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227

ㄱ종성체언, ㅎ종성체언, ㅎ받침 체언, ㅎ덧생김 체언, 곡용어, 활용과 곡용

● 곡용어 - 체언과 조사가 만날 때 '모습 바뀜'이 나타나는 단어 용언에 '활용'이 있듯이, 체언에 '곡용' - 활용 : '어간 + 어미'에서 모습이 바뀌는 현상. - 곡용 : '체언 + 조사'에서 모습이 바뀌는 현상. 중세국어에서는 'ㄱ'이 덧붙는 것과 'ㅎ'이 덧붙는 것이 있었다. ㄱ곡용어 : 나모, 구무, 녀느 등등 ㅎ곡용어 : 유성음으로 끝난 고유어들로 80여 개의 단어(머리, 살, 암, 수 등등) 요즘에는 'ㅎ종성 체언, ㅎ받침 체언, ㅎ덧생김 체언' 그 이유는 이 '곡용'이라는 현상이 현대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 즉 명사가 조사와 만날 때 어형이 바뀌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곡용'이라는 용어를 쓸 일이 없는 것 다만, 조사를 만날 때는 아니지만, 과거 '곡용'의 잔재가..

국어의 특성 [문법 #03]

02 국어의 특성 1. 언어의 종류와 계통 교착어 단어가 활용될 때 단어의 어간과 어미가 비교적 명백하게 분리되는 언어이다. 하나의 형태소는 하나의 문법적인 기능을 하며, 첨가어라고도 한다. 한국어, 터키어, 일본어, 핀란드어, 헝가리어등 우랄 알타이 어족과 스와힐리어 등. 영어의 경우 복수형 접미사 s나 과거형 접미사 (e)d등에서 교착어적인 모습도 가지고 있다. 굴절어 굴절어는 단어의 활용 형태가 단어 자체의 변형으로 나타나는 언어로 어간과 접사(적 역할을 하는 형태소)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어휘 자체에 격, 품사 등을 나타내는 요소가 포함되어있다. 대표적인 것은 인도-유럽어족이다. 동유럽의 슬라브 어족 지중해변의 라틴계 언어는 명사의 굴절이 사라진 편이나 동사의 굴절이 남아있..

언어 구성 요소 [문법 #02]

5. 언어 구성 요소 언어는 형태, 내용, 사용의 세 가지 구성 요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언어 형태 실제 입에서 나오는 말이나 글의 형태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내용 그 언어의 의미 의미론 사용 어떤 상황이나 맥락 속에서의 언어 화용론 1) 음운론 ① 말소리 음운을 대상으로 음운 체계를 밝히고, 역사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 - 음운: 말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자음, 모음) - 자음과 모음의 음운 체계를 연구 예) 음절 끝소리 규칙, ㄷ 불규칙, ㅂ 불규칙 등 ex) 아: 모음 (ㅏ) ex) 바: 자음 (ㅂ) + 모음 (ㅏ) ex) 악: 모음 (ㅏ) + 자음 (ㄱ) ex) 박: 자음(ㅂ) + 모음 (ㅏ) + 자음 (ㄱ) 2) 형태론 ① 형태소부터 단어까지를 연구하는 학문 ㄱ. 형태소 연구 - 형태소..

언어의 특성, 언어의 기능 [문법 #01]

제1장 언어와 국어의 특성 01 언어의 특성 1. 언어와 인간 - 호모 로퀜스(Homo loquence) : 인간과 동물을 언어의 유무로 구별할 때. - 호모 그라마티쿠스(Homo grammaticus) : 인간 중에서도 언어를 문법적 틀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구별할 때. - 광의의 언어 : 음성언어, 문자 언어, 몸짓, 손짓, 표정, 신호 등 사람의 의사를 표현하는 모든 수단을 일컫는다. - 협의의 언어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며 분절음으로 구성된 언어만 일컫는다. 2. 언어와 국어 1) 언어 언어 → 음성(말), 문자(글),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 체계(문법) ① 언어는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

등, 겸, 대, 및, 내지, 띄어쓰기

등, 겸, 대, 및, 내지 이어 주거나 열거할 때 쓰는 말 띄어쓰기 별개의 단어이므로 띄어쓰기 집에서 쉴 겸 무더위 따위 물냉면 대 비빔냉면 선풍기, 수박, 삼계탕 등 열대야, 냉방병, 불쾌지수 등등 모기, 파리 및 여름 해충 열 내지 스물 수박 또는 참외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ㄴ' 첨가,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얄긋얄긋[얄근냘귿/얄그댤귿], 얄찍얄찍[얄찡냘찍/얄찌걀찍], 얄팍얄팍[얄팡냘팍/얄파걀팍], 얇실얇실..

