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월령체

정월령(正月令) 1월은 초봄이라 입춘, 우수의 절기로다. 산 속 골짜기에는 얼음과 눈이 남아 있으나, 넓은 들과 벌판에는 경치가 변하기 시작하도다. 어와, 우리 임금님께서 백성을 사랑하고 농사를 중히 여기시어, 농사를 권장하시는 말씀을 방방곡곡에 알리시니, 슬프다 농부들이여, 아무리 무지하다고 한들 네 자신의 이해관계를 제쳐 놓고라도 임금님의 뜻을 어기겠느냐? 밭과 논을 반반씩 균형 있게 힘대로 하오리다. 일 년의 풍년과 흉년을 예측 하지는 못한다 해도, 사람의 힘을 다 쏟으면 자연의 재앙을 면하나니, 제 각각 서로 권면하여 게을리 굴지 마라. 일 년의 계획은 봄에 하는 것이니 모든 일을 미리 하라. 만약 봄에 때를 놓치면 해를 미칠 때까지 일이 낭패 되네, 농지를 다스리고 농우를 잘 보살펴서, 재거름을..

양반전(兩班傳), 박지원, 한문 소설

양반이란, 사족(士族)들을 높여서 부르는 말이다. 정선군(旌善郡)에 한 양반이 살았다. 이 양반은 어질고 글읽기를 좋아하여 매양 군수가 새로 부임하면 으레 몸소 그 집을 찾아와서 인사를 드렸다. 그런데 이 양반은 집이 가난하여 해마다 고을의 환자를 타다 먹은 것이 쌓여서 천 석에 이르렀다. 강원도 감사(監使)가 군읍(郡邑)을 순시하다가 정선에 들러 환곡(還穀)의 장부를 열람하고 대노해서, "어떤 놈의 양반이 이처럼 군량(軍糧)을 축냈단 말이냐?" 하고, 곧 명해서 그 양반을 잡아 가두게 했다. 군수는 그 양반이 가난해서 갚을 힘이 없는 것을 딱하게 여기고 차마 가두지 못했지만 무슨 도리가 없었다. 양반 역시 밤낮 울기만 하고 해결할 방도를 차리지 못했다. 그 부인이 역정을 냈다. "당신은 평생 글읽기만 ..

금오신화(金鰲新話), 김시습

조선 초기에 김시습 ( 金時習 )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로 인정되고 있다. 완본은 전하지 않으며,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 〉 · 〈 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 〉 · 〈 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 〉 · 〈 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 〉 · 〈 용궁부연록 龍宮赴宴錄 〉 등 5편이다. 창작 당대부터 희귀본이어서 옛 문헌에 이따금 단편적인 기록이 남아 있을 뿐 한말 이래 현품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일본에서 전해오던 목판본 ≪ 금오신화 ≫ 를 최남선 ( 崔南善 )이 발견하여 잡지 ≪ 계명 啓明 ≫ 19호를 통해 1927년에 국내에 소개하였다. 이 목판본은 1884년(고종 21) 동경에서 간행된 것이며, 상 · 하 2책으로 되어 있다. 상권은 32장으로 서(序)..

동심가(同心歌), 이중원, 개화가사, 계몽적

동심가(同心歌) 핵심 정리 문명개화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를 바탕으로, 민족이 단결하여 문명개화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 갈래 : 개화 가사 * 성격 : 계몽적, 교훈적 * 제재 : 문명개화 * 주제 : 문명개화를 위한 민족의 일치 단결 * 특징 ① 청유형 어미를 통해 계몽적 성격을 드러냄. ② 개화의 목표와 방법을 ‘고기’와 ‘그물’에 비유하여 형상화함. ③ 대구법과 풍유법을 사용함. * 출전 : “독립신문”(1896) 시어 풀이 * 회동(會同) : 함께 모임. * 구구세절(區區細節) : 여러 가지 잡다한 일들. * 회빈(回賓) : ‘회빈작주(回賓作主)’의 준말. 손님이 주인을 제쳐 놓고 주인처럼 행동하는 것. * 동심결(同心結) : 두 고를 내고 맞죄어 짓는 매듭. ‘고’는 끈 따위..

