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한국 문학의 흐름 (2) : 현대문학의 모색과 정립기, 191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 1930년대 문학

Jobs 9 2023. 10. 6. 15:10
반응형

한국 문학의 흐름 (2) : 현대문학의 모색과 정립기

 

 

1. 시대적 배경

 

㈀ 개화기의 애국계몽이 일제 강점 이후 민족 독립 운동으로 전환되어 민족적 수난에 대응하는 문학의 근대적 양상이 태동됨.
㈁ 3 · 1 운동의 실패 : 정치적 좌절감과 더불어 민족 해방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됨.
㈂ 사회 단체의 결성과 계급주의 사상의 등장 : 3 · 1 운동 실패 후 청년단체, 정치단체, 노동단체 등이 결성되었으며, 1917년 러시아 혁명 후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한 계급주의 사상이 도입됨.
㈃ 일제의 민족 탄압 : 만주 사변을 계기로 일제는 우리 민족에 대한 수탈과 탄압을 더욱 철저히 하고, 검열체제와 사상통제를 더욱 강화함. 

 


2. 1910년대 문학

 

⑴ 자유시
① 형성 배경 : 근대적 잡지(소년, 청춘, 학지광, 태서문예신보 등)의 간행, 서구 근대문학의 영향
② 특징
㉠ 계몽 의식으로부터의 탈피
㉡ 운율에 대한 새로운 모색과 실험 정신 추구
㉢ 관습적 형태에서 벗어나 미의식의 표현에 집착함.
㉣ 서구의 상징주의 시와 시론의 소개를 통해, 개성적 내면 탐구와 사물에 대한 감각적 조응의 시적 태도를 지니게 됨.
③ 대표작 : 김억 <봄은 간다>,     주요한 <불놀이>,      황석우 <벽모의 묘> 등.

 

⑵ 근대소설
① 특징
㉠ 현실적 소재
㉡ 사실적 문체
㉢ 서술과 묘사를 통한 이야기 전개
㉣ 플롯의 다양성
② 대표작 : 이광수의 <어린 희생>, <소년의 비애>.
                 현상윤의 <한의 일생>, <핍박>
                 이광수의 <무정>(1917) → 최초의 현대적 장편소설

 

⑶ 희곡
① 창작극 : 조중환의 <병자삼인>,  윤백남의 <운명>,  이광수의 <규한> 등.
② 번역극 : 신극 운동의 전개와 함께 서양과 일본의 희곡이 번역됨.

 

⑷ 주요 신문 및 잡지
① 매일신보 → <대한매일신보>를 강제 매수하여 발행한 신문
② 붉은 저고리, 새별, 아이들 보이 → 최남선이 주재한 어린이 계몽잡지
③ 청춘 → 최남선 주재의 월간 종합지.  
④ 학지광 → 최팔용, 현상윤 등이 주관한 동경 유학생회 기관지.
⑤ 유심 → 한용운이 주재한 불교 계몽과 근대적 교리 해석을 위한 잡지.
⑥ 태서문예신보 → 장두철, 순 국문 문예 주간지로 서구 문단의 동향과 시론의 도입 및 번역시 소개
 

3. 1920년대 문학

 

⑴ 시
① 특징
㉠ 낭만적, 퇴폐적 상징시의 유행
㉡ 경향시의 등장과 사회의식의 대두
㉢ 전통 지향의 흐름 형성 : 전통 계승의 시(김소월, 한용운 등)와 시조 부흥 운동의 전개

 

② 낭만주의 시
㉠ 배경 : 3 · 1 운동의 실패, 서구 상징주의 시의 영향에 의한 세기말적 퇴폐주의의 만연 등
㉡ 경향 : 퇴폐적, 유미적, 허무적, 감상적 경향
              자연으로의 도피 및 동양적 체념과 무상감의 표출
              산문투의 서술적 문체와 영탄적 어조
㉢ 대표시인 및 대표작
→ 이상화 <나의 침실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박종화 <청자부>, <흑방비곡>
    박영희 <월광으로 짠 병실>
    홍사용 <나는 왕이로소이다>

 

