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2948

형법 기출 해설 #05

Q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甲이 A를 강간하던 중 A가 손가락을 깨물며 반항하자, 甲이 물린 손가락을 비틀어 잡아 뽑다가 A에게 치아결손을 가한 행위는 긴급피난에 해당한다. ② 경찰관이 현행범인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甲을 체포하려고 하자, 甲이 체포를 면하려고 반항하는 과정에서 경찰관에게 상해를 가한 행위는 정당방위에 해당한 다. ③ 친권자 甲이 스스로의 감정을 이기지 못하고 야구방망이로 때릴 듯이 자녀 A에게 “죽여 버린다”라고 말하여 협박한 행위는 정당행위에 해당한다. ④ 정당 당직자 甲이 국회 상임위원회 회의장 앞 복도에서 출입이 봉쇄된 회의장 출입 구를 뚫을 목적으로 회의장 출입문 및 그 안쪽에 쌓여있던 집기를 손상한 행위는 정당행위에..

형법 2020.03.22

복싱 스타일, 복서/아웃복서/아웃파이터(Boxer/Out-boxer/Out-fighter), 브로울러/슬러거(Brawler/Slugger), 카운터 펀처(Counter Puncher), 무버(Mover), 볼륨 펀처(Volume Puncher), 슬릭 파이터/복서/무버(Slick Fighter/Sl..

How to Choose Your Fighting Style How do you develop the best fighting style for yourself? I’ve had somebody ask me, “How do you choose your fighting style?” and I find it to be an interesting question. Because honestly…you don’t really get to choose your fighting style. You have to adapt to the game and do whatever it takes to win. So in a sense…if your goal is to win…your style will evolve to ..

복싱 풋워크, 스텝 Boxing Footwork

Boxing Footwork: Essential DO’s, DON’Ts and drills The thing that you’ll find with the average fighter across the board is that they will more often than not have less-than-acceptable footwork. Although it is a large contributing factor and an extremely essential part of the boxing game, most fighters just want to punch and hit and work on blocking, and bypass working on their footwork. Therefor..

복싱 기본 펀치 Basic Punches, 잽, 스트레이트, 훅, 어퍼컷

Basic Punches : Naming The 6-Punch Boxing Numbering System Regardless if you are a beginner or a trained veteran, it’s always good to get back to the basics. Depending on the gym you’re training at, the numbering system, to keep it one of the most sacred, basic training guides, we’re going to hope is normally the same across gyms. The unwritten rule to keep the same numbers associated with basic..

복싱 콤비네이션 Basic Boxing Combinations

Basic Boxing Combinations 1-2 (Jab-Right cross) Yes, the basic 1-2 jab-cross is naturally the first combination you learn how to throw. It’s the first two punches you’ve ever thrown together and you’ve probably been doing it long before you started boxing…probably on your little brother or your annoying next door neighbor. The fast jab catches your opponent off guard and the right cross takes hi..

공무원 영어 기출 문제[독해] 모음 #03

Q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merica gets 97% of its limes from Mexico, and a combination of bad weather and disease has sent that supply plummeting and prices skyrocketing. A 40-lb. (18kg) box of limes that cost the local restaurateurs about $20 late last year now goes for $120. In April, the average retail price for a lime hit 56 cents, more than double the price last year. Across the U.S., bars an..

잡스 영어 2020.03.21

공무원 행정학 기출 문제[조직론] 모음 #01

Q 조직 내부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갈등은 양립할 수 없는 둘 이상의 목표를 추구하는 상황에서도 발생한다. ②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갈등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다. ③ 행태론적 입장에서는 모든 갈등이 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제거되어야 한다고 본다. ④ 현대적 접근 방식은 갈등을 정상적인 현상으로 보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직 발전의 원동력으로 본다. 【해설】 정답 ③(틀림). 갈등에 대한 행태론적 접근 방법은 194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널리 받아들여졌던 입장으로, 갈등을 조직 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고,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때로는 갈등이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킨다고 본다. ⑴ 전통적 갈등관과 역기능:초기인간관계론 -..

잡스 행정학 2020.03.21

하현우 돌덩이 기타 코드 (이태원클라스 OST)

돌덩이 Romanization Hit me harder Make me strong geujeo jeonghaejin daero ttareurago geuge hyeonmyeonghage saneun georago jwi jugeun deusi sallaneun mal gatjanheun mal nugul wihan salminga tteugeopge jijyeobwa jeoldae kkomjjak anhgo naneun beotyeonael tenikka geosege ttaeryeobwa ne sonman dachil tenikka nareul bwa kkeutteokeopseo sseureojigo tteoreojyeodo dasi ireona oreul ppunya nan marya ttokttok..

