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225

외래어 표기법

● 표기의 기본 원칙 【1】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2】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3】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 만을 쓴다. ‘ㄷ’이 빠진다. 근대국어 7종성법과 일치 【4】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ㆍ가스, 코냑, 파리, 모차르트, 취리히, 카페, 재즈, 콩트, 선탠, 르포, 서비스 【5】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ㆍ빵, 껌, 삐라, 히로뽕(=필로폰), 빨치산(=파르티잔), 샤쓰(=셔츠) * 슈퍼마켓, 라디오, 카메라, 오렌지 제3장 표기 세칙 l 제1절 l 영어 표기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

보조형용사 ‘보다’

보조형용사 ‘보다’ 1 . (동사나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은가/는가/나 보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어렴풋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식구들이 모두 집에 돌아왔나 보다. 열차가 도착했나 보다. 그 사람이 인기가 많은가 보다. 재채기가 계속 나오는 것을 보니 감기가 들었나 보다. 두 사람이 몹시 닮은 것이 부자지간인가 보다. 팔자가 사나워서 이리 차이고 저리 차이면서 사는가 보다 했는데 그게 아니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그저 어딘가 멀리 가나 보다 막연히 짐작만 했다.≪안정효, 하얀 전쟁≫ 2 . (동사 뒤에서 ‘-을까 보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외국으로 떠나 버릴까 보다. 한 대 때릴까 보다...

맞춤법, 띄어쓰기, 기출, 국립국어원, 공무원 국어

맞춤법, 띄어쓰기 기출 포인트 [국립국어원-공무원 국어] 한글 맞춤법의 원리 한글 맞춤법의 원리는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에 나타나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위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표기 대상이 표준어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즉 우리 국민의 공통적인 표준어를 맞춤법 규정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맞춤법은 표준어가 정해지면 이를 어떻게 적을지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그런데 표준어를 적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들리는 대로 적는 것이요, 또 하나는 들리는 소리와는 다소 멀어지더라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적는 것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이 두 방식이 상충되는 듯하나 한글 맞춤법은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키고 있..

만듦, 이끎, 만듬, 이끔, 얾에, 맞춤법

‘만듦, 이끎’인지 ‘만듬, 이끔’ (가) 만들다/만듦, 이끌다/이끎 ※ ‘ㄹ’로 끝나는 말의 명사형은 ‘-ㄻ’ 꼴임. 다만 ‘삶, 앎’은 파생명사 용법도 지님. (나) 울음, 얼음 ※ ‘ㄹ’로 끝나는 말의 파생명사는 대체로 ‘-ㄹ음’ 꼴임. (나)′ 욺, 얾 ※ “강이 꽁꽁 얾에 따라 …”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

사전 자모 순서, 모음 21자 사전 배열 순서 규칙

● 사전 자모 순서 ● 총칙 [1]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3]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자모 → 현대국어에서 운용되는 자모의 개수는 40개이다. [1]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24)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다. (14)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10)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모음은 단모음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 단모음(10):..

음운론, 음성과 음운,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음운 현상

제2장 국어 문법의 이해 01 음운론 1. 음운(音韻)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음운은 다시 음소와 운소로 나뉘게 되는데 음소와 운소를 합해 말하면 음운 (1) 음소(音素, phoneme) 음소는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음운론상의 최소 단위 음소는 분절적 특성을 가지며 국어의 자음, 모음이 이에 해당 예를 들어 '밥'이라는 단어를 음소로 나누어 보면 'ㅂ', 'ㅏ', 'ㅂ'으로 나뉘게 된다. 음소는 쉽게 말해 자음과 모음이라고 이해 (2) 운소(韻素, prosody) 운소는 단어의 의미를 분화하는데 관여하는 음소 이외의 운율적 특징 음의 높낮이, 길이, 세기 등이 이에 해당 2. 음절 음절은 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의 단위 음절은 몇 개의 음소로 이루어지며..

