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현대 소설 작가와 작품 해설 #01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강경애(1907~1943)  여류 소설가. 황해도 장연 출생. 1925년 평양 숭의여전에서 수학하였다. 불우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후에 간도로 이주, 중앙 문단과 떨어져서도 꾸준히 창작 활동을 계속하여 “부자(父子)”(1932), “채전(菜田)”(1932), “소금”(1932) 등을 발표했다. 1933년 에 장편 “인간 문제”를 연재했다. 1942년에 귀국, 병사(病死)했다. 작품의 성격은 밝은 면보다 어두운 면, 상류 사회보다는 하층 생활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데 뛰어나다. 이외에 “지하촌”(1936), “해고”(1936), “산남(山男)”(1936) 등이 있다. 불우한 어린 시절과 문학 수업기에 받은 양주동의 복고적․중도적 국민 문학론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이 맞물려 당대 식민지 사회의 모순에..

잡스 국어 2020.03.13

문학 용어 - 공무원 국어 - 문학

(ㄱ) ○ 가면극(假面劇) : 가면을 쓰고 하는 연극 정교한 형식을 지닌 궁정 오락으로서 시극 음악 무용 화려한 의상 무대 장관으로 구성. ○ 가전 (假傳) :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체로 서술한 서사시적 문학 형태의 하나로 고려 중기 이후 성행된 문학 형식으로 실재했던 인물의 생애를 전기 형식을 빌려 서술한 것이다. ○ 가전체 문학(假傳體 文學) : 서사시적 문학 형태의 하나. 고려 중기 이후 성행된 문학 형식. 일명 의인 전기체. 어떤 사물을 의인화시켜서 실재했던 인물의 생애를 기록한 전기 형식을 빌려 서술한 것이기 때문에 가전 혹은 의인 전기로 불림. ○ 갈래 : 유사성을 중심으로 분류한 문학 작품의 장르. 시 소설 희곡이라든가 서정시 서사시 극시 같은 것이 그 예이다. ○ 가정 소설 (家庭小說)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 소설 작품 #04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김승옥 서울, 1964 겨울 󰏅 줄 거 리 1964년 겨울을 서울에서 지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겠지만, 밤이 되면 거리에 나타나는 선술집---오뎅과 군 참새와 세 가지 종류의 술 등을 팔고, 얼어 붙은 거리를 휩쓸며 부는 차가운 바람이 펄럭거리게 하는 포장을 들치고 안으로 들어서게 되어 있고, 그 안에 들어서면 카바이트 불의 길쭉한 불꽃이 바람에 흔들리고 있고, 염색한 군용 잠바를 입고 있는 중년 사내가 술을 따르고 안주를 구워 주고 있는 그러한 선술집에서 (하략) 1964년 겨울, 서울의 어느 포장 마차 선술집에서 안씨라는 성을 가진 대학원생과 ‘나’는 우연히 만난다. 우리는 자기 소개를 끝낸 후 얘기를 시작한다. 우선 ‘파리(Fly)’에 관한 이야기다. 파리를 사랑하느냐는 나의 질문에 그는 우..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 소설 작품 #03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채만식 레디메이드 인생 󰏅 작품해설 이 작품은 1930년대라는 식민지 시대의 무기력한 지식 청년들 생활상의 한 단면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 표상이 되고 있는 것이 P다. 한편 이 작품은 그 문장 기법으로 보아 독특한 부분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작품 여러 군데에는 사실들을 의도적으로 엇비슷하게 말하여 꼬집는 기법이 쓰여졌다. 이 소설 주인공 P는 좌파 운동을 하댜가 포기, 좌절한 인테리다. 그런 점으로 보아 이 작품은 다분히 전향 소설류에 속한다. 또한 30년대 중반기부터 프로 문학과 민족진영의 문학이 퇴조했다. 그리고 거기에 대체되어 풍조를 풍자적으로 다루는 소설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소설은 그런 류의 풍자, 고발 소설 가운데 하나다. (주제) 지식인 계층에 대한 비판과 풍자 식민지 사회의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 소설 작품 #02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최서해 홍염(紅焰) 󰏇 최서해 (崔曙海, 1901~1932) 본명 최학송. 그는 만주에서의 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글을 쓴 신경향파의 대표작가이다. 그는 작품 속에서 가난의 문제를 다룬 빈궁문학 작가이다. 그는 가난의 문제를 다루면서 가난의 원인을 개인에게서 찾지 않고 사회 구조(제도)의 모순에서 찾았다. 그래서 그 해결책으로 사회구조의 개혁을 주장한다(탈출기). 또 그런 모순에서 오는 가난에 저항하는 폭력적 행동조차도 긍정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홍염). ㅁ 󰏅 작품해설 이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는 다음 세 가지를 주목해야 한다. 첫째, 최서해는 만주 등지를 방랑하며 직업을 전전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을 했다. 둘째, 소재를 궁핍한 것에서 찾았으며 구성은 지주 대 소작인, 또는 공장주 대 노동자의 대립..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 소설 작품 #01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이광수 무정(無情) 󰏇 춘원 이광수 (李光洙, 1892~1950) 호는 춘원(春園). 평북 정주에서 출생. 일본 명치학원(明治學院) 중학부를 졸업하고 1915년 와세다(早稻田) 대학에 입학함. 1917년 에 「소년의 비애」, 「어린벗에게」 등 단편을 발표함. 1917년 에 현대적 장편 「무정」을 발표하여 한국문학사에 신기원을 이룩함. 1924 을 주재하고 편집국장, 편집국장 등을 역임함. 친일 문학 단체인 조선 문인 협회장을 역임함. 1940년 일본명 가야마 미쓰오(향산광랑, 香山光郞)으로 창씨개명하는 등 친일 행위를 함. 그의 작품 세계는 이상주의에 바탕을 둔 계몽적 민족 의식을 표현하고 1930년대에 이르러서는 역사 의식을 반영하는 쪽으로 나타남. 6․25때 납북되어 생사 불명이었으나 최근 1950년..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 소설 정리 #01 - 공무원 국어 - 문학 - 소설

