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하지 마라’, ‘하지 말아라’, 마라(말-+-아라),말라(말-+-라), 표준어, 맞춤법, 떠들지 마,떠들지 말아

‘하지 마라’인가, ‘하지 말아라’인가: ‘하지 마라’가 맞음 (가) 떠들지 마라(←말-+-아라). (가)′ 선생님께서 떠들지 말라(←말-+-라)고 말씀하셨다. (나) 떠들지 말아라.(×) (나)′ 떠들지 마. / 떠들지 말아.(×) ※ ‘-지 말아라’와 ‘-지 마라’, ‘-지 말아’와 ‘-지 마’는 본말과 준말 관계이지만 더 널리 쓰이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음. ※ ‘-어라’와 ‘-(으)라’의 차이 ① 직접 명령(특정된 청자에게 직접적으로 명령하는 형식): ‘-아라/-어라/-여라’ 형식. 이것 좀 보아라. 천천히 먹어라. ② 간접 명령(특정되지 않은 다수의 청자나 발화 현장에 없는 청자에게 간접적으로 명령하는 형식): ‘-(으)라’ 형식. 알맞은 답을 고르라. 기대하시라! 공무원 두문자 암기 ..

‘-ㄹ는지’, ‘-ㄹ런지’, 할는지, 할런지, 할지, 맞춤법

‘-ㄹ는지’인가, ‘-ㄹ런지’인가: ‘-ㄹ는지’가 맞음 (가)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는지, 생각할런지} 모르겠어. ※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어.” 형식이 더 자연스러운 국어 문장이다. (나) 우리의 제안을 받기로 결정했는지 모르겠어.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수레 거/차(車),갈 거(去),살 거(居),들 거(擧),정거장停車場,과거科擧,일거양득一擧兩得,기출한자

車거 停車場* 亭X 사람(亻)이 정자(亭)에서 머무를 정(停) 정류(停留: 머무름), 정지(停止), 정차(停車) 停止 발(止)이 그대로 있는 그칠 지(止) 車 수레 거, 수레 차 場 마당 장 去거 사람(土)이 굴방(厶)에서 갈 거(去) 居거 집(尸)에서 오래(古) 살 거(居) 擧거 더불어(與) 손(手)으로 들 거(擧) 거중(擧重: 무거운 것을 듦), 일거양득(一擧兩得) 科擧 科 과목 과 擧 들 거 過x 지날 과 더불어(與) 손(手)으로 들 거(擧) 科擧制度 과거제도 及第 及 미칠 급 第 차례 제 과거(科擧)에 합격(合格)함 앞사람(人)에게 손(又)이 미칠 급(及,扱) 추급(追及: 쫓아서 미침), 보급(普及), 파급(波及) 물(氵)의 가죽(皮)은 물결 파(波) 실(糸)이 이르는(及) 곳에 생기는 등급 급(..

草초, 初초, 주춧돌 초(礎), 원고 고(稿), 초고礎稿,초고初考,초안草案,퇴고推敲,기출한자

礎초 돌(石)인데 나무 기둥(林) 발(疋) 같은 주춧돌 초(礎) 벼(禾)인데 높이(高) 쌓아놓는 볏짚 고/ 원고 고(稿) 草초 草稿 풀(艹)인데 이른(早) 아침부터 크는 풀 초(草) 시문(詩文)의 초벌로 쓴 원고(原稿) 礎稿* 돌(石)인데 나무 기둥(林) 발(疋) 같은 주춧돌 초(礎) 초석(礎石: 주춧돌), 기초(基礎) 推敲(퇴고)의 바탕이 된 원고(原稿) 草案 기초(起草)한 의안(議案) 풀(艹)인데 이른(早) 아침부터 크는 풀 초(草) 편안하려고(安) 나무(木)로 만든 책상 안(案) 서안(書案: 예전에, 책을 얹던 책상), 안건(案件), 고안(考案) * ‘案’은 책상에서 처리하는 것인 ‘안건’을 뜻하기도 初초 初考 관리의 임용 시험 1차 옷(衤)감을 칼(刀)로 베는 때는 처음 초(初) 지팡이(丂) 노인..

