보 연속체, 수필적 산문

가사(歌辭) 1. 개념 및 성격 - 개념 : 경기체가의 붕괴에서 발생한 교술장르로, 형식상 4음보(3 · 4조)의 연속체 운문이며, 내용상 수필적 산문이다.(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 성격 ① 시가와 문필의 중간적인 형태로,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적 장르.(조윤제) ② 가사는 율문으로 된 수필이다. ③ 율문으로 된 교술문학이다.  2. 형식 및 내용 - 형식상 특징 ① 3 · 4조 또는 4 · 4조를 기조로 한 4음보의 연속체로 이루어짐. ② 행수에는 제한이 없다. ③ 정격가사 : 낙구(작품 마지막 4음보)가 시조의 종장처럼 3.5.4.3의 음수율을 지닌 가사     변격가사 : 낙구가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는 가사  - 내용상 특징 ① 서정성이 강한 작품(상춘곡, 사미인곡 ..

비슷해 헷갈리는 기출 한자 #05, 편, 변, 便(편안할 편), 扁(작을 편), 偏(치우칠 편), 篇(책 편), 編(엮을 편)

Q  ㉠~㉣에 들어갈 한자 숙어나 고사 성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 ) 이라고,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을 보니 욕심이 생긴다.▪그 교수님의 강의 내용은 작년 것과 ( ㉡ ) 하다.▪부정부패를 ( ㉢ ) 하고서야 나라의 기강이 바로 서는 법이다.▪공무원은 ( ㉣ ) 의 자세로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 / ㉡ / ㉢ / ㉣ ① 見勿生心 / 大同少異 / 發本塞源 / 不偏不黨 ② 見勿生心 / 大同小異 / 拔本塞源 / 不便不黨 ③ 見物生心 / 大同小異 / 拔本塞源 / 不偏不黨 ④ 見物生心 / 大同少異 / 發本塞源 / 不便不黨 【해설】 정답 ③ ‘견물생심’의 ‘물’은 ‘사물, 물건’을 나타내는 ‘物(물)’이 맞다. ‘대동소이’의 ‘소’는 ‘크다’는 뜻을 나타내는 ‘大(대)’의 반대자로 ‘小(..

기출 한자, 혼란 독음 정리

體系 체계 (係 ×) 類型 유형 (形 ×) 朔 삭 (매월 1일) 念 념 (스물) 望 망 (보름) 已衰 이쇠(이미 쇠함/ 이쇄 ×) 深思 심사(探 ×) 鄙拙 비졸(더러울/옹졸할) 粗雜 조잡(거칠/섞일)(복잡함) 鹵莽 노망(소금/우거질)(서투름) 志操 지조(뜻/잡을)(條措가지/둘) 警醒 경성(깨우칠/깰) 喪明(失明) 상명(아들 죽음) 押釘 압정(누를/서명/관리) 壓迫壓勝壓縮 압박 압승 압축 貶毁 폄훼 障碍(결함) 장애(障害:장해:방해함) 稟議 품의(品位:품위) 履行(행함) 移行(옮아감) 相當(해당함) 上堂(강단에 올라섬) 餘裕 여유 櫛比 즐비(빗살처럼줄지어빽빽) 奧密稠密 오밀조밀(속깊을/빽빽할) 正鵠 核心 示唆 시사(간접적 표현) 暗示 암시(넌지시 알림) 詰責 힐책 造次 조차(급작스러운 때) 顚沛 전패(엎어..

검사(檢事), 판사(判事), 의사(醫師), 변호사(辯護士), 이사(理事), 감사(監事), 약사(醫師), 변리사(辨理士), 감정평가사(鑑定評價士), 회계사(會計士), 암행어사에, 暗行御史, 暗行御使, 직업-사 한자 표기

법정에서 재판을 할 때면 판사와 검사, 그리고 변호사가 있고, 속기사 한자 표기는 각각 判事, 檢事, 辯護士와 速記士 ‘사’의 한자가 서로 다른 ‘-事’와 ‘-士’또 흔히 ‘사’ 자 붙은 사람들이라 하여 권력이 있거나 돈벌이가 잘되는 사람들을 손가락질할 때 열거하는 직업의사, 약사, 변리사, 감정평가사, 회계사 등한자 표기는 각각 /藥師//鑑定評價士/會計士한자들이 다른 이유. 事그러한 일을 맡은 사람이라는 뜻공무원일 때는 나라에서 그 일을 맡기고, 일반 기관에서는 각 기관에서 일정한 직무를 맡길 때 그 일을 하는 사람 판사는 판결 업무를, 검사는 검찰 업무를 해내라고 맡긴 사람이기 때문에 각각 判事, 檢事법인의 이사나 감사를 理事/監事도지사(道知事) 한자 ‘事’는 일만 뜻하는 게 아니라, ‘시키다/부리다..