1. 소설의 정의 소설은 허구적인 이야기와 서술적인 산문으로 인생을 표현하는 창작 문학의 한 장르이다. (1) 소설은 인생의 해석이다. (2) 소설은 적당한 길이의 산문으로 된 가공적(架空的)인 이야기이다. (3) 소설은 인생의 회화(繪畵)이다. (4) 소설은 독자에게 기쁨과 교훈을 주기 위해 기교적으로 쓴 연애․모험담의 픽션이다. (5) 소설은 인물에 대하여 꾸며 놓은 이야기이다. 2. 소설의 특성 ⑴ 소설의 네 가지 특성 ① 허구성(虛構性) : 자연과 인생을 모방. 반영한 가공적 사실로 이루어짐 → (가공적 사실) ② 진실성(眞實性) : 가공적인 사실을 통하여 인생의 참 모습을 추구함 → (진리탐구) ③ 예술성(藝術性) : 예술적인 새로운 세계를 창조함 → (예술적 작품세계) ④ 서사성(敍事性) :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12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불놀이 - 주요한 아아, 날이 저문다. 서편(西便) 하늘에, 외로운 강물 위에, 스러져 가는 분홍빛 놀……. 아아, 해가 저물면, 해가 저물면, 날마다 살구나무 그늘에 혼자 우는 밤이 또 오건마는, 오늘은 4월이라 파일날, 큰 길을 물밀어가는 사람 소리는 듣기만 하여도 흥성스러운 것을, ㉠왜 나만 혼자 가슴에 눈물을 참을 수 없는고? 아아, 춤을 춘다, 춤을 춘다. 싯벌건 불덩이가 춤을 춘다. 잠잠한 성문(城門) 우에서 나려다 보니, 물 냄새, 모래 냄새, 밤을 깨물고 하늘을 깨무는 횃불이 그래도 무엇이 부족하야 제 몸까지 물고 뜯을 때, 혼자서 어두운 가슴 품은 젊은 사람은 과거(過去)의 퍼런 꿈을 찬 강물 우에 내여던지나 무정(無情)한 물결이 그 그림자를 멈출 리가 있으랴? ―아아, 꺾어서 시들지 않..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11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향수(鄕愁) - 정지용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배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립어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傳說)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9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광야(曠野) - 이육사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시집 󰡔육사 시집󰡕, 1946) ▶ 감상의 초점 광막한 공간과 아득한 시간을 배경으로 강인한 지사적 의지를 노래한 시다. 화자는 이곳에 서서 태초를 포함한 역사(歷史)를 생각하고, 미래의 찬란한 역사를 위해서 자신을 희생할 것을 생각하고 있다. 이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8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낙타 - 이한직 눈을 감으면 어린 시절 선생님이 걸어 오신다. 회초리를 드시고 선생님은 낙타처럼 늙으셨다. 늦은 봄 햇살을 등에 지고 낙타는 항시 추억한다. ―옛날에 옛날에― 낙타는 어린 시절 선생님처럼 늙었다. 나도 따뜻한 봄볕을 등에 지고 금잔디 위에서 낙타를 본다. 내가 여윈 동심의 옛 이야기가 여기 저기 떨어져 있음직한 동물원의 오후. (󰡔문장󰡕 7호, 1939.8) ▶ 감상의 초점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자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머리 속세 그려 보아야 한다. 화자는 동물훤에서 낙타를 바라보면서 옛날의 늙으신 선생님을 떠올리고, 동심(童心)의 세계를 그리워하고 있다. 이 시인은 초기에는 카프(KAPF) 계열의 정치 지향성과 모더니즘의 주지시를 모두 비판하고 순수시를 지향했으며,..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7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4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시집 󰡔52인 시집󰡕, 신구문화사, 1967) * 초례청 : 혼인 예식을 치르는 곳. ▶ 감상의 초점 4·19 혁명과 동학 혁명을 통해 시인은 민중의 끈질긴 생명력과 민주에의 열망을 확인하고 이것을 억압하는 모든 비본질적 요소들이 사라지기를 희망한다. ‘한라에서 백두까지’라든가, ‘중립의 초례청’ 같은 구절을 보면 외세의 간섭이 없는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6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종소리 - 박남수 ㉠나는 떠난다. 청동(靑銅)의 표면에서 일제히 날아가는 ㉡진폭(振幅)의 새가 되어 광막한 하나의 울음이 되어 하나의 소리가 되어. 