애국하는 노래, 이필균, 개화 가사

애국하는 노래 핵심 정리 개항 이후 밀려드는 외세에 맞서 독립을 지키고 문명개화를 통해 부강한 국가를 건설할 것을 노래한 개화 가사이다. * 갈래 : 개화 가사, 애국 가사 * 성격 : 계몽적, 교훈적, 교술적 * 제재 : 애국 개화 * 주제 : 개화 · 계몽을 통한 애국 * 특징 ① 4·4조의 4음보 외형률, 분연체 형식의 노래임. ② 민요의 선후창(先後唱) 형식을 계승하여 각 절의 뒷부분을 합가로 하고 있음. ③ 청유형 어미를 사용하여 계몽적 의도를 드러냄. * 출전 : “독립신문”(1896) 시어 풀이 * 츙군(忠君) : 임금에게 충성함. * 군면 : 뜻이 확실치 않음. ‘국민(國民)’, 또는 ‘임금의 명령’이라는 뜻의 ‘군명(君命)’으로 추측됨. * 부국강병(富國强兵) :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군..

경부철도가(京釜鐵道歌), 최남선, 7ㆍ5조의 창가

경부철도가(京釜鐵道歌) 【원문】 - 최남선 창가 『우렁탸게 토하난 긔뎍(汽笛) 소리에 남대문을 등디고 떠나 나가서 빨니 부난 바람의 형세 갓흐니 날개 가딘 새라도 못 따르겟네. 늙은이와 뎖은이 셕겨 안졋고 우리네와 외국인 갓티 탓으나 내외 틴소(親疏) 다갓티 익히 디내니 됴고마한 딴 세상 뎔노 일웟네.』 - 전반부 - 【풀이】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 남대문을 등지고(서울역을)떠나 나가서, 빨리 부는 바람과 같은 형세니,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 제1절 - 기차의 빠름 늙은이와 젊은이가 섞여 앉았고, 우리네와 외국인이 같이 탔으나, 내외 친소 다 같이 알고 지내니, 조그마한 딴 세상을 저절로 이루었네. ☞ 제2절 - 별세계를 이룬 기차 안 【해설】 1908년 최남선(崔南善)이 지은 창가...

혈(血)의 누(淚), 이인직, 청일전쟁 배경 신소설

혈(血)의 누(淚) 작자소개 - 이인직(李人稙: 1862-1916) 경기도 이천 출생. 호는 국초(菊初). 도쿄 정치학교 수학. 1906년 주필. 1907년 를 매입하여 을 창간. 이후 신파극 운동에 공헌. 그는 우리 근대 문학 운동에 이바지했으며, 고종의 내탕금을 출자 받아 를 창립하여 한국 근대 연극사의 선구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인직은 신소설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최초로 사실적 산문 문장을 구사하여 신소설 문학을 태동시켰으나, 친일 의식과 반민족 의식을 드러낸 작품을 썼다. 주요 작품으로는 (1906, 연재), , , , 등이 있다. 요점정리 배경 : 구한말 서울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인물 : 김관일, 그의 부인 최씨, 딸 옥련, 구완서 등 표현상의 특징 : ① 운문투·한문투 탈피, 묘사적..

금수회의록, 안국선, 계몽적, 풍자적 신소설

서언(序言) 머리를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니 일월과 성신이 천추의 빛을 잃지 아니하고, 눈을 떠서 땅을 굽어보니 강해와 산악이 만고의 형상을 변치 아니하도다. 어느 봄에 꽃이 피지 아니하며, 어느 가을에 잎이 떨어지지 아니하리요. 우주는 의연히 백대(百代)에 한결같거늘, 사람의 일은 어찌하여 고금이 다르뇨? 지금 세상 사람을 살펴보니 애달프고, 불쌍하고, 탄식하고, 통곡할 만하도다. 전인의 말씀을 듣든지 역사를 보든지 옛적 사람은 양심이 있어 천리(天理)를 순종하여 하느님께 가까웠거늘, 지금 세상은 인문이 결딴나서 도덕도 없어지고, 의리도 없어지고, 염치도 없어지고, 절개도 없어져서, 사람마다 더럽고 흐린 풍랑에 빠지고 헤어나올 줄 몰라서 온 세상이 다 악한 고로, 그름?옳음을 분별치 못하여 악독하기로 유..