-던, 과거, -든, 선택, 왔던, 왔던지, 가든(지), 오든(지), 맞춤법

‘-던’과 ‘-든’의 구분: ‘-던’은 과거의 뜻, ‘-든’은 선택의 뜻 (가) 어제 집에 왔던 사람이 민주 신랑감이래. 그 날 저녁 누가 왔던지 생각이 납니까? 얼마나 울었던지 눈이 퉁퉁 부었다. (나)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가든(지) 오든(지) 알아서 하시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있다가, 이따가, 잇달다, 잇달았다, 잇따르다, 잇따른, 잇단, 맞춤법

‘있다가’와 ‘이따가’의 구분: 의미에 따른 구분 (가) 이따가 보자. / 이따가 주겠다. ※ 뜻: “조금 뒤에” (나) 하루종일 집에 있다가 이제서야 어딜 가는 거니? ‘잇달다’와 ‘잇따르다’의 구분: 일종의 복수 표준어 (가) 기관차에 객차들을 잇달았다. ※ “이어 달다”의 뜻일 때는 ‘잇달다’만 가능함 장군은 훈장에 훈장을 잇단 복장으로 등장하였다. (나) 청문회가 끝난 뒤에 증인들에 대한 비난이 잇따랐다/잇달았다/?연달았다. ※ “어떤 사건이나 행동 따위가 이어 발생하다”의 뜻일 때는 ‘잇달다, 잇따르다, 연달다’를 함께 쓸 수 있음 잇따른/잇단(←잇달-+-ㄴ)/?연단(←연달-+-ㄴ) 범죄 사건들 때문에 밤길을 다니기 두렵다. 석교를 지나자마자 초가 지붕의 꼴을 벗지 못한 주점과 점포들이 잇따라/..

‘-할게’, ‘-할걸’, ‘-할께’, ‘-할껄’, 맞춤법, 줄게, 했을걸

‘-할게’, ‘-할걸’인가, ‘-할께’, ‘-할껄’인가: 소리와 달리 ‘-할게’, ‘-할걸’로 적음 (가) 내가 도와 {줄게, 줄께}. ☞ ‘-(으)ㄹ수록’, ‘-(으)ㄹ지’ 등 참조. 그러나 ‘-(으)ㄹ까’, ‘-(으)ㅂ니까’, ‘-(으)ㄹ쏘냐’ 등처럼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는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함. (가)′ 제가 {할게요, 할께요}. (나) 지금쯤은 집에 {도착했을걸, 도착했을껄}! (나)′ 벌써 집에 도착한걸!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되어, 돼, 맞춤법, 되라고, 돼라, 안 돼요, ‘돼’는 ‘되어’의 준말, 따옴표 구분

‘되어’와 ‘돼’의 구분: ‘돼’는 ‘되어’의 준말 (가) 되어, 되어서, 되었다 → 돼, 돼서, 됐다 (가)′ 그러면 안 돼요(←되어요). 일이 잘 됐다(←되었다) ※ *됬다 새 상품을 선보이다(→선뵈다), 새 상품을 선뵈어(→선봬). (가) 할머니께서는 장차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 : 여기서 '돼라'가 아니라 '되라고'가 맞는 이유는 뭘까요? 앞에서 말한 것처럼 '돼라'는 '되어라'의 준말이에요. 그런데 '할머니께서는 장차 훌륭한 사람이 돼라고(

높을 고(高),볏짚 고/원고 고(稿),정자 정(亭),머무를 정(停),호걸 호(豪),가는 털 호(毫),장사 상(商),고가高價,초고礎稿,퇴고推敲,정각亭閣,정거장停車場,호걸豪傑,추호秋毫,상품商品

高 높을 고 高貴  궤(𠀐)에 담는 재물(貝)은 귀할 귀(貴) 高價*  [고까] 값 가, 人(사람 인) 賈(값 가) 古家  [고:가] 옛 고 固 틀(囗) 안에 오래(古) 두면 굳을 고(固) 固陋 언덕(阝)에 세번(丙세째 병) 굴러 옷이 더러울 루(陋) 고루: 완고(頑固)하고 식견(識見)이 없음 陋名 陋醜 언덕(阝)에 세번(丙세째 병) 굴러 옷이 더러울 루(陋) 술(酉) 마시고 귀신(鬼)같이 흉해지는 것은 추할 추(醜) 추함(醜함: 외모나 언행 흉함), 추태(醜態), 추행(醜行) 襤褸 옷(衤)을 자주 보니(監볼 감→람) 누더기 남(襤)  옷(衤)을 끌어(婁끌 루) 누더기 루(褸)  남루 : 옷 따위가 낡고 해져서 너절함 稿 벼(禾)인데 높이(高) 쌓아놓는 볏짚 고/ 원고 고(稿)  草稿  풀(艹)인데 이..

