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국어 음운 규칙 정리,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 동화, 구개음화, 사잇소리 현상

Jobs 9 2023. 3. 8. 13:15
반응형

1. 음운의 변동


한 형태소가 단독 또는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에 형태소의 음운의 일부가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발음하기에 불편하거나 거친 소리를 발음하기 쉽고 경제적으로 하려는 현상이다.

 

2. 음운 변동의 갈래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우리말에서 받침소리(끝소리)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뿐이다. 나머지 자음들은 이 중의 어느 하나로 발음된다.
① 대표음
* ㄲ, ㅋ → [ㄱ] 예) 밖[박], 부엌[부억]
* ㅅ, ㅆ, ㅈ, ㅊ, ㅌ, → [ㄷ] 예) 낫[낟], 낮[낟]
* ㅍ → [ㅂ] 예) 잎[입]
② 단어의 끝자음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가 올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뀌지 않고 그대로 이어져 발음된다.
예)옷에서[오세서], 젖을[저즐], 옷안[오단]
③ 겹자음 받침의 발음
* ㄺ → [ㄱ],(예외, ㄺ+ㄱ= [ㄹ])
예) 읽다{익따], 맑다[막따], 읽고[일꼬], 맑게[말께]
* ㄻ → [ㅁ] 예) 삶[삼], 젊다[점따]
* ㄿ → [ㅂ] 예) 읊다[읍따]
* ㄼ → [ㄹ] 예) 넓다[널따]
* 예외, - 밟다 → [밥따],
- ‘넓다’가 합성어가 되는 경우 → [ㅂ]
예) 넓둥글다[넙뚱글다], 넓죽하다[넙쭈카다]


2) 자음 동화
음절의 끝 자음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에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 거나,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모두 바뀌는 현상.(자 음 동화의 결과는 울림 소리(ㄴ, ㄹ, ㅁ, ㅇ)이다)

① 받침‘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 ‘ㄱ’이 ‘ㄴ, ㅁ’ 앞에서 [ㅇ]으로 발음된다.
예) 먹는[멍는], 국물[궁물], 몫만[몽만], 긁는[긍는]
㉡ ‘ㄷ’이 ‘ㄴ, ㅁ’ 앞에서 [ㄴ]으로 발음된다.
예) 듣는[든는], 짓만[진만], 옷맵시[온맵씨], 있는[인는],
맞는[만는], 쫓는[쫀는], 밭만[반만], 놓는[논는]
㉢ ‘ㅂ’이 ‘ㄴ, ㅁ’ 앞에서 [ㅁ]으로 발음된다.
예) 밥물[밤물], 밟는[밤는], 읊는[음는], 없는[엄는]
②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예) 담력[담:녁], 남루[남누], 강릉[강능], 대통령[대:통녕]
③ ‘ㄱ, ㄷ, ㅂ’과 ‘ㄹ’이 만나면 ‘ㄹ’이 [ㄴ]이 되고, 이렇게 변해서 된 ‘ㄴ’을 닮아서 그 앞의 ‘ㄱ, ㄷ, ㅂ’이 각각 [ㅇ, ㄴ, ㅁ]이 된다.
예) 백로[백노→뱅노], 막론[막논→망논], 백리[백니→뱅니]
몇 리[멷리→멷니→면니], 협력[협녁→혐녁}
④ ‘ㄴ’이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 신라[실라], 난로[날로], 칼날[칼랄], 물난리[물랄리]
닳는[달는→달른], 뚫는[뚤는→뚤른], 핥네[할네→할레]
예외)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한다.
의견란[의:견난], 임진란[임진난], 생산량[생산냥],
결단력[결딴녁], 상견례[상견녜], 이원론[이원논]

※ 자음 동화의 종류
① 동화의 정도에 따라
* 완전 동화 : 서로 같은 자음으로 바뀌는 현상.
* 불완전 동화 : 서로 다른 자음으로 바뀌는 현상.
② 작용의 방향에 따라
* 순행 동화 : 앞 자음의 영향으로 뒤의 자음이 바뀜
* 역행 동화 : 뒤의 자음의 영향으로 앞 자음이 바뀜
* 상호 동화 : 앞 뒤의 자음이 서로 영향을 주어 바뀜


3) 구개음화
받침의 ‘ㄷ’, ‘ㅌ’이 ‘ㅣ’모음 앞에 오면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① ‘ㄷ’ → [ㅈ]의 경우
예) 해돋이[해도지], 굳이[구지], 곧이듣다[고지듣따]
② ‘ㅌ’ → [ㅊ]의 경우
예) 같이[가치], 붙이다[부치다], 쇠붙이[쇠부치], 밭이[바치]
③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예) 굳히다[구티다→구치다], 닫히다[다티다→다치다]
* 한 형태소 안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예) 잔디 ≠ [잔지], 티끌 ≠ [치끌]


