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나다 / 낫다 / 낳다 맞춤법

● '나다' '병 따위가 발생하다'라는 의미 '나, 나니, 나는, 나서' ​ 예) 과로로 몸살이 나서 며칠을 고생했다. ​ ● '낫다'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라는 의미 '나아, 나으니, 낫는, 나아서​' ​ 예) 그는 병이 나아서 일을 다시 시작했다. ​ ​ ● '낳다' '배 속의 아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라는 의미 '낳아, 낳으니, 낳는, 낳아서' ​ 예) 자식을 낳아 기르다. ​ ​ ● '나다 / 낫다/ 낳다'의 과거형 ​ 철수가 병이 났다. ('나다'의 과거형)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낫다'의 과거형) 소가 송아지를 낳았다 ('낳다'의 과거형)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

잡스 국어 2020.05.18

안, 않 - 쉬운 맞춤법

'병이 안 낫는다.' 안, 않을 뺏을 때 말이 되면 안 말이 안 되면 않 밥을 먹는다. ( 안 ) 수단과 방법을 가린다. ( 안 ) 밥을 먹지 는다. ( 않 )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는다. ( 않 ) 안 : 부사 '아니'의 준말. 않 : 동사 '않다'의 어간. '안'은 부사이고 '않'은 동사인 '않다'의 어간 따라서 '안'은 부사이기 때문에 뒤에 어미가 결합할 수 없는 특징 '않'은 어간이기 때문에 뒤에 어미가 결합 '않'은 보조동사 보조동사란 앞에 나오는 본 동사를 보조하기 위해 쓰이는 동사 예를 들어 '먹고 싶다.', '먹어 보다.', '맡겨 두다.'와 같이 두 개의 용언이 연이어 쓰일 때 뒤에 쓰이는 '싶다, 보다, 두다'와 같은 용언을 보조용언 이때 '않다'가 보조용언으로 쓰이면 본용언에는 반드시..

잡스 국어 2020.05.18

올바른 문장-주어 서술어, 호응, 중복 표현

Q 다음 중 가장 자연스러운 문장은? ① 등교 중에 있었던 그와의 언쟁은 전혀 우리의 잘못입니다. ② 사람과 사람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를 가장 잘 나타내 보여주는 것은 그 얼굴이다. ③ 아버지께서는 나에게 공부를 열심히 하고, 독서를 권하셨다. ④ 그러나 한 가지 소득이 있다면, 한 달만에 만나는 친구들이 너무 변해 있다는 점이다. ⑤ 몸이 아파 어머니와 같이 침을 맞으러 다녔는데, 아주 잘 낫는 어머니 교회의 집사님이셨다. ② ①‘전혀’는 부정어와 호응하는 부사이다. → ‘전혀 ~않다(못하다)’③ : ‘독서를’에 해당하는 술어가 없다. ‘독서를 열심히 하라고’ 정도로 고쳐야 한다.④ : 술어인 ‘점이다’와 호응하는 주어가 없다. ‘그것은’ 정도의 주어를 넣어야 한다.⑤:술어인 ‘집사님이셨다’와 호응하는..

잡스 국어 2020.05.14

주몽 신화, 일연

고구려(高句麗)는 곧 졸본 부여(卒本扶餘)다. 혹 지금의 화주(和州)니 성주(成州)니 하는 것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졸본주는 요동(遼東)의 경계에 있다. 국사 고려 본기(本記)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시조 동명왕(東明王)은 성(姓)은 고씨(高氏)요,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이 보다 앞서, 북부여 왕 해부루(解夫婁)가 동부여로 피해 가고, 부루가 죽자 금와(金蛙)가 왕위를 이었다. 그 때 한 여자를 태백산(太白山)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만나 물으니, "나는 하백(河伯)의 딸로 이름은 유화(柳花)입니다. 동생들과 놀러 나왔다가 하느님의 아들인 해모수(解慕漱)를 만나 웅신산(熊神山) 밑 압록(鴨祿)가에서 같이 살았는데, 그는 가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가 중매 없이 남을 따라간 것을 책망하여 ..