강단剛斷,굳셀 강(剛),끊을 단(斷),강단講壇,익힐 강(講),제단 단(壇),降壇,내릴 강(降)

剛斷 산등성이(岡)처럼 날을 세운 칼(刂)은 굳셀 강(剛) 이어진(㡭) 실을 도끼(斤)로 끊을 단(斷) 講壇 말(言)을 짜서(冓구) 하는 익힐 강(講) 흙(土)으로 쌓은 단(亶)은 제단 단(壇) 강의(講義)나 설교(說敎) 위해 만든 자리 降壇 언덕(阝) 아래로 양발(夅내릴강.步의 역) 내딛는 내릴 강(降) 단에서 내려옴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칼날 인(刃),참을 인(忍),인정할 인/알 인(認),인기刃器,인기人氣,집기什器,인내忍耐,잔여殘餘,잔재殘在,잔혹殘酷,인욕忍辱,인욕忍慾,인정認定,확인確認,확정確定,확집確執

刃 칼(刀)에서 빛(丿)나는 곳은 칼날 인(刃) 刃器 그릇 기 [인기] 도끼나 칼같이 날이 서 있는 기구(器具) 개(犬)의 입들(口)로 둘러싸인 그릇 기(器) 人氣 人氣[인끼]賞 사람의 좋은 평판(評判) 什器 什 세간 집, 열 사람 십 器 그릇 기 사람(亻)이 살기 위해 열(十)가지 이상 필요한 세간 집(什) 개(犬)의 입들(口)로 둘러싸인 그릇 기(器) 忍 칼날(刃)에 베인 마음(心)으로 참을 인(忍) 忍耐 수염(而)을 손(寸)으로 뽑을 때 견딜 내(耐) 인내(忍耐: 참고 견딤), 내성(耐性), 내구(耐久) 殘忍 죽은(歹) 이를 쌓아(戔)놓아 잔인할 잔/남을 잔(殘) 잔여(殘餘: 남은 것), 잔존(殘存), 잔재(殘在), 잔혹(殘酷) 밥(食)이 집(余)에 남을 여(餘) 忍苦 풀(艹)이 오래(古) 살면 쓸..

안부安否,부결否決,부인否認,부인婦人,지어미 부(婦),인정할 인/알 인(認),신부(新婦),부정否定,부정不正,정할 정(定),비운否運,아닐 부/막힐 비(否),불운不運

말(言)을 참는(忍) 것은 인정할 인/알 인(認) 承認* 아이(子)가 정승丞(정승 승) 벼슬을 이을 승(承) 否認** 아닐 부, 어떤 사실을 인정X, 확인도 부인도 불가능한 소문, 혐의를 부인했다. 否認 상투(一) 튼 큰(大) 남자 지아비 부(夫) 사내. 지아비(남편) 장부(丈夫: 장성한 사내), 농부(農夫) 남의 아내(자신의 아내 지칭X)의 높임말 김선생님 부인은 안녕하신지요. 婦人 여자(女)인데 비(帚 비 추)를 드는 이는 지어미 부(婦) 결혼(結婚)한 여자(女子), 동네 부인 모여 부인(婦人: 아내), 주부(主婦), 신부(新婦) 夫婦 남편과 아내 否定 否 아닐 부, 막힐 비 定 정할 정 집(宀)이 바르도록(正) 자리를 정할 정(定) 그렇지 않거나 옳지 않다고 인정(認定)함 반대 肯定 긍정 不正 不 ..

칼 도(刀),힘 역(力),처음 초(初),형벌 형(刑),모양 형(形),執刀,力量,初代,招待,부를 초(招),招來,最初,刑罰,刑法,形態,態度,모습 태(態),능할 능(能),곰 웅(熊),象形,形式,型式,모형 형型 [기출 한..