● 'ㄴ' 첨가 합성어, 파생어, 구 등에서 앞 형태소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 형태소의 두음이 '야, 여, 요, 유, 이, 예'일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어, [냐, 녀, 뇨, 뉴, 니, 녜]로 발음될 수 있다. 첨가 현상은 어휘의 차이에 따라 일어나는 수의적 음운현상이므로 단어나 구에 따라 일어나지 않기도 한다.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배:봉냑] 한-여름[한녀름] 남존-여비[남존녀비] 신-여성[신녀성] 색-연필[생년필] 직행-..

띄어쓰기, 체언, 단음절어(單音節語: monosyllable)

【3절】 띄어쓰기 [2] 체언 6. 단음절어(單音節語: monosyllable)가 연이어 나타난 말 단음절로 된 관형어와 부사어 등의 수식어와 피수식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에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쓸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붙여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식어와 피수식어가 자연스럽게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것만 붙여 쓸 수 있다. 관형사과 명사, 용언의 관형사형과 명사, 부사와 부사 등을 주로 붙여 쓴다. 관형어와 관형어, 부사와 관형어는 원칙적으로 띄어 쓴다. 그 때 그 곳 / 그때 그곳 이 말 저 말 / 이말 저말 한 잎 두 잎 / 한잎 두잎 내 것 네 것 / 내것 네것 한 잔 술 / 한잔 술 좀 더 큰 것 / 좀더 큰것→ 좀 더큰 것(×) 좀 더 큰 이 새 집 / 좀더 큰 이 새집→ 좀..

사잇소리 현상 - 찻간, 툇간, 횟수, 곳간, 셋방, 숫자

● 순수한 고유어끼리 합성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세 종류로 발음 1. 된소리 / 해 + 볕 [해뼏/핻뼏] 뒷말의 첫소리가 콧소리인 'ㄴ,ㅁ'일 때 'ㄴ'이 첨가됩니다. 2. ㄴ첨가 / 내 + 물 [낸:물] 뒷말의 첫소리가 '이'나 'ㅣ'일 때 'ㄴㄴ첨가'가 일어납니다. 3. ㄴㄴ첨가 / 깨 +잎 [깬닙] ● 고유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도 앞말에 'ㅅ'을 받쳐 사이시옷 첫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 종류로 소리 등굣길: 등교(한자어)+길(고유어) → 등굣길[등교낄/등굗낄] 1. 된소리 / 새 + 강 [새:깡/샏:깡] 2. ㄴ첨가 / 계 + 날 [곈:날/겐:날] 3. ㄴㄴ첨가 / 후 + 일 ●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6개의 단어. 원래 한자어끼리의 합성어는 사이시옷 X..

이, 그, 저, 아무, 여러, 의존명사, 띄어쓰기, 이곳, 그곳, 저, 이때, 그때, 저때, 아무것, 아무데, 어느새

‘이, 그, 저, 아무, 여러’와 의존명사가 결합한 말의 띄어쓰기: 다음 말 외에는 띄어 씀. (가) 이것, 그것, 저것 / 이분, 그분, 저분 / 이이, 그이, 저이 / 이자, 그자, 저자 / 이년, 그년, 저년 / 이놈, 그놈, 저놈 (나) 이쪽, 그쪽, 저쪽 / 이편, 그편, 저편 / 이곳, 그곳, 저곳 / 이때, 그때, 저때 (다) 이번, 저번 / 그동안, 그사이 (라) 아무것, 아무데 / 어느새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