김시습 '금오신화(金鰲新話)'

조선 초기에 김시습 ( 金時習 )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로 인정되고 있다. 완본은 전하지 않으며,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 〉 · 〈 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 〉 · 〈 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 〉 · 〈 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 〉 · 〈 용궁부연록 龍宮赴宴錄 〉 등 5편이다. 창작 당대부터 희귀본이어서 옛 문헌에 이따금 단편적인 기록이 남아 있을 뿐 한말 이래 현품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일본에서 전해오던 목판본 ≪ 금오신화 ≫ 를 최남선 ( 崔南善 )이 발견하여 잡지 ≪ 계명 啓明 ≫ 19호를 통해 1927년에 국내에 소개하였다. 이 목판본은 1884년(고종 21) 동경에서 간행된 것이며, 상 · 하 2책으로 되어 있다. 상권은 32장으로 서(序)..

잡스 국어 2020.04.01

내노라하다, 내로라하다

Q 맞춤법에 맞는 것은? ① 희생을 치뤄야 대가를 얻을 수 있다. ②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뒤쳐진 이유가 있겠지. ③ 방과 후 삼촌 댁에 들른 후 저녁에 갈 거여요. ④ 가스 밸브를 안 잠궈 화를 입으리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했다. 【해설】 정답: ③ ‘어떤 분야를 대표할 만하다’의 뜻일 때, 흔히 ‘내노라하다’를 쓰는데, 이는 ‘내로라하다’를 잘못 표현한 것이다.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의 의미로는 동사 ‘들르다(들르- + ㄴ)’를 바르게 활용하였고, 의존명사 ‘것’을 구어체 ‘거’로 표기한 후에 ‘여요(이어요)’로 바르게 표현 ※ 이에요/이어요 · 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는 반드시 ‘이에요/이어요’ 형태로 표기한다.  동생이에요/동생이어요 ·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는 ‘이에요/이어요/예요/..

잡스 국어 2020.03.30

에 / 에서 / 에서는 구분 [부사격 조사]

Q 밑줄 친 조사의 쓰임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건축 면적은 설계도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산정한다. ② 제안서 및 과업 지시서는 참가 신청자에게 한하여 교부한다. ③ 관계 조서 사본을 관리 사무소에 비치하고 일반인에게 보인다. ④ 제5조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목의 평가는 1년 유예를 둔다. 【해설】 정답 ② ‘한하다’는 동사로 ‘어떤 조건, 범위에 제한되거나 국한되다.’의 뜻을 지니며 조사 ‘에’와 호응하여 ‘…에 한하다’의 형식으로 쓰인다. 그러므로 ②는 ‘참가 신청자에 한하여 교부한다’로 써야 바르다. 부사격 조사 ‘-에’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사물이나 사람이 차지하고 있는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우리 학교는 신촌에 있다./부모님은 집에 계신다./거리에 사람들이 많다...

잡스 국어 2020.03.30

음운 축약, 자음 축약(거센소리), 모음 축약 기출문제

음운의 축약 자음 축약(거센소리) 모음 축약(음절축약)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음운의 축약이라고 한다. ①자음축약=거센소리되기 낳고[나코] 좋다[조타] 국화, 맏형 ②모음축약=음절축약 되+어→돼 그리+어→그려 오+와서→와서 *자음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자음 축약이라 한다. 예) 좋고 → [조코], 많다 → [만타], 업히다 → [어피다], 젖히다 → [저치다] *모음 ‘ㅣ’나 ‘ㅗ/ㅜ’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이 되는 것도 축약이라 한다. 이때 모음 ‘ㅣ’나 ‘ㅗ/ㅜ’는 반모음으로 바뀐다. 예) 가리- + -어 → 가려, 두- + -었다 → 뒀다 ‘가리 + 어 → 가려’와 같은 현상은 두 음절..