공무원 행정학 기출 문제[환류론] 모음 #02

Q 행정윤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제도적 책임성이란 공무원이 전문가로서의 직업윤리와 책임감에 기초해서 자발적인 재량을 발휘해 확보되는 행정책임을 의미한다. ② 행정윤리는 사익보다는 공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③ 결과주의에 근거한 윤리평가는 사후적인 것이며 문제의 해결보다는 행위 혹은 그 결과에 대한 처벌에 중점을 둔다. ④ 공무원 부패의 원인을 사회문화적 접근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특정한 지배적 관습이나 경험적 습성이 부패를 조장한다는 입장이다. 【해설】 정답 ① 자율적 책임성이란 공무원이 전문가로서의 직업윤리와 책임감에 기초해서 자발적인 재량을 발휘해 확보되는 행정책임을 의미한다. 반면 제도적 책임성이란 공무원이 공식적인 각종 제도적 통제로 인하여 국민요구에 부응하는 타율적⋅수동적 책임..

잡스 행정학 2020.03.20

공무원 행정학 기출 문제[인사론] 모음 #03

Q 다음 중 직위분류제의 분류와 그 예시의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류 - 일반행정, 법무행정, 국제통상 ② 직렬 - 행정, 세무, 관세, 교정 ③ 직군 - 행정, 공안, 시설 ④ 직위 - 관리관, 이사관, 서기관 【해설】 [정답] ④ 직위(자리)는 한 사람의 공무원에게 부여할 수 있는 직무와 책임으로서 행정자치부장관, 감사담당관, 총무과장 등이 그 예이다. 관리관(1급), 이사관(2급), 부이사관(3급), 서기관(4급), 사무관(5급) 등은 계급의 명칭 '류렬군 급등' '직렬종, 등급책, 직급종책' '급인사 등보수' 직위(Posiion) : 1인 공무원에게 부여하는 직무와 책임 직류(Sub-Series) : 동일 직렬내에서 담당분야가 동일한 직무의 군 직렬(Series) : 직무의 종류가 유..

잡스 행정학 2020.03.20

헌법 기출 문제 모음 #06

Q 대한민국헌법의 개정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제헌헌법에 따르면 헌법개정은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동의로 제안될 수 없다. ② 제2차 개정헌법에 따르면 민의원 선거권자 50만 명 이상은 헌법개정을 제안할 수 없다. ③ 제3차 개정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헌법개정을 제안할 수 없다. ④ 제5차 개정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헌법개정을 제안할 수 없다. ⑤ 제7차 개정헌법에 따르면 헌법개정은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로 제안될 수 있다. 【해설】 정답 ④ 제5차 개헌에서 헌법개정은 국회재적의원 1/3 이상과 국회의원선거권자 50만명 이상의 국민이 제안할 수 있다. ① 제헌헌법에서 헌법개정은 대통령과 국회재적의원 1/3 이상이 제안할 수 있다. ② 제2차 개헌에서 헌법개정은 대통령, ..

헌법 2020.03.20

헌법 기출 문제 모음 #03

Q 기본권의 주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지방자치단체는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없다. ② 초기배아는 아직 모체에 착상되거나 원시선이 나타나지 않았더라도 기본권 주체성을 인정할 수 있다. ③ 축협중앙회는 공법인성과 사법인성을 겸유한 특수한 법인으로서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있다. ④ 정당과 같은 권리능력 없는 단체는 생명·신체의 안전에 관한 기본권의 행사에 있어서는 기본권 주체가 될 수 없다. ⑤ 근로의 권리는 근로자를 개인의 차원에서 보호하기 위한 권리이므로 노동조합은 근로의 권리의 주체가 될 수 없다. 해설 ① 【O】 기본권 보장규정인 헌법 제2장의 제목이 “국민의 권리와 의무”이고 그 제10조 내지 제39조에서 “모든 국민은 ……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

헌법 2020.03.20

형소법 기출 문제 모음 #05

Q 「형사소송법」의 이념인 적정절차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① 경찰관에게 등을 보인 채 상의를 속옷과 함께 겨드랑이까지 올리고 하의를 속옷과 함께 무릎까지 내린 상태에서 3회에 걸쳐 앉았다 일어서게 하는 방법으로 실시한 신체수색은「헌법」제10조 및 제12조에 의하여 보장되는 청구인들의 인격권 및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다. ② 음주운전과 관련한 「도로교통법」 위반죄의 범죄 수사를 위하여 미성년자인 피의자의 혈액 채취가 필요한 경우, 피의자에게 의사능력이 있다면 피의자 본인만이 혈액 채취에 관한 유효한 동의를 할 수 있고, 피의자에게 의사능력이 없는 경우에도 명문의 규정이 없는 이상 법정대리인이 피의자를 대리하여 동의할 수는 없다. ③ 선거관리위원..

형사소송법 2020.03.19

형법 기출 문제 모음 #02

Q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① 종친회 회장이 위조한 종친회 규약 등을 공탁관에게 제출하는 방법으로 종친회를 피공탁자로 하여 공탁된 수용보상금을 출급받아 편취한 후, 이를 보관하던 중 종친회의 요구에 대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반환을 거부한 행위는 사기범행의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해당한다. ② 채무자가 자신의 부동산에 甲 명의로 허위의 금전채권에 기한 담보가등기를 설정하여 강제집행면탈죄가 성립된 후, 그 부동산을 乙에게 양도하여 乙 명의로 이루어진 가등기양도 및 본등기를 경료한 행위는 강제집행면탈범행의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해당한다. ③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기업에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그 기업에 유용한 영업비밀이 담겨 있는 타인의 재물을 절취한 후, ..

