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검을 현(玄),줄 현(絃),거느릴 솔(率),비율 률(率),짐승 축(畜),모을 축(蓄),이 자(玆),사랑 자(慈),현악기絃樂器,솔직率直,축사畜舍,축적蓄積,자비심慈悲心,기출 한자

玄 검을 현 玄米 현미 絃 실(糸) 같은 줄(玄)은 줄 현(絃) 絃樂器 현악기 率 실(玄) 여러(十) 개를 꼬아 거느릴 솔(率) 동아줄(率)을 꼴 때 맞추는 비율 률(率) 率直* 곧을 직 率先 먼저 선 統率* 줄(糸)이 사이를 채우는(充) 것은 거느릴 통(統) 通 甬(길 용)고리가 있는 종 대롱(甬대롱, 길 용)으로 가는(辶) 것은 통할 통(通) 引率* 인솔 引 끌 인 比率 견줄 비 匕X 비수 비 두(匕비수 비) 사람(匕)이 나란히 견줄 비(比) 確率 확률 돌(石)처럼 두루미(隺두루미 학)가 서 있는 것은 굳을 확(確) 畜 줄(玄)로 밭(田)에 매놓는 짐승 축(畜) 畜舍 여유(余)있는 방(口)이 있는 집 사(舍) 畜産 낳아서(产) 생기게(生) 하는 낳을 산(産) 牧畜 소(牛)를 치는(攵) 것은 칠 목(牧..

선비(士),섬길 사(仕),맡길 임(任),길할 길(吉),맺을 결(結),변호사辯護士,봉사奉仕,길조吉兆,길조吉鳥,결혼結婚,기출한자

士 선비 사 士兵 사병 武士 무사 辯護士 辯 말씀 변 護 도울 호 仕 사람(亻)이 선비(士) 되어서 섬길 사(仕) 奉仕* 신령(丰봉)을 두 손(手)으로 받들 봉(奉) 任 사람(亻)에게 짐을(壬) 맡길 임(任) 吉 선비(士)의 말(ㅁ)을 따르면 길할 길(吉) 吉夢 눈꺼풀(艹)로 눈(罒)을 덮고(冖) 저녁(夕)에 보는 꿈 몽(夢) 吉兆 상서(祥瑞)로운 조짐(兆朕) 거북의 갈라진 틈(儿)에 난 금은 징조/조 조(兆) 吉鳥 大吉 結 실(糸)로 선비(士)의 말(ㅁ)을 맺을 결(結) 結婚 여자(女)에게 어두울(昏) 때 씨를 뿌리는 혼인할 혼(婚) 結果* 열매들(田)인데 나무(木)에 달린 실과 과(果) 結束* 나무(木)를 감아서 묶은(口) 모양 묶을 속(束) 結實 집(宀)에 걸린 꿰미(貫)는 열매 실(實) 結義* 儀..

붕괴崩壞,파괴破壞,파탄破綻,터질 탄(綻),탄로綻露,타파打破,파락호破落戶,혁파革罷,파행跛行,깨뜨릴 파(破),마칠 파(罷),절름발이 파(跛),물결 파(波)

壞 흙(土)을 품는(褱품을 회) 것은 결국 무너질 괴(壞) 옷(衣)에 눈(罒)물(氺)을 떨구는 이를 따뜻하게 품을 회(褱) 壞滅 물(氵)과 도끼(戌)로 불(火)을 滅'멸할 멸' 崩壞 산(山)이 벗(朋)처럼 무리지어 무너질 붕(崩) 破壞* 돌(石)의 가죽(皮가죽 피)을 떼어내는 것은 깨뜨릴 파(破) 破綻* 파탄. 찢어지고 터짐 실(糸)이 정함(定)없이 터질 탄(綻) 綻露* 綻 터질 탄 露 이슬 로. 정X 비(雨)처럼 생겨 길(路) 위에 맺힌 이슬 로(露) 비밀(秘密)이 드러남. 이슬이 터짐. 打破 打 칠 타 破 깨뜨릴 파. 罷X 마칠 파 손(扌)으로 고무래(丁)로 칠 타(打) 돌(石)의 가죽(皮가죽 피)을 떼어내는 것은 깨뜨릴 파(破) 규정(規定)이나 관습(慣習) 등(等)을 깨뜨려 버림 破落戶 破 깨뜨릴 ..