잡스 국어 2020.03.30

국어 기출문제 - 어법, 바른 문장 쓰기

Q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➀ 그것은 여간 재미있지 않다. ➁ 11월이 다 지났으니 곧 겨울방학이 되겠지. ➂ 그 친구가 드디어 고시에 합격했다. ➃ 아직도 그 이야기를 믿고 있니? ➄ 비는 여간해서 그칠 것 같았다. 답 : ➄ ➄‘여간’다음에는 아니다, 않다 등과 같은 부정 표현이 와야 한다. Q 다음 중 문법에 맞게 단어가 사용된 것은? ➀ 최근 시험에서는 객관식의 비중이 얕아지고 있다. ➁ 이번 헌법의 개정은 국민의 선거를 통해서 확정된다. ➂ 기상대는 눈이 그치는 주말부터는 평년 기온을 되찾을 것으로 내다봤다. ➃ 그 학자는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기도 하고 복종하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답 : ➂ ➀ 비중이 적어지다 (O) / 낮아지다 (O) / 얕아지다 (X) ➁ 선거 (x) ..

잡스 국어 2020.03.29

외래어 표기법 개정

그동안 ‘해, 섬, 강, 산, 산맥, 고원, 인, 족, 어……’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고유어나 한자어에 붙을 때에는 붙여 써 왔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관련 규정을 삭제함에 따라 ‘해, 섬, 강, 산, 산맥, 고원, 인, 족, 어……’ 등의 앞에 어떤 말이 오느냐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띄어쓰기를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정 전 개정 후 외래어에 붙을 때 그리스 어, 그리스 인, 게르만 족, 발트 해 나일 강, 에베레스트 산, 발리 섬 우랄 산맥, 데칸 고원, 도카치 평야 그리스어, 그리스인, 게르만족, 발트해 나일강, 에베레스트산, 발리섬 우랄산맥, 데칸고원, 도카치평야 비외래어에 붙을 때 한국어, 한국인, 만주족, 지중해 낙동강, 설악산, 남이섬 태백산맥, 개마고원, 김포평야 한국어,..

잡스 국어 2020.03.29

음운의 교체-음절의 끝소리 규칙,유음화,비음화,구개음화,된소리되기

음운의 교체 ●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국어에서는 음절의 끝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개의 자음만 발음된다. 나머지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오면 이 일곱 자음 가운데 하나로 발음되는 현상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낫, 낮, 낯, 낱’의 ‘ㅅ, ㅈ, ㅊ, ㅌ’은 모두 [ㄷ]으로 발음된다. *어말 또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 앞에서는, 음절의 끝소리가 위의 일곱 자음 중 하나로 발음된다.예) 부엌[부억], 한낮[한낟], 잎[입], 깎다[깍따], 낮잠[낟짬]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음절의 끝소리가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져 발음된다. 예) 낮이[나지] ● 비음화 끝소리가 파열음인 음절 뒤에 첫소리가 비음인 음절이 연결될 때, 앞 음절의 파열음이..

잡스 국어 2020.03.29

형태소, 단어, 어절

음운→음절→형태소→단어→어절→구→절→문장 ● 형태소 形態素 형(形) 모양|태(態) 모양 | 소(素) 바탕 → 말의 형태를 지닌 요소 의미 최소 단위. 더 나누면 뜻을 잃어버림. ● 단어 單語 단(單) 홀로 | 어(語) 말 → 홀로 쓰이는 말 뜻을 가지고 홀로 쓰일 수 있는 말과 자립할 수 있는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 ● 형태소 : 의미 최소 단위 하늘이 맑다→하늘(명사)+이(조사)+맑(용언 어간)+다(어간 어미) 철수(명사)+가(조사)+집(명사)+에(조사)+가(용언 어간)+ㄴ(선어말어미)+다(어말 어미) ● 자립 유무 자립 형태소: 명사, 대명사,수사,관형사,부사,감탄사 하늘+ 의존 형태소:이+맑+다조사,용언어간,선어말어미,어말어미,접사 이+맑+다 ● 의미 여부 실질 형태소 : 자립..