인종(忍從)은 끝이 났는가. 청동의 벽에 ‘역사’를 가두어 놓은 칠흑의 감방에서. 나는 바람을 타고 들에서는 푸름이 된다. 꽃에서는 웃음이 되고 천상에서는 악기가 된다. 먹구름이 깔리면 ㉢하늘의 꼭지에서 터지는 뇌성(雷聲)이 되어 가루 가루 가루의 음향이 된다. (시집 󰡔신의 쓰레기󰡕,1964 / 󰡔새의 암장󰡕,1970)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박남수의 후기 대표작으로 이미지에 의한 표현을 중시하고, 인간 존재의 가치를 탐구한 주지시다. 종 소리를 의인화하여 자유를 향한 비상(飛翔)과 확신을 남성적, 역동적 심상으로 노래하였다. 관념의 표상으로 인식되기 쉬..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5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향현(香峴) - 박두진 아랫도리 다박솔 깔린 산(山) 너머 큰 산 그 너멋 산 안 보이어, 내 마음둥둥 구름을 타다. 우뚝 솟은 산, 묵중히 엎드린 산, 골골이 장송(長松) 들어섰고, 머루 다래넝쿨 바위 엉서리에 얽혔고, 샅샅이 떡갈나무 억새풀 우거진 데, 너구리, 여우, 사슴, 산토끼, 오소리, 도마뱀, 능구리 등 실로 무수한 짐승을 지니인. 산, 산, 산들! 누거 만년(累巨萬年) 너희들 침묵이 흠뻑 지리함 직하매. 산이여! 장차 너희 솟아난 봉우리에, 엎드린 마루에, 확 확 치밀어 오를 화염(火焰)을 내 기다려도 좋으랴? 핏내를 잊은 여우 이리 등속이 사슴 토끼와 더불어, 싸릿순, 칡순을 찾아함께 즐거이 뛰는 날을 믿고 길이 기다려도 좋으랴? (󰡔문장󰡕 5호, 1939.6)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4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섬진강 1 - 김용택 가문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퍼가도 퍼가도 전라도 실핏줄 같은 개울물들이 끊기지 않고 모여 흐르며 해 저물면 저무는 강변에 쌀밥 같은 토끼풀꽃, 숯불 같은 자운영꽃 머리에 이어주며 지도에도 없는 동네 강변 식물도감에도 없는 풀에 어둠을 끌어다 주이며 그을린 이마 훤하게 꽃등도 달아준다 흐르다 흐르다 목메이면 영산강으로 가는 물줄기를 불러 뼈 으스러지게 그리워 얼싸안고 지리산 뭉툭한 허리를 감고 돌아가는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섬진강물이 어디 몇 놈이 달려들어 퍼낸다고 마를 강물이더냐고, 지리산이 저문 강물에 얼굴을 씻고 일어서서 껄껄 웃으며 무등산을 보며 그렇지 않느냐고 물어보면 노을 띤 무등산이 그렇다고 훤한 이마 끄덕이는 고갯짓을 바라보며 저무는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어디 몇몇..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3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겨울 바다 - 김남조 ㉠겨울 바다에 가 보았지. 미지(未知)의 새, 보고 싶던 새들은 죽고 없었네. 그대 생각을 했건만도 매운 해풍에 그 진실마저 눈물져 얼어 버리고 허무의 불 물 이랑 위에 불 붙어 있었네. 나를 가르치는 건 언제나 시간……. 끄덕이며 끄덕이며 ㉡겨울 바다에 섰었네. 남은 날은 적지만 기도를 끝낸 다음 더욱 뜨거운 기도의 문이 열리는 그런 영혼을 갖게 하소서. 남은 날은 적지만 ㉢겨울 바다에 가 보았지 인고(忍苦)의 물이 수심(水深) 속에 기둥을 이루고 있었네. (시집 󰡔겨울 바다󰡕, 1967)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겨울 바다가 주는 절망감과 허무 의식을 극복하고, 신념화된 삶의 의지를 그린 작품이다. ‘물과 불’의 긴장된 대립으로 사랑과 삶의 생성과 소멸, 갈등을 보여 준다. ‘겨..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2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낡은 우물이 있는 풍경(風景) - 김종한(金鍾漢) 능수버들이 지키고 섰는 낡은 우물가 우물 속에는 푸른 하늘 조각이 떨어져 있는 윤사월(閏四月) ― 아주머님 지금 울고 있는 저 뻐꾸기는 작년에 울던 그놈일까요? 조용하신 당신은 박꽃처럼 웃으시면서 두레박을 넘쳐 흐르는 푸른 하늘만 길어 올리시네 두레박을 넘쳐 흐르는 푸른 전설 만 길어 올리시네 언덕을 넘어 황소의 울음 소리도 흘러 오는데 ― 물동이에서도 아주머님 푸른 하늘이 넘쳐 흐르는구려. (󰡔조선일보󰡕, 1937.1.1) ▶ 감상의 초점 󰡔낡은 우물이 있는 풍경󰡕이란 제목에서 느껴지는 것은 한 곳에 정착하여 오랜 세월을 두고 살아온 한 집안의 깊은 연륜(年輪)과 그윽한 분위기이다. 이 시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능수버들, 낡은 우물가, 푸른 하늘, ..

