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4039

주택관리사 시험과목, 공부법

● 주택관리사 건설교통부에서 실시하는 주택관리사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로써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유지·관리·회계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공동주택의 관리책임자를 주택관리사라고 한다. 즉, 전국에 산재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관리소장을 말한다. ● 주택관리사 하는 일과 전망 주택관리사가 하는 일은 크게 행정관리 업무와 기술관리 업무가 있습니다. 주택에 관한 회계/사무/인사/입주자관리/홍보관리/ 복지시설관리/ 대외업무등을 맡게 되고, 기술관리분야에서는 주거환경, 안전, 설비에 관한 관리업무를 맡게 됩니다. ● 주택관리사 시험과목 및 공부방법 구분 시험과목 시험범위 시간 출제비율 1차 민법 총칙 과목당 50분 90% 물권, 채권중 총칙, 계약총칙, 매매, 임대차 도급위임 부당이득, 불법행위 10% 회계원리 세..

공동주택시설개론 암기 노트 #02 [주택관리사 독학]

주택관리사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주택관리사 1차 민법 PDF 다운로드 주택관리사 1차 회계원리 PDF 다운로드 주택관리사 1차 공동주택시설개론 PDF 다운로드 주택관리사 2차 주택관리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주택관리사 2차 공동주택관리실무 PDF 다운로드

블록 구조

1. 블록구조 KSF 4002(속빈 시멘트블록)의 규격에 의한 블록으로서 길이 및 높이가 일정한 블록이다. 블록구조란 속이 빈 블록을 벽돌과 같이 쌓아올리는 것을 말한다. 구조 및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형상 치수 길이 높이 두께(L) 기본블록 390 190 100 390 190 150 390 190 190 390 190 210 2. 블록의 압축강도 전 단면적에 대한 압축강도 (단위 : kg/cm2) 1급 2급 3급 60 이상 40 이상 25 이상 흡수율 0.20 이하 0.35 이하 0.45 이하 3. 블록의 구조 1) 조적식 블록조 - 보강철근 및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개개의 블록을 모르타르로 붙여 쌓아 내력벽 또는 장막벽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

조적공사 - 벽돌

1. 조적공사의 정의 - 조적구조: 별돌, 블록 등의 단위재료를 쌓아 주체구조를 형성 - 조적공사: 내력벽, 외부 치장벽이나 칸막이 벽체를 형성 ① 조적공사 특징 장점 : 기둥이나 벽, 아치, 돔과 같이 주된 내력이 압축력인 구조에 적합함, 단점 : 인장강도는 거의 없어 횡력에 취약함 ② 일반사항 ㄱ) 벽돌은 쌓기 2,3일 전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모르타르의 수부흡수를 방지 ㄴ) 벽돌 1일 쌓기 높이는 1.2m~1.5m(17~20켜)로 한다. ㄷ) 내화벽돌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ㄹ) 모르타르 강도는 벽돌강도 이상이 되도록 한다. ㅁ) 굳기 사작한 모르타르는 사용하지 않는다. ㅂ) 하루 작업이 끝날 때에는 켜에 차이를 두어 층단들여쌓기를 하고, 모시리 벽은 켜걸름 들여 쌓기로 한다. 2. 분류체계 ..

흙막이 공법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반내 공간을 확보하기위한 수단 ① 흙막이 벽체에 따른 분류 (1) H-pile + 토류판 벽 (2) CIP[Cast in placed pile] (3) SCW[Soil cement wall] (4) Sheet pile (5) Slurry wall H pile + 토류판 (엄지말뚝과 수평널)공법 개 요 H-Pile을 지중에 삽입한 후 굴착과 병행하여 토류판을 설치 시공순서 천공, 항타로 H-Pile 근입 ⇒ 굴착하면서 토류판 설치 ⇒ 토류판과 절취면 되메우기 장 점 - 흙막이벽 공법 중 가장 공사비가 저렴 - 공기가 비교적 짧음 - 시공이 용이 - 소음과 진동이 적다 - 자재 재사용 가능 단 점 - 지하수 누출시 토사유출로 인한 지반침하 우려 - 연약지반의 경우 시공불가 - 벽체강..

