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상징법, 원형적 상징, 관습적 상징, 창조적 상징

Jobs9 2024. 11. 14. 08:59
반응형

상징법 - 1. 원형적 상징 2. 관습적 상징 3. 창조적 상징

1. 상징법의 의미

: 비유법처럼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로 보조관념을 통해 주제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태양처럼 불타오르는 결심" " 태양"

※ 상징법과 대유법의 차이
대유법은 원관념의 속성을 일부 포함하고 있거나 전체를 대신하지만, 상징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대유법] 펜은 칼보다 강하다
펜 : 글을 쓰는 도구로 문화라는 속성을 지님
칼 : 병기로써 무력을 뜻 함
[상징법]
비둘기 : 평화를 상징할 때, 연관성을 발견하기 힘듬
촛불 : 희망을 상징할 때, 공통점을 찾기 힘듬

 

2. 상징법의 종류

(1) 원형적 상징(신화적 상징)

: 한 사물이 지닌 근원적이뭐 본질적인 이미지를 나타냅니다.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제약을 넘어 보편적으로 공감대를 지닌 상징입니다.

- 물 : 재생, 영원, 만남

- 불 : 죽음, 파괴, 소멸

- 흑 : 죽음, 공포, 어둠

- 백 : 평화, 순수, 순결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박두진>
해는 빛, 탄생, 창조, 기쁨, 히망 등의 의미를 지닙니다.

 

(2) 관습적 상징(제도적 상징)

: 특정 지역권이나 문화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상징입니다.

- 비둘기 : 서양에서 평화를 상징

- 소나무 : 동아시아에서는 절개와 지조 상징

- 백합 : 서양에서는 순결을 상징

- 백의 : 한국에서는 죽음을 암시

지금 눈 내리고 / 매화(梅花) 향기 홀로 아득하니 /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이육사, 절정>
매화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지조와 절개를 나타내며, 화자의 강인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3) 창조적 상징( 개인적 상징)

: 관습적, 원형적 상징과 무관하게 작가가 작품 속에서 새롭게 창조해 낸 상징입니다.

- <이육사, 청포도>의 청호도 : 이상적인 세계

- <김종길, 성탄제>의 산수유 : 아버지의 사랑

- <김수영, 풀>의 풀 : 민중들의 끈질긴 생명력

- <김춘수, 꽃>의 꽃 : 의미를 지닌 존재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서정주, 국화 옆에서>
국화는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꽃이지만, 이 시에서는 시련을 겪은 뒤 성숙해진 모습을 뜻합니다.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