③ 경향파 시
㉠ 배경 : 지식인들의 일본 유학을 통한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 일제 식민 통치에 대응하려는 사회단체들의 결성, 계급주의 문학 단체인 카프(KAPF)의 결성과 본격적인 사회주의 문학 이론의 도입.
㉡ 경향 : 막연한 울분으로부터 당대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저항 의식으로 확대된 시적 인식.
              무산계급(노동자, 농민)의 현실을 부각시키려는 소재 선택
              사회주의 사상의 주입과 선전을 목적으로 한 선전,선동적인 구호나 개념 서술의 표현.
              산문투의 문체 및 인물과 사건 전개의 요소를 도입하여 서사적인 양식 개발.
㉢ 대표 시인 및 대표작
→ 임화의 <우리 오빠와 화로>,   김기진의 <한 개의 불빛>

 

④ 민족주의 시
㉠ 배경 : 1920년대 중반 최남선, 주요한, 이은상 등을 중심으로 한 '국민문학파'의 대두.
              전통적 문화 유산의 계승과 역사 탐구 → 시조와 민요에 대한 관심 및 조선사 연구.
㉡ 경향 : 창작에 있어서 민족주의 이념의 구현
              모국어에 대한 애정과 찬양의 태도
              문화,학술적 연대에 의한 문예 부흥 운동
              민족적 개성 및 향토성의 옹호 
㉢ 시조 : 민족 정서의 회복을 위한 시어 사용
              연시조,양장시조 등 현대 시조로서의 형태 혁신
              님에 대한 그리움, 국토 예찬, 조국의 역사 회고 등의 주제 형상화
              최남선의 <백팔번뇌>, 이은상의 <노산 시조집>, 이병기의 <가람 시조집> 등.
㉣ 전통적, 민요적 서정시
       → 민중적 정서와 향토적 정조의 표현
           일상적이고 평이한 우리말 구사
           민족 현실에 대한 자각을 전통적인 시정신에 입각하여 형상화하려는 태도를 지님.
           김동환,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 등.

 

⑵ 소설
① 특징
㉠ 근대적 소설 문체의 발전 : 문장 어미의 확실한 시제 표현, 삼인칭 단수인 '그'의 의식적 사용
㉡ 사실주의적 소설 인식 : 개화기의 계몽주의 문학관을 버리고, 문학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한편, 인생과 사회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그리려는 사실주의 및 자연주의 문학관을 수용함.
㉢ 소설 기법의 발전 : 어휘의 신중한 선택, 치밀한 구성과 객관적 묘사, 인상적인 결말 처리 방법 등 기법상의 두드러진 변화를 가져옴.
㉣ 사회 비판 의식의 소설화 : 1925년 KAPF 결성을 계기로 사회적 비판과 투쟁의식을 강조하는 경향 소설이 등장함.

 

② 경향
㉠ 자아의 각성을 통한 사회와 현실의 재인식
㉡ 식민지 궁핍 체험의 소설화
㉢ 살인과 방화 등 극단적인 결말 처리
㉣ 계급 대립의 구도와 노동 소설의 등장

 

③ 대표작 및 특징
㉠ 김동인 → 현대 단편 소설 확립, 순수문학 주장.  <감자> <배따라기> <광화사> <운현궁의 봄> 등
㉡ 염상섭 → 식민지적 암울한 현실에서의 지식인의 고뇌, 도시 중산층의 일상적인 삶을 다룸. <표본실의 청개구리> <만세전> <두 파산> <삼대> 등.
㉢ 현진건 → 치밀한 구성과 객관적 묘사로 사실주의적 단편소설을 씀. <빈처> <운수 좋은 날> <불>
㉣ 나도향 → 낭만적 감상주의 경향, 어두운 농촌 현실을 묘사. < 물레방아> <벙어리 삼룡이> <뽕>
㉤ 최서해 → 체험을 바탕으로 한 하층민의 가난을 주요 문제로 삼음. <탈출기> <홍염> <박돌의 죽음> 등.
㉥ 주요섭 → 신경향파 문학에서 출발하여 서정적이고 휴머니즘적인 소설을 씀. <사랑손님과 어머니> <아네모네의 마담> <인력거꾼> 등.