회고담懷古談,회고록回顧錄,회유懷柔,회의懷疑,회의會議,회포懷抱,감회感懷,감회感悔,술회述懷,품을 회(懷),뉘우칠 회(悔)

懷 마음(忄)속에 품는(褱) 것은 품을 회(懷) 옷(衣)에 눈(罒)물(氺)을 떨구는 이를 따뜻하게 품을 회(褱) 懷古 옛 고 옛 자취를 돌이켜 생각함 懷古談 회고담 回顧 回 돌아올 회 顧 돌아볼 고 제비(隹)가 집(戶)에 오듯 생각(頁)을 돌아볼 고(顧) 回顧錄 회고록 懷柔 창(矛)으로 쓰는 나무(木)는 재질이 부드러울 유(柔) 懷疑* 비수(匕) 화살(矢) 갈고리 보고 발(疋) 멈추는 의심할 의(疑) 의심(疑心), 의혹(疑惑), 의구(疑懼) 會議 會 모일 회 議 의논할 의 말(言)로 옳게(義) 되도록 의논할 의(議) 懷抱* 손(扌)으로 싸는(包) 안을 포(抱) 마음속에 품은 생각이나 정 배(勹)가 태아(巳)를 쌀 포(包) 感懷* 다(咸함→감) 맘(心)으로 느낄 감(感) 感舊之懷 준말 感悔 마음(忄)으로 ..

돌아올 환(還),환수還收,환급還給,반환返還,반추反芻,탈환奪還,귀환歸還,바꿀 환(換),호환互換,변환變換,근심 환(患)

還 눈이 휘둥그래졌다가(睘) 제자리로 가는(辶) 돌아올 환(還) 還生 還收*** 덩굴(丩얽힐 구)을 쳐서(攵) 열매를 거둘 수(收) 還給* 실(糸)을 합하려고(合) 실을 줄 급(給) 返還* 반대(反)로 가는(辶) 것은 돌아올 반(返) 反芻 反 돌이킬 반 芻 꼴(짚단) 추. 返x. 飯x 밥 반 되새김질. 反芻動物 반추동물 反駁 말(馬)과 사겨(爻사귈 효) 논박할 박(駁) 駁 논박할 박=駮/얼룩말 박 奪還 품(衣) 안 새(隹)를 손(寸)으로 빼앗을 탈(奪) 歸還 쌓기(阜)를 그치고(止) 비(帚)를 드는 이유는 돌아갈 귀(歸) 擐 꿸/입을 환 懁 성급할 환 換 손(扌)으로 빛(奐)나는 생명과 바꿀 환(換) 교환(交換: 무엇을 서로 바꿈), 호환(互換), 변환(變換) 患部 患 근심 환 部 떼 부 마음(心)에 꿰..

놀라서 볼 경(睘),고리 환(環),돌아올 환(還),품을 회(懷),무너질 괴(壞),環境,循環,還生,壞滅,기출 한자

睘 놀라서 볼 경 環 구슬(王)처럼 눈이 휘둥그래진(睘) 모양은 고리 환(環) 環境*** 지경 경(경계境界) 땅(土)이 마침내(竟다할 경) 끝나는 지경 경(境) 지경(地境: 땅의 경계), 국경(國境), 경계(境界) 環境汚染 汚 더러울 오 染 물들 염 水물이 亏(어조사 우. 구부러진 모습) 괴어 더러워지다. 木, 水염료로 여러번 九(구☞수가 많음) 물들이다. 循環* 걷듯이(彳) 방패(盾)가 구르는 돌 순(循) 還 눈이 휘둥그래졌다가(睘) 제자리로 가는(辶) 돌아올 환(還) 還生 還收*** 덩굴(丩얽힐 구)을 쳐서(攵) 열매를 거둘 수(收) 還給* 실(糸)을 합하려고(合) 실을 줄 급(給) 返還* 반대(反)로 가는(辶) 것은 돌아올 반(返) 反芻 反 돌이킬 반 芻 꼴(짚단) 추. 返x. 飯x 밥 반 되새김질..