刀 칼 도 執刀 행복(幸)을 둥글게(丸환) 잡을 집(執) 面刀 머리통 아래 면(囗)인데 눈(目)이 달린 낯 면(面) 면상(面上: 낯 위), 안면(顔面), 표면(表面) 力 힘 역(력) 力道 力量* 아침(旦)마다 마을(里) 사람들이 하는 헤아릴 량(量) 初 옷(衤)감을 칼(刀)로 베는 때는 처음 초(初) 初期 키(其)질 된 달(月)이 나타내는 것은 기약할 기(期) 初代 사람(亻)이 화살이 아닌 주살(弋)로 대신할 대(代) 계통(系統)의 최초(最初)의 사람 招待* 손(扌)짓하며 부르는(召부를 소) 것은 부를 초(招) 관청(寺)에서 조금씩 걷는(彳) 것은 차례를 기다릴 대(待) 招來* 어떤 결과를 불러(招) 오다(來) 招徠 가서(彳) 위로할 래(徠) 最初 발언권(曰)을 취하면(取) 되는 가장 최(最) 崔 성씨 ..

깊을 심(深),찾을 탐(探),심층深層,심각深刻,수심愁心,수심修心,닦을 수(修),수료修了,탐사探査,탐색探索,찾을 색/노끈 삭(索),탐구探究,탐방探訪,탐험探險,험할 험(險),검사할 검(檢),검소할 검..

深 물(氵)이 깊은(罙) 것은 깊을 심(深) 深層 집(尸)을 거듭(曾) 쌓는 층 층(層) 深刻 돼지 뼈(亥)에 칼(刂)로 새길 각(刻) 深夜 深化 水深 愁心* 근심 수 修心 먼 곳(攸)으로 흐르는 내(彡)에서 하는 것은 닦을 수(修) 修了 마칠 료 探 손(扌)을 깊이(罙) 넣어 찾을 탐(探) 探査* 제사 비문(且)에 필요한 나무(木)를 조사할 사(査) 探索* 초목(草)에서 실(糸)을 찾을 색(索)/노끈 삭 探究* 굴(穴)을 길게(九구☞한자리 수의 끝) 파듯이 연구할 구(究) 探訪* 말(言)을 방(方) 앞에서 하는 것은 찾을 방(訪) 探險* 언덕(阝)이 여럿(僉) 있어 험할 험(險) 驗 말(馬)을 여럿(僉) 타보고 시험할 험(驗) 儉 사람(亻) 여럿(僉)을 모으려면 검소할 검(儉) 劍 여러(僉) 날(刂)이..

구할 구(求),공 구(球),구원할 구(救),구직求職,청구請求,욕구慾求,바랄 욕(欲),욕심 욕(慾),욕망慾望,구기球技,배구排球,구원救援,도울 원(援),구원久遠,멀 원(遠),구제救濟,구조救助,구조構造,..

求 짐승가죽(求)을 옷(衣)으로 구할 구(求) 求職 귀(耳)에 새겨(戠)들으며 하는 일은 직분 직(職) 求乞 사람(人)이 굽히고(乙) 빌 걸(乞) 請求* 청할 청 慾求* 골짜기(谷)처럼 입 벌린 사람(欠)이 하는 것은 바랄 욕(欲) 욕망(欲望: 바람), 욕심(欲心), 욕구(欲求) 바라는(欲) 마음(心)은 욕심 욕(慾) 욕심(慾心: 무엇을 바라는 마음), 욕망(慾望), 욕구(慾求) 欲’과 ‘慾’은 혼용하기도 球 구슬(王)인데 짐승가죽(求)으로 만든 공 구(球) 球技 손(扌)의 가지(支)로 하는 재주 기(技) 野球 마을(里)에 먹거리를 주는(予줄 여=與) 곳은 들 야(野) 排球 손(扌)으로 아닌(非) 대상을 밀칠 배(排) 排斥 도끼(斤)에 핏방울(丶) 튀게 물리칠 척(斥) 척사(斥邪: 간사한 것을 물리침) ..

인륜 륜(倫),둥글 륜(侖),바퀴 륜(輪),논할 론(論),윤리倫理,윤회설輪廻說,논란論難,여론輿論,논술論述,논리論理 [기출 한자 어원 암기]

倫 사람(亻)을 생각(侖)하는 인륜 륜(倫) 侖 생각할 륜 집(亼)에서 책(冊) 읽으며 생각할 륜/둥글 륜(侖) 倫理 윤리 天倫 천륜 輪 수레(車)의 둥근(侖) 것은 바퀴 륜(輪) 사륜(四輪), 오륜기(五輪旗) 輪廻 輪廻說 廻 돌 회 說 말씀 설 돌며(回) 가는(廴) 돌 회(廻) 論 말(言)을 생각하며(侖) 논할 론(論) 論述 뿌리(朮)처럼 펴내려가는(辶) 펼 술(述) 論難 진흙(堇진흙 근)에 빠진 새(隹)는 처지가 어려울 난(難) 輿論 함께(舁마주들 여) 끄는 수레(車)는 수레 여(輿) 상여(喪輿), 여론(輿論) 論理* 임금(王)이 마을(里)을 다스릴 리(理)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

새길 시(戠),알 식/적을 지(識),직분 직(職),짤 직(織),識別,常識,標識,직업職業,직책職責,직무職務,직위職位,취직就職,직조織造,지을 조(造),잡을 조(操),조작操作,지조志操,조직組織,짤 조(組),..

