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음운 축약, 자음 축약(거센소리), 모음 축약 기출문제

Jobs 9 2020. 3. 30. 05:27
반응형

음운의 축약

  • 자음 축약(거센소리)
  • 모음 축약(음절축약)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음운의 축약이라고 한다.

①자음축약=거센소리되기  낳고[나코] 좋다[조타] 국화, 맏형 
②모음축약=음절축약   되+어→돼 그리+어→그려 오+와서→와서 

*자음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자음 축약이라 한다.
  예) 좋고 → [조코], 많다 → [만타], 업히다 → [어피다], 젖히다 → [저치다]
*모음 ‘ㅣ’나 ‘ㅗ/ㅜ’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이 되는 것도 축약이라 한다. 이때 모음 ‘ㅣ’나 ‘ㅗ/ㅜ’는 반모음으로 바뀐다.
  예) 가리- + -어 → 가려, 두- + -었다 → 뒀다

‘가리 + 어 → 가려’와 같은 현상은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것이므로 음절 축약에 해당한다. 이 현상은 ‘단모음+단모음’이 ‘반모음 + 단모음’이 되는 것이므로,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음운의 교체로 설명하기도 한다.

 


 Q 
 표준 발음에서 축약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① 놓치다     ② 헛웃음    ③ 똑같이    ④ 닫히다 

【해설】 정답 ④ 
① 놓치다 →[녿치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교체) 
② 헛웃음 →[허두슴]: 음절의 끝소리 규칙(교체) 구개음화 ㄷ ㅌ + ㅣ(형식형태소)  ⇨  구개음(경구개음인 ㅈ ㅊ) 
③ 똑같이 →[똑까치]: 된소리되기와 구개음화
④ 닫히다 →[다치다]: 자음 축약=거센소리되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