 

⑶ 기타 문단의 동향
① 희곡 → 신파극의 탈피와 근대극의 시도
                '극예술 협회'와 '토월회'가 중심이 됨.
② 프로문학과 민족주의 문학 간의 이념 논쟁
→ 계급사상을 강조한 프로 문학계와 문학의 자율성을 강조한 민족주의 계열의 내용과 형식 논쟁
③ 민족 신문의 발간과 동인지의 유행
- 창조(1919)       ⇒ 최초의 순 문예 동인지.                         김동인, 주요한, 전영택
- 폐허(1920)       ⇒ 퇴폐주의적 성향의 동인지.                    염상섭, 오상순, 황석우, 김억
- 개벽(1920)       ⇒ 천도교 기관지, 카프의 기관지화 됨.        박영희, 김기진
- 장미촌(1921)    ⇒ 최초의 시 전문 동인지                          박종화, 변영로, 황석우, 노자영
- 백조(1922)       ⇒ 낭만주의적 경향의 문예지.                    현진건, 나도향, 이상화, 박종화 등
- 조선문단(1924) ⇒ 카프에 대항한 민족주의의 문예지.         이광수, 방인근
- 해외문학(1927) ⇒ 외국 문학 소개에 치중함.                      김진섭, 김광섭, 정인섭, 이하윤
- 문예공론(1929) ⇒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절충.                 양주동
 

 

4. 1930년대 문학

 

⑴ 시
① 특징
- 순수 서정시의 등장 (순수시)
- 모더니즘 시의 등장 (주지시)
- 반주지적 생명성의 탐구 (생명파)
- 자연과의 친화를 노래 (청록파)
- 저항과 참회의 시

 

② 시문학파 시
- 배경
㉠ 1920년대 중반 이후 프로문학과 민족주의 문학의 대립으로 인한 이념적 문학 풍토에 반발
㉡ 박용철,김영랑의 주도로 <시문학> <문예월간> <문학>등의 순수시 잡지가 간행되고, '구인회' 및 '해외 문학파'와 같은 순수 문학 동인이 결성됨.
- 특징
㉠시어의 조탁과 시의 음악성 중시
㉡시적 변용에 의거하는 순수 서정시의 창작 과정 강조
㉢자율적인 존재로서 시의 본질 탐구
- 대표 시인 및 작품 경향
㉠ 김영랑 : 투명한 감성의 세계를 운율감있는 고운 시어로 표현.  <모란이 피기까지는> <오월>
㉡ 박용철 : 감상적인 가락으로 삶에 대한 회의 노래.  <떠나가는 배> <싸늘한 이마>
㉢ 정지용 : 감각적 인상을 세련된 시어와 향토적 정취로 표현.  <유리창> <향수> <바다>
㉣ 이하윤 : 해외 시의 소개를 통한 서정시론 수용.   <들국화> <물레방아>

 

③ 전원파 시
- 배경 : 1930년대 후반 극심한 일제의 탄압 아래 현실로부터 도피하려는 의식의 반영
             서구 의존적인 시관(詩觀)에서 탈피하여 동양적 세계관을 중시하려는 경향의 대두.
- 특징
㉠ 이상향으로서의 전원 생활에 대한 동경과 안빈낙도의 세계관
㉡ 서경적 묘사를 토대로 한 자족적 정서
㉢ 자연 친화적이며 관조적인 태도
- 대표 시인 및 경향
㉠ 신석정 : 자연친화의 목가적 시풍으로 이상향에의 동경 노래.  <슬픈 구도> <그 먼 나라를 ~>
㉡ 김동명 : 낭만적인 어조로 전원적 정서와 민족적 비애 노래.  <파초> <내 마음은> <진주만>
㉢ 김상용 : 농촌 귀의와 동양적인 관조의 세계 노래.  <남으로 창을 내겠소> <마음의 조각>

 