무정, 이광수, 최초 근대 장편 소설

1910년대 개화한 조선의 청춘 남녀들의 사랑을 소재로 하여 신교육과 자유연애로 대표되는 근대화의 의지나 계몽 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다. * 갈래 : 장편 소설, 계몽 소설, 연재소설 * 성격 : 민족주의적, 계몽적, 설교적, 근대적 * 배경 ① 시간 - 1910년대 개화기 ② 공간 - 경성, 평양, 삼랑진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주제 : 신교육과 자유연애 사상의 고취 및 계몽 * 특징 ①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 ② 민족의식 고취와 자유연애 사상이라는 계몽성과 대중성을 고루 갖춤. * 출전 : “매일신보”(1917) 어휘 풀이 * 그네 : 그들. * 북해도 : 홋카이도. 일본의 제일 북쪽에 있는 섬. * 아이누(Ainu) : 일본의 북해도 및 러시아의 사할린에 사는 한 종족. 유럽 인종..

나는 왕이로소이다, 홍사용, 낭만주의 시

나는 왕이로소이다 - 홍사용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님의 가장 어여쁜 아들 나는 왕이로소이다. 가장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서…. 그러나, 시왕전(十王殿)에서도 쫓기어 난 눈물의 왕이로소이다. "맨 처음으로 내가 너에게 준 것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께서 물으시며는 "맨 처음으로 어머니께 받은 것은 사랑이었지요마는 그것은 눈물이더이다"하겠나이다. 다른 것도 많지요마는…. "맨 처음으로 네가 나에게 한 말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께서 물으시며는 "맨 처음으로 어머니에게 드린 말씀은 '젖 주셔요'하는 그 소리였지요마는, 그것은 '으아-'하는 울음이었나이다" 하겠나이다. 다른 말씀도 많지요마는…. 이것은 노상 왕에게 들리어 주신 어머니의 말씀인데요. 왕이 처음으로 이 세상에 올 때에는 어머..

떠나가는 배, 박용철, 수미상관, 의도적 띄어쓰기 [현대시]

떠나가는 배 박용철 나 두 야 간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 거냐 나 두 야 가련다 아늑한 이 항군들 손쉽게야 버릴 거냐 안개같이 물 어린 눈에도 비치나니 골잭이마다 발에 익은 묏부리 모양 주름살도 눈에 익은 아 ─ 사랑하는 사람들 버리고 가는 이도 못 잊는 마음 쫓겨 가는 마음인들 무어 다를 거냐 돌아다보는 구름에는 바람이 희살 짓는다 앞 대일 언덕인들 마련이나 있을 거냐 나 두 야 가련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 거냐 나 두 야 간다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서정적, 낭만적, 의지적 * 제재 : 이별 * 주제 : 떠나는 이의 비애 * 특징 ① 수미 상관의 구조를 취하고 있음. ② ‘-거냐’의 의문형 어미와 ‘-련다’와 같은 종결 어미를 통해 의지적 태도를 드러내고..

카인의 후예, 황순원

* 갈래 : 장편 소설 * 성격 : 사실적, 고발적, 인도주의적 * 배경 ① 시간 - 해방 직후 ② 공간 - 평안도 양짓골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주제 ① 분단된 민족의 비극 ② 젊은 남녀의 건강한 사랑 이해와 감상 ‘카인의 후예’는 해방 후의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농민들의 고통과 갈등, 역사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상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급변하는 상황에 처음에는 당황하지만 곧 눈앞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는 농민들의 모습과 과거 자신들의 소행이 드러나는 것이 두려워 지주를 숙청하는 것에 앞장서는 마름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또한 토지 개혁이 실시되어 지주 제도가 몰락하는 과정을 다양하게 묘사하고 있다. 황순원의 소설 중 드물게 당대의 정치적 사건이 드러나 있으며, 고발 문학적..

황토기(黃土記), 김동리

김동리(金東里,1913 -1995) 본명 시종(始鍾). 경북 경주(慶州) 출생. 경주제일교회 부설학교를 거쳐 대구 계성중학에서 2년간 수학한 뒤, 1929년 서울 경신중학(儆新中學) 4년에 중퇴하여 문학수련에 전념하였다. 박목월(朴木月) ·김달진(金達鎭) ·서정주(徐廷柱) 등과 교유하였다. 1934년 시 《백로(白鷺)》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함으로써 등단하였다. 이후 몇 편의 시를 발표하다가 소설로 전향하면서 1935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화랑의 후예》,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산화(山火)》가 당선되면서 소설가로서의 위치를 다졌다. 1947년 청년문학가협회장, 1951년 동협회부회장, 1954년 예술원 회원, 1955년 서라벌예술대학 교수, 1969년 문협(文協) 이사장, ..