識 말(言)을 새길(戠) 수 있는 것은 알 식/적을 지(識) 말소리(音)를 창(戈)으로 파 새길 시(戠) 識見 識別 살(ㅁ)과 뼈(刀)를 칼(刂)로 나눌 별(別) 知識 常識 항상 상 標識* 표지* 標 표할 표 識 적을 지 票 덮어(覀)놓아 잘 보이게(示) 표 표(票) 投票 던질 투 票決 표결 漂 물(氵) 위에 표(票)가 떠다닐 표(漂) 漂流 흐를 류 標 나무(木)에 표(票)를 붙여 표할 표(標) 目標 指標 가리킬 지 職 귀(耳)에 새겨(戠)들으며 하는 일은 직분 직(職) 관직(官職) 직업(職業) 직책(職責)* 직무(職務)* 직위(職位) 職種 곡물(禾) 중 무거운(重) 것은 씨 종(種) 종자(種子: 씨), 종류(種類), 품종(品種) 就職 서울(京)로 가서 더욱(尤더욱 우) 높이 나아갈 취(就) 免職 토끼(..

창 모(戊),개 술(戌),위엄 위(威),멸할 멸(滅),해 세(歲),위의威儀,위엄威嚴,위협威脅,누를 압(壓),위압威壓,압축壓縮,압정押釘,압류押留,권위權威,괴멸壞滅,멸종滅種,불멸不滅,불후不朽,세배歲..

威 도끼(戌)로 여자(女)에게 보이는 것은 위엄 위(威) 戌 개 술 : 戊(창 모) + 一 威力 위력 威儀* 威 위엄 위 儀 거동 의 위엄이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威嚴* 엄할 엄 敢(감히 감) 厂(기슭 엄) 산봉우리, 吅(훤)은 바위 바위(吅)가 벼랑(厂)에서 굳세게(敢) 있는 모습은 엄할 엄(嚴) 敢 감히 감/굳셀 감 공격(攻)하여 귀(耳)를 얻으려 감히 감(敢) 감히(敢히: 두려움을 무릅쓰고), 용감(勇敢), 과감(果敢) 嚴冬雪寒 집(宀) 틈(艸)으로 냉(冫)기 들면 찰 한(寒) 不敢請 不 아닐 불 敢 감히 감 請 청할 청 마음속으로는 간절(懇切)하지만 감(敢)히 청할 수 없음 威脅 위협할 협 힘을 합하여(劦) 몸(月)을 내리눌러 위협할 협(脅) 위협(威脅: 힘으로 으르고 압박함), 협박(脅迫)..

나눌 분(分),가루 분(粉),어지러울 분(紛),나눌 반(頒),가난할 빈(貧),분류分類,구분區分,분석分析,분리分離,분쇄粉碎,분규紛糾,분란紛亂,분쟁紛爭,분실紛失,분포頒布,빈곤貧困

分 나눌 분 刀칼로 반을 나눠 八팔등분 分裂 찢을 열 統一 통일 옷(衣)이 벌어져(列) 찢을 열(裂) 집단(集團)이 여러 파로 갈라짐, 전후 좌우 분열과 대립 裂傷열상;피부(皮膚)가 찢어진 상처(傷處) 分列 벌일 열, 자동차가 분열해 있었다. 分列式 분열식 分類* 무리 류 분류는 대상을 하위개념에서 상위개념으로 묶어 설명 사과, 포도를 과일 / 상추, 배추를 채소로 '분류' 區分 區 구분할 구 굴방(匚)에 물건(品)을 넣을 때 구분할 구(區) 구분은 대상을 상위개념에서 하위개념으로 나누어 설명 먹을 것(상위)은 과일, 야채, 채소, 과자, 음료수 등으로 '구분' 分析* 쪼갤 석 나무(木)를 도끼(斤)로 쪼갤 석(析) 구성요소로 쪼개어 설명하는 것 (쪼개지면 붙지않아, 역이 성립하지 않는다) 시계는 구성요..