잡스 국어 2020.03.13

현대시 모음 #01 - 공무원 국어 - 문학 - 시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 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 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시집 󰡔우리가 물이 되어󰡕, 1986) ▶ 감상의 초점 시의 제목부터가 매우 함축적이다. ‘우리’, ‘물’, ‘가뭄’, ‘불’, ‘넓고 깨끗한 하늘..

잡스 국어 2020.03.13

장음[긴소리] 정리, 장음 원칙

● 장음 원칙 원칙 1 : 첫음절에서만 긴소리 ex ) 눈;보라/ 말;씨/ 천눈/ 참말 원칙 2 : 합성어인 경우 둘째 음절 이하도 긴소리 ex) 반; 신 바; 늬 예외 2 : 첩어의 경우 대체로 둘째 음절을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음 ex) 영;영 반;반 시;시비비 정;정당당 심;심삼천 원칙 3 : 모음 축약 시 긴소리 원칙 4 : 긴소리 라도 모음 어미 뒤 짧은소리 원칙 5 : 피동 사동 접미사 올 때 짧은소리 예외 5 : 끌 벌 없 썰 떨 주의!!! ● 소리 길이 따른 의미 차이[암기법] 말을 타고 말:을 한다. 눈에 눈:이 들어갔다. 밤에 밤:을 먹었다. 발에 발:이 걸렸다. 벌을 받다 벌:에 쏘였다. 배(船 梨)가 배:나 많다. ● 자주 출제되는 장음 예 성; 인 [군자] 가; 정 [법] 감; 정 ..