기초 구조

1. 기초 구조 지정과 기초는 건축물을 지을 땅을 고르고 견고하게 다지는 공정이다. 지정과 기초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기초하기 전에 집 지을 터를 만들기 위해 높은 곳은 깎고 낮은 곳은 성토하여 대지를 조성하는 일을 지정(地定)이라고 한다. ① 기초 : 지정을 하고 나서 건물이 들어설 자리에 기둥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을 보강하거나 개량하는 일을 말한다. ② 푸팅 : 기둥 또는 벽의 힘을 지중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초가 펼쳐진 부분 ③ 지정 : 지반이 연약하여 건물의 하중을 견디지 못할 경우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지지력을 증가 시키기 위한 부분을 말함. ※동결선(심도) : 겨울철 땅이 어는 깊이 기초는 반드시 동결선이하에 두어야 함 (동결선 이내의 경우 기초의 부동침하 발생..

건축 기초 용어

1. 건축물의 정의 여기서 말하는 건축물은 건축법상의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 건축물의 3대기본조건 (1) 공작물일 것 :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것을 의미합니다. ex) 자연의 동굴x (2) 토지에 정착할 것 (3) 지붕이 있을 것 위 사진과 같이 땅위에 건물이 있다고해서 건물일까요? 가장중요한 조건은 (2)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즉, 건물의 기초가 지반(토지)에 단단히 박혀 있어야 우리는 건축법상의 건축물이라고 규정합니다. 건축물은 건축법의 규제를 따라야합니다. 2. 부재와 하중의 정의 ▶ 부재 : 건물을 이루는 부분적인 재료요소 ex) 기둥부재, 바닥부재, 벽부재 등 ▶ 하중 : 부재쪽을 향해 내려오는 힘 위 그림과 같은 경우에는 바닥부재에 60+70 = 130kg의 하중이 작용중입니다. 이때, 부..

하중 및 응력

1. 하중 1) 하중과 응력의 관계 하중(load) :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 [Pa, N] 응력(stress) : 하중의 저항력의 세기 [Pa, N] 단위응력(unit stress) : 단위 면적 당 재료 내 저항력의 세기[Pa, N/㎡] 일반적으로 '힘'이라고 하는 것은 '외력'을 의미한다. 하중은 직접적인 힘을 의미하며 응력은 그 크기에 대항하여 재료 내에서 생기는 저항력 또는 변형력이라고 한다. 하중이 응력보다 큰 경우 재료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원래의 모양이 변하게 된다. 재료의 세기를 비교하기 위해서 단위응력을 사용한다. 동일재료의 경우 단면적이 크면 응력이 크고 단면적이 작으면 응력도 작아진다. 2) 하중의 종류 ① 압축하중 : 재료의 축 방향으로 압축되게 작용하는 하중 ② 인장하중 : 재료..

건축구조

1. 건축구조의 정의 건축물에서 구체(main frame) 또는 주체구조라 함은 수장(修粧)·창호(窓戶)·설비(設備) 등을 제외한 주요부를 말하여 구체라고도 한다. 건축물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수장·창호 등은 일반구조 또는 각부구조라 한다. ① 기초(foundation, footing) : 건축물에서 각층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여 지반반력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정을 포함한 하부 구조체이다. ② 기둥(column) : 지붕부터 상부층의 바닥판 하중을 받아 하부로 전달하는 수직재 ③ 벽체(wall) : 수직으로 공간을 차단시킨 구조로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된 벽을 외벽, 내측을 내벽이라 하고, 칸막이벽으로 설치된 것을 장막벽, 상부 하중을 받아 견딜 수 있도록 설치된 벽을 내력벽이라고 한다. ..

비타민D, 코로나 사망 위험 감소- 비타민D 음식 섭취

비타민디D 수치 30 이상 때, 사망 확률 51% 낮아 햇빛이 최고 비타민D 공급원…“잠깐씩이라도 쬐야” 비타민D 혈중농도를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면 코로나19 합병증 위험이 절반가량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칼슘 흡수와 면역력을 높이는 영양소로 알려진 비타민디(D)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또 하나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엔 비타민 D가 충분할 경우 합병증 위험이 크게 낮아진다는 내용이다. 미국과 이란 공동연구진은 지난 25일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비타민 디의 혈중 농도가 30ng/mL 이상인 경우 코로나19 환자가 의식 불명, 저산소증, 사망에 이르는 등의 부작용 위험이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의료계에서..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

