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단지성 잡스9급 12979

권력, 권력·영향력·권위 비교, Barnard 권위수용이론 무차별권, Simon 수용권

● 조직 내 정치적 행동⑴정치적 행동의 본질: 조직의 불확실성과 이견 및 다툼이 있는 상황에서,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들이 선호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권력 및 다른 자원을 획득·사용하고 제고하고자 수행하는 행위 ⑵정치적 행동의 주요 요인(Miles)①자원의 희소성②의사결정 기준의 모호성 ③목표의 모호성과 복잡성 ④조직 기술의 복잡성 및 외부환경의 동태성 ⑤조직의 변화 정도 ⑶정치적 행동의 효과적 관리방안①권력자와 동맹관계 유지②과거 권력자를 대우/제거 ③집단을 분할 지배하여 갈등관계 유도④정보를 통제 ⑤점진적 전략에 의한 변화 추구 ⑥위기상황을 이용 ● 권력어떤 개인 또는 집단이 다른 개인 도는 집단의 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 ● 권력을 보는 관점⑴소유 VS 관계: 전통적인 입장에선 소유..

리더십 신속성론, 변혁적 리더십, 카리스마적 리더십, 촉매적 리더십

● 리더십 신속성론⑴의의: 1980년대에 들어와서 리더의 가치관이나 감정 등 속성에 초점을 둔 연구가 재등장.그러나 종래의 속성론과 달리 리더의 보편적 자질을 규명하려 하지는 않았으며 변혁적·카리스마·문화적 리더십이 대표적임. ● 변혁적 리더십①의의: Burns 및 Watson&Rainey(1978)가 주장. 교환적·거래적 리더십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안정보다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거나 변화를 유도하는 최고 관리층(최상층)의 리더십을 말한다.변혁적(전변적) 리더십은 인간의 행태나 상황뿐 아니라 리더의 개인적 속성도 다시 재생시키고 있으므로 신속성론에 해당하며, 기본적으로 카리스마적·영감적·촉매적 리더십과도 깊이 연관. ②대두 배경: 종래의 이론들은 분석의 초점을 하급 관리자에 둔 교환적 리더십에 집착하..

덮혀, 덮여, 덮이다, 덮히다, 덥히다, 덮치다, 맞춤법

덮혀, 덮여, 덮이다, 덮히다, 덥히다, 덮치다, 맞춤법 덮혀 있다, 덮여 있다덮이다 → 덮이어→덮여'가 맞는 표기 ‘덮이다’는 ‘덮다’의 피동사 ‘덮히다’는 잘못된 표기 ‘덥히다’는 ‘덥다’의 사동사'덮치다’는 별개의 단어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생명은 어떻게 작동, 생명, 전자의 이동 과정, 물질대사, 해당작용, 발효, 당신생, TCA, 전자전달계

생명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생명, 쉴 곳을 찾아가는 전자의 이동 과정 생명 진화의 단계 생명은 전자, 양성자, 광자 상호작용의 중첩된 현상이다 | 수소 원자핵은 빅뱅에서 생성된다 | 생명의 원자들은 별의 핵융합에서 만들어진다 | 생명 진화의 10단계 | 생화학의 결정적 지식은 주기율표와 최외각 전자수이다 |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 생명의 출현을 보는 8개의 프레임 | 생화학 분자식 50개를 기억하면 생명이 보인다 | 한 장에 정보를 모으면 상호 관계가 드러난다 |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가 출현한다  광합성과 호흡 미토콘드리아의 산소 호흡이 다세포 생물을 만들었다 | 시아노박테리아의 물 분해형 광합성이 대기 중 산소의 기원이다 | 혐기성 박테리아는 무산소 호흡으로 에너지를 얻는다 | 물과 이산화탄소 그리..