태평천하, 채만식, 가족의 붕괴, 풍자 소설

1930년대 후반 서울을 배경으로 하여 세대 간의 가치관 갈등과 대립으로 인해 한 대지주 집안이 붕괴되는 과정을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수법으로 그린 작품이다. * 갈래 : 중편 소설, 풍자 소설 * 성격 : 풍자적, 반어적 * 배경 ① 시간 - 1930년대 후반 ② 공간 - 서울의 어느 대지주 집안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주제 : 일제 강점기 한 지주 집안의 세대 간 갈등과 이로 인한 가족의 붕괴 * 특징 ① 비유, 과장, 반어, 희화화 등을 통해 대상을 격하하고 독자의 웃음을 유발함. ② 일제 강점기를 태평천하로 믿는 윤 직원을 통해 당시의 현실을 풍자함. ③ 경어체를 사용하여 판소리 창자(唱者)와 같은 효과를 냄. * 출전 : “조광”(1938) 어휘 풀이 * 장자 : 큰 부자를 점잖게 이르..

삼대, 염상섭, 현실비판, 가족사 장편 소설

삼대에 걸친 가족의 삶을 중심으로 당대의 가족 간의 갈등과 사회적 계층 간의 대립을 통해 급변하고 있는 당시 사회의 실상을 자세히 보여 주고 있다. * 갈래 : 장편 소설, 세태 소설, 가족사 소설 * 성격 : 사실주의적, 현실 비판적 * 배경 ① 시간 - 일제 강점기(1920 ~ 1930년대) ② 공간 - 서울 중산층의 집안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주제 : 일제 강점기 중산층 가문을 둘러싼 재산 상속 문제와 세대 갈등을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사회상 * 특징 ① 당시의 풍속과 세대 간의 갈등을 사실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함. ② 사건의 전개보다 인물들 간의 관계나 사고방식, 행동 양식을 보여 주는 데 초점을 맞춤. 어휘 풀이 * 말눈치 : 말하는 가운데 은근히 드러나는 어떤 태도. * 전도(顚倒..

고향(故鄕), 이기영, 농촌 소설

이기영(李箕永) 1896년 5월 6일 충청남도 아산 출생. 호는 민촌(民村).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농민 소설 작가. 대표작에 , 중편, 장편 등이 있음. 해방 직후 월북함. 요점정리 갈래 : 장편소설, 농민소설 배경 : 시간 - 1920년대 말 공간 - 농촌(원터 마을)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경향 : 카프 계열, 사회주의 리얼리즘 의의 : 농민 중심의 대표적 농민소설. 제재 : 식민 통치로 점점 피폐해지는 농촌 생활 주제 : 난관을 극복해 나가는 농민들의 의식의 성장. 인물 : 김희준 - 주인공. 동경 유학생 출신. 농민 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농촌 운동가. 농민을 결속시켜 안승학과 대결한다. 안승학 - 서울 민 판서 집의 마름. 새롭게 부상(浮上)한 신흥 세력가. 농민 착취의 전형적 인물...

띄어쓰기 안되는 단어, 한 단어

● 부부간, 고부간, 형제간 관계를 의미하는 ‘간’은 의존명사로 띄어쓰기가 원칙. 하지만 한 단어로 굳어진 말들 ● 무의식중, 한밤중, 은연중, 부재중, 그중 한 단어로 굳어진 말들 cf) 회의 중, 이 중 ● 등한시, 도외시, 백안시 접미사 ‘-시’가 붙은 말들 ● 얽히고설키다, 알아주다, 알아보다, 걸어오다, 살펴보다, 찾아보다, 앞서가다, 하염없다, 끊임없다, 쓸데없다, 속절없다, 주책없다, 안절부절못하다, 못지아니하다, 못지않다, 불러일으키다. ● 지난봄, 지난여름, 지난가을, 지난겨울, 지난주, 지난밤, 지난날, 지난달, 지난해, 지난번, 며칠 ‘지난여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바로 전에 지나간 여름’을 의미하는 낱말로 등재. 이는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합성어로 인정된 말이므로 ‘지난여름’으로..