정보비대칭 (information asymmetry) □ 위임자-대리인론에 따른 정보비대칭의 개념 위임자-대리인론(principal-agent theory)은 사회생활이 일련의 계약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위임자인 주주 등이 대리인인 전문경영인 등에게 경영을 위임하는 계약 등이 그것으로서, 주인-대리인론, 본인-대리인론, 그리고 대리인론 등과 같은 의미로 혼용된다. 이는 1976년 젠센과 메클링(M. Jensen & W. Meckling)이 처음 제기하였는데, 본 이론은 기본적으로 주인인 위임자와 위임을 받는 대리인사이에 이해관계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데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가정한다. 가내 수공업처럼 소규모의 경우, 그 기업의 주인이 경영도 수행할 수 있겠지만 오늘날과 같은 복..

정보 리터러시 Information Literacy

정보리터러시 Information Literacy, 정보 리터러시는 한글로 번역하면 '정보 문해', '정보사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정보소양능력', '정보를 읽고 쓰는 능력'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영어 단어 Literacy(문해)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말하듯, 정보 리터러시는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정보 리터러시라는 단어의 창시자인 주르코프스키(Zurkowski)나 기타 학자들의 정의를 보아도, 상세한 문장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기본적인 틀은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그 정보에 접근하고, 필요한 정보인지 아닌지 판단한 후,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개념 정보리터러시란 정보활용능력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정보가 필요한 때를 인식하고 이 정보를 효..

절차적 합리성(Procedural Rationality)

절차적 합리성(Procedural Rationality) 개념 ‘합리성’ 이란 “도리에 맞는 성질,” “논리의 법칙이나 과학적 인식에 맞는 성질,” “이성이 받아드릴 수 있는 것,” 그리고 “행위가 능률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사태가 목적에 적합한 성질” 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절차적 합리성’이란 가치판단이나 인식 또는 의사결정의 절차가 도리에 맞게 이루어지는 것, 즉 합리적 절차를 따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리성’은 일정한 가치체계를 근거로 할 때, 그 가치체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는 행태를 선택하는 성향을 말한다. 그리고 ‘합리적(rational)’이라는 것은 “이치에 맞는 것” 또는 “순리에 따르는 것” 등으로 정의할 수 있겠는데, 이 용어는 “의도적, 체계적, 계산 가능한, 비 개인적..

적응적 시장가설(Adaptive Market Hypothesis)

적응적 시장가설(Adaptive Market Hypothesis) 적응적 시장가설 모델(Adaptive Market Hypothesis)은 가격이 모든 정보와 시장참여자들의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는 효율적 시장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 Fama, 1970))과 달리 개인들이 과거 경험과 최선의 추측(best guess)에 기반하여 의사결정 하고 그 결과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강화(reinforcement)를 통해 선택을 수정할지 지속할지 학습하는 진화적 양상을 보인다고 한다(Lo, 2004). 이에 따르면 첫째, 위험과 보상(risk and reward)이라는 관계가 존재하는 한 시장이 시계열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위험/보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규..

공시법 암기 노트 #07[공인중개사 2차 독학]

● 등기대상 1. 공유수면화 토지(갯벌) X, 하천 O, 도로 O, 방조제 O 2. 건물은 지붕, 벽, 기둥 필요 → 이동, 임시적 컨테이너, 가설건축물, 모델하우스 X 개방형 축사는 O ● 주등기 부기등기 1단계 : 소유권 관련이면 주등기 → 소유권 보존, 소유권 이전, 소유권에 대한 말소 표시의 등기면 주등기 말소, 멸실등기면 주등기 2단계 : 권리의 설정/변경등기 → 이해관계인이 없거나 동의를 안했으면 주등기 저당권, 가압류, 가처분 → 소유권에 대한 것이면 주등기 말소 회복등기 → 전부회복이면 주등기 ● 등기신청 1. 당사자 신청이 원칙이나 아래가 예외 가. 포괄승계인 : 상속인(포괄승계인)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 피상속인이 A와 매매계약을 한 후 사망한 경우, 상속등기 없이 상속인과 A의 공동..

