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행정학/행정학 용어

심리적 계약 (Psychological Contract)

Jobs 9 2020. 10. 21. 22:45
반응형

1. 개념
 
  심리적 계약은 “상호 호혜적 의무에 대한 기대감”, “주관적으로 정의되는 상호의무에 대한 믿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호호혜적인 의무에 대한 개인의 신념에 근거하기 때문에 조직에 대한 의무감에 관한 개인적 지각과 그 의무의 대가로 조직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다는 믿는다. 따라서 실체적 함의가 아닌 개인이 지각한 약속이나 지각한 합의에 근거한다.
  장기간에 걸쳐 조직과 구성원 간 상호기대와 의무가 제대로 이행된다고 느낄 때 나타나는 기대와 믿음으로 호혜적, 동태적, 주관적 특성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거래적 계약과 관계적 계약으로 구분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안정적, 그리고 발전적 계약으로 확장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2. 공공부문에서의 심리적 계약

  신자유주의적 행정개혁은 공공부문의 비대화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나머지 공무원의 직업안정성 마저 약화시키는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행정쇄신을 위한 변화를 추진하면서 공무원들의 심리적 계약 요소에는 무관심했다고 할 수 있다. 공공부문에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전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공무원들은 민간조직에 비해 경력개발기회제공 등에서 상대적으로 불비한 여건에 있으므로 다양한 정책대안이 필요하다.
  공공조직 특성상 한정적 재원임을 감안할 때 비교적 적은 비용을 지불하면서 조직 스스로의 의무를 충실히 하고 있다고 공무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제반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 대안이 바로 심리적 계약의 강화이며 이는 국가 경쟁력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평가와 전망

  기존 연구의 대부분이 민간부문차원에서 연구되어져 왔다면 이제는 공공부문에 적합한 심리적 계약에 초점을 두어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공공가치 실현 등 공공부문에 적합한 심리적 계약 요소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부분에 적합한 심리적 계약모형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가치실현, 경력개발기회, 동반자 의식과 배려, 일과 생활의 조화 등 공공서비스 동기요인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공공부문의 심리적 계약에 관련하여 인적자원관리 차원의 제반 정책이 필요하다. 현재 운영중인 육아휴직, 탄력근무제 등 다양한 가족-친화적제도의 내재된 한계는 없는지 점검이 필요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