잡스 국어 2020.06.06

단위 표시 어휘, 단위명사 띄어쓰기

● 단위 표시 어휘 닢: 납작한 물건을 세는 단위 단: 땔나무, 짚, 채소 등의 묶음을 세는 단위 땀: 실을 꿴 바늘로 한 번 뜬 자국을 세는 단위 매: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단위 매: 종이나 널빤지 따위를 세는 단위 모숨: 길고 가는 물건의, 한 줌쯤 되는 분량을 세는 단위 문: 포나 기관총 따위의 무기를 세는 단위 발: 두 팔을 양옆으로 벌렸을 때, 한쪽 손끝에서 다른 한쪽 손끝까지의 길이 사리: 국수, 실 새끼 등의 뭉치를 세는 단위 줌: 한 손으로 쥘만 한 분량을 세는 단위 톨: 밤이나 곡식 등의 낱알을 세는 단위 갈이: 소 한 마리가 하루에 갈 수 있을 만한 논밭의 넓이 강다리: 쪼갠 장작을 묶어 세는 단위, 장작 100개비 고리: 소주 10사발 길: 사람 키 정도의 길이 꾸러미: 달걀 10개 ..

잡스 국어 2020.06.06

틀리다, 다르다

* 틀리다 : 동사. : 「1」【(…을)】셈이나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 (예) 답이 틀리다/계산이 틀리다/대사를 하나도 안 틀리다/답을 틀리다니 이해할 수가 없구나. 「2」바라거나 하려는 일이 순조롭게 되지 못하다. (예) 오늘 이 일을 마치기는 틀린 것 같다./잠자기는 다 틀렸다/우리도 그이 얼굴을 한번 볼까 했더니 틀렸구먼. 「3」마음이나 행동 따위가 올바르지 못하고 비뚤어지다. (예) 그는 인간이 틀렸어./그 사람은 외모는 출중한데 성격이 틀렸어. * 다르다 : 「형용사」 「1」【(…과)】((‘…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 (예) 아들이 아버지와 얼굴이 다르다./나는 너와 다르다./군자와 소인은 다르다./..

잡스 국어 2020.06.06

늘리다, 늘이다

* 늘리다 : ‘늘다’의 사동사. 【…을】 「1」물체의 길이나 넓이, 부피 따위를 본디보다 커지게 하다. (예) 바짓단을 늘리다. 「2」수나 분량, 시간 따위를 본디보다 많아지게 하다. (예) 학생 수를 늘리다/시험 시간을 30분 늘리다. 「3」힘이나 기운, 세력 따위를 이전보다 큰 상태가 되게 하다. (예) 적군은 세력을 늘린 후 다시 침범하였다. 「4」재주나 능력 따위를 나아지게 하다. (예) 실력을 늘려서 다음에 다시 도전해 보아라. 「5」살림을 넉넉해지게 하다. (예) 살림을 늘리다/그 집은 알뜰한 며느리가 들어오더니 금세 재산을 늘려 부자가 되었다. 「6」시간이나 기간을 길어지게 하다. (예) 쉬는 시간을 늘리다. * 늘이다 : 【…을】 「1」본디보다 더 길게 하다. (예) 고무줄을 늘이다/엿가..

잡스 국어 2020.06.06

언어 기호의 특성

Q 다음에서 알 수 있는 언어 기호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 언어는 문장, 단어, 형태소, 음운으로 쪼개어 나눌 수 있다. 특히 한정된 음운을 결합하여서 수많은 형태소, 단어를 만들고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 언어는 외부 세계를 반영할 때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한다. 실제로 무지개 색깔 사이의 경계를 찾아볼 수 없는데도 우리는 무지개 색깔이 일곱 가지라고 말한다. ① 추상성 ② 자의성 ③ 분절성 ④ 역사성 【해설】 정답 ③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한다. - 언어의 분절성 [오답 풀이] ① 추상성 : 언어에서, 어떠한 개념이 서로 다른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부터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는..

잡스 국어 2020.06.06

합성어, 파생어

● 합성어 실질적인 의미(실질적 형태소; 체언, 용언의 어간)를 가지는 언어 형식끼리의 결합, 즉 실질적 의미를 가진 언어 형식을 직접 성분으로 하는 단어를 합성어라 한다. 따라서 어간의 직접 성분이 실질적 의미를 가지는가의 여부를 고려하여 합성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 합성 명사 [1] 명사+명사: 앞-뒤, 가위-바위-보 [2] 동사+명사: 굴-대, 꺾-쇠 [3] 형용사+명사: 구린-내, 설-익다 [4] 관형사+명사: 첫-사랑, 새-옷 [5] 부사+명사: 오목-거울, 껄껄-웃음 (2) 합성 동사 [1] 명사+동사: 힘-들다. 선-보다. [2] 동사+동사: 얽-누르다, 오르-내리다. [3] 형용사+동사: 설-익다. 늦-되다. [4] 부사+동사: 마주-앉다, 그만- 두다. (3) 합성 형용사 [1..