중개사법 암기노트 #01[공인중개사 독학]

● 1. 총칙 1. 공인중개사법령의 목적 - 공인중개사의 전문성 제고하고, 중개업을 건전하게 육성하여 국민경제에 이바지함. 비교) 부동산거래신고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부동산 거래질서 확립” 2. 용어의 정의 - 중개 : 중개대상물 및 중개대상인 권리를 알선하는 행위 - 중개업 : 일정 보수를 받고 중개를 업으로 하는 것 예시) 개설등록을 하지 않고 중개사무소를 만든 경우 1회만 하더라도 중개업 O 예시) 보수를 받기로 약속하기만 한 경우 중개업 X - 공인중개사 : 자격을 취득한 자 - 개업공인중개사 : 중개사무소를 개설등록한 자 ▸ 법인인 개업공인중개사 ▸ 공인중개사인 개업공인중개사 ▸ 부칙에 따른 개업공인중개사 (=중개인) 3. 중개의 성립요건 가. 중개대상물 : 토지, 건축물, 입목, 광/공업재단 ..

적극적 적응론(active daptationism) - 전략선택론, 자원의존론, 공동체생태학론

적극적 적응론(active daptationism) 1. 개념 조직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개방체제론(open system theory)에는 적극적 적응론이 있는데, 이는 환경을 조직에 맞게 변경하여 심지어 조직에 적응시키기까지 하는 면을 강조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1) 전략선택론 전략선택론(strategic choice theory)은 조직구조란 관리자의 전략에 달려 있으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는 이론으로서, 차일드(J. Child) 등이 주장하였다. 기본적으로 전략선택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조직이 환경 등에 지배된다는 환경결정론자들의 주장에 반하여 조직의 관리자는 높은 수준의 ..

잠정예산

잠정예산 개념 회계연도 개시 전일까지 예산이 의회에서 의결되지 않는 경우에 행정부가 잠정적으로 쓸 수 있는 예산을 잠정예산(暫定豫算)이라고 한다. 예산사전 의결원칙에 따라 의회가 예산을 의결하여 주지 않으면 예산이 성립되지 않아 정부는 활동을 멈출 수밖에 없어서, 어떤 나라나 잠정 예산제도를 갖고 있으며, 그 집행의 구체적인 절차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한국에서는 이것을 건국 초기에는 가예산(假豫算)이라 하였고 1960년대 초부터는 준예산이라고 한다. 영국에서는 “Vote on Account”, 미국에서는 “Continuing Resolution”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잠정예산이라고 한다. 잠정예산의 집행에는 제약이 따른다. 전년도에 지출된 예산수준을 넘어서는 안되며, 새로운 사업 ..

양도소득세 요약 정리

양도소득세 1.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란 일반 개인이 비사업적(일시적, 우발적)으로 부동산 등을 대가로 지불하고 양도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것으로, 분류과세소득(:소득세법에서 과세대상으로 열거하고 있는 소득)에 해당한다. 2. 특징 ① 국세, 직접세, 인세에 해당한다 ② 분류과세 세목에 해당한다 ③ 일시적, 우발적 양도에 대하여 과세한다 ④ 에정신고와 확정신고납부를 한다 ⑤ 초과누진세율, 차등비례세율로 구성되어 있다 ⑥ 분할납부 규정을 두고 있다. ​ 3. 과세권자와 납세의무자 과세권자 양도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장 등 납세의무자 구분 국내소득 국외소득 거주자 납세의무 o 납세의무 o 단, 국외양도자산 : 양도일 현재 계속 5년 이상 국내에 주소 또는 거소를 둔 거주자 ※ 종..

종합부동산세 요약 정리

종합부동산세 1. 개요 및 특징 (1) 개요 1) 이 법은 고액의 부동산 보유자에 대하여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하여 부동산보유에 대한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제고하고, 부동산의 가격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지방재정의 균형발전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 국세, 보통세, 직접세, 보유세, 응능세, 인세에 해당한다. 3) 과세표준과 세액을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이 부과하는 정부부과 세목이다. 4) 전국의 토지 또는 주택가액을 소유자별로 합산하여 보유정도에 따라 초과누진세율로 과세한다. 5) 주택, 종합합산·별도합산 과세대상 토지를 소유자별로 합산과세한다. 개인과 법인 동일하다. 최초 도입시에는 종부세가 세대별로 부과되었으나 위헌판결로 인해 개인별 과세로 변경되었다. 6) 분할납부가 가능하다. ..