포도당 신생합성, Gluconeogenesis(GNG)

포도당 신생합성, Gluconeogenesis(GNG), 葡萄糖新生合成 탄수화물이 아닌 물질을 가지고 포도당을 합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동식물부터 진균, 세균 같은 미생물까지 존재하는 과정이며, 척추동물에서는 주로 간에서 일어난다. 공복, 단식, 저탄수화물식단, 또는 격렬한 운동 같이 탄수화물이 부족해지는 상황에서 혈당 수치를 유지한다. 몇몇 중간 과정에서의 예외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는 해당과정의 역과정이며, 당합성(glycogenolysis)과는 다르다. 탄수화물이 아닌 물질로 당을 만드는 과정이기는 하지만 아쉽게도 지방산 그 자체는 재료로 쓸 수 없다. 지방산의 베타 산화 과정에서 나오는 아세틸 CoA는 2개의 이산화탄소로 완전 산화되어 배출되기 때문. 대신 이 때 인체는 지방을 분해하여 지방산의 연..

기계적 구조, 유기적 구조, Daft 조직 유형

● 기계적 구조, 유기적 구조(robey)분류기계적 구조유기적 구조장점예측가능성적응성조직특성·좁은 직무범위·표준운영절차·분명한 책임관계·계층제·공식적·몰인간적 대면관계·넓은 직무범위·적은 규칙·절차·모호한 책임관계·분화된 채널·비공식적·인간적 대면관계상황조건·명확한 조직목표와 과제·분업적 과제·단순한 과제·성과측정이 가능·금전적 동기부여·권위의 정당성확보·모호한 조직목표와 과제·분업이 어려운 과제·복합적 과제·성과 측정이 어려움·복합적 동기부여·도전받는 권위  ● Daft 조직 유형 (1) 기계적 구조-고전적·전형적인 관료제 조직(Weber)-엄격한 분업과 계층제, 명확히 규정된 직무, 높은 공식화와 표준화(많은 규칙), 비 정의성, 집권화, 분명한 명령복종 체계, 좁은 통솔범위, 낮은 팀워크, 경직성,..

백색왜성, 白色矮星, white dwarf, 백색잔별, 다이아몬드, 루시

백색왜성  백색왜성(白色矮星, 영어: white dwarf, 문화어: 백색잔별) 중간 이하의 질량을 지닌 항성이 핵융합을 마치고 도달하는 천체이다. 이러한 종류의 항성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질량 때문에, 중심핵이 붕괴되어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탄소 핵융합을 일으킬 만큼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다. 대신, 헬륨 융합 과정 동안 적색거성이 된 다음에, 외부 대기는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며 행성상 성운을 형성하고, 대부분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핵만이 남아 백색왜성을 형성하게 된다. 백색왜성에서는 핵융합이 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점차 식어가게 되며, 또한 핵이 중력에 의해 붕괴하는 것을 막지 못하고, 결국 매우 밀도가 높은 상태가 된다. 대개는 지구 정도의 부피에 태양..

동기부여 내용이론, Maslow 욕구단계설, Murray 명시적 욕구이론 , Alderfer ERG이론, McClelland 성취동기, Magrego의 XY이론 , Likert 관리체제이론, Argris 성숙미성숙이론, Herzberg 욕구충족 2개 요인 이론

● 동기부여 내용이론 관계MagregorMaslowAlderferHerzbergArgrisLikertx이론생리적욕구생존의 욕구위생요인(불만요인)미성숙인체제 1.2안전욕구y이론애정·사회적욕구관계의 욕구동기요인(만족요인)성숙인체제 3.4존경의 욕구자아실현 욕구성장의 욕구  ● Maslow의 욕구계층이론(1) 의의①단계적·상향적으로 충족될 수 있도록 예정된 질서라고 주장②인간의 욕구는 서로 상관되어 있으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의 계층을 이룸. 가장 구체적이고 강도 높은 욕구는 생리적 욕구임.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갈수록 하급 욕구에서 고차원적인 자아실현 욕구로 성장해 나간다③어느 정도(부분적으로) 욕구가 충족되면(100%가 아닌 불완전한 충족) 다음 단계 욕구로 나아가게 된다는 ‘만족진행모형’(우성의 원리)에 바..