ㄱ종성체언, ㅎ종성체언, ㅎ받침 체언, ㅎ덧생김 체언, 곡용어, 활용과 곡용

● 곡용어 - 체언과 조사가 만날 때 '모습 바뀜'이 나타나는 단어 용언에 '활용'이 있듯이, 체언에 '곡용' - 활용 : '어간 + 어미'에서 모습이 바뀌는 현상. - 곡용 : '체언 + 조사'에서 모습이 바뀌는 현상. 중세국어에서는 'ㄱ'이 덧붙는 것과 'ㅎ'이 덧붙는 것이 있었다. ㄱ곡용어 : 나모, 구무, 녀느 등등 ㅎ곡용어 : 유성음으로 끝난 고유어들로 80여 개의 단어(머리, 살, 암, 수 등등) 요즘에는 'ㅎ종성 체언, ㅎ받침 체언, ㅎ덧생김 체언' 그 이유는 이 '곡용'이라는 현상이 현대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 즉 명사가 조사와 만날 때 어형이 바뀌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곡용'이라는 용어를 쓸 일이 없는 것 다만, 조사를 만날 때는 아니지만, 과거 '곡용'의 잔재가..

국어 문법 요약 정리 #05[공무원 국어]

01 음운론 1. 음운(音韻)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음운은 다시 음소와 운소로 나뉘게 되는데 음소와 운소를 합해 말하면 음운 (1) 음소(音素, phoneme) 음소는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음운론상의 최소 단위 음소는 분절적 특성을 가지며 국어의 자음, 모음이 이에 해당 예를 들어 '밥'이라는 단어를 음소로 나누어 보면 'ㅂ', 'ㅏ', 'ㅂ'으로 나뉘게 된다. 음소는 쉽게 말해 자음과 모음이라고 이해 (2) 운소(韻素, prosody) 운소는 단어의 의미를 분화하는데 관여하는 음소 이외의 운율적 특징 음의 높낮이, 길이, 세기 등이 이에 해당 2. 음절 음절은 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의 단위 음절은 몇 개의 음소로 이루어지며, 모음은 단독으로 한 음..

국어의 특성 [문법 #03]

02 국어의 특성 1. 언어의 종류와 계통 교착어 단어가 활용될 때 단어의 어간과 어미가 비교적 명백하게 분리되는 언어이다. 하나의 형태소는 하나의 문법적인 기능을 하며, 첨가어라고도 한다. 한국어, 터키어, 일본어, 핀란드어, 헝가리어등 우랄 알타이 어족과 스와힐리어 등. 영어의 경우 복수형 접미사 s나 과거형 접미사 (e)d등에서 교착어적인 모습도 가지고 있다. 굴절어 굴절어는 단어의 활용 형태가 단어 자체의 변형으로 나타나는 언어로 어간과 접사(적 역할을 하는 형태소)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어휘 자체에 격, 품사 등을 나타내는 요소가 포함되어있다. 대표적인 것은 인도-유럽어족이다. 동유럽의 슬라브 어족 지중해변의 라틴계 언어는 명사의 굴절이 사라진 편이나 동사의 굴절이 남아있..

언어 구성 요소 [문법 #02]

5. 언어 구성 요소 언어는 형태, 내용, 사용의 세 가지 구성 요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언어 형태 실제 입에서 나오는 말이나 글의 형태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내용 그 언어의 의미 의미론 사용 어떤 상황이나 맥락 속에서의 언어 화용론 1) 음운론 ① 말소리 음운을 대상으로 음운 체계를 밝히고, 역사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 - 음운: 말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자음, 모음) - 자음과 모음의 음운 체계를 연구 예) 음절 끝소리 규칙, ㄷ 불규칙, ㅂ 불규칙 등 ex) 아: 모음 (ㅏ) ex) 바: 자음 (ㅂ) + 모음 (ㅏ) ex) 악: 모음 (ㅏ) + 자음 (ㄱ) ex) 박: 자음(ㅂ) + 모음 (ㅏ) + 자음 (ㄱ) 2) 형태론 ① 형태소부터 단어까지를 연구하는 학문 ㄱ. 형태소 연구 - 형태소..

언어의 특성, 언어의 기능 [문법 #01]

제1장 언어와 국어의 특성 01 언어의 특성 1. 언어와 인간 - 호모 로퀜스(Homo loquence) : 인간과 동물을 언어의 유무로 구별할 때. - 호모 그라마티쿠스(Homo grammaticus) : 인간 중에서도 언어를 문법적 틀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구별할 때. - 광의의 언어 : 음성언어, 문자 언어, 몸짓, 손짓, 표정, 신호 등 사람의 의사를 표현하는 모든 수단을 일컫는다. - 협의의 언어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며 분절음으로 구성된 언어만 일컫는다. 2. 언어와 국어 1) 언어 언어 → 음성(말), 문자(글),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 체계(문법) ① 언어는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

등, 겸, 대, 및, 내지, 띄어쓰기

등, 겸, 대, 및, 내지 이어 주거나 열거할 때 쓰는 말 띄어쓰기 별개의 단어이므로 띄어쓰기 집에서 쉴 겸 무더위 따위 물냉면 대 비빔냉면 선풍기, 수박, 삼계탕 등 열대야, 냉방병, 불쾌지수 등등 모기, 파리 및 여름 해충 열 내지 스물 수박 또는 참외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ㄴ' 첨가,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얄긋얄긋[얄근냘귿/얄그댤귿], 얄찍얄찍[얄찡냘찍/얄찌걀찍], 얄팍얄팍[얄팡냘팍/얄파걀팍], 얇실얇실..