잡스 국어 2020.03.29

품사의 통용

① 의존 명사 용언의 관형사형 다음의 '대로' '만큼' '뿐'이 쓰이면 의존 명사, 체언 다음에 쓰이면 조사. 예) 들은 대로 다 적었다 / 내 말대로 해라. 나도 참을 만큼 참았다 / 나도 그 사람만큼 할 수 있다. 나쁜 짓 하면 결국 실패할 뿐이다 / 너뿐 아니라 나도 힘들다. 용언의 관형사형 다음의 '듯'은 의존 명사, '듯' 다음에 접미사 '~하다'가 붙으면 보조 형용사, 용언의 어간 다음에 '듯'이 오면 그냥 '어미' 예) 갈 듯 말 듯 / 내일은 비가 올 듯하다 / 구름에 달 가듯 간다. ② 수사 - 차례를 나타내면 수사이나, 그 말이 사람을 칭하면 명사. 예) 그의 성적은 첫째이다. / 첫째는 선생님, 둘째는 회사원이다. - 시간을 칭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명사로 본다. ③ 조사 체언 다음에..

잡스 국어 2020.03.29

의미의 변화

의미의 변화 ㅇ언어적 원인 전염 : 별로 아름답지 않다 : 특별히 의미의 긍정 부정 의미에서 지금은 부정문에만 사용 생략 : 머리를 깍는다. 아침은 드셨습니까?머리카락, 아침방 ㅇ역사적 원인 자동차: 증기마차 > 휘발유내연기관 >> 전기 탈북자 >>새터민 ㅇ사회적 원인 공양 : 절 부처님 음식 > 웃어른께 음식 대접 팔찌 : 장식품 > 수갑 양반 : 문무반 > 집안 좋은 사람, 점쟎은 사람 ㅇ심리적 원인 형광등 : 진공유리관 > 아둔한 사람 터부(금기) 의미 변화 : 죽다 > 돌아가시다 의미변화유형의미의 확대 다리 : 생물 다리 > 책상다리 무생물 ★세수 : 손 씻다 > 손 얼굴 씻다 의미의 축소 계집 : 일반적 여성 > 여자 낮춘 의미 얼굴 : 몸 전체 > 안면 의미의 이동 어리다 : 어리석다 > 나이..

잡스 국어 2020.03.29

안 부정문(의지), 못 부정문(능력)- 부정 표현 - 공무원 국어

안 부정문(의지 부정) 못 부정문(능력 부정) 부정 표현 : 어떤 명제를 부정하는 표현으로, 부정 부사 ‘안/못’, 부정 용언 ‘아니하다, 못하다’를 사용한다. ‘못’ 부정문(능력의 부정) • 짧은 부정문 - ‘못’ 그는 술을 못 먹는다. • 긴 부정문 - ‘못하다’ 그는 술을 먹지 못한다. ‘안’ 부정문(의지의 부정) • 짧은 부정문 - ‘안’ 그는 술을 안 먹는다. • 긴 부정문 - ‘아니하다’ 그는 술을 먹지 않는다. • 그는 꼬박 일주일 동안 밥도 못 먹고 잠도 못 잤다. ☞ 몸이 너무 아프거나 신경을 많이 써서 밥을 먹을 수 없었고, 잠을 잘 수 없었다는 의미 • 그는 꼬박 일주일 동안 밥도 안 먹고 잠도 안 잤다. ☞ 본인의 의지로 밥을 먹지 않고 잠을 자지 않았다는 의미 ▶ 않다 : ① (타..