잡스 국어 2020.06.05

사이시옷 총 정리 - 찻간, 툇간, 횟수, 곳간, 셋방, 숫자

● 순수한 고유어끼리 합성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세 종류로 발음 1. 된소리 / 해 + 볕 [해뼏/핻뼏] 뒷말의 첫소리가 콧소리인 'ㄴ,ㅁ'일 때 'ㄴ'이 첨가됩니다. 2. ㄴ첨가 / 내 + 물 [낸:물] 뒷말의 첫소리가 '이'나 'ㅣ'일 때 'ㄴㄴ첨가'가 일어납니다. 3. ㄴㄴ첨가 / 깨 +잎 [깬닙] ● 고유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도 앞말에 'ㅅ'을 받쳐 사이시옷 첫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 종류로 소리 등굣길: 등교(한자어)+길(고유어) → 등굣길[등교낄/등굗낄] 1. 된소리 / 새 + 강 [새:깡/샏:깡] 2. ㄴ첨가 / 계 + 날 [곈:날/겐:날] 3. ㄴㄴ첨가 / 후 + 일 ●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6개의 단어. 원래 한자어끼리의 합성어는 사이시옷 X..

잡스 국어 2020.06.05

삼가다, 삼가하다

'삼가다'는 조심스럽게 하거나 꺼리어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는 움직씨(동사)이다. '삼가다'가 들어갈 자리에 '삼가하다'를 쓰는 것은 바르지 않다. 그 까닭을 두 가지로 본다. 첫째, '삼가다'의 씨줄기(어간) '삼가-'에 '-하다'를 시끝(어미)으로 붙일 수 없다. '그리다'와 '보다'를 '그리하다'와 '보하다'로 쓸 수 없는 것과 같다. 둘째,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어찌씨 + 움직씨'로서 '삼가 하다'로 띄어 쓰면 틀린 표현은 아니다. '반짝하다', '더하다'처럼 어찌씨 뒤에 뒷가지(접미사) '-하다'가 붙어 움직씨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어찌씨(부사) '삼가'는 씨줄기 '삼가-'에 씨끝 '-아'가 붙은 꼴이므로, 뒷가지 '-하다'를 붙일 수 없다. 다음 세 문장을 구조가 같은 ..

잡스 국어 2020.06.05

사회예절-호칭, 인사 예절

사회예절 - 호칭에 관한 예절 가. 일반적인 호칭 예절 1)'나 와 저' ◎ 5세이상의 차이가 나는 윗사람에게는 '저'로 표현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 연하의 상관이라도 공석에서는 '저'로 칭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조직체의 장인 경우 회사의 공식적인 행사나 회의 때 '저'라는 표현을 써야 합니다. ◎ 조직의 장은 훈시나 대규모 간부 회의때 "나도 앞으로는 ---" "나는 이렇게 ---"로 '나'라는 표현이 바람직합니다. ◎ 부부간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나'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부부는 동격 이므로 '나'라는 표현이 바람직합니다. 2) '선배부하'와'후배상사' ◎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직책을 호칭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지나치게 예의를 차리면 서로가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후배상사가 선배부..

잡스 국어 2020.06.04

친인척간 촌수

남 자 (直系) 5촌 현조부 (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부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從伯叔父) 재종백숙부 (再從伯叔父) 3종백숙부 (三從伯叔父) | | | | | 0촌 2촌 4촌 6촌 8촌 10촌 나 (己) 형,제 (兄,弟) 종형제 (從兄弟) 재종형제 (再從兄弟) 3종형제 (三從兄弟) 4종형제 (四從兄弟) |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11촌 아들 (子) 질 (姪) 종질 (從姪) 재종질 (再從姪) 3종질 (三從姪) 4종질 (四從..