● 'ㄴ' 첨가 합성어, 파생어, 구 등에서 앞 형태소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 형태소의 두음이 '야, 여, 요, 유, 이, 예'일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어, [냐, 녀, 뇨, 뉴, 니, 녜]로 발음될 수 있다. 첨가 현상은 어휘의 차이에 따라 일어나는 수의적 음운현상이므로 단어나 구에 따라 일어나지 않기도 한다.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배:봉냑] 한-여름[한녀름] 남존-여비[남존녀비] 신-여성[신녀성] 색-연필[생년필] 직행-..

띄어쓰기, 체언, 단음절어(單音節語: monosyllable)

【3절】 띄어쓰기 [2] 체언 6. 단음절어(單音節語: monosyllable)가 연이어 나타난 말 단음절로 된 관형어와 부사어 등의 수식어와 피수식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에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쓸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붙여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식어와 피수식어가 자연스럽게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것만 붙여 쓸 수 있다. 관형사과 명사, 용언의 관형사형과 명사, 부사와 부사 등을 주로 붙여 쓴다. 관형어와 관형어, 부사와 관형어는 원칙적으로 띄어 쓴다. 그 때 그 곳 / 그때 그곳 이 말 저 말 / 이말 저말 한 잎 두 잎 / 한잎 두잎 내 것 네 것 / 내것 네것 한 잔 술 / 한잔 술 좀 더 큰 것 / 좀더 큰것→ 좀 더큰 것(×) 좀 더 큰 이 새 집 / 좀더 큰 이 새집→ 좀..

띄어쓰기, 합성어, 파생어

【3절】 띄어쓰기 [3] 합성어와 파생어 3. 파생어 (2)접미사가 붙은 말 접미사(接尾辭, suffix)는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항상 다른 단어의 어근 뒤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의미를 첨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접미사가 결합된 어형을 파생어라고 하며 품사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①순 우리말 접미사가 붙은 말 ▷-거리: 떼거리, 패거리, 짓거리('비하'의 뜻을 더함). 이틀거리, 하루거리, 달거리, 해거리(하루 이상의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주기'의 뜻을 더함). ▷-거리다: 까불거리다, 반짝거리다, 방실거리다, 비실거리다, 비죽거리다, 출렁거리다(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어근 뒤에 붙어, '그런 상태가 잇따라 계속됨'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 -대다. ▷-깔: ..

사잇소리 현상 - 찻간, 툇간, 횟수, 곳간, 셋방, 숫자

● 순수한 고유어끼리 합성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세 종류로 발음 1. 된소리 / 해 + 볕 [해뼏/핻뼏] 뒷말의 첫소리가 콧소리인 'ㄴ,ㅁ'일 때 'ㄴ'이 첨가됩니다. 2. ㄴ첨가 / 내 + 물 [낸:물] 뒷말의 첫소리가 '이'나 'ㅣ'일 때 'ㄴㄴ첨가'가 일어납니다. 3. ㄴㄴ첨가 / 깨 +잎 [깬닙] ● 고유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도 앞말에 'ㅅ'을 받쳐 사이시옷 첫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 종류로 소리 등굣길: 등교(한자어)+길(고유어) → 등굣길[등교낄/등굗낄] 1. 된소리 / 새 + 강 [새:깡/샏:깡] 2. ㄴ첨가 / 계 + 날 [곈:날/겐:날] 3. ㄴㄴ첨가 / 후 + 일 ●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6개의 단어. 원래 한자어끼리의 합성어는 사이시옷 X..