단위 명사, 띄어쓰기, 집 한 채, 버선 한 죽, 이백만 원, 삼십억 원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의 띄어쓰기: 순서, 연월일, 시각을 나타낼 때나 아라비아숫자 뒤에서는 붙여 씀을 허용함 (가) 금 서 돈, 집 한 채, 버선 한 죽 (가)′ 이백만 원, 삼십억 원 (나) 제2 과/제2과, 이십칠 대/이십칠대 국회 의원, (제)삼 학년/삼학년 (나)″ 두 시 삼십 분/두시 삼십분, 여덟 시/여덟시, 칠십 년 오 월/칠십년 오월 ※ 월명(月名)을 나타내는 경우는 한 단어이다. “사월엔 진달래가 한창이다” (나)″′ 35 원/35원, 274 번지/274번지, 26 그램/26그램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

사이시옷, 기출 문제 - 찻간, 툇간, 횟수, 곳간, 셋방, 숫자-한글 맞춤법

사이시옷의 관련 조항 - 한글 맞춤법 ● 순수한 고유어끼리 합성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세 종류로 발음 1. 된소리 / 해 + 볕 [해뼏/핻뼏] 뒷말의 첫소리가 콧소리인 'ㄴ,ㅁ'일 때 'ㄴ'이 첨가됩니다. 2. ㄴ첨가 / 내 + 물 [낸:물] 뒷말의 첫소리가 '이'나 'ㅣ'일 때 'ㄴㄴ첨가'가 일어납니다. 3. ㄴㄴ첨가 / 깨 +잎 [깬닙] ● 고유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도 앞말에 'ㅅ'을 받쳐 사이시옷 첫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 종류로 소리 등굣길: 등교(한자어)+길(고유어) → 등굣길[등교낄/등굗낄] 1. 된소리 / 새 + 강 [새:깡/샏:깡] 2. ㄴ첨가 / 계 + 날 [곈:날/겐:날] 3. ㄴㄴ첨가 / 후 + 일 ●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6개의 단어. ..

전세방(傳貰房),전셋집(傳貰-),제상,젯상,한자(어), 사이시옷,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맞춤법

‘제상’인가, ‘젯상’인가: 양쪽 모두 한자(어)일 때에는 그 사이에 사이시옷을 적지 않음 (가) 제상(祭床): 제사 때 제물을 차려 벌여 놓는 상. (나) 초점(焦點), 대가(代價), 개수(個數), 내과(內科), 화병(火病), 소수(素數) (나)′ 예외: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암기 : '가수왕차태현'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 ‘ㄴ’ 소리가 덧나는 합성어 중에서 ‘고유어+고유어(아랫집, 나뭇잎), 고유어+한자어(귓병, 깃발), 한자어+고유어(전셋집, 예삿일)’ 방식에는 사이시옷을 적고, ‘한자어+한자어’ 방식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참고] ‘전세방(傳貰房)’과 ‘전셋집(傳貰-)’ 잡스..

하려고, 할려고, 가려고, 갈려고, 려고, 맞춤법

하려고’인가, ‘할려고’인가: ‘-ㄹ려고’가 아니라 ‘-려고’가 맞음. 집에 {가려고, 갈려고} 한다. ※ 쓸데없이 ‘ㄹ’을 덧붙이지 말아아 한다. [참고] 거짓말시킨다(→거짓말한다), 노래를 배워주다(→가르쳐주다) 내가 할려고 했는데 (X) → 내가 하려고 했는데 (O) 집에 갈려고 한다 (X) → 집에 가려고 한다 (O) 책을 살려고 서점에 갔다 (X) → 책을 사려고 서점에 갔다 (O) 아이가 노려고 놀이터에 갔다 (X) → 아이가 놀려고 놀이터에 갔다 (O)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

보조동사 ‘보다’

보조동사 ‘보다’ 1 . (동사 뒤에서 ‘-어 보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말. 먹어 보다 입어 보다 말을 들어 보다 꼼꼼히 따져 보다 2 . (동사 뒤에서 ‘-어 보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일을 경험함을 나타내는 말. 이런 일을 당해 보지 않은 사람은 내 심정을 모른다. 그런 책은 읽어 본 적이 없다. 학생 중에는 불량배에게 맞아 본 아이가 많다. 3 . (동사 뒤에서 ‘-고 보니’, ‘-고 보면’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고 난 후에 뒷말이 뜻하는 사실을 새로 깨닫게 되거나, 뒷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 마구 때리고 보니 아무리 악인이지만 너무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이란 몇십 년 살고 보면 감각이나 감성이 닳고 낡아 버려져서 아주 둔해..