비형식적 오류(informal fallacy)

비형식적 오류(informal fallacy) 비형식적 오류(informal fallacy)는 논증의 내용이 오류와 관련이 있거나 인식론적, 변증법적, 또는 실용적인 이유로 잘못된 오류이다. 즉, 논증의 내용에서 빚어지는 오류를 말한다. 비형식적 오류의 특징은 명제에 대한 주장을 논리적으로 하지 않고 모호한 언어의 사용, 감정에 의존, 비약적인 판단에 따르는 오류 등이 있다. 따라서 형식적 오류는 전적으로 논리적 형식을 기반으로, 그리고 비형식적 오류는 논증의 비논리적 내용을 고려한다.1) 주의산만 오류 ∙ 거짓 딜레마: 사실 세 개가 있을 때 두 개 선택이 주어진다.∙ 무지오류: 사실이라고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거짓으로 가정된다.∙ 미끄러운 비탈길: 일련의 점점 더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가 묘사된다...

변증논리학(Dialectical logic), 관념론 헤겔주의, 변증법적 유물론 학파

변증논리학(Dialectical logic)소크라테스가 정립하고 헤겔과 마르크스주의자 전통(Marxist tradition) 내에서 개발되어 발전된 사고의 논리 체계. 형식논리학이 모순을 부정하는 데에 반해, 변증논리학은 모순의 필연성을 승인한다. 변증논리학 체계를 계승하는 관념론 헤겔주의와, 변증법적 유물론 학파가 이에 기반한다.   고대 그리스의 논리적 사유는 엘레아의 제논 및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등 소피스트 사상가들에게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으나, 그것이 일정한 학문으로 정립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러서다. 어떤 연구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는 순전히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고 주장하나, 당장 밑에 참고 도서로서 제시되어 있는 닐 부부의 논리학의 역사조차 플라톤에게 한 장 전체를 할애하고 있다. ..

비형식논리학(Informal logic)

비형식논리학(Informal logic)일상적으로 우리가 말하고 듣고 쓰는 말이 타당하고 합당한 논증으로서 잘 성립하는지 따지는 것. 즉 흔히들 "난 논리적인 사람이야!"라고 말할 때, 논술에서 "글을 논리적 흐름에 맞춰서 써라!"고 말할 때 "논리적"이라는 것은 비형식 논리를 기준으로 따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령, , , , 등이 비형식 논리학에서 다루는 것들이다. 이처럼 비형식 논리는 구체적인 말의 내용을 따지는 것이므로 수학이나 기호 등을 동원하는 형식적인 방법론을 잘 취하지 않는다. 비형식논리학은 언어적, 주로는 일상언어적 논증을 효율적이고, 적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논리학의 제일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 이전의 형식논리학이 연역지상주의에 빠짐으로써 생긴 목적과의 괴리를 보완 및 해결하기 위한 ..

메타논리학, 계산가능성 이론(회귀함수 이론), 모형 이론, 증명 이론, 집합론

메타논리학Metalogic. 메타논리학이란 논리체계에 대해서 성립하는 속성들을 탐구하는 논리학의 중요한 영역이다. 쿠르트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잘 알려진 괴델의 불완전성 증명 역시 이들 연구에 빚짐과 동시에 큰 영향을 끼쳤다. 뿐만 아니라, 메타논리의 성과는 컴퓨터과학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메타논리적 속성으로 완전성(completeness), 건전성(soundness), 조밀성(compactness) 등의 속성이 있다. 메타논리학의 연구영역으로 크게 4가지 영역이 있다.    계산가능성 이론(회귀함수 이론) 어떤 것이 기계적으로 계산 혹은 결정 가능한지에 대해서 탐구하는 분야. 잘 알려진 튜링 머신에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어떤 형식 체계..