이, 그, 저, 아무, 여러, 의존명사, 띄어쓰기, 이곳, 그곳, 저, 이때, 그때, 저때, 아무것, 아무데, 어느새

‘이, 그, 저, 아무, 여러’와 의존명사가 결합한 말의 띄어쓰기: 다음 말 외에는 띄어 씀. (가) 이것, 그것, 저것 / 이분, 그분, 저분 / 이이, 그이, 저이 / 이자, 그자, 저자 / 이년, 그년, 저년 / 이놈, 그놈, 저놈 (나) 이쪽, 그쪽, 저쪽 / 이편, 그편, 저편 / 이곳, 그곳, 저곳 / 이때, 그때, 저때 (다) 이번, 저번 / 그동안, 그사이 (라) 아무것, 아무데 / 어느새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

단위 명사, 띄어쓰기, 집 한 채, 버선 한 죽, 이백만 원, 삼십억 원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의 띄어쓰기: 순서, 연월일, 시각을 나타낼 때나 아라비아숫자 뒤에서는 붙여 씀을 허용함 (가) 금 서 돈, 집 한 채, 버선 한 죽 (가)′ 이백만 원, 삼십억 원 (나) 제2 과/제2과, 이십칠 대/이십칠대 국회 의원, (제)삼 학년/삼학년 (나)″ 두 시 삼십 분/두시 삼십분, 여덟 시/여덟시, 칠십 년 오 월/칠십년 오월 ※ 월명(月名)을 나타내는 경우는 한 단어이다. “사월엔 진달래가 한창이다” (나)″′ 35 원/35원, 274 번지/274번지, 26 그램/26그램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

사이시옷, 기출 문제 - 찻간, 툇간, 횟수, 곳간, 셋방, 숫자-한글 맞춤법

사이시옷의 관련 조항 - 한글 맞춤법 ● 순수한 고유어끼리 합성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세 종류로 발음 1. 된소리 / 해 + 볕 [해뼏/핻뼏] 뒷말의 첫소리가 콧소리인 'ㄴ,ㅁ'일 때 'ㄴ'이 첨가됩니다. 2. ㄴ첨가 / 내 + 물 [낸:물] 뒷말의 첫소리가 '이'나 'ㅣ'일 때 'ㄴㄴ첨가'가 일어납니다. 3. ㄴㄴ첨가 / 깨 +잎 [깬닙] ● 고유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도 앞말에 'ㅅ'을 받쳐 사이시옷 첫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 종류로 소리 등굣길: 등교(한자어)+길(고유어) → 등굣길[등교낄/등굗낄] 1. 된소리 / 새 + 강 [새:깡/샏:깡] 2. ㄴ첨가 / 계 + 날 [곈:날/겐:날] 3. ㄴㄴ첨가 / 후 + 일 ●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6개의 단어. ..

전세방(傳貰房),전셋집(傳貰-),제상,젯상,한자(어), 사이시옷,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맞춤법

‘제상’인가, ‘젯상’인가: 양쪽 모두 한자(어)일 때에는 그 사이에 사이시옷을 적지 않음 (가) 제상(祭床): 제사 때 제물을 차려 벌여 놓는 상. (나) 초점(焦點), 대가(代價), 개수(個數), 내과(內科), 화병(火病), 소수(素數) (나)′ 예외: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암기 : '가수왕차태현'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 ‘ㄴ’ 소리가 덧나는 합성어 중에서 ‘고유어+고유어(아랫집, 나뭇잎), 고유어+한자어(귓병, 깃발), 한자어+고유어(전셋집, 예삿일)’ 방식에는 사이시옷을 적고, ‘한자어+한자어’ 방식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참고] ‘전세방(傳貰房)’과 ‘전셋집(傳貰-)’ 잡스..

하려고, 할려고, 가려고, 갈려고, 려고, 맞춤법

하려고’인가, ‘할려고’인가: ‘-ㄹ려고’가 아니라 ‘-려고’가 맞음. 집에 {가려고, 갈려고} 한다. ※ 쓸데없이 ‘ㄹ’을 덧붙이지 말아아 한다. [참고] 거짓말시킨다(→거짓말한다), 노래를 배워주다(→가르쳐주다) 내가 할려고 했는데 (X) → 내가 하려고 했는데 (O) 집에 갈려고 한다 (X) → 집에 가려고 한다 (O) 책을 살려고 서점에 갔다 (X) → 책을 사려고 서점에 갔다 (O) 아이가 노려고 놀이터에 갔다 (X) → 아이가 놀려고 놀이터에 갔다 (O)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

보조동사 ‘보다’

보조동사 ‘보다’ 1 . (동사 뒤에서 ‘-어 보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말. 먹어 보다 입어 보다 말을 들어 보다 꼼꼼히 따져 보다 2 . (동사 뒤에서 ‘-어 보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일을 경험함을 나타내는 말. 이런 일을 당해 보지 않은 사람은 내 심정을 모른다. 그런 책은 읽어 본 적이 없다. 학생 중에는 불량배에게 맞아 본 아이가 많다. 3 . (동사 뒤에서 ‘-고 보니’, ‘-고 보면’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고 난 후에 뒷말이 뜻하는 사실을 새로 깨닫게 되거나, 뒷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 마구 때리고 보니 아무리 악인이지만 너무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이란 몇십 년 살고 보면 감각이나 감성이 닳고 낡아 버려져서 아주 둔해..