조사 ‘보다’

조사 ‘보다’ 보다4 조사/ (체언 뒤에 붙어)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교하는 경우, 비교의 대상이 되는 말에 붙어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내가 너보다 크다. 그는 누구보다도 걸음이 빠르다. 그는 나보다 두 살 위이다. 예문보기 걸음발이 누구보다 빠른 여삼은 아침 새때도 못 되어 남문 앞에 당도하였다. 출처 : 유현종, 들불 나보다는 한두 살 위인 계집아이였는데 그 애가 학교에 다니고 있었는지 아닌지는 기억에 없다. 출처 : 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관련 규범 해설 조사 ‘보다’는 앞말에 붙여 쓴다. 관련조항 : 한글 맞춤법 5장 1절 41항 조사 '보다'의 쓰임 질문 : 비교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다'는 품사가 무엇이며, 띄어쓰기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 건가요? 답변 : "내가 너보..

부사 ‘보다’

부사 ‘보다’ 보다2 부사/ 어떤 수준에 비하여 한층 더. 보다 높게 보다 빠르게 뛰다 그것은 서로 보다 나아지려는 연인이 아니고는 있을 수 없는 보살핌이었다. 출처 : 최인훈, 광장 박태영은 이와 같은 증오와 분열을 있게 한 데 어느 편이 보다 많은 책임을 져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출처 : 이병주, 지리산 우리는 주변의 소외된 이웃에게 보다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십여 년 전 잊었던 악몽은 보다 강한 빛깔을 띠고 사람들 가슴 속에 절망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출처 : 박경리, 토지 찝찔한 바닷바람과 함께 보다 또렷한 풍물 소리가 살갗을 휘감았다. 출처 : 한승원, 해일 홍이는 여위어서 보다 가늘어진 월선의 팔을 머리빡으로 쿵쿵 찧으며 입을 불어댄다. 출처 : 박경리, 토지 희수는 먼저..

단음절로 된 단어, 단음절 연속, 띄어쓰기

띄어쓰기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읽는 이가 의미를 바르고 빠르게 파악하게 하는 것 한 음절로 된 단어가 여럿(셋 이상)이 연속해서 나올 때 단어별로 띄어 쓰면 오히려 의미를 바르고 빠르게 파악하기가 더 어렵다. 그런 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붙여 쓸 수 있도록 규정 좀 더 큰 이 새 차(원칙) / 좀더 큰 이 새차(허용) 내 것 네 것(원칙) / 내것 네것(허용) 물 한 병(원칙) / 물 한병(허용) 그 옛 차(원칙) / 그 옛차(허용) 그러나 단어별로 띄어 쓴다는 원칙이 있기에 과도하게 붙여 쓰기는 어렵\다. 두 개의 음절은 붙일 수 있지만, 세 개 이상의 음절을 붙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좀더 큰 이 새차(○) / 좀더큰 이새차(×) 내것 네것(○) / 내것네것(×) 물 한병(○) / 물한병(×) ..

용언의 활용, 본용언, 보조 용언, 규칙 용언, 불규칙 용언

용언의 활용 1. 본용언 / 보조 용언 1) 본용언 자립성을 가지고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며,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있는 용언 2) 보조용언 자립성이 없거나 약하여, 단어의 뜻이 변질되었거나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없는 용언 예) ▪철수가 책을 들고 간다. → ‘철수가 책을 들다’가 성립되므로 ‘들고’는 본용언 ‘철수가 간다’가 성립되므로 ‘간다’는 본용언 ▪일이 잘 돼 간다. → ‘일이 잘 되다’가 성립하므로 ‘돼’는 본용언 ‘일이 간다’가 성립되지 않으므로 ‘간다’는 진행의 뜻을 지닌 보조 용언 ▪이것을 들어 보아라. → ‘이것을 보아라’라 하여 서술어가 될 수 있는 듯하나 여기서의 ‘보아라’는 경험의 뜻을 나타내어 본래 의미를 상실하였으므로 보조 용언 ◇ 활용어가 두 개 이상 연이..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합성어 : 어근(실질 형태소) + 어근(실질 형태소)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합성어 : 어근(실질 형태소) + 어근(실질 형태소) 형성방법 분류 ● 통사적 합성어 : 일반적 단어 배열법 일치(국어 통사 구조 일치) 새해(관형사+명사) 작은형(형용사의 관형사형+명사) 들어가다(용언 어간+연결어미+용언) 들(어)가다X ● 비통사적 합성어 : 단어 배열 벗어남 덮밥(동사+명사-관형사형 어미 없음) → 덮(은) 밥 덮-'이 관형사형 어미 없이 바로 어근 '밥'과 결합해서 비통사적 부슬비(의태 부사+명사-보충 요소 필요) → 부슬(부슬 내리는) 비 짙푸르다(짙+푸르다) : 어근 '짙-이' 연결어미 없이 바로 '푸르다'와 결합해서 비통사적 ● 파생어 어근이나 기존의 단어에 파생 접사가 결합하여 새로 만들어진 단어를 파생어라 한다. 파생 접사는 단어를 파생시키는 접사..