④ 모더니즘 시
- 배경
㉠ 1920년대 감상적 낭만주의와 같은 전근대적인 요소를 배격하고 현대적인 시의 면모를 확립하고자 하는 의도
㉡ 서구의 신고전주의 철학 및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입체파, 미래파, 이미지즘 등 현대적 문예사조의 이념이 본격으로 수용됨.
- 특징
㉠ 구체적 이미지에 의한 즉물적(卽物的)이고 지성적인 시 강조
㉡현대 도시 문명에 대한 상황적 인식과 비판적 감수성 표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시학에 의거한 의도적인 시의 창작
㉣전통에 대한 거부와 언어에 대한 실험 의식 및 내면 심리의 탐구
- 대표 시인 및 경향
㉠ 김기림 : 해학과 기지를 동반한 감각적 시어로 현대문명을 현상적으로 관찰함. <바다와 나비>
㉡ 이   상 : 전통적 관습에서 벗어난 초현실주의적 언어 실험의 난해시. <오감도> <거울>
㉢ 김광균 : 회화적 이미지의 구사로 도시적 서정과 소시민 의식을 표현. <와사등> <외인촌> <추일서정> <설야> <뎃상> 등
㉣ 장만영 : 농촌과 자연을 소재로 감성과 시각을 기교적으로 표현.  <달,포도,잎사귀>

 

⑤ 생명파 시
- 배경
㉠ 모더니즘 시의 서구 지향적 태도와 기교 위주의 시 창작에 대한 반발
㉡ 1930년대 후반 시문학 전반의 침체 현상에 대한 타개 노력
㉢ <시인부락> <자오선> <생리>지를 중심으로 한 시인들의 부각
- 특징
㉠ 삶의 깊은 고뇌와 본원적 생명력의 탐구 정신 강조
㉡ 토속적인 소재와 전통적인 가치 의식 추구
㉢ 철학적 사색으로 시의 내부 공간 확대
- 대표 시인 및 작품 경향
㉠ 서정주 : 원시적 생명의식과 전통적 정서에 의거한 인생의 성찰.
                  <화사> <자화상> <국화 옆에서> <동천> <귀촉도>
㉡ 유치환 : 삶의 허무와 본원적 생명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변적 탐구.
                  <깃발> <울릉도> <일월> <생명의 서> <바위>

 

⑥ 청록파 시
- 배경
㉠ 일제말 군국주의 통치에 따른 문학적 탄압에 대한 소극적 대응
㉡ 물질문명에 대한 거부로서 은둔과 관조의 태도 형성
㉢ 모더니즘 시의 퇴조 이후, 김상용 · 김동명 · 신석정 등의 목가풍 전원시 창작
㉣ <문장>지를 통해 순수 서정을 지향하는 시인들의 등단
- 특징
㉠ 자연을 소재로 한 자연 친화적인 태도 표출
㉡ 향토적 정조와 전통 회귀 정신의 강조
㉢ 해방 후 전통적 서정시의 흐름 주도
- 대표 시인 및 작품 경향
㉠ 박목월 : 민요적 율조에 의한 향토적 정서의 표현.  <산도화> <윤사월> <나그네> <이별가>
㉡ 박두진 : 이상향으로서 자연에 대한 신앙과 생명력 넘치는 교감의 표현
                              <도봉> <묘지송> <향현> <해>
㉢ 조지훈 : 고전적 감각을 바탕으로 옛것에 대한 향수와 선적 관조를 노래함.
                              <고풍의상> <승무> <봉황수> <민들레꽃>

 

⑦ 저항시
- 배경 : 일제에 대한 저항의지를 승화한 시를 지칭하는 것으로, 현실에 대한 철저한 내면적 인식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구도자 내지 예언자적인 자세로 표현하여 정신적인 시의 영역을 구축함.
- 대표 시인 및 작품 경향
㉠ 이육사 : 고도의 상징성 및 절제된 언어, 남성적 어조로 불굴의 지사적 기개와 강인한 대결 정신을 노래함. <광야> <절정> <청포도> <교목> 등.  유고시집 <육사시집>
㉡ 윤동주 : 자기 반성적 사색, 양심적인 삶에의 의지와 순교자적 정신을 노래함. <서시> <자화상> <참회록> <또 다른 고향> <쉽게 씌어진 시> 등.
㉢ 심    훈 : 격정적 언어와 예언자적 어조를 통해 해방의 열망을 노래함.  <그 날이 오면>

 