조사 ‘보다’

조사 ‘보다’ 보다4 조사/ (체언 뒤에 붙어)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교하는 경우, 비교의 대상이 되는 말에 붙어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내가 너보다 크다. 그는 누구보다도 걸음이 빠르다. 그는 나보다 두 살 위이다. 예문보기 걸음발이 누구보다 빠른 여삼은 아침 새때도 못 되어 남문 앞에 당도하였다. 출처 : 유현종, 들불 나보다는 한두 살 위인 계집아이였는데 그 애가 학교에 다니고 있었는지 아닌지는 기억에 없다. 출처 : 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관련 규범 해설 조사 ‘보다’는 앞말에 붙여 쓴다. 관련조항 : 한글 맞춤법 5장 1절 41항 조사 '보다'의 쓰임 질문 : 비교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다'는 품사가 무엇이며, 띄어쓰기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 건가요? 답변 : "내가 너보..

부사 ‘보다’

부사 ‘보다’ 보다2 부사/ 어떤 수준에 비하여 한층 더. 보다 높게 보다 빠르게 뛰다 그것은 서로 보다 나아지려는 연인이 아니고는 있을 수 없는 보살핌이었다. 출처 : 최인훈, 광장 박태영은 이와 같은 증오와 분열을 있게 한 데 어느 편이 보다 많은 책임을 져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출처 : 이병주, 지리산 우리는 주변의 소외된 이웃에게 보다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십여 년 전 잊었던 악몽은 보다 강한 빛깔을 띠고 사람들 가슴 속에 절망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출처 : 박경리, 토지 찝찔한 바닷바람과 함께 보다 또렷한 풍물 소리가 살갗을 휘감았다. 출처 : 한승원, 해일 홍이는 여위어서 보다 가늘어진 월선의 팔을 머리빡으로 쿵쿵 찧으며 입을 불어댄다. 출처 : 박경리, 토지 희수는 먼저..

단음절로 된 단어, 단음절 연속, 띄어쓰기

띄어쓰기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읽는 이가 의미를 바르고 빠르게 파악하게 하는 것 한 음절로 된 단어가 여럿(셋 이상)이 연속해서 나올 때 단어별로 띄어 쓰면 오히려 의미를 바르고 빠르게 파악하기가 더 어렵다. 그런 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붙여 쓸 수 있도록 규정 좀 더 큰 이 새 차(원칙) / 좀더 큰 이 새차(허용) 내 것 네 것(원칙) / 내것 네것(허용) 물 한 병(원칙) / 물 한병(허용) 그 옛 차(원칙) / 그 옛차(허용) 그러나 단어별로 띄어 쓴다는 원칙이 있기에 과도하게 붙여 쓰기는 어렵\다. 두 개의 음절은 붙일 수 있지만, 세 개 이상의 음절을 붙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좀더 큰 이 새차(○) / 좀더큰 이새차(×) 내것 네것(○) / 내것네것(×) 물 한병(○) / 물한병(×) ..

중세 국어 특징, ㆆ, ㅸ, ㅿ, ㆁ, ㆍ, 모음 조화, 8종성법, 방점,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중세 국어 특징 1. 국어사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 ①고려 건국 ②임진왜란 ③갑오개혁(1894) ①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 지방의 말을 중심으로 통일됨-현대 국어의 근간이 됨. 그러나 고려의 건국으로 중앙어가 이동(경주 중심어->개성 중심어) ②고려 건국과 함께 중세국어 시작됨.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눔. 조선 개국은 중앙어의 변동을 가져오지 않음. 2. 표기상의 특징 (1) ‘ㆆ, ㅸ, ㅿ, ㆁ, ㆍ’ 사용 음운 소멸시기 변천과정 ㆆ(여린 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소멸 ㅸ(순경음 비읍)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ㅂ>ㅸ>오/우/φ 예) 돕아->도ᄫᅡ>도와 ㆅ(쌍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