조사 종류, 보조사, 격조사, 관계언, 기출 문제

관계언 조사 나는(보조사) 선생님이(보격조사) 아니다 격조사 체언 뒤에 붙어 자격 부여 주격 : 이/가 께서 에서 서술격 : (이)다 목적격 : 을/를 보격 : 이/가 : 되다 아니다의 지배 받음 관형격 : 의 부사격조사 : 에, 에서, 에게, 한테서, (으)로 호격 조사 : 아/야, 여, 이시여 보조사 체언에 어떤 특별한 뜻 부여 은(는) : 대조,차이 만/뿐 : 단독 부터 : 시작, 먼저 (이)든 : 선택 까지 : 마침, 또한 마저/조차 : 또한 마다 : 균등 요 : 높임 접속조사 와/과, 하고, 이랑 기출 문제 Q 밑줄 친 것 중 보조사인 것은? ① 이 물건은 시장에서 사 왔다. ② 개는 늑대와 비슷하게 생겼다. ③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④ 나는 거칠 것 없는 바다의 사나이다. 【해설】..

바치다, 받치다, 받히다, 밭치다- 한글 맞춤법

Q 다음 중 밑줄 친 단어가 바르게 쓰인 것은? ① 학생들은 공책에 책받침을 받치고 쓴다. ② 마을 이장이 소에게 바쳐서 꼼짝을 못한다. ③ 신에게 제물을 밭쳐 우리 부락의 안녕을 빌었다. ④ 이것을 돌절구에 빻아 가는 체로 받혀서 다시 가져오겠다. 【해설】 정답 ① ‘어떤 물건의 밑에 다른 물체를 올리거나 대다.’는 뜻은 ‘받치다’로 적는다. [오답해설] ② ‘머리나 뿔 따위로 세차게 부딪치다’의 피동사는 ‘받히다’이므로 ‘받혀서’로 적어야 한다. ③ ‘신이나 웃어른에게 정중하게 드리다.’는 뜻은 ‘바치다’이므로 ‘바쳐’로 적어야 한다. ④ ‘건더기와 액체가 섞인 것을 체나 거르기 장치에 따라서 액체만을 따로 받아 내다.’를 강조할 때는 ‘밭치다’로 적어야 하므로 ‘밭쳐서’로 적어야 한다. Q 밑줄 친..

-로서’, -로써, 으로서, 으로써, 나로서는, 부모로서, 눈물로(써), 맞춤법,‘-로서’ 자격, ‘-로써’ 수단

‘-로서’와 ‘-로써’의 구분: ‘-로서’는 자격, ‘-로써’는 수단이나 도구 (가) -로서: 교육자로서 일생을 보내다 / 나로서는 할 말이 없다 / 부모로서 할 일 / 교사로서 그런 말을 하다니 / 친구로서 충고한다 / 모든 싸움은 너로서 시작되었다 (나) -로써: 도끼로(써) 나무를 찍다 / 칼로(써) 과일을 깎다 / 눈물로(써) 호소하다 ※ ‘로써’에서 ‘써’는 생략이 가능하다. 추가 예시) 닭으로써 꿩을 대신하였다. 나는 위원의 한 사람으로서 발언하겠다. 그는 가장으로서는 빵점이야. 이 그림은 피로써 그린 거야. 그것은 총으로써는 잡을 수 없다. 해수욕장으로서 그만한 데가 없다. 그는 의술로써 사회에 이바지하였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