재산세 요약 정리

재산세 1. 개요 재산세는 재산(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의 보유사실에 대해 과세하는 세금(보유세)이다. (자동차는취득시 취득세 과세대상이나, 보유시 재산세로 과세되지는 않는다. 대신에 1년에 2회 『자동차세」로 따로 과세한다.) ​ ​ 2. 특징 (1) 납세자가 보유하는 재산에 담세력을 인정하여 과세하는 세금이다. (2) 재산을 보유하는 한 계속적, 정기적, 반복적으로 과세하는 세금이다. (3) 물세 또는 인세에 해당한다. ※ 물세는 원칙적으로 재산별로 개별과세하고 비례세율을 적용한다(단, 주택은 누진세율 적용함) 인세는 소유자별로 합산과세하고 누진세율을 적용한다. (4) 지방세이며 기초자치단체세(시·군·구)이며 보통세(↔목적세)이다. (5) 보통징수 방법에 의한다. (6) 소액징수면제 제..

등록면허세 요약 정리

등록면허세 1. 개요 등록면허세는 재산권 기타 권리의 설정·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 또는 등록하는 경우에 그 등기·등록 행위 자체를 담세력의 간접적 표현으로 보아 그 등기·등록을 받는 자 또는 각종 법령에 규정된 면허를 받는자에게 부과하는 조세이다. ​ ◆ 등록면허세 변천과정 부동산의 은 다음과 같이 3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갑구 : 소유권 및 제한 사항 을구 : 소유권 이외의 권리(용익물권, 담보물권 등) 표제부 : 등기물의 표시에 관한 사항 위 중에서 갑구의 소유권에 관한 등기는 취득세에 포함되어 과세되고(원칙), 나머지 을구와 표시부에 하는 등기는 등록면허세로 과세된다. 단, 소유권등기가 취득세로 과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는 등록면허세로 과세된다. ​ 2. 특징 (..

취득세 요약 정리

취득세 1. 정의 취득세란 지방세법에서 열거하고 있는 일정한 자산의 취득에 대하여 그 취득자(개인 또는 법인 구분 없음)에게 특별시·광역시·도가 부과하는 지방세로서, 부동산 등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유통과정에서 담세권이 노출되는 자에게 조세를 부담시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조세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사실상 소유권을 취득한 자에게 광역자치단체에서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 2. 특징 (1) 납세자가 이를 부담할 능력(취득)이 있다고 보아 과세하는 세금(응능세)이다. (2) 물세이다. 납세의무자의 인적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물건에 따라 개별로 과세한다. (3) 취득이라는 법률행위에 대하여 과세하는 행위세에 해당한다 (4) 부동산의 거래단계 중 취득단계에서 부과하는 유통세(거래세)에 해당한다. (5) 일시..

부동산 조세 총론 요약 정리

부동산 조세 총론 1. 지방세의 과세권자 구분 도 또는 특별시·광역시 취득세, (부동산)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 등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시·군 또는 구 재산세 등 도 또는 구 등록면허세 특별시·광역시 또는 시·군 지방소득세 ​ ​ 2. 가산세 · 가산금 국세기본법 - 1. 총칙 구분 가산세 가산금 의의 ①신고기한까지 세법상 의무 불이행 시 산출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행정벌. 가산금을 제외한다 ②해당 국세 등의 세목으로 하며 감면하지 않는다. (예: 가산세가 포함된 취득세) ③납세의무자가 신고납부하지 않아 과세권자가 가산세를 더하여 보통징수의 방법으로 과세한다 ①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때 고지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지체상금 ②해당 국세 등의 세목으로 하지 않는다. (예 : 재산세 + 가산금)..

부동산세법 암기노트 #01

● 조세총론 1. 조세의 종류 가. 지방세 : 취득세, 등록면허세, 재산세 + "지~" + 레저, 주민, 자동차, 담배세 비교) 취득세 : 특광도, 등록면허세 : 도구, 재산세 : 시군구 나. 국세 :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2. 취득/보유/양도 가. 취득, 보유, 양도 모두 해당 : 농, 부, 인(농어촌특별세, 부가가치세, 인지세) 나. 취득, 보유 해당 : 지방교육세 다. 보유, 양도 해당 : 지방소득세 3. 조세의 징수 가. 보통징수 :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 부과 나. 신고납부 : 취득세, 등록면허세, 소득세 -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 부과 다. 지방세는 50% 범위에서 가감 가능 라. 도세는 부동산 소재지의 시군구청장이 징수하여 시도지사에게 납입함 마. 제척기간 : 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