형식논리학(Formal logic), 표준 논리, 비표준 논리

형식논리학(Formal logic)논증을 구성하는 명제/진술 등의 내용에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그 형식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는 학문. 추상적인 형식에 초점을 기울이니만큼 현대에는 당연히 수학적 기법과 기호 등을 도구로 삼아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학계에서 "논리학"이라고 할 때에는 형식 논리학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형식논리학에서 쓰는 논리식은 일상에서 쓰는 말을 추상화시킨 것이지만, 일상 언어 표현과 형식 논리 정식 간에는 의미상의 괴리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논리의 논리식인 실질 조건문 p→q 내지는 p Ɔ q는 자칫 한국어 문장 "만약 p이면 q이다" 혹은 영어 문장 "If P, then Q"와 의미가 똑같은 것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그 의미상 다를 수 있다.  표준 논리Standa..

한국사 기출 문제 해설 [고려] #09

Q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역사서의 저자는 다음과 같은 글을 지어 왕에게 바쳤다. “성상 전하께서 옛 사서를 널리 열람하시고, ‘지금의 학사 대부는 모두 오경과 제자의 책과 진한(秦漢) 역대의 사서에는 널리 통하여 상세히 말하는 이는 있으나, 도리어 우리나라의 사실에 대하여서는 망연하고 그 시말(始末)을 알지 못하니 심히 통탄할 일이다. 하물며 신라·고구려·백제가 나라를 세우고 정립하여 능히 예의로써 중국과 통교한 까닭으로 범엽의 『한서』나 송기의 『당서』 에는 모두 열전이 있으나 국내는 상세하고 국외는 소략하게 써서 자세히 실리지 않았다. …… 일관된 역사를 완성하고 만대에 물려주어 해와 별처럼 빛나게 해야 하겠다.’라고 하셨다.”(나) 역사서에는 다음과 같은 서문이 실려..

존속, 비속, 존(尊) 높다, 비(卑) 낮다, 직계존속, 직계비속

존속은 조상을, 비속은 자녀를 가리키는 말존속  조상으로부터 자기에게 이어지는 혈족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증조부모 등이 포함비속  자기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혈족자녀, 손자, 증손자 등이 포함존속과 비속은 대립되는 개념으로, 민법에서도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으로 구분 직계존속 ㅇ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ㅇ 외조부모, 외증조부모, 외고조부모직계비속ㅇ 아들, 딸, 손자, 손녀, 증손자녀, 고손자녀 시부모와 며느리, 장인 장모와 사위간은 직계존비속 관계가 아니다. 직계(直系) : 나와 직접적인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존(尊) : 높다, 높이다의 뜻.비(卑) : 낮다, 낮추다의 뜻.속(屬) : '무리 속'자이며 어떤 한 부류를 의미.직계존속 : 나와 직접 혈연 관계에 있는 윗사람 즉, 부모, 조부모 등..

방계, 傍系, collateral line, 傍 곁 방, 직계, 直系, direct line, 민법

방계 傍系 | collateral line 傍 곁 방자기와 같은 시조에서 갈라져 나간, 자신과 다른 계통을 말하며, 직계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방계에 속하는 혈족을 방계혈족이라고 부른다. 공동의 부모로부터 갈라져 나간 형제자매·조카, 공동의 조부모로부터 갈라져 나간 백숙부모·종형제자매 등을 가리킨다. 혈통 연락의 형태를 계통적으로 보면, 남계와 여계, 부계와 모계, 직계와 방계, 존속과 비속으로 구분된다. 즉, 혈통이 위 또는 아래인 수직으로 연결된 관계를 직계라 하고, 공동의 조상으로부터 분기된 친족계열에 속하는 사람끼리의 관계를 방계라 한다.  민법 제768조(혈족의 정의) 자기의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을 직계혈족이라 하고 자기의 형제자매와 형제자매의 직계비속, 직계존속의 형제자매 및 그 형제자매의 직..

유기적 조직 구조, 기계적 조직 구조, 번스, 스토커, 번즈와 스타커(Burns and Stalker)

유기적 조직구조, 기계적 조직구조 번스(T. Burns)와 스토커(G. M. Stalker)는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20개 산업조직을 대상으로 관리자들과의 면담과 자신들의 직접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조직구조와 관리행태가 상이한 환경조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연구하였다.번스와 스토커는 연구 결과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외부환경에 따라서 조직의 내부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태적인 환경 속에서 활동을 하는 조직들의 조직구조와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활동을 하는 조직들의 조직구조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동태적 환경에 직면한 조직은 문서화된 규칙이나 절차가 거의 없었으며, 의사결정 권한도 분권화되어 있고, 토론이나 상호작용으로 종업원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며, 종업원간 의사소통이 빈번하고, 뜻..