잡스 국어 2020.03.10

고유어 정리

다락같다(비쌈) 생때같다(튼튼) 미쁘다(믿음성) 아파서 그런지 눈이 상큼하다 골막하다(조금 모자란) 접두사 강 1.섞이지 않은(강소주) 2.물기 없는(강모) 돌쟁이(첫돌 아기) 미욱쟁이(어리석은) 애면글면하다(갖은 애를 쓰다) 방불하다(흐릿,어렴풋) 시나브로(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고샅(좁은 골목길) 시러베아들(실없는 사람) 어안(어이없어 말 못하는 "혀 안") 호도(흐지부지 덮어 버림) 파방(과거 합격자 취소하던 일) 방증(간접증거) 회자(좋은 일로) 미립(경험 통해 얻은 이치 요령) 알짬(여럿 가운데 가장 중요) 물매(경사도) 왜장질[쓸데없이 떠듦,귀찮게 굶(x)] 구듭치다(힘든 뒤치다꺼리) 흘게(단단하게 조인 정도) 흘게가 늦다(야무지지 못함) 흘게 빠지다(똑똑하지 못함) 노박이(붙박이,방언임) 노..

잡스 국어 2020.03.10

고유어, 관용구 어휘 정리#02

꼭뒤(뒤통수) 도고지(활 시위, 심고 맞닿는 부분) 꼭뒤를 지르다(세력이나 힘으로 누르다) 꼭뒤에 피도 안마르다 (아직 어리다) 꼭뒤가 세 뼘 (몹시 거만) 다락같다(비쌈) 생때같다(튼튼) 미쁘다(믿음성) 아파서 그런지 눈이 상큼하다 골막하다(조금 모자란) 접두사 강 1.섞이지 않은(강소주) 2.물기 없는(강모) 돌쟁이(첫돌 아기) 미욱쟁이(어리석은) 애면글면하다(갖은 애를 쓰다) 방불하다(흐릿,어렴풋) 시나브로(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고샅(좁은 골목길) 시러베아들(실없는 사람) 어안(어이없어 말 못하는 "혀 안") 호도(흐지부지 덮어 버림) 파방(과거 합격자 취소하던 일) 방증(간접증거) 회자(좋은 일로) 미립(경험 통해 얻은 이치 요령) 알짬(여럿 가운데 가장 중요) 물매(경사도) 왜장질[쓸데없이 떠..

잡스 국어 2020.03.10

공무원 국어 기출 문제[문학] #02

기출문제[문학] Q 밑줄 친 시어에서 ‘외롭고 쓸쓸한 화자의 심정’을 나타내기 위해 동원된 객관적 상관물로서 화자 자신과 동일시되는 소재는? ㉠春雨暗西池 / 봄비 내리니 서쪽 못은 어둑한데 輕寒襲㉡羅幕 / 찬바람은 비단 장막으로 스며드네. 愁依小㉢屛風 / 시름에 겨워 작은 병풍에 기대니 墻頭㉣杏花落 / 담장 위에 살구꽃이 떨어지네. ① ㉠ ② ㉡ ③ ㉢ ④ ㉣ 【해설】 정답 ④ 허난설헌 ‘봄비’ 규중 여인의 외로운 심사를 전달하면서 봄비와 찬바람에 떨어져 내리는 살구꽃이 자신의 신세와 같다고 여기고 있다. 따라서 ‘봄비’와 ‘찬바람’ 등은 객관적 상관물은 될 수 있지만 문제에서 ‘화자 자신과 동일시되는 소재’를 찾으라고 했으므로 답이 될 수 없다. 객관적 상관물이면서 화자 자신과 동일시되는 소재는 ‘행화..

잡스 국어 2020.03.09

공무원 국어 기출 문제[비문학] #02

기출문제[비문학] Q 밑줄 친 말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하나의 패러다임의 형성은 당초에는 불완전하며, 다만 이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소수 특정 부분의 성공적인 결과를 약속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패러다임의 정착은 연구의 정밀화, 집중화 등을 통하여 자기 지식을 확장해가며 차츰 폭 넓은 이론 체계를 구축한다. 이처럼 과학자들이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를 진척시키는 것을 쿤은 ‘정상 과학’이라고 부른다. 기초적인 전제가 확립되었으므로 과학자들은 이 시기에 상당히 심오한 문제의작은 영역들에 집중함으로써, 그렇지 않았더라면 상상조차 못했을 자연의 어느 부분을 깊이있게 탐구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각종 실험 장치들도 정밀해지고 다양해지며, 문제를 해결해 가는 특정 기법과 규칙들이 만들어진다. ..