잡스 국어 2020.06.04

글 쓰기, 주제/제목 설정, 글감, 개요, 표현, 고쳐쓰기

● 주제‧제목의 설정 주제 - 필자의 중심생각 - 참주제 ← 범위 한정 주제문 ①완전한 문장 ‧청록파에 대하여(X) → 청록파는 자연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적용과, 세련된 언어의 사용으로 시를 한단계 발전시켰다. ②의문문‧부정문(X) ‧스트레스와 질병은 관계가 있는가?(X) → 스트레스는 몸과 정신의 균형을 깨뜨려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 ③비유적 표현(X) ‧극동지역은 아슬아슬한 줄타기의 형세를 보이고 있다(X) → 극동지역의 정세는 매우 불안정하다. ④양립된 내용(X) ‧우리는 웃어른을 공경해야 하며, 나라를 사랑해야 한다(X) → 우리는 웃어른을 공경해야 한다. ⑤모호한 표현(X) ‧나는 황단보도에 장애자를 위한 평탄한 계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X) → 황단보도에 장애자를 위한 평탄한 계단이 필요하다..

잡스 국어 2020.05.26

글의 내용 구조, 추론적 이해, 내용추리, 태도/관점/의도, 비판적 이해, 내적/외적 준거

● 글의 내용 구조 시사적인 글 문제 제기 → 문제 해명 → 해결 방안 논설문 도입(기) →전개(승) → 전환(전) →결론(결) 도입(문제제기) - 독자의 관심유도 - 문제의 방향 제시 상술‧부연 상술 구체적으로 풀어 설명 부연 반복‧강조 전제(근거) - 중심 내용의 제시 이전에 ‧일반적 조건‧배경 ‧상반된 주장‧견해 (근거 ← 연역‧귀납 추론) 첨가 보충적‧부수적 연결(전환) ‘따라서’ or '그러나‘ 인과관계 ‧탄산가스, 프레온, 일산화탄소 등은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한다 → 이들 기체의 양이 늘어나면 지구의 기온은 그만큼 높아진다 일반화(추상화) 개별적‧구체적 사례들을 종합 → 주제를 이끌어 냄 ‧과학지식이 가치 판단의 결정기준이 될 수 있는가? -사례1. 인간복제 -사례2. 안락사 → 아니..

잡스 국어 2020.05.26

논리, 개념, 명제, 귀납추론, 연역추론, 삼단논법, 순환논증, 국어 문법

● 개념 유개념‧종개념 (대소관계) 유개념 상위개념. 포섭하는 개념 생물 > 동물 종개념 하위개념. 포섭되는 개념 생물 > 동물 동위개념 상위개념이 동일 생물 > 동물‧식물 동류개념 상위개념이 동일(=동위개념) 동물 : 식물 이류개념 상위개념이 다름 학생 : 풀 집합개념 전체개념 학교 개체개념 집합개념을 구성 학생, 교사, 강의실, 직원 선언(選言)개념 외연이 분리 동물 : 식물 교차개념 외연이 중첩 여성 : 근로자 절대개념 다른 개념 고려(x) 풀 : 책상 상관개념 다른 개념 고려 → 이해 증진 조부 : 손자 모순개념 상반, 다른 외연 개입(x) 남자 : 여자 반대개념 상반, 다른 외연 개입(0) 흰색 (회색) 검정색 ● 명제 구성 정의 - ‘판단’의 표현 - 주어‧서술어의 문장형식으로 표현 형식 A는..

잡스 국어 2020.05.26

글의 형식, 주제, 문단구조, 진술방식, 국어 문법

1. 글의 종류 ● 글의 형식 - 설명문‧논설문 설명문 개념 쉽고, 간단‧명료하게 풀이 → 독자의 이해 대상 지식‧정보‧개념‧원리 등 종류 사용 설명서, 안내문, 기사문, 보고문, 교과서, 전문서적, 사전 등 ex) 화랑도(花郞道)란, ~~ 논설문 개념 주장의 진실성‧정당성 ← 객관적 근거 종류 설득적 - 독자의 공감‧감화‧실천 ← 논리적 근거‧감정적 호소 - 연설문, 신문 사설, 시사평론 논증적 - 객관적 근거 → 정당성 - 학술 논문 ex) 설득적 「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 독서의 필요성 ← 귀감이 되는 사례 논증적 「역사의 발전적 전개」 → 정치적 예속‧경제적 빈부 격차‧사회 계급적 차이 해소 ● 글의 주제 문장 - 주제 문장 구성 문장의 주어부 문장의 서술부 주제 구성 여러 문장의 화제를 포괄 여러..

잡스 국어 2020.05.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