⑧ 기타
- 전통적 현실주의
㉠ 배경 : 1930년대 중반 카프의 해산으로 이념 지향적인 시가 퇴조한 후 전통적인 민중들의 삶을 소재로 생활의 현실과 민중적 정서를 그려내고자 하는 경향이 대두됨.
㉡ 대표 시인 및 경향
ⓐ 백   석 : 민속적 소재와 서사적 이야기시의 구조로 향토적 정서와 공동체 의식을 추구함. <산중음>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여우난 곬족>
ⓑ 이용악 : 일제하 만주 유이민 생활 현실과 감정을 체험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민중시적 전통을 확립함. <낡은 집> <오랑캐꽃>

 

⑵ 소설
① 특징
- 장편소설의 활발한 창작 : <삼대> <탁류> <태평천하> <인간문제> 등.
- 일제하 지식인 문제의 작품화 : <날개> <레디 메이드 인생>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농촌을 제재로 한 소설의 확산 : <상록수> <동백꽃> <사하촌> 등.
- 역사소설의 유행 : <운현궁의 봄> <금삼의 피> <무영탑> 등.
② 전개 양상
- 도시 감각과 현대인의 상황 제시 : 예) <날개>
- 풍자적 기법을 통한 우회적 현실 비판 : 예) <치숙>
- 총체적 현실 탐구와 사회적 전형의 창조 : 예) <삼대>
- 농민의 삶에 대한 현실적 인식 : 예) <사하촌>
- 토속적 세계의 근원적인 탐구 : 예) <무녀도>
③ 대표작가 및 대표작
- 채만식 : 일제하 사회현실을 풍자적으로 그림.   <태평천하> <탁류> <치숙> 등
- 이효석 : 소설을 시적 수필의 경지로 승화시킴. <메밀꽃 필 무렵> <돈> <산> <들> <분녀> 등
- 김유정 : 농촌의 현실을 해학적으로 그림.  <동백꽃> <봄봄> <만무방> <산골 나그네> <소나기>등
- 이   상 : 심리주의적 내면 묘사 기법인 의식의 흐름을 추구.  <날개> <종생기> <봉별기> 등
- 김동리 : 토속적, 신비주의적, 사실주의적 경향과 무속신앙을 배경으로 함.
                        <무녀도> <황토기> <바위> <역마> <까치소리> 등
- 이무영 : 사실주의적 경향의 농촌소설. <제1과 제1장> <흙의 노예>
- 심    훈 : 민족주의와 사실주의적 경향의 농촌계몽소설.  <상록수> <직녀성> <영원의 미소> 등
- 황순원 : 범생명적 휴머니즘 추구. <카인의 후예> <독 짓는 늙은이> <목넘이 마을의 개> 등
- 안수길 : 민족적 비극을 서사적으로 전개함.  <제3인간형> <북간도> <적십자 병원장>

반응형

⑶ 기타 문단의 동향
① 극문학 : 본격적 근대극과 시나리오의 창작
→ '극예술 연구회'를 중심으로 사실주의적인 희곡이 창작,공연되었으며, 발성 영화의 도입으로 저항적 주제의 시나리오 작품이 쓰여짐.
② 수필 : 근대적 수필의 본격화
→ '해외문학파'를 중심으로 서구의 근대 수필 이론이 도입되고, 이양하, 김진섭 등 전문 수필가가 등장함.
③ 비평 : 다양한 비평 방법론의 확립
㉠ 예술주의 비평 : 순수문학의 논의(김환태, 김문집)
㉡ 휴머니즘 비평 : 인간성의 회복과 태도론의 제기(백철, 이헌구)
㉢ 주지주의 비평 : 주지적 경향의 현대 영미 비평 이론 소개(최재서, 김기림)
④ 1930년대 주요 잡지
- 시문학(1930) → 언어의 기교, 순수한 정서를 중시하는 순수시 지향 (박용철 주관)
- 삼사문학(1934) → 의식의 흐름에 따른 초현실주의적 기법 (신백수, 이시우 주관)
- 시인부락(1936) → 시 전문지. 창작시 및 외국의 시와 시론 소개 (서정주 발행)
- 자오선(1937) → 시전문지.  모든 경향과 유파를 초월함.  (서정주 발행)
- 문장(1939) → 월간 종합 문예지. 고전 발굴에 주력. 신인 추천제. (김연만 발행)
- 인문평론(1939) → 월간 문예지. 작품 발표와 비평 활동에 주력함. (최재서 주관)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