헤아릴 측(測),법칙 칙(則),곁 측(側),슬퍼할 측(惻),측은惻隱,惻슬퍼할 측,隱숨을 은[기출 한자 어원 암기]

測 물(氵)을 법칙(則)대로 재는 것은 헤아릴 측(測) 測量 측량 則 재물(貝)을 칼(刂)로 나눌 때 필요한 것은 법칙 칙(則) 側 사람(亻)이 돈(貝)이나 칼(刂)을 차는 곳은 곁 측(側) 惻 마음(忄)이 즉시(則) 아파 슬퍼할 측(惻) 惻隱* 惻 슬퍼할 측 隱 숨을 은 側X 언덕(阝)에 조심히(㥯) 지내는 것은 숨을 은(隱) 딱하고 가엾게 여김 양손(爪)으로 공구(工)를 잡는 마음(心)은 조심할 은(㥯)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북방 임(壬),맡길 임(任),품삯 임(賃),음란할 음(淫),임란壬亂,임무任務,책임責任,사임辭任,임차賃借,임대賃貸,운임運賃,음란淫亂,음탕淫蕩 [기출 한자 어원 암기]

任 사람(亻)에게 짐을(壬) 맡길 임(任) 壬 선비(士)가 머리를 북방 임(壬) 壬亂 임란 任務* 창(矛)으로 치면(攵) 힘(力)으로 힘쓸 무(務) 責任* 주인(主)이 돈(貝)을 갚으라 꾸짖을 책(責) 辭任 죄인(辛)간 복잡(𤔔)한 문제를 풀 말씀 사(辭) 맡아보던 일자리를 그만 두고 물러남 辭免 辭 말씀 사 免 면할 면 토끼(兔)가 꽁지(丶) 빠지게 뛰어 위험을 면할 면(免) 맡아 보던 직임(職任)을 내어 놓고 물러남 辭織 사직. 직책(職責)을 내놓음 赦免 赦 용서할 사 免 면할 면 죄나 허물을 용서(容恕)하여 놓아 줌 피(赤붉을적)나도록 패고(攵)나서 용서할 사(赦) 辭讓 辭 말씀 사 讓 사양할 양 말(言)인데 도움(도울 양襄)을 받을 때 일단 사양할 양(讓) 겸양(謙讓), 양보(讓步) 겸손(謙遜)하..

지을 작(作),어제 작(昨),속일 사(詐),작업作業,작별作別,작금昨今,작년昨年,사기詐欺 [기출 한자 어원 암기]

作 사람(亻)이 잠깐(乍잠깐 사) 사이에 하는 것은 지을 작(作) 作業* 풀 무성하게(丵) 나무(木)가 자라는 것은 업 업(業) 作別* 살(ㅁ)과 뼈(刀)를 칼(刂)로 나눌 별(別) 始作 여자(女)가 태아(台)를 배는 것은 처음 시(始) 昨 날(日)이 잠깐(乍) 사이에 바뀌면 어제 작(昨) 모였다(合) 사라지는 이제 금(今) 지금(只今: 이제), 금시(今時), 금일(今日) 昨今 어제와 오늘, 요즈음 昨年 지난해 年金 연금 捐金 義捐金 의연금 捐 바칠 연 扌손 肙(요란할/장구벌레 연)요란하게 捐 '바칠 연' 詐 말(言)을 잠깐(乍) 사이에 바꾸는 것은 속일 사(詐) 詐欺* 欺 속일 기 키(其그 기)로 입 떠벌리면(欠) 잘 속일 기(欺) 기만(欺瞞속일 만) 詐稱 일컬을/저울 칭 곡물(禾) 무게 재고(爯들 칭..