하루 만의, 하루 동안, 하루 만에, 하루 새, 얼마 동안, 오랫동안, 오랜만, 하룻만의, 하룻동안, 하룻만에, 하룻새, 얼맛동안, 오랜동안, 오랫만, 한글 맞춤법

Q 한글 맞춤법 규정에 맞는 문장으로 옳은 것은? ① 아무래도 나 자리 뺐겼나 봐요. ② 오늘 하룻동안 해야 할 일이 엄청나네. ③ 그런 일에 발목 잡혀 번번히 주저앉았지. ④ 저희 아이의 석차 백분율이 1%만 올라도 좋겠습니다. 【해설】 정답 ④ 앞말이 ‘ㄴ’이나 ‘모음’으로 끝나면 ‘열, 율’로 적는다. ① 아무래도 나 자리 뺏겼나 봐요. ② ‘하룻동안’은 합성어가 아니다. ‘오랫동안’과 헷갈리면 안 된다. → 오늘 하루 동안 해야 할 일이 엄청나네. ③ 번번이: 매 때마다→ 그런 일에 발목 잡혀 번번이 주저앉았지. 하루 만의(○) '하루 만의'에 쓰인 '만'은 동안이 얼마간 계속되었음을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다. 일정한 때로부터 어느 일정한 때까지의 시간적인 사이가 '동안'이다. 의존명사 '만' 뒤에는..

‘-데’, ‘-대’, 예쁘데, 예쁘대, 먹데, 좋은데, 잘생겼대? 맞춤법

‘-데’와 ‘-대’의 구분: ‘-데’는 과거에 직접 경험한 내용임을 표시. ‘-대’는 남의 말을 전달. (가) 어제 보니까 혜정이가 참 예쁘데. / 사진을 보니 옛날에는 참 예뻤겠데. 그 아이가 밥을 잘 먹데. / 철수가 벌써 제대했데. 곁에서 보니 참 훌륭한 신랑감이데. ※ 뜻: “-더라” 신부가 그렇게 예쁘데? / 그 사람 키가 크데? 밖에 누가 왔데? / 얼마나 되데? ※ 뜻: “-던가?” (나) 사람들이 그러는데 진옥이가 예쁘대(예뻤대/예쁘겠대). ※ ‘대’는 “-다(고) 해”가 줄어 된 말임. 진옥이가 결혼한대(결혼했대/결혼하겠대). / 진옥이는 추리소설만 읽는대(읽었대/읽겠대). 진옥이가 학생회장이래(학생회장이었대). ※ ‘이다’ 뒤에서는 ‘-대’가 ‘-래’로 바뀜. (다) 오늘 날씨 참 시원..

무엇인데, 인데, 하는 데, 오는 데도, 오는데도, 데, 띄어쓰기

‘데’의 띄어쓰기: 띄어 쓰는 의존명사 ‘데’와 붙여 쓰는 어미 ‘ㄴ데, ㄴ데도’를 구별해야 (가) 철수 아버지는 국회의원인데 이 점이 때로는 행동하는 데 제약이 되기도 한다. / 네가 무엇인데 그런 소릴 하니? / 비가 오는데 어딜 가니? (어미 ‘-ㄴ데’의 일부) (나) 그를 설득하는 데 며칠이 걸렸다. / 여야는 초당적으로 협조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의존명사 ‘데’) ※ 이때의 ‘데’ 뒤에는 조사 ‘에’가 숨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 가까운 데다가 놓다 / 얼굴도 예쁜 데다가 마음씨도 곱다. (조사 ‘다가’가 붙은 예) ※ ‘데다가’ 역시 ‘데에다가’의 준말로 볼 수 있다. 조사 ‘다가’는 조사 ‘에, 로’ 등의 뒤에 붙지 명사 바로 뒤에 붙지 않는다. (다′) 비가 {오는 데도, 오는..