소리 길이 따른 의미 차이 암기, 발음의 길이

소리 길이 따른 의미 차이 말을 타고 말:을 한다.눈에 눈:이 들어갔다.밤에 밤:을 먹었다.발에 발:이 걸렸다.벌을 받다 벌:에 쏘였다.배(船 梨)가 배:나 많다.가정에서 휴가일을 가:정한 후 잡아라작품을 감상한 후 감:상에 사로잡혔다.방화를 철저히 해야 방:화를 막는다사과를 주며 사:과를 했다.성인은 많지만 성:인은 없다.굴을 먹은 힘으로 험한 굴:을 통과했다. 오랜 시간 길게 내린 눈:눈 깜짝할 짧은 시간땅 속 깊이 길게 파낸 굴:유통기한이 짧은 굴쉬지 않고 길게 하는 말: 수다짧은 시간에 멀리 갈 수 있는 말오랜 시간 길게 아픈 병:주둥이가 짧은 주스 병길게 늘어뜨려 가리는 발:발가락이 짧은 아기 발뾰족뾰족 가시가 긴 밤:송이일 년 중 가장 짧은 밤, 하지한번 쏘이면 고통이 긴 벌:침최대한 짧게 받..

기각(棄却), 각하(却下). 물리칠 각(却), 기각판결(棄却判決)

물리칠 각(却) 去: 갈 거  卩: 병부(무릎 굽힐) 절 무릎 굽힌(卩) 이를 가게(去)하는 ‘물리침’기각(棄却), 각하(却下), 퇴각(退却) 버릴 기(棄) 죽은 태아를 키에 담아 양손으로 던지는 것은 ‘버림’폐기(廢棄), 유기(遺棄), 투기(投棄)  ■ 기각재결기각재결이란 행정심판의 본안심리 결과 청구인의 주장이 이유 없다고 판단하여, 심판의 청구를 배척하는 본안재결을 말한다(행정심판법43조②). 즉, 이것은 원처분을 지지하는 재결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각재결의 종류에는 청구가 이유 있다고 인정됨에도 불구하고 당해 청구를 배척하는 예외적 기각재결로서 사정재결이 포함된다.■ 기각판결(棄却判決)기각판결이란 행정소송의 본안심리 결과 원고의 주장이 이유 없다고 판단하여 청구를 배척하는 본안판결을 말한다. PD..

사면, 辭免, 赦免, 용서할 사(赦), 말씀 사(辭), 기출한자 연상암기

辭免辭 말씀 사 免 면할 면 죄인(辛)간 복잡(𤔔)한 문제를 풀 말씀 사(辭) 토끼(兔)가 꽁지(丶) 빠지게 뛰어 위험을 면할 면(免) 맡아 보던 직임(職任)을 내어 놓고 물러남 辭織 사직. 직책(職責)을 내놓음辭任 맡아보던 일자리를 그만 두고 물러남 赦免 피(赤붉을적)나도록 패고(攵)나서 용서할 사(赦) 토끼(兔)가 꽁지(丶) 빠지게 뛰어 위험을 면할 면(免) 죄나 허물을 용서(容恕)하여 놓아 줌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

쉽상이다, 십상이다, 맞춤법, 십상팔구(十常八九), 십중팔구(十中八九)

쉽상이다, 십상이다"너 그렇게 뛰다간 넘어지기 쉽상이다, 십상이다." '쉽다' 라는 어휘와 연관해서 '쉽상'이다 라고 오해'십상'이 맞다.  십상은 원래 십상팔구(十常八九)라는 사자성어에서 유래, '쉽다'는 뜻과는 무관십중팔구(十中八九), 십상팔구 비슷한 뜻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가는 길, 김광섭 [현대시]