리더십 상황론, Fiedler의 상황 적응 모형, House&Evans의 경로-목표 모형, Hersey&Blanchard의 3차원 모형, Reddin의 3차원 모형

● 리더십 상황론:리더십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상황 요인을 규명하는데 초점, 리더십의 행동유형에 효율성이라는 차원을 추가한 3차원적 이론도 이에 포함 ● 리더십 유형의 차원①1차원:단선적 접근. (특성론이나 초기의 행태론)②2차원: 과업(생산)과 인간이라는 두 개의 축을 고려하여 리더십 유형을 평면적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리더와 추종자와의 교환 관계를 중시하는 거래적 리더십 연구(행동유형론)③3차원: 과업, 인간, 효율성(상황)이라는 세 축에 의한 입체적 접근(상황론) ● Tannenbaum&Schumidt의 상황 이론:리더의 권위와 부하의 재량권은 반비례한다는 상황 요인 중시①독재적 의사결정②협의적 의사결정: 리더는 결정 제시, 부하의 의사(조언)를 듣고 리더가 최종 결정③공동 의사결정:리더가 범위·한..

리더-구성원(멤버) 교환 이론, LMX, Leader Member Exchange Theory

리더-구성원 교환, LMX, Leader Member Exchange Theory 1. 개념 리더-구성원 교환이론은 VDL이론에서 발전된 것으로서, 리더와 구성원간에 형성되는 관계의 질에 따라 조직행동의 결과가 차이가 난다는 것을 핵심 가정으로 한다. 따라서 이는 리더십 자체의 효과를 검증하는 이론이라기 보다는 조직효과성 원인요인으로서의 리더-구성원 관계쌍이 가지는 효과를 검증하는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2. 특징 리더-구성원 교환이론은 시간 압력 때문에 리더가 부하직원의 일부와 특별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이 사람들이 리더의 내집단을 구성한다. 그들은 리더의 신뢰를 받으며 리더가 많은 시간을 그들에게 할애하고 특권을 받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다른 부하직원들은 외집단이 된다.   리더가 각각의 범주에..

정정미, 헌법재판관, 1969년, 부산, 서울대 법대

정정미 鄭貞美 | Jung Jung-mi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출생 1969년 5월 24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본관 하동 정씨 (河東 鄭氏) 현직 헌법재판소 재판관 재임기간 헌법재판소 재판관 (김명수 대법원장 지명 / 윤석열 대통령 임명) 2023년 4월 17일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부산광역시 연제구에서 태어났다. 남성여자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93년 제35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5기. 연수원 수료 후 1996년,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판사를 시작으로 법복을 입었다. 초임 판사와 사법연수원 교수로 재직하던 시기를 제외하면 대부분을 충청도에서 근무한 향판(지역 법관)이다. 남편 김병식도 현직 법관으로, 부부가 같은 법관인사규칙 10조 대전고등법..

리더십 이론, 특성론, 행태론, 상황론, 신특성론, 변혁적 리더십, 두문자 암기

● 리더십 연구 변천 '특행상신' ● 특성이론 리더의 개인적 자질에 의해 리더십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위인이론․인걸이론․자연적 리더십이론이라고도 하며, 훌륭한 리더는 일반인들에게 없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 리더가 갖춘 자질과 특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 이순신 장군, 광개토태왕, 김구 선생 등 훌륭한 리더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성격특성 연구의 특징과 같이 훌륭한 리더들에 대한 특성을 연구할수록 특성의 종류가 무한정 증가할 수 있다.   ● 행동이론, 행태론특성이론과 달리 리더의 기질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습득되는 후천적 특성이라고 보고, 리더가 실제로 표출하는 행동을 바람직한 행동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학습과 훈련을 강조하는 ..

