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운의 축약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음운의 축약
*자음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자음 축약
예) 좋고 → [조코], 많다 → [만타], 업히다 → [어피다], 젖히다 → [저치다]
*모음 ‘ㅣ’나 ‘ㅗ/ㅜ’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이 되는 것도 축약
이때 모음 ‘ㅣ’나 ‘ㅗ/ㅜ’는 반모음으로 바뀐다.
예) 가리- + -어 → 가려, 두- + -었다 → 뒀다
‘가리 + 어 → 가려’와 같은 현상은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것이므로 음절 축약에 해당
이 현상은 ‘단모음+단모음’이 ‘반모음 + 단모음’이 되는 것이므로,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음운의 교체로 설명하기도 한다.
● 음운의 탈락
두 개의 자음이 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둘 중 하나가 탈락되는 현상을 음운의 탈락
*자음 ‘ㄹ’로 끝나는 용언 어간이 몇몇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
예) 울- + -는 → 우는
*자음 ‘ㅎ’으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접미사와 결합할 때 ‘ㅎ’이 탈락
예) 좋아[조아], 쌓이다[싸이다]
*모음 ‘ㅡ’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ㅡ’가 탈락
예) 쓰- + -어라 → 써라
*모음 ‘ㅏ/ㅓ’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ㅏ/ㅓ’가 탈락
예) 가- + -아서 → 가서
‘소나무, 마소, 바느질’ 등의 단어는 단어가 생성될 때 ‘ㄹ’ 탈락
예) 솔 + 나무 → 소나무 / 말 + 소 → 마소 / 바늘 + 질 → 바느질
용언 어간의 끝소리 ‘ㄹ’은 어미의 첫소리 ‘ㄴ, ㅂ, ㅅ’ 및 ‘-(으)오, -(으)ㄹ’ 앞에서 탈락
예) 놀다 :노니, 논, 놉니다, 노시다, 노오
음절의 끝소리에 자음 두 개가 오면 하나는 탈락되고 나머지 하나만 발음
예) 닭[닥], 삶[삼], 밟고[밥꼬], 핧다[할따]
● 음운의 첨가 ― 사잇소리 현상
두 형태소가 결합될 때 그 사이에 음운이 첨가
*두 형태소가 결합할 때 사잇소리가 첨가되어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
예) 밤 + 길 → 밤길[밤낄], 초 + 불 → 촛불[초뿔/촏뿔]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가 ‘ㄴ, ㅁ’으로 시작하는 형태소와 결합할 때 사잇소리가 첨가되어 ‘ㄴ’으로 발음
예) 코 + 날 → 콧날[콛날→콘날], 이 + 몸 → 잇몸[읻몸→인몸]
*자음으로 끝나는 형태소가 ‘ㅣ’나 반모음 ‘ㅣ˘ ’로 시작하는 형태소와 결합할 때 ‘ㄴ’이 첨가
예) 맨- + 입 → 맨입[맨닙], 한- + 여름 → 한여름[한녀름]
사잇소리 첨가와 모음 ‘ㅣ’ 또는 ‘ㅣ˘ ’와의 결합으로 인한 ‘ㄴ’첨가
예) 훗일 → [훈닐], 깻잎 → [깯닙→깬닙]
한자어 사이시옷 붙이지 않는 것이 원칙 단, 붙이는 것 6개 '세수하고 차타' 셋방,숫자,횟수,곳간,찻간,툇간 물가物價[물까] 대구對句[대꾸],초점焦點[초쩜] |
● 음운의 교체
음절의 끝소리 규칙, 유음화, 비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Q <보기>의 ㄱ~ㄷ에 해당하는 예가 모두 올바른 것은?
<보기>
ㄱ. 없던 음소가 새로이 첨가되는 현상.
ㄴ, 두 음소나 두 음절이 하나의 음소나 하나의 음절로 줄어드는 현상.
ㄷ. 인접한 두 음소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받아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현상
ㄱ ㄴ ㄷ
① 안방[안빵] 보-+-아→[봐] 더럽다[드럽따]
② 금융[금늉] 좋-+-은→[조은] 해돋이[해도지]
③ 식용유[시굥뉴] 이기-+-어→[이겨] 국민[궁민]
④ 오리알[오리얄] 살-+-으니→[사니] 감기[강기]
【해설】 정답 ③
ㄱ. 없던 음소가 새로이 첨가되는 현상. → 첨가 현상
ㄴ, 두 음소나 두 음절이 하나의 음소나 하나의 음절로 줄어드는 현상. → 축약 현상
ㄷ. 인접한 두 음소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받아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현상 → 동화 현상 :구개음화, 모음동화
[음운 현상]
안방[안빵]: 사잇소리 현상(교체) 식용유[시굥뉴]: ㄴ첨가(첨가)
보-+-아→[봐]: 모음 축약(축약) 이기-+-어→[이겨]: 모음 축약(축약)
더럽다[드럽따]: 된소리되기(교체) 국민[궁민]: 자음동화(동화)
금융[금늉]: ㄴ첨가(첨가) 오리알[오리얄]: 틀린 발음 모음동화(동화)
좋-+-은→[조은]: ㅎ탈락(탈락) 살-+-으니→[사니]: ㄹ탈락(탈락)
해돋이[해도지]: 구개음화(동화) 감기[강기]: 틀린 발음 자음동화(동화)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