잡스 국어 2020.03.29

되어 발음, 되여/되어/뒈여/뒈어, 표준 발음법

되어 발음표준 발음법 제22항에 따라 [되어/되여]표준 발음법 제4항에 따라 'ㅚ'는 [ㅚ/ㅞ]네 가지로 발음  Q  ㉠~㉣의 발음 중 표준 발음이 아닌 것은?  - ㉠마음의 소리를 듣다.   - 바람이 ㉡스쳐 지나간다.  - 건강을 잃으면 모든 걸 ㉢잃는다.  - 첨성대의 몸체는 27단으로 ㉣되어 있다.  ① ㉠ [마으메] ② ㉡ [스처] ③ ㉢ [일는다] ④ ㉣ [되여] 【해설】 정답 ③ ㉢‘잃는다.’는 [일른다]로 유음화 현상① ㉠ [마으메/마으믜]  ② ㉡ [스처]: ‘져/쳐/쪄’는 단모음으로 발음해야 하므로 [스쳐]라고 발음해서는 안 되고 [스처].  ④ ㉣ [되여/되어/뒈여/뒈어] 모두 맞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

잡스 국어 2020.03.29

조사 종류, 관계언, 보조사, 격조사

관계언 조사 나는(보조사) 선생님이(보격조사) 아니다 격조사 체언 뒤에 붙어 자격 부여 주격 : 이/가 께서 에서 서술격 : (이)다 목적격 : 을/를 보격 : 이/가 : 되다 아니다의 지배 받음 관형격 : 의 부사격조사 : 에, 에서, 에게, 한테서, (으)로 호격 조사 : 아/야, 여, 이시여 보조사 체언에 어떤 특별한 뜻 부여 은(는) : 대조,차이 만/뿐 : 단독 부터 : 시작, 먼저 (이)든 : 선택 까지 : 마침, 또한 마저/조차 : 또한 마다 : 균등 요 : 높임 접속조사 와/과, 하고, 이랑 Q 밑줄 친 것 중 보조사인 것은? ① 이 물건은 시장에서 사 왔다. ② 개는 늑대와 비슷하게 생겼다. ③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④ 나는 거칠 것 없는 바다의 사나이다. 【해설】 정답 ④ ..

잡스 국어 2020.03.28

음의 동화 - 구개음화, 모음동화, 구개음 'ㅈ, ㅊ'

구개음화 ● 제 5장 소리의 동화 중 - 제 17항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구개음 [ㅈ, ㅊ]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곧이듣다[고지듣따] 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땀받이[땀바지] 밭이[바치] 벼훑이[벼훌치] {붙임}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굳히다[구치다] 닫히다[다치다] 묻히다[무치다] ● 구개음화의 정의 1. 구개음화란? - 첫째,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서 구개음 'ㅈ, ㅊ'이 되는 현상. 예) 굳이[구지] 밭이[바치] 둘째, 'ㄷ'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올 때 'ㅎ'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ㅌ'이 'ㅊ'이 되는 현상...

잡스 국어 2020.03.28

음운의 변동(축약, 탈락, 첨가) - 공무원 국어

● 음운의 축약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음운의 축약 *자음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자음 축약 예) 좋고 → [조코], 많다 → [만타], 업히다 → [어피다], 젖히다 → [저치다] *모음 ‘ㅣ’나 ‘ㅗ/ㅜ’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이 되는 것도 축약 이때 모음 ‘ㅣ’나 ‘ㅗ/ㅜ’는 반모음으로 바뀐다. 예) 가리- + -어 → 가려, 두- + -었다 → 뒀다 ‘가리 + 어 → 가려’와 같은 현상은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것이므로 음절 축약에 해당 이 현상은 ‘단모음+단모음’이 ‘반모음 + 단모음’이 되는 것이므로,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음운의 교체로 설명하기도 한다. ● 음운의 탈락..