옷 의(衣),의지할 의(依),뜻 의(意),슬플 애(哀),쇠할 쇠(衰),겉 표(表),의상衣裳,복종服從,종용慫慂,의존依存,의뢰依賴,애환哀歡,이쇠已衰,쇠진衰盡(쇄X),표리表裏 [기출 한자 어원 암기]

衣 옷 의 衣類 무리 류 衣裳* 지붕(尙)처럼 생긴 옷(衣)은 치마 상(裳) 衣冠 덮는(冖) 건데 머리 위(元)에 손(寸)으로 쓰는 갓 관(冠) 옷과 갓, 정장의 비유 왕관(王冠),관악산(冠岳山) 언덕(丘)과 산(山)이 모여 있는 큰 산 악(岳) 服從* 服 옷 복 從 좇을 종 服관복의 권위, 명령을 좇음 몸(月)을 구부려(卩) 손(又)으로 입는 옷 복(服) 伏X 엎드릴 복. 伏乞 복걸(엎드려서 빎) 걸어(彳) 앞사람(人)을 뒷사람(人) 발(止) 따라 좇을 종(從) - 慫慂* 慫 권할 종 慂 권할 용 잘 설명(說明)하고 달래어 권(勸)함 마음(心)으로 좇길(從) 권할 종(慫) 마음(心)으로 (涌물솟을 용)솟길 권할 용(慂) 依 사람(亻)이 옷(衣)에 의지할 의(依) 依支 지탱할 지 다른 것에 몸을 기댐 依..

이룰 성(成),재 성(城),정성 성(誠),성할 성(盛),성취成就,성벽城壁,성실誠實,정성精誠,효성曉星,무성茂盛,성쇠盛衰 [기출 한자 어원 암기]

成 이룰 성 成功 장인(工)이 들이는 힘(力)은 공 공(功) 成就* 나아갈 취 서울(京)로 가서 더욱(尤더욱 우) 높이 나아갈 취(就) 취임(就任: 맡은 자리 처음 나아감), 취직(就職), 취업(就業) 完成 완전할 완 城 흙(土)을 쌓아 이룬(成) 재 성(城) 城郭 둘레 곽/외성 곽, 享(누릴 향) 邑(고을 읍) 城壁* 피하려고(辟) 흙(土)으로 지은 벽 벽(壁) 誠 말(言)을 이루게(成) 하는 것은 정성 성(誠) 誠意* 소리(音) 듣고 마음(心)속에 떠오르는 뜻 의(意) 誠實* 돈(貝)을 뚫는(毌) 것은 꿸 관(貫) 집(宀)에 걸린 꿰미(貫)는 열매 실(實) 精誠* 정할 정 참되고 거짓이 없는 성실(誠實)한 마음 忠誠 충성 孝誠 효성 曉星 曉 새벽 효 星 별 성 盛 그릇(皿)이 넘치(成)도록 성할 성(..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틀리기 쉬운 한자, 고사성어, 공무원 국어

공무원 합격에 한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얼마 전 공무원 인사혁신처에서 공무원의 한자 문맹률이 심각하다며 신입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자교육을 강화한다는 방침과 함께 공무원 한자 가산점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현행 필기시험 성적에 부여되는 가산점에 공무원 한자 가산점이 생긴다는 의미는 아직 아니지만 혁신처에서 한자능력을 중요시한다면 향후 국어나 한국사 등의 과목에서 한자 출제가 늘어나거나 공무원 시험 자체에 공무원 한자 가산점이 도입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공무원 기출 한자는 4자 성어와 2자 한자로 주로 구성된다. 분량이 정해진 4자 성어는 크게 어려움이 없다. 문제는 2자 한자다. 그 양이 방대하고 독음이 헷갈려 변별력을 좌우하는 문제로 출제된다. 2자 한자는 무한정한 공부량으로 인해 완벽한 공..

문장의 중의성, 모호성, 해소, 어휘적 중의성, 구조적 중의성, 영향권 중의성

● 문장의 중의성과 모호성 ㅇ중의성(ambiguity): 하나의 언어 표현이 두 가지 이상의 뜻으로 해석되는 언어적 현상. ㅇ중의문: 중의성을 갖는 문장. ● 중의성의 유형 1) 어휘적 중의성 ①다의어에 의한 중의성 예) 길이 있다. (도로, 방책, 지혜, 도리, 수단 등) 예) 창수가 흰 바지를 입고 있다. (동작의 진행, 결과 상태의 지속) ②동음어에 의한 중의성 예) 영이가 차를 준비했습니다. (車, 茶) 2) 구조적 중의성 ①수식 관계의 차이에 의한 중의성 예)내가 좋아하는 순이의 여동생을 도서관에서 만났다. 빨간 모자를 쓴 어머니와 딸이 다정하게 걸어간다. ②논항의 범위 차이에 의한 중의성 예) 김 박사가 최 간호사와 입원 환자를 돌보았다.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딸을 더 사랑한다. ③동사와 명사구..