보답報答,보상報償,보상책임補償責任,기울 보(補),배상賠償,보도사진報道寫眞,보고報告,숙고熟考,신문고申聞鼓,보고寶庫,예보豫報,예비豫備,비축備蓄,기출 한자

幸 한(一) 번 매운(辛) 맛을 보면 깨닫는 다행 행(幸) 執 행복(幸행)을 둥글게(丸환) 잡을 집(執) 報 행복(幸행)을 엎드려(卩) 다시(又) 갚을 보(報) 報復 걷듯이(彳) 되돌아(复) 회복할 복/다시 부(復) 報答* 죽간(竹)으로 합하게(合) 편지에 대답 답(答) 報償* 갚을 상 賞X 상줄 상 사람(人)에게 상(賞)으로 갚을 상(償) 賞과 구별하여 특히 人사람이 돌려 갚는다 높이(尙) 기리려 재물(貝)을 주는 상줄 상(賞) 남에게 진 빚이나 받은 것을 갚음, 報償金 보상금 補償* 옷(衤)이 차는(甫) 기울 보(補) 보수(補修: 기워서 수선함), 보충(補充), 보완(補完) 남에게 끼친 손해(損害)를 갚는 것, 補償責任 보상책임 賠償 돈(貝)으로 침(咅침 부)튄 것을 물어줄 배(賠) 報恩 씨앗을 키우..

다행 행(幸),잡을 집(執),갚을 보(報),幸運,執行,報復,執權,執着,執務,기출 한자

幸 한(一) 번 매운(辛) 맛을 보면 깨닫는 다행 행(幸) 幸福 제단(示)에 찬(畐) 술병을 바치면 생기는 복 복(福) 幸運 군사(軍)가 가는(辶) 것은 옮길 운(運) 執 행복(幸행)을 둥글게(丸환) 잡을 집(執) 執行 다닐 행 執權* 나무(木)에 앉아 부엉이(雚)가 누리는 권세 권(權) 執着* 양(羊)탈을 눈(目) 위에까지 쓰는 것은 붙일 착(着) 執務* 창(矛)으로 치면(攵) 힘(力)으로 힘쓸 무(務) 報 행복(幸행)을 엎드려(卩) 다시(又) 갚을 보(報) 報復 걷듯이(彳) 되돌아(复) 회복할 복/다시 부(復) 報答* 죽간(竹)으로 합하게(合) 편지에 대답 답(答) 報償* 갚을 상 賞X 상줄 상 사람(人)에게 상(賞)으로 갚을 상(償) 賞과 구별하여 특히 人사람이 돌려 갚는다 높이(尙) 기리려 재물(..

편주片舟,주재舟載,주재主宰,주재駐在,주재主材,일반一般,제반諸般,전반全般,반석盤石,기반基盤,암반巖盤,배 주(舟),일반 반(般),소반 반(盤),밥 반(飯)

舟 배 주 片舟* 조각 편 舟載 삽(𢦏)으로 수레(車)에 실을 재(載) 적재(積載: 짐을 쌓아서 실음), 등재(登載), 기재(記載) 배에 실음 主宰* 主 주인 주 宰 재상 재 주장(主掌)하여 맡음 駐在* 駐在*員 駐 머무를 주 在 있을 재 員 인원 원 말(馬)이 머무는(住주) 머무를 주(駐) 인도 주재 한국 대사관 主材 主材料 材 재목 재 料 헤아릴 료 나무(木)인데 재주(才)껏 쓰는 재목 재(材) 般 배(舟)인데 창(殳) 같은 장대로 조종하는 것은 일반 반(般) 一般* 공동으로 쓰는 한 가지 (일반 배) 諸般 말(言)인데 사람(者)들을 지칭할 때 쓰는 모두 제(諸) 全般* 온전할 전 盤 일반(般) 배처럼 나르는 데 쓰는 그릇(皿)은 소반 반(盤) 盤石* 너럭바위 基盤* 키(其)로 흙(土)을 골라놓은 터..

해석解釋, 희석稀釋, 채택採擇, 채색彩色, 캘 채(採),채색 채(彩), 채장綵帳, 비단 채(綵), 기출 한자

釋 분별하길(釆분별할 변) 엿보며(睪) 하는 풀 석(釋) 釋放* 방(方)을 치고(攵) 나서 놓을 방(放) 解釋* 소(牛)뿔(角)을 칼(刀)로 자르는 것은 풀 해(解) 稀釋 곡물(禾)을 바라는(希) 이유는 드물 희(稀) 몹시 묽게 섞어 타거나 풂 擇 손(扌)으로 엿보며(睪) 가릴 택(擇) 선택(選擇: 가림), 채택(採擇), 택일(擇一) 擇一 擇日 選擇* 두 사람(巳巳) 중 함께(共) 갈(辶) 이 뽑는 가릴 선(選) 採擇 손(扌)으로 캐는(采) 것은 캘 채(採) 彩色 캐듯이(采) 터럭(彡)으로 하는 채색 채(彩) 사람(人)이 꿇어앉아(巴) 칠하는 빛 색(色) 綵帳 綵 비단 채 帳 장막 장, 오색찬란한 휘장 실(糸)로 캐는(采) 것은 비단 채(綵) 천(巾)을 길게(長) 쳐놓는 장막 장(帳) 잡스9급 PDF 교..