4) 된소리되기
①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된다.
예) 약국[약꾹], 깎다[깍따], 밝고[발꼬], 삯돈[삭똔],
있고[읻꼬], 있던[읻떤], 낮잠[낟짬], 낯선[낟썬],
덮개[덥깨], 밟고[밥꼬], 읊던[읍떤], 값진[갑찐]
② 어간 받침‘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예) 신고[신꼬], 앉고[안꼬], 삼고[삼꼬], 젊지[점찌]
③ 어간 받침 ‘ ㄼ, ㄾ’ 뒤에 결합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예) 넓게[널께], 떫지[떨지], 핥다[할따], 훑소[훌쏘]
④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5) 사잇소리 현상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고리가 안울림 예삿소리인 경우,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①예외가 많아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 기와+집→기와집, 밤+송이→밤송이, 은+돈→은돈
콩+밥→콩밥, 말+방울→밀방울
② 의미나 관습에 따라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안 일어나기도 한다.
예) * 산(살아있는)불[산불], 산(山)불[산뿔]
* 김밥[김:밥], 비빔밥[비빔빱]
* 잠자리[잠자리](곤충), 잠자리[잠짜리](자는 자리)
* 나무+집→나무집[나무집](나무로 만든집)
나무+집→나무집[나무찝](나무를 파는 집)
③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뒤의 말이 ‘ㄴ, ㅁ’으로 시작되면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가 있다.
예) 코+날→콧날[콘날], 이+몸→잇몸[인몸]
④ 뒤의 말이 모음‘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될 때는 ‘ㄴ’이 하나 또는 둘이 겹쳐나는 일이 있다.
예) 집+일→집일[집닐→짐닐], 논+일→논일[논닐]
아래+이→아랫니[아랜니],
부엌+일→부엌일[부억닐→부엉닐]
나무+잎→나뭇잎[나문닙],
⑤ 한자(漢字)가 모여서 단어를 이룰 때에도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예) 초점[초쩜], 물가[물까], 내과[내꽈]
⑥ 사이‘ㅅ’이 표기되는 경우
㉠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예)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모깃불, 뱃길, 이랫집,
베갯잇, 깻잎, 뒷일, 뒷머리, 냇물, 맷돌
㉡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때
예) 귓병, 머릿방, 샛강, 텃세, 곗날, 제삿날, 툇마루
㉢ 한자어와 한자어의 결합은 사이‘ㅅ’이 쓰이지 않으나 아래의 6 단어는 예외적으로 쓰인다.
예)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⑦ 사이‘ㅅ’이 붙은 단어의 발음
㉠ 사이‘ㅅ’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에는 이들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나 사이‘ㅅ’의 [ㄷ] 발음도 허용.
예) 냇가[내까/낻까], 샛길[새낄/샏낄], 햇살[해쌀/핻쌀]
㉡ 사이‘ㅅ’ 뒤에 ‘ㄴ, ㅁ’이 결합되는 경우 [ㄴ]으로 발음한다.
예) 콧날[콛날→콘날], 아랫니[아랟니→아랜니]
㉢ 사이‘ㅅ’ 뒤에 ‘ㅣ’음이 결합되는 경우는 [ㄴ, ㄴ]으로 발음.
예) 나뭇잎[나묻입→나문닙], 베갯잇[베갣읻→베갠닏]

반응형



6) 모음 조화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
① 용언의 어간과 어미에서 나타난다.
* 양성 어간 + ‘-아’ 계통의 어미 : 깎아, 깎아서 깎았다.
* 음성 어간 + ‘-어’ 계통의 어미 : 꺾어, 꺾어서, 꺾었다
② 의성어와 의태어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예) 양성 모음끼리 : 알락달락, 졸졸, 찰찰, 알록달록
음성 모음끼리 : 얼럭덜럭, 줄줄, 철철, 얼룩덜룩


7) 음운의 축약과 탈락

(1) 음운의 축약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앞 뒤 형태소의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이나 음절로 발음되는 현상.
① 자음의 축약 : ‘ㄱ, ㄷ, ㅂ, ㅈ’ + ‘ㅎ’ → ‘ㅋ, ㅌ, ㅍ, ㅊ’
예) 이렇게[이러케], 밝히다[발키다], 좋다[조타],
좁히다[조피다], 앉히다[안치다], 그렇지[그러치],
② 모음의 축약 : 두 개의 음절이 한 음절로 축약
예) 아이 → 애, 사이 → 새, 너+의 → 네,
보이어 → 보여, 오되어 →돼, 오+아서 → 와서
(2) 음운의 탈락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에 한 음운이 발음되지 않는 현상.
① 자음의 탈락
* 동음 탈락
예) 간난(艱難) → 가난, 목과(木瓜) → 모과,
종용(從容) → 조용
* ‘ㄹ, ㅅ, ㅎ’의 탈락
예) 솔 + 나무 → 소나무, 아들 + 님 → 아드님,
그것이 → 그게, 좋은 → [조은]
② 모음 탈락
* 동음 탈락
예) 가 + 아(서) → 가(서), 서 + 어서 → 서서
가 + 았다 → 갔다, 서 + 었다 → 섰다
* ‘ㅏ, ㅓ, ㅜ, ㅡ, ㅣ’ 탈락
예) 흔하지 → 흔치, 캐 + 어 → 캐, 푸 + 어 → 퍼
뜨 + 어 → 떠, 쓰 + 어 → 써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