관료제, 관료제 순기능, 관료제 병리, 동조과잉, 서면주의(red tape). 형식주의, 훈련된 무능, 비인간화

● 관료제매우 다의적인 개념이며 불확실한 개념임.구분개념학자특징구조적개념계층제형태를 지닌 대규모 조직weber, merton, blau관료제의 보편성,순기능강조기능적개념정치권력을 장악한 특권집단Laski, Finer, Janowitz보편성상실, 역기능(해독)강조  ● Weber의 관료제 모형의 특징1.Weber의 이론과 특징-Weber의 관료제는 독일을 위시한 유럽의 당시 정치·경제적 현실과 프러시아 관료제에 대한 막연한 인상을 토대로 연구된 가설적인 모형임-영미의 민주당이나 신생국관료제를 대상으로 연구된 것도 아니다. 영미는 민주주의나 시장경제가 발달하여 강력한 정부관료제가 불필요했기 때문에 관료제 이론이 싹트지 못함⑴이념형⑵보편성⑶합리성: 계층제에 의한 능률성과 합법성을 추구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

부정선거 음모론, 주장과 반박, 선관위 해명, 팩트 정리, 부정선거 판결, 형상기억종이, 화웨이 장비, 해킹, 중국 해커부대 선관위 서버 해킹, 국정원 장비점검 비협조, 선관위 사무총장

부정선거 음모론의 얼개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전투표와 본투표의 득표율은 같아야 한다. 그런데 사전투표에서 민주당이 더 많은 표를 가져간다. 2. 본투표 득표율보다 더 많이 가져간 만큼 표가 조작된 것이다. 3. 선관위 서버를 조작해 실제 사전투표자 수를 부풀려 조작한다. 4. 위조투표지 넣기, 투표함 바꿔치기 또는 개표기 조작을 통해 실제 투표지 수를 부풀려 선관위 서버를 조작해 만든 사전투표자 수와 맞춘다. 부정선거 음모론자들은 이 부정선거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선관위 서버를 열어 조작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부정선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최후의 결정적인 수단이라고 줄기차게 주장해왔다. 윤석열 대통령이 중앙선관위에 계엄군을 투입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부정선거..

형식과학, Formal Science, 논리학, 수학, 통계학, 시스템 과학, 이론 컴퓨터 과학, 언어학

형식과학形式科學 / Formal Science 형식과학은 추상적 구조에 기반한 여러 가지 규칙인 형식에 대해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다. 협의의 과학인 자연과학과 갖는 차이점은, 자연과학은 인간의 경험에 기반을 두는 반면 형식과학은 인간의 사고에 기반한 추상적 대상에 기반을 둔다는 것이다.    특징사변성(思辨性 speculation), 추상성(抽象性 abstractedness): 형식과학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다루는 대상이 현실에 존재하지 않고 사람 머릿속에만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을 사변성 혹은 추상성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과학은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을 설명하는 데에 집중하는 반면, 형식과학은 철저히 추상적인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집중한다. 이에 다른 과학과 달리..

과학의 범위, 자연과학, 형식과학, 응용과학, 사회과학

좁은의미자연과학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천문학 · 지구과학(지질학 · 해양학 · 대기과학)넓은 의미형식과학 논리학 · 수학 · 시스템 과학 · 전산학 · 통계학응용과학 간호학 · 거대과학 · 건축학 · 공학 · 농학 · 임학 · 수산학 · 수의학 · 약학 · 의학 · 치의학 · 동양의학(한의학, 중의학)1사회과학 심리학 · 사회학 · 정치학(행정학 · 정책학) · 경제학 · 교육학 · 군사학 · 미디어학 · 법학 · 경영학 · 사회복지학 · 인류학 · 지리학 · 지역학비과학인문학 언어: 언어학 / 예술: 문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역사: 사학 · 과학사학 · 고고학 / 사상: 철학 · 종교학4 · 신학5비학문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대체의학) · 반과학 ● 자연과학물리학 (P..