번역飜譯,번복飜覆,통역通譯,선택選擇,채택採擇,역전逆轉,역전驛前,간략簡略,간단簡單,역 역(驛),거스를 역(逆)

譯 말(言)을 엿보며(睪) 번역할 역(譯) 譯官 역관 飜譯 차례(番)대로 날(飛) 때 날개를 뒤칠 번(飜) 번복(飜覆: 뒤침/뒤집음), 번역(飜譯) 뒤치다: 뒤로 젖히다 番(차례 번) 飛(날 비) 田(밭 전) 釆(분별할 변, 짐승 발자국) 논밭에 동물의 발자국이 차례로 찍혀있다. 마개(覀)가 다시(復회복할 복) 뒤집힐 복(覆) 通譯 대롱(甬대롱, 길 용)으로 가는(辶) 것은 통할 통(通) 譯 말(言)을 엿보며(睪) 번역할 역(譯) 繹 실타래(糸)를 엿보며(睪) 풀 역(繹) 擇 손(扌)으로 엿보며(睪) 가릴 택(擇) 선택(選擇: 가림), 채택(採擇), 택일(擇一) 澤 물(氵)속을 엿볼(睪) 수 있는 못 택(澤) 釋 분별하길(釆분별할 변) 엿보며(睪) 하는 풀 석(釋) 驛 말(馬)을 엿보며(睪) 고르는 역 ..

엿볼 역(睪),번역할 역(譯),역 역(驛),풀 석(釋),가릴 택(擇),역관譯官,종착역終着驛,석방釋放,선택選擇,기출 한자

睪 눈(罒)이 행복(幸)해지는 엿볼 역(睪) 譯 말(言)을 엿보며(睪) 번역할 역(譯) 譯官 역관 飜譯 차례(番)대로 날(飛) 때 날개를 뒤칠 번(飜) 번복(飜覆: 뒤침/뒤집음), 번역(飜譯) 뒤치다: 뒤로 젖히다 番(차례 번) 飛(날 비) 田(밭 전) 釆(분별할 변, 짐승 발자국) 논밭에 동물의 발자국이 차례로 찍혀있다. 마개(覀)가 다시(復회복할 복) 뒤집힐 복(覆) 通譯 대롱(甬대롱, 길 용)으로 가는(辶) 것은 통할 통(通) 譯 말(言)을 엿보며(睪) 번역할 역(譯) 繹 실타래(糸)를 엿보며(睪) 풀 역(繹) 擇 손(扌)으로 엿보며(睪) 가릴 택(擇) 선택(選擇: 가림), 채택(採擇), 택일(擇一) 澤 물(氵)속을 엿볼(睪) 수 있는 못 택(澤) 釋 분별하길(釆분별할 변) 엿보며(睪) 하는 풀 석..

맬 계(系),실 사(糸),이을 계(係),손자 손(孫),체계體系,관계關係,후계後孫,기출한자

系 실(糸)로 이어(丿) 맬 계(系) 系統 줄(糸)이 사이를 채우는(充) 것은 거느릴 통(統) 直系 열(十) 개 눈(目)이 숨어(乚숨을 은) 보더라도 곧을 직(直) 體系* 체계. 系맬 계. 係X 이을계 뼈(骨)에 풍성(豊) 하게 살이 붙어 몸 체(體) 係 사람(亻)이 이어 맨(系) 것은 이을 계(係) 關係* 문(門)에 빗장을 꿰는(𢇇관) 것은 관계할 관(關) 孫 아들(子)을 잇는(系) 이는 손자 손(孫) 孫子 손자 後孫 작게(幺) 발(夂)로 걸어서(彳) 가는 곳은 뒤 후(後)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

파생적 사동, 통사적 사동 기출 문제 [합격자 공무원 국어]

✽파생적 사동 : 어간 + '이,히,리,기,우,구,추'(사동파생접사) 직접사동+간접사동 ✽통사적 사동 : ~게 + 하다. 간접사동 [기출] Q 의 ㉠~㉣에 들어갈 것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사동문은 사동주가 피사동주에게 어떤 행위를 하게 하는 것을 표현한 문장이다. 국어 사동문은 주어의 직접적 행위를 의미할 수도 있고, 주어의 간접적 행위를 의미할 수도 있다. ( ㉠ )와 같이 주어의 직접적 행위와 간접적 행위를 모두 나타내는 경우도 있고, ( ㉡ )와 같이 주어의 간접적 행위만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한편, 부정문은 ( ㉢ )와 같이 단순 부정 혹은 의지 부정을 뜻하는 문장이 있고, ( ㉣ )와 같이 능력 부정을 뜻하는 경우가 있다. (가) 형은 동생에게 밥을 먹였다. (나) 형은 동생에게 밥을 먹게..