형법 2020.03.19

형소법 기출 문제 모음 #03

Q 상소의 이익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① 피고인이 벌금의 실형에 대하여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주장하는 경우에는 상소의 이익이 부정된다. ② 피고인은 자기에게 불리한 재판에 대하여만 상소할 수 있으나, 검사는 피고인의 이익을 위하여도 상소할 수 있다. ③ 공소기각의 판결을 선고받은 피고인은 무죄를 주장하며 상소를 제기할 수 없지만, 면소판결을 받은 피고인은 무죄를 주장하여 상소를 제기할 수 있다. ④ 제1심 유죄판결에 대하여 피고인은 항소권을 포기하고 검사만이 양형이 가볍다는 이유로 항소하였다가 이유 없다고 기각된 항소심 판결에 대하여 피고인은 상고할 수 없다. 【해설】 ① 벌금의 실형보다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중(重)한 형이고, 피고인에게 불이익한 결과를 초래..

형사소송법 2020.03.19

모든 날 모든 순간, 폴 킴, 기타 코드 악보

모든 날, 모든 순간 (Every day, Every Moment 폴킴(Paul Kim) 네가 없이 웃을 수 있을까 생각만 해도 눈물이나 힘든 시간 날 지켜준 사람 이제는 내가 그댈 지킬 테니 너의 품은 항상 따뜻했어 고단했던 나의 하루에 유일한 휴식처 나는 너 하나로 충분해 긴 말 안 해도 눈빛으로 다 아니깐 한 송이의 꽃이 피고 지는 모든 날 모든 순간 함께해 햇살처럼 빛나고 있었지 나를 보는 네 눈빛은 꿈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그 모든 순간은 눈부셨다 불안했던 나의 고된 삶에 한줄기 빛처럼 다가와 날 웃게 해준 너 나는 너 하나로 충분해 긴 말 안 해도 눈빛으로 다 아니깐 한 송이의 꽃이 피고 지는 모든 날 모든 순간 함께해 알 수 없는 미래지만 네 품속에 있는 지금 순간 순간이 영원 했으면 해 갈..

Sam Smith - I’m Not The Only One 기타 코드

[Intro] C E Am F C E Am F C E Am F C G C [Verse 1] E Am You and me we made a vow E Am For better or for worse E Am I can't believe you let me down C G C But the proof is in the way it hurts E Am For months on end I've had my doubts E Am Denying every tear E Am I wish this would be over now C G C But I know that I still need you here [Chorus] E Am You say I'm crazy C E Am Cause you don't think I ..

민법 #04-물권법

물권의 변동 제2절. 물권변동의 구성요소 1. 물권적 합의 (물권행위) 가. 물권행위의 개념적 독자성 : 물권행위 - 채권행위 개념상 구별 O 다. 물권행위의 유인성 : 채권행위 무효 or 취소 or 해제 -> 물권행위 소급적 무효 2. 공시방법 제3절. 부동산 물권의 변동 1. 부동산등기 가. 의의 나. 종류 다. 가등기 1) 의의 (부동산등기법 제2조, 제3조, 제6조 2항) 2) 요건 가) 부동산등기법 제3조 (물권적 청구권 보전 가등기 X) 나) ‘협의의 가등기의 가등기’의 허용여부 : X (if, 긍정 : 등기부 너무 복잡 - 공시기능 저해할 우려 O) 3) 절차 가) 원칙 : 가등기의무자와 가등기권리자의 공동신청 (부등법 제27조) 나) 예외 (부등법 제37조, 제38조) (1) 가등기의무자의..

민법 총칙 #02

법률관계와 권리․의무 제2절 : 신의성실의 원칙 1. 서설 (제2조 1항, 2항) 2. 요건 - 백지이므로 유형화가 필요 3. 효과 가. 권리창설적 효과 : 신의칙상 부수적 주의의무 (고지의무, 설명의무) 나. 권리변경적 효과 : “사정변경의 원칙” 1) 의의 : 법률행위 성립의 기초가 된 사정이 당사자가 예견할 수 없었던 사정으로 인해 현저히 변경되고, 그리하여 당초의 내용대로 그 효과를 강제하는 것이 당사자 일방에게 가혹하게 된 경우, 그 내용을 변경된 사정에 맞게 수정하거나 또는 그 법률행위를 해소시킬 수 있다는 원칙 2) 일반원칙으로서 ‘사정변경의 원칙’ 인정여부 가) 문제점 : 명문규정(제557조, 제628조 등), 이러한 명문 규정 없는 경우 인정? 나) 학설 : 긍 (제2조) vs 제․긍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