잡스 국어 2020.03.09

공무원 국어 기출 문제[비문학] #04

Q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우리 사회에 사형 제도에 대한 해묵은 논쟁이 다시 일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여론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 국민의 70% 정도는 사형 제도가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과연 그 믿음대로 사형 제도는 정의를 실현하는 제도일까? 세계에서 사형을 가장 많이 집행하는 미국에서는 연간 10만 건이상의 살인이 벌어지고 있으며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또한 ㉡2006년 미국의 범죄율을 비교한 결과 사형 제도를 폐지한 주의 범죄율이 유지하고 있는 주보다 오히려 낮았다. 이는 사형 제도가 범죄 예방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근거 없는 기대일 뿐임을 말해 준다. 또한 사형 제도는 인간에 대한 너무도 잔인한 제도이다. 사람들은 일부 국가에서 행해지..

잡스 국어 2020.03.08

공무원 국어 기출 문제[어휘 및 한자] #02

Q 밑줄 친 말의 의미는? 몇 달 만에야 말길이 되어 겨우 상대편을 만나 보았다. ① 남의 말이 끝나자마자 이어 말하다. ② 자신을 소개하는 길이 트이다. ③ 어떤 말이 상정되거나 토론이 되다. ④ 마음에 당겨 재미를 붙이다. 【해설】 정답 ② ‘말길이 되어’가 '몇 달 만에야‘, ’겨우~ 만나 보았다‘와 같은 문맥 말길이 되다 : 남에게 소개하는 의논의 길이 트이다. [오답 풀이] ① 맛(을) 붙이다 ② 말이 있다 ④ 말꼬리를 물다 Q 괄호에 들어갈 숫자의 합은? ○ 쌈 : 바늘 ( ) 개를 묶어 세는 단위 ○ 제(劑) : 한약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 한 제는 탕약(湯藥) ( ) 첩 ○ 거리 : 한 거리는 오이나 가지 ( ) 개 ① 80 ② 82 ③ 90 ④ 94 【해설】 정답 ④ ○ 쌈 : 「의존명..

잡스 국어 2020.03.08

공무원 국어 기출 문제[문학] #03

Q 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 비 그치면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오것다. 푸르른 보리밭길 맑은 하늘에 종달새만 무어라고 지껄이것다. 이 비 그치면 시새워 벙글어질 고운 꽃밭 속 처녀애들 짝하여 새로이 서고,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香煙)과 같이 땅에선 또 아지랑이 타오르것다. -이수복, 봄비 - ① 비유를 통해 애상적 정서를 환기하고 있다. ② 3 음보의 변형 민요조 율격을 지니고 있다. ③ 동일한 종결 어미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④ 주관을 배제한 시각으로 자연을 묘사하고 있다. 【해설】 정답 ④ ‘-것다’라는 어미는 예스러운 표현으로 틀림없이 그러할 것임을 추측하거나 다짐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따라서 ‘주관을 배제한 시각’이라는 설명은 맞지 않다..

잡스 국어 2020.03.08

현대시 정리 #02 [공무원 국어]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국어 2020.03.08

현대시 정리 #01 [공무원 국어]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국어 2020.03.08

서동요(薯童謠), 4구체 향가

서동요(薯童謠) 善化公主主隱(선화공주주은) 他密只嫁良置古(타밀지가량치고) 薯童房乙(서동방을) 夜矣卯乙抱遣去如(야의묘을포견거여)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정을 통해 두고 맛동(서동) 도련님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작자 : 백제 제 30대 무왕, 서동(薯童)/ 양주동 해독 연대 : 신라 진평왕 때(599년 이전) 갈래 : 4구체 향가 구성 : 1-2행 시상의 발단/원인, 3-4행 서동과의 밀애/결과 성격 : 참요[시대적 상황이나 정치적 징후 따위를 암시하는 민요. 신라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을 암시한 〈계림요〉, 조선의 건국을 암시한 〈목자요(木子謠)〉, 미나리와 장다리로 인현 왕후와 장 희빈을 관련지어 노래한 〈미나리요〉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예언, 암시하는 노래], 동요 표현 : 풍자적, 직설적 제재 : 선..

잡스 국어 2020.03.08

외래어 표기 암기

con 뒤에 "에" : 콘콘덴서 콘셉트 콘테스트 콘트라베이스 콘센트 콘택트렌즈 콘텐츠 콘티넨탈 콤플렉스 *예외 컨베이어 컨테이너 1음절 강세 "코", 2음절 강세 "커"코멘트 콤플렉스 코미디 콘텐츠 콘서트 컴퓨터 커미션 컨버터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01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잡스 국어 2020.03.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