가는 길김광섭내 홀로 지킨 딴 하늘에서 받아들인 슬픔이라 새길까 하여 지나가는 불꽃을 잡건만 어둠이 따라서며 재가 떨어진다.   바람에 날려 한 많은 이 한 줌 재마저 사라지면 외론 길에서 벗하던 한 줄기 눈물조차 돌아올 길 없으리.   산에 가득히 …… 들에 펴듯이 …… 꽃은 피는가 …… 잎은 푸른가 …… 옛 꿈의 가지가지에 달려 찬사를 기다려 듣고 자려는가.   비인 듯 그 하늘 기울어진 곳을 가다가 그만 낯선 것에 부딪혀소리 없이 열리는 문으로 가는 것을 나도 모르게 나는 가고 있다.  개관- 성격 : 애상적, 자기고백적, 상징적 - 표현 :   '슬픔 → 재 → 눈물'로 이미지가 형성됨.   생략과 반복의 기법으로 감정을 조절함.   상징적, 비유적 시어의 사용   애상적이고 절망적인 어조 - 제..

결재(決裁), 결제(決濟) 한자, 마를 재(裁), 건널 제(濟), 서류 결재, 비용 결제

서류는 결재! 비용은 결제! 결재(決裁)裁 마를 재. 마르다(치수에 맞게 자르다) 삽(𢦏)처럼 생긴 창칼로 옷(衣)을 자르는 것은 마를 재(裁) 재단(裁斷: 마름질), 제재(制裁), 재량(裁量) 상관이 안건을 승인. 決裁權결재권. 決裁投票결재투표결제(決濟)물(氵)에서 가지런하게(齊) 이동하는 건널 제(濟) 거래(去來)를 청산(淸算) 決濟金 결제금 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사이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일결제 자금/숙박비를 카드로 결제하다‘결단할 결(決)’에 ‘마를 재(裁)’를 쓰는 ‘결재’는 가위로 옷감을 자르듯이 일을 끊어 마무리 짓는다는 의미로 어떤 사안에 대한 ‘승인’의 뜻‘결단할 결(決)’에 ‘건널 제(濟)’를 쓰는 ‘결제’는 물건이나 돈이 건너간다는 뜻

동음이의어 및 다의어 정리 #02

동음이의어, 다의어 '쓰다'① 돈을 쓰다 ② 모자를 쓰다 ③ 맛이 쓰다 ④ 글을 쓰다  ⇒  동음이의어  의미 연관성 X       └→① 사용하다             : 세제를 쓰다, 인부를 쓰다, 돈을 쓰다, 힘을 쓰다 ⇒  다의어  의미 연관성 O    발1 (명사)① (사람이나 짐승의 다리에서) 발목뼈 아래의 부분 (예)발에 꼭 맞는 신② 가구 따위의 밑을 받쳐 균형을 잡고 있는, 짧게 도드라진 부분 (예)장롱의 발③ 걸음. 발걸음. (예)발이 빠른 선수④ 한시(漢詩)의 시구 끝에 다는 운자(韻字) (예)발을 달다.⑤ 〔의존 명사적 용법〕 (예)서너 발을 물러서다. 발2 (명사) 가늘게 쪼갠 대오리나 갈대 같은 것으로 엮어 무엇을 가리는 데 쓰는 물건 (예)문에 발을 걸다. 발3 (명사)① 피륙..

자주 틀리는 기출 한자 #09

壤(흙 양)흙(土)인데 도움(襄)이 되는 흙 양(壤):土壤, 天壤之差壞(무너질 괴)흙(土)을 품는(褱품을 회) 것은 결국 무너질 괴(壞):破壞,  崩壞, 壞滅물(氵)과 도끼(戌)로 불(火)을 멸할 멸(滅)  億(억 억)사람(亻)이 뜻(意)으로만 알 수 있는 수는 억 억(億):億兆,  億萬.   憶(생각할 억)마음(忄)속에서 뜻(意)이 떠오르는 것은 생각할 억(憶):追憶추억,  記憶.   臆(가슴 억):臆測  延(끌 연)발을 끌며 길게 걷는(廴) 끌 연(延):지연(遲延: 더디게 끎), 연장(延長), 연기(延期)廷(조정 정)나랏일을 짊어지러(壬) 길게 걸어(廴) 가는 조정 정(廷):조정(朝廷), 궁정(宮廷)  煙(연기 연)불(火)을 막으면(垔막을 인→연) 생기는 연기 연(煙):禁煙.  煙幕,  煙氣    湮..