잡스 국어 2020.03.28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운의 변동, 교체, 대치, 겹받침 발음법-넋[넉] 앉고[안꼬] 여덟[여덜]

음운의 변동 : ㅇ 한 음운이 일정 환경에서 변화 솥+하고 ⇨ [솓하고] ⇨ [소타고] ㅇ 교체(대치) 탈락 첨가 축약 음절끝소리(대치) 거센소리(축약) ⊙교체 ①음절의 끝소리 규칙 낫[낟] ★겹받침 발음법 넋[넉] 앉고[안꼬] 여덟[여덜] ㄺ ㄻ ㄿ 뒤 그외 앞 밟다 [밥따] 예외) ㄺ - ㄱ 앞 읽고[일꼬] 음절의 끝소리 규칙 우리말에서'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겹받침의 발음 규칙적인 겹받침 발음의 예 앞 자음이 발음되는 경우 뒷 자음이 발음되는 경우 표기 발음 예 표기 발음 예 ㄳ ㄱ 넋[넉] ㄺ ㄱ 닭[닥] ㄵ ㄴ 앉다[안따] ㄻ ㅁ 삶[삼] ㄼ ㄹ 여덟[여덜] ㄿ ㅍ[ㅂ] 읊다[읍따] ㄽ ㄹ 외곬[외골] ㄾ ㄹ 핥다[할따] ㅄ ㅂ 값[갑] ..

잡스 국어 2020.03.28

24 절기, 세시풍속

24절기 세시풍속 봄 ┌ 입춘(立春, 2월 4일): 봄의 시작 ├ 우수(雨水, 2월 19일): 비가 내리고 싹이 틈 ├ 경칩(驚蟄, 3월 6일): 개구리가 잠에서 깸 ├ 춘분(春分, 3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청명(淸明, 4월 5일): 봄 농사 준비 └ 곡우(穀雨, 4월 20일): 농사비가 내림 • 설(1월 1일) : 떡국 끓여먹기, 널뛰기, 연날리기 • 대보름(1월 15일) : 귀밝이술, 오곡밥, 줄다리기, 차전놀이, 쥐불놀이, 석전(石戰), 부럼깨기, 지신밟기 • 삼짇날(3월 3일) : 화전, 진달래화채, 각시놀음 여름 ┌ 입하(立夏, 5월 5일): 여름의 시작 ├ 소만(小滿, 5월 21일):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 망종(芒種, 6월 6일): 씨뿌리기 ├ 하지(夏至, 6월 21일): 낮..

잡스 국어 2020.03.24

정몽주 '이 몸이 죽어 죽어' - 시조 단심가 - 공무원 국어

이 몸이 죽어 죽어 이 몸이 죽고 죽어 비록 일백 번이나 다시 죽어 백골(白骨)이 흙과 먼지가 되어 넋이야 있건 없건 임금님께 바치는 충성심이야 변할 리가 있으랴? 연대 : 고려말 종류 : 평시조 표현 : 반복법, 점층법 성격 : 의지적, 단심가 제재 : 변함없는 지로,절개 주제 : 일편단심, 충성심 내용 연구 고쳐 : 다시, 거듭 백골 : 죽은 사람의 몸이 썩고 남은 뼈 진토 : 티끌과 흙 잇고 없고 : 있거나 없거나 일편단심 :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 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가싈 : 변할, 바뀔 줄이 : 까닭이 이시랴 : 있으랴, 있겠는가 이해와 감상 이방원의 '하여가'에 대한 답가로 고려 왕조에 대한 강렬한 충성심을 토로하고 있는 작품이다. 초장에서 죽음..