단어 분류 - 9품사, 국어→9품사, 영어→8품사

1. 품사 형태 기능 의미 9품사 불변어 체언 문장의 몸, 주체가 됨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 명사 사람이나 사물을 지시 대명사 수량이나 순서 수사 관계언 주로 체언의 뒤에 붙어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함 체언 뒤에 붙어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하는 의존형태소 조사 수식언 다른 말을 수식함 체언 앞에 위치해 체언, 주로 명사 수식 관형사 주로 용언이나 문장 전체를 수식 부사 독립언 문장 속의 다른 성분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성을 지님 부름, 느낌 등을 나타내며, 독립성이 있음 감탄사 가변어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함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냄 동사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냄 형용사 국어[구거] → 9품사 영어 ㅇㅇ8 → 8품사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

단어 분류, 수식언(관형사, 부사)

단어 분류 - 수식언(관형사, 부사) 4) 수식언(관형사, 부사) (1) 관형사 - 체언, 주로 명사를 꾸며주는 단어 - 조사와 결합 불가 (수사는 조사와 결합이 가능하다) 가. 성상 관형사(형용 관형사):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며줌 나. 지시 관형사: 어떤 대상을 가리킨 ex. 이 그 저 옛 신 전 후 다. 수 관형사: 수량이나 순서라는 수 개념을 나타냄 - 관형사의 순서: 지시→수→성상 (ex. 저 여러 헌 옷) * '다른'의 품사 - 형용사: 주어가 앞에 있으면 '차이가 있는'의 뜻 (ex. 나와 성격이 다른 사람) - 관형사: 주어가 앞에 없으면 '타인, 다른 곳' 등의 뜻 (ex. 나 말고 다른 사람) (2) 부사 - 용언, 관형사, 다른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단어 - 조사와 결합 불..

단어 분류,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단어 분류,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1)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 주로 문장의 주어 역할 (때로는 목적어나 보어의 자리에도 옴) - 조사와 결합 가능, 일반적으로 형태변화 없음 (1) 명사: 사람이나 사물의 명칭을 표현하는 단어 * 사용 범위에 따른 분류 - 보통명사 - 고유명사: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붙인 고유의 이름 ex. 영희, 서울, 세종대왕 * 단, 고유명사가 복수형을 취하면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한다. → 우리는 장래의 (세종대왕들)을 기다린다. (세종대왕과 같은 인재들) * 자립 여부에 따른 분류 - 자립명사 - 의존명사: 반드시 앞에 관형어가 있어야만 문장에 쓰일 수 있는 명사 - 형식성 의존 명사(실질적 의미 거의 없음): 것, (~할) 따름, (~할..

단어 분류, 관계언(조사)

단어 분류, 관계언(조사) 2) 관계언(조사) - 체언 뒤에 붙어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하는 의존형태소 -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뒤에 붙기도 함 (1) 격조사: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도록 하는 조사 가. 주격조사: 이 가(음운론적 이형태)/ 께서(선행체언을 높임)/ 에서(선행체언이 단체) 나. 목적격조사; 을 를 다. 보격조사: 용언 되다 아니다 앞의 이 가 라. 서술격조사: -이다 - 용언과 마찬가지로 활용을 함 -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는다/ㄴ다와 결합 불가(사람인다 X) - 형용사와 달리 -로-가 첨가될수 있음 (사람이로군 ㅇ) -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는 '이'가 생략될 수 있음 (탁자이다 탁자다) - 서술격 조사의 부정형 '아니다'는 형용사이..

단어 분류, 독립언

단어 분류 - 독립언 5) 독립언 - 다른 문장성분에 비해 비교적 독립성이 있으며 위치가 자유로움 - 품사에서 감탄사에 해당함 - 부름, 대답, 놀람, 느낌 등을 나탄맴 (1) 감정 감탄사: 상대방을 의식하지 않고 감정을 표출하는 단어 ex. 허허 아이고 에구머니 아뿔사 (2) 의지 감탄사: 상대방을 의식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시하는 감탄사 ex.상대방에게 어떻게 행동할 것을 요구: 아서라, 여보세요, 이봐 상대방의 이야기에 긍정, 부정, 의혹을 표현: 네, 그래 (3) 입버릇, 더듬거리는 의미 없는 소리: 뭐, 있지, 아, 어, 에헴 * 감탄사가 아닌 말 - 빨리도: 부사+보조사 - 왔구나!: 용언의 어간+감탄형 어미 - 철수야: 명사+호격조사 - 청춘! 이는 듣기만 해도 가슴이 설렌다: '청춘=이'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