고구려 수·당 전쟁 순서 암기, 동서 세력(수·당+신라), 남북 세력(돌궐+고구려+백제+왜), 6~7C 동아시아

Q  다음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대업 9년(613년) 양제가 다시 친히 정벌하였다. 이때는 모든 군대에 상황에 맞게 적절히 대응하라고 하였다. 여러 장수가 길을 나누어 성을 공격하니 적의 군세가 날로 위축되었다. - 수서 - (나) 당태종이 다시 고구려를 정벌하려 했으나, 조정에서 의논하기를 “고구려가 산에 의지하여 성을 만들어 갑자기 함락할 수 없습니다. …… 지금 소부대를 자주 보내어 그 지방을 피곤하게 하고 쟁기를 놓고 보루에 들어가게 하여 1,000리가 쓸쓸해지면 인심이 저절로 떠나 압록강 이북은 싸우지 않고도 얻을 수 있습니다.”하니 이에 따랐다.   - 삼국사기 -   ① 영양왕이 요서지방을 선제공격하였다. ②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수나라 군대를 ..

일주일이 7일인 이유, 천문학 관련 없다, 바빌로니아, 칠요, Why a week has 7 days, has nothing to do with astronomy

일주일이 7일인 이유 一週日 A Week 일주일이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로 된 날짜의 단위로, 일요일이 끝나면 다시 월요일로 돌아가는 순환방식이다. 월요일ㆍ화요일ㆍ수요일ㆍ목요일ㆍ금요일ㆍ토요일ㆍ일요일 등 7개 요일이 존재한다. 년('해'), 월('달'), 일('날')과는 달리 순우리말은 없다. 하루와 함께 인간 사회에서 주기를 이루는 시간 단위이다. 하루와 한 해는 해의 위치 / 지구의 위치가 바뀌니까 인간의 삶이 영향을 받는 것이 당연하지만 1주는 그렇지도 않은데도 대개의 인간 스케줄은 1주를 단위로 반복되고 있다. 아래의 주술적 의미와 더불어 인간 삶의 주기를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한자로는 아예 '돌 주'(週)를 쓰기도 하고.  1달이 약 30일이기에 대체로 1달은 4~5주..

논리학, 論理學, Logic, 형식논리학(Formal logic), 비형식논리학(Informal logic), 메타논리학, 변증논리학(Dialectical logic)

형식과학논리학 Logic 수학 Mathematics 통계학 Statistics 시스템 과학 System Science 이론 컴퓨터 과학 Computer Science  먼저 본 연구가 무엇에 대한 것이며 무엇을 위한 것임을 밝히자면, 이는 논증에 대한 것이며 논증에 관한 학문을 위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분석론 전서』  논리학, 論理學, Logic 논리학은 "무엇이 올바른 추론인가?"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발한 학문이다. 연역추론과 귀납추론이 논리학에 속하는 대표적인 주제이며, 추론을 구성하는 명제, 그리고 이를 다시금 구성하는 개념 역시 논리학의 전통적인 연구 주제다. 고대 그리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으로 고안한 학문이며, 19세기 유럽 조지 부울,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등의..

갈등, 역할 갈등, 갈등 해결, 두문자

● 행정관리 - 갈등 해결 ● 갈등 관리 관점 (Robins & Judge)✽ 전통적 관점(갈등역기능론)   - 갈등은 해롭고 나쁜 것이고 부정적이므로 회피의 대상으로 간주  ✽ 행태주의 관점(갈등불가피론)   - 갈등은 자연적이고 불가피한 것으로 수용 (용인)의 대상으로 간주, 순기능 인정) ✽ 상호주의 관점(조직발전론(OD), 갈등조장론)  - 갈등의 용인(수용)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갈등 조장 ? 갈등을 조직변화의 원동력으로 간주 ● 역할 갈등내동 간둘역할 내 갈등 : 동일한 역할을 두고 조직구성원의 기대가 상충될 때 생기는 갈등 역할 간 갈등 : 한 개인이 둘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때 생기는 갈등 ● 대인간(집단간) 갈등의 해결 : Simon&March 이론문설협정사실갈등(수단갈등) : 문제해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