용언의 활용, 본용언, 보조 용언, 규칙 용언, 불규칙 용언

용언의 활용 1. 본용언 / 보조 용언 1) 본용언 자립성을 가지고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며,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있는 용언 2) 보조용언 자립성이 없거나 약하여, 단어의 뜻이 변질되었거나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없는 용언 예) ▪철수가 책을 들고 간다. → ‘철수가 책을 들다’가 성립되므로 ‘들고’는 본용언 ‘철수가 간다’가 성립되므로 ‘간다’는 본용언 ▪일이 잘 돼 간다. → ‘일이 잘 되다’가 성립하므로 ‘돼’는 본용언 ‘일이 간다’가 성립되지 않으므로 ‘간다’는 진행의 뜻을 지닌 보조 용언 ▪이것을 들어 보아라. → ‘이것을 보아라’라 하여 서술어가 될 수 있는 듯하나 여기서의 ‘보아라’는 경험의 뜻을 나타내어 본래 의미를 상실하였으므로 보조 용언 ◇ 활용어가 두 개 이상 연이..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합성어 : 어근(실질 형태소) + 어근(실질 형태소)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합성어 : 어근(실질 형태소) + 어근(실질 형태소) 형성방법 분류 ● 통사적 합성어 : 일반적 단어 배열법 일치(국어 통사 구조 일치) 새해(관형사+명사) 작은형(형용사의 관형사형+명사) 들어가다(용언 어간+연결어미+용언) 들(어)가다X ● 비통사적 합성어 : 단어 배열 벗어남 덮밥(동사+명사-관형사형 어미 없음) → 덮(은) 밥 덮-'이 관형사형 어미 없이 바로 어근 '밥'과 결합해서 비통사적 부슬비(의태 부사+명사-보충 요소 필요) → 부슬(부슬 내리는) 비 짙푸르다(짙+푸르다) : 어근 '짙-이' 연결어미 없이 바로 '푸르다'와 결합해서 비통사적 ● 파생어 어근이나 기존의 단어에 파생 접사가 결합하여 새로 만들어진 단어를 파생어라 한다. 파생 접사는 단어를 파생시키는 접사..

조사 종류, 보조사, 격조사, 관계언, 기출 문제

관계언 조사 나는(보조사) 선생님이(보격조사) 아니다 격조사 체언 뒤에 붙어 자격 부여 주격 : 이/가 께서 에서 서술격 : (이)다 목적격 : 을/를 보격 : 이/가 : 되다 아니다의 지배 받음 관형격 : 의 부사격조사 : 에, 에서, 에게, 한테서, (으)로 호격 조사 : 아/야, 여, 이시여 보조사 체언에 어떤 특별한 뜻 부여 은(는) : 대조,차이 만/뿐 : 단독 부터 : 시작, 먼저 (이)든 : 선택 까지 : 마침, 또한 마저/조차 : 또한 마다 : 균등 요 : 높임 접속조사 와/과, 하고, 이랑 기출 문제 Q 밑줄 친 것 중 보조사인 것은? ① 이 물건은 시장에서 사 왔다. ② 개는 늑대와 비슷하게 생겼다. ③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④ 나는 거칠 것 없는 바다의 사나이다. 【해설】..

바치다, 받치다, 받히다, 밭치다- 한글 맞춤법

Q 다음 중 밑줄 친 단어가 바르게 쓰인 것은? ① 학생들은 공책에 책받침을 받치고 쓴다. ② 마을 이장이 소에게 바쳐서 꼼짝을 못한다. ③ 신에게 제물을 밭쳐 우리 부락의 안녕을 빌었다. ④ 이것을 돌절구에 빻아 가는 체로 받혀서 다시 가져오겠다. 【해설】 정답 ① ‘어떤 물건의 밑에 다른 물체를 올리거나 대다.’는 뜻은 ‘받치다’로 적는다. [오답해설] ② ‘머리나 뿔 따위로 세차게 부딪치다’의 피동사는 ‘받히다’이므로 ‘받혀서’로 적어야 한다. ③ ‘신이나 웃어른에게 정중하게 드리다.’는 뜻은 ‘바치다’이므로 ‘바쳐’로 적어야 한다. ④ ‘건더기와 액체가 섞인 것을 체나 거르기 장치에 따라서 액체만을 따로 받아 내다.’를 강조할 때는 ‘밭치다’로 적어야 하므로 ‘밭쳐서’로 적어야 한다. Q 밑줄 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