잡스 국어 2020.03.17

동풍 서풍 남풍 북풍 암기 - 샛바람.하늬바람, 마파람, 된바람

동풍 : 강쇠바람 샛바람 ㅅ 서풍 : 하늬바람 갈바람 ㅎ 남풍 : 마파람 앞바람 ㅍ 북풍 : 된바람 뒤바람 ㄷ 동서남북 서해파도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잡스 국어 2020.03.17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악장 - 공무원 국어

갈래:악장, 영웅 서사시, 송축가(頌祝歌) 성격:송축적, 예찬적, 서사적('용비어천가'의 서사시적 성격 : '용비어천가'는 왕조 창업의 송축에 근본적인 목적과 기능이 있었다. 따라서, 제작 과정에서 민간에 전해지는 육조(六祖)의 찬양할 만한 일화들을 채집하여 주요 제재로 삼았다. 그러한 점에서 이 작품은 전승적, 서사적 성적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악장이란, 본래 궁중 연락(宴樂)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만큼 그 제작 주체들이 대상으로 삼은 것은, 내적으로는 귀족 관리 계층과 후손들이었고, 외적으로는 특히 명나라 조정이었음), 설득적, 교훈적, 훈계적 구성:전 125장, ‘서사 - 본사 - 결사’의 3단 구성 서사:개국송 (開國頌) 제1장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강조함 제2장 조선의 무궁한 ..

잡스 국어 2020.03.16

문학작품 속 고유어

(ㄱ) • 가라말: 털빛이 온통 검은 말. ≒가라마. 󰄤 허우대가 걸출한 가라말 위에 높이 앉은 이재수는 붉은 비단옷 때문에 흡사 햇덩어리같이 눈이 부셨다. - 현기영, • 가멸다: 재산이나 자원 따위가 넉넉하고 많다. 󰄤 이 나라로 하여금 굳센 나라가 되게 하고, 이 백성으로 하여금 가면 백성이 되게 하고…. - 김동인, • 가뭇없이: ① 보이던 것이 전혀 보이지 않아 찾을 곳이 감감하게. 󰄤 밝고 따스하고 즐거운 봄 입김은 가뭇없이 사라지는 듯하다. - ② 눈에 띄지 않게 감쪽같이. 󰄤 요 며칠 동안 나에게 보여 주던 그 친절과 미소도 가뭇없이, 이때만은 새침한 침묵에 잠겨 있을 뿐이었다. - 김동리, • 가시버시 ‘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말. 󰄤 헤어졌던 가시버시/한 나달❶ 맞잡고 울고 - 신경림,..

잡스 국어 2020.03.14

현대소설 줄거리, 핵심 정리

◈ 인간 문제 작가 : 강경애 줄거리 선비의 아버지는 용연 마을의 지주인 정덕호의 일꾼인데, 덕호의 지시로 빚을 받으러 갔다가 오히려 소작인을 도와준 죄로 덕호에게 맞아 죽는다. 어머니마저 죽자 선비는 정덕호의 집에서 몸종으로 지내다가 결국 덕호의 꾀임에 빠져 순결을 잃는다. 선비는 덕호의 집을 도망쳐 나와 자기처럼 덕호에게 당하고 서울로 간 간난이를 찾아간다. 선비를 좋아하는 남자는 고향 청년 첫째와 서울 사람 신철인데, 첫째는 덕호에게 반항하다가 그의 교묘한 술책으로 땅마저 빼앗겨 고향을 등졌고, 신철은 덕호의 딸 옥점에게 놀러 왔다가 선비의 모습에 반하게 된다. 그는 옥점이가 싫어져 부모끼리의 결혼 약속을 따르지 않고 가출하여 인천 부두에서 노동자 생활을 하다가 첫째를 만나 그를 각성된 노동자로 키..

