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반응형
"이번 시험에서 공부를 열심히 ①한 바 ②한바 합격할 수 있었다."
정답 : '한바'처럼 붙여 쓰기. '-ㄴ바'는 어미.
● '-ㄴ'과 '바' 형태 두 가지
- '-ㄴ바'가 어미일 때
"서류를 검토한바 몇 가지 미비한 사항이 발견됐다" - 관형사형 어미 '-ㄴ'과 의존명사 '바'로 구성될 때
"거기에 대해서는 아는 바 없다"
● 구별 방법
'바' 뒤에 조사를 붙여 보는 것
의존명사에는 조사가 붙을 수 있지만 어미 뒤에는 붙을 수 없다. 조사를 붙여 보아 어법에 맞으면 '바'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기.
"회사에서 다음과 같이 공지한바 이를 알립니다." "회사에서 지난해 아래 사항을 공지한 바(가) 있습니다.
" 두 문장 중에서 앞의 것은 '바' 뒤에 조사가 붙을 수 없으므로 '-ㄴ바'가 어미. 이때는 붙여 쓰기.
뒤의 것은 '바' 뒤에 조사가 붙을 수 있으니 의존명사. 그러므로 띄어 쓰기.
Q 띄어쓰기가 옳지 않은 것은?
① 나는 거기에 어떻게 갈지 결정하지 못했다.
② 이미 설명한바 그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
③ 은연 중에 자신의 속뜻을 내비치고 있었다.
④ 그 빨간 캡슐이 머리 아픈 데 먹는 약입니다.
【해설】 정답 ③
본래 ‘중(中)’은 의존 명사로 ‘~하는 가운데, ~하는 동안’의 의미일 경우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무의식중, 은연중, 부재중, 한밤중’ 등은 합성어로 붙여 써야 한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