잡스 국어 2020.11.30

못하다, 못 하다, 띄어쓰기, 일을 못 했다,잠을 못 자다,술을 못하다,노래를 못하다,노래 잘못 하다,노래 잘 못 하다

술을 못마시다 술을 못 마시다 ○ 술을 못하다 ○ ● 못 하다 '못'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 '술을 못 마시다, 잠을 통 못 자다'처럼 일반적으로 서술어 앞 에서 서술어를 꾸며 주며 띄어 쓴다. '어제 병이 나서 일을 못 했다.'처럼 단순히 동작을 할 수 없다는 부사의 뜻이 살아 있는 경우는 띄어 쓴다. ● 못하다 '하다'가 서술어로 올 경우는 '못'과 '하다'가 하나의 합성어로 굳어져 뜻이 변한 경우는 붙여 쓴다. 합성어로 붙여 써야 할 경우는 '술을 못하다, 노래를 못하다, 음식 맛이 예전보다 못하다'처럼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거나 할 능력이 없다'라는 뜻을 지닐 때와 '잡은 고기가 못해도 열 마리는 되겠지'처럼 '아무리 ..

한글(훈민정음) 제자 원리,초성,중성,종성부용초성 - 두문자, 기출

● 초성(자음) 제자 원리 : 상형 가획 17자 암기 "그냥마셔요 아리수" 아설순치후 ㄱ ㄴ ㅁ ㅅ ㅇ 이체자 ㆁ ㄹ ㅿ ● 중성(모음) 제자 원리 : 천지인 삼재, 상형, 합성 11자 ● 종성부용초성 : 초성을 그대로 사용 17자 [상세]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1. 초성제자(初聲制字)의 원리 훈민정음 해례(解例)의 자음의 조직 원리는 발음기관(發音器官)의 상형(象形)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입각하여 살피면, 자음을 오음(五音)으로 나누고 발음기관(發音器官)을 상형(象形)하여 기본자(基本字)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 다섯 기본자를 근간(根幹)으로 다시 가획(加劃)의 방법으로 같은 조음계통(調音系統)의 자음을 다음과 같이 체계화하였다. 이것은 각 기본자의 음별(音別)로 소리가 세어짐에 따라 획을 더해 가..

잡스 국어 2020.11.27

국어 문법 정리 #03

1.문장의 성분 (1) 문장 성분의 성립 1) 문장의 골격과 성분 ① 문장의 골격 : 국어의 기본 문장은 서술어의 성질에 따라 나뉨. 󰠆󰠏‘무엇이 어찌한다’ - 서술어가 동사. 󰃚 순이가 운다. 󰠐 ‘무엇이 어떠하다’ - 서술어가 형용사. 󰃚 하늘이 푸르다. 󰠌󰠏‘무엇이 무엇이다’ - 서술어가 체언+서술격조사. 󰃚 철수가 학생이다. ② 문장의 성분 : 어느 어절이 다른 어절이나 단어에 대해 갖는 관계. 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2) 문장 성분의 갈래 ① 주성분 : 문장의 골격을 이루는 필수적 성분. 󰠆󰠏주어 - ‘무엇이’에 해당하는 말. 󰠐 서술어 - ‘어찌한다, 어떠하다, 무엇이다’에 해당하는 말. 󰠐 목적어 - ‘무엇을, 누구를’에 해당하는 말. 󰠌󰠏보어 - ‘무어가’에 해당하는 말. ② 부속 성..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신석정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 신석정 - 저 재를 넘어가는 저녁 해의 엷은 광선들이 섭섭해 합니다. 어머니, 아직 촛불을 켜지 말으셔요. 그리고 나의 작은 명상의 새 새끼들이 지금도 저 푸른 하늘에서 날고 있지 않습니까? 이윽고 하늘이 능금처럼 붉어질 때 그 새 새끼들은 어둠과 함께 돌아온다 합니다. 언덕에서는 우리의 어린 양들이 낡은 녹색 침대에 누워서 남은 햇볕을 즐기느라고 돌아오지 않고 조용한 호수 위에는 인제야 저녁 안개가 자욱히 나려오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어머니,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늙은 산의 고요히 명상하는 얼굴이 멀어가지 않고 머언 숲에서는 밤이 끌고 오는 그 검은 치맛자락이 발길에 스치는 발자국 소리도 들려오지 않습니다. 멀리 있는 기인 둑을 거쳐서 들려오는 물결소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