의미 변화, 의미 확대, 의미 축소, 의미 이동

기출 문제   Q  밑줄 친 ㉠∼㉢을 설명할 수 있는 예시로 옳은 것은?언어는 통시적으로 꾸준히 변화하고, 음운, 어휘, 문법, 의미 등 언어를 구성하는 모든 부분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그 중 의미 변화는 어떤 말의 중심 의미가 새로 생겨난 다른 의미와 함께 사용되다가 마침내 다른 의미로 바뀌는 현상이다. 단어가 의미 변화를 겪고 난 후의 결과를 보면 단어가 지시 하는 범위, 곧 의미 영역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의미가 확대되는 경우와 ㉡축소되는 경우, 그리고 ㉢제3의 다른 의미로 바뀌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 ㉡ / ㉢ ① 마누라 / 놈 / 식구 ② 놀부 / 짐승 / 언니 ③ 온 / 메 / 인정(人情) ④ 어리다 / 외도(外道) / 손 ⑤ 무릉도원 / 방송(放送) / 말씀【해설】 정답 ..

소설의 주제-명시적, 함축적 방법에 의한 주제 제시

● 소설의 주제 소설을 흔히 허구(가공)의 세계를 통해, 삶과 현실의 진실을 드러내는 장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소설의 주제는 바로 이야기를 통해 드러나는 삶의 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소설을 감상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작품 속에 들어있으면서, 작가가 의도하고 있는 인생관 · 삶의 진실을 알아내서, 그것을 나의 삶에 용해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1. 명시적 방법에 의한 주제 제시 → 서술자(작가)가 직접적으로 주제를 제시하는 방법     권선징악적인 고대소설이나,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소설에서 주로 나타난다. 예> 최서해의  : 빈궁에 항거하는 반항적 주제를 주인공의 대사 속에서 직접적으로 표출    2. 함축적 방법에 의한 주제 제시 → 주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배경이나 분위기, ..

고대 가요, 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 고대 가요 1. 개념 삼국 시대 이전의 노래로서, 오늘날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은 세 편 뿐인데 그것도 모두 한역되어  전해지고 있다. 음악,무용,시가의 종합이었던 원시 종합 예술(제천의식)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가 분리되어 발생된 것으로 본다.  2. 특성 ① 4언 4구의 한시형으로 번역되어 전해짐. ② 배경설화에 삽입된 형태로 전해짐. ③ 집단적 서사시로부터 개인적 서정시로의 변천 과정을 보여줌. ④ 주술이나 제의적 생활상이 반영되어 있음. ⑤ 작품의 짜임은 극히 단순하나, 어느 정도 대칭 구조의 균형을 이루고 있음.  3. 문헌상의 기록 : 『삼국지 위지 동이전』 ① "부여에서는 은력(殷曆)으로 정월에 하늘에 제사하고 나라 안이 크게 모여서 여러 날 동안 마시며 노래하고 춤추었다. ..

한국 문학사, 고전 문학사, 서사 문학, 고대 가요, 고려 가요, 경기체가

1. 고전 문학사 Ⅰ. 고대의 문학* 서사 문학신 화 명내 용단군 신화우리 나라의 건국 신화로 홍익 인간의 이념 제시주몽 신화동명왕의 출생에서부터 건국의 성업(聖業)까지를 묘사한 설화박혁거세 신화나정(蘿井) 근처의 알에서 태어나 사람들의 추대로 임금이 된 박씨의 시조 설화석탈해 신화알에서 나와 남해왕의 사위가 되고 나중에 임금으로 추대된 석(昔)씨의 시조 설화김알지 신화시림(始林 : 施林)의 나무에 걸렸던 금궤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경주 김(金)씨의 시조 설화수로왕 신화알에서 태어난 6명의 아이들 중 가락국의 왕이 된 김해 김(金)씨의 시조 설화 * 고대 가요 가요명연 대작 자내 용구지가신라 유리왕19(A.D. 42)구간(九干)주술적인 노래. 일명 ‘영신군가(迎新軍歌)’해 가(사)신라 성덕왕강릉의 백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