잡스 국어 2020.03.14

현대 소설 작가와 작품 해설 #13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홍명희(1888~?) 소설가. 충북 괴산 출생. 호는 가인(假人, 可人), 백옥석(白玉石), 벽초(碧初). 이광수와 함께 일본 동경 타이세이(大成) 중학에서 수학. 1910년 귀국 후 오산 고보 교장, 연희 전문 교수, 중앙 불교 전문 교수 등을 역임. 에 “임꺽정”을 연재(1928. 12. 21~1939. 3. 11)하며 등단. 신문의 폐간으로 지에 잠시 연재되었으나 끝내 미완(未完)으로 남김. 이광수, 최남선과 함께 조선의 3대 천재라고 일컬어지기도 함. 광복 전에는 편집국장과 사장, 신간회의 부회장을 역임. 광복 후 조선문학가 동맹 중앙 집행위원장을 지내다 월북하였는데 작품 활동하다가 병사한 것으로 전해짐. 대표작으로 “임꺽정”과 “학창산화” 등이 있다. ▶ 임꺽정 1. 줄거리 임꺽정은 경기도 양주..

잡스 국어 2020.03.14

현대 소설 작가와 작품 해설 #10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정비석(1911~1991) 소설가. 1932년 일본의 니혼 대학 문화 중퇴. 1936년 단편 “졸곡제(卒哭祭)”, 이듬해 단편 “성황당(城隍堂)”이 각각 와 에 입선, 당선되면서 본격적 문단 활동 시작. 광복 전까지 1백 편 가량의 단편을 발표하며 남녀간의 애정을 주축으로 건강한 토속적 삶을 형상화함. 1941년 장편 “청춘의 윤리”에서 애정문 제를 세태와 결부시켜 관심을 끌었음. 1954년 에 “자유 부인”을 연재하면서 유교적 관습에 얽매여 있던 유부녀의 자유 분방한 성모랄 묘사로 장안에 화제를 뿌리며 대중 작가로서 확고히 뿌리를 내림. 작가에게 있어서 최고의 영예는 끝까지 글을 쓰는 것이라 밝힌 정비석은 고희를 넘긴 80년대 이후에도 , , 등 단행본으로 따지면 14권 분량이나 되는 작품을 일간지에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 소설 작가와 작품 해설 #09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이해조(1869~1927) 신소설 작가. 호는 동농(東濃), 열재(悅齋). 경기 포천(抱川) 출생. 언론계에 종사하면서 과 등을 통해 30편에 가까운 신소설을 발표하였다.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유종(自由鐘)”(1910)은 주인공들의 토론형식을 빌어 정치이념을 제시한 작품이며 “화(花)의 혈(血)”(1910)은 부패관리의 부정을 폭로한 소설이다. 대체로 그의 신소설은 신교육과 개화사상을 고취하면서 당시 사회의 부조리를 반영하였다. “철세계(鐵世界)”는 프랑스의 베른의 소설을 번안한 것이며, 그 밖에도 한국의 고대 소설을 신소설화하여 “춘향전(春香傳)”을 “옥중화(獄中花)”, “심청전”을 “강상련(江上蓮)”, “별주부전”을 “토의 간”, “흥보전”을 “연(燕)의 각(脚)”으로 개작 발표하였다. 그 밖..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 소설 작가와 작품 해설 #08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이범선(1920~1982) 소설가. 평남 안주 출생. 1955년 에 “암표”, “일요일”이 추천되어 등단하였다. 그의 작품은 서정성에 바탕 한 것과 리얼리즘에 비교적 충실한 것들로 크게 구별되는데, 서정성 짙은 작품은 아름다운 세계로의 지향을 담고 있으며,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은 전후(戰後)의 경제적 곤궁과 부조리한 사회에 대한 “사망 보류”, “냉혈동물”, “삭풍”, “하오의 무지개”, “청대문집”, “흰 까마귀의 수기” 등이 있다. ▶ 오발탄(誤發彈) 1. 줄거리 계리사 사무실 서기인 송철호는 할 일도 없이 혼자 뒤쳐졌다가 점심도 굶은 채 심한 허기를 느끼며 산비탈 해방촌 고개를 오른다. 레션 상자로 지붕을 얽은 판잣집으로 향하는 것이다. “가자! 가자!” 하는 어머니의 쨍쨍한 소리가 새어나온다. 방..

잡스 국어 2020.03.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