잡스 국어 2020.12.17

-ㄹ지언정, -ㄹ진대, -ㄹ망정, 일지언정, 할진대, 맞춤법

-ㄹ지언정 「어미」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뒤 절을 강하게 시인하기 위하여 뒤 절의 일과는 대립적인 앞 절의 일을 시인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비록 그러하지만 그러나’ 혹은 ‘비록 그러하다 하여도 그러나’에 가까운 뜻을 나타낸다. ‘-ㄹ망정’보다 다소 강한 느낌이 있다. 그것은 무모한 행동일지언정 용감한 행동은 아니다. -ㄹ진대 「어미」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예스러운 표현으로) 앞 절의 일을 인정하면서, 그것을 뒤 절 일의 조건이나 이유, 근거로 삼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장중한 어감을 띤다. 주인이 취할진대 누가 뭐라 하..

누층累層,누적累積,누차累次,누란累卵,연루連累,연좌連坐,여러 루(累),쌓을 적(積),잇닿을 연(連)

累 뽕밭(田)에 매달려 있는 실(糸)은 여러 루(累) 누층(累層: 여러 층), 누적(累積), 누차(累次) 累積 벼(禾)를 맡아서 책임(責)지고 쌓을 적(積) 累卵(之勢) 알 란, 위태(危殆)로운 형편(形便) 連累 수레(車)가 굴러가듯(辶) 잇닿을 연(連) 남이 저지른 죄(罪)에 관련(關聯)되는 것 連坐 앉을 좌. 연대(連帶) 책임(責任)을 짐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사회 PDF 다운로드 교육..

‘맞추다’, ‘맞히다’,알아맞혀,맞추어,맞춤법

‘맞추다’와 ‘맞히다’의 구분: “옳은 답을 대다”라는 뜻일 때에는 ‘맞히다’ (가) 프로야구 우승팀을 맞히다 / 정답을 맞히다 / 화살로 과녁을 맞히다 // 비를 맞히다 / 도둑을 맞히다 / 예방 주사를 맞히다 ※ 영희는 자신이 쓴 답과 텔레비전에서 제시한 답안을 맞추어 보더니 아주 침통해했다. (가)′ 답을 알아맞혀 보세요 (나) 계산을 맞추어 보다 / 발을 맞추어 걷다 / 음식의 간을 맞추다 (나)′ 입을 맞추다 / 기계를 뜯었다 맞추다 / 양복을 맞추다 / 짝을 맞추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

색출索出,수색搜索,수사搜査,검색檢索,사색思索,탐색探索,찾을 색/노끈 삭(索),찾을 탐(探),깊을 심(深),캘 채(採),채취採取,채집採集,채택採擇,도울 원(援),구원救援,구원構怨

索 초목(草)에서 실(糸)을 찾을 색/노끈 삭(索) 索出 搜索* 손(扌)으로 늙은이(叟늙은이 수)가 더듬어 찾을 수(搜) 搜査 제사 비문(且)에 필요한 나무(木)를 조사할 사(査) 搜査官수사관 檢索* 나무(木)에 다(僉) 기록해 검사할 검(檢) 思索* 생각 사 探索* 손(扌)을 깊이(罙) 넣어 찾을 탐(探) 深 물(氵)이 깊은(罙) 것은 깊을 심(深) 採 손(扌)으로 캐는(采) 것은 캘 채(採) 채취(採取: 캐서 가짐), 채집(採集), 채택(採擇) 援 손(扌)이 모자라 손톱(爪)까지 써 벗(友)을 도울 원(援) 救援* 구ː원 救 구원할 구 構怨 나무(木)로 짜는(冓구) 것은 얽을 구(構) 누워 뒹굴게(夗누워 뒹굴 원) 되는 마음(心)은 원망할 원(怨) 원한(怨恨)을 품음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

본디 소/흴 소(素),찾을 색/노끈 삭(索),여러 루(累),소질素質,소양素養,소지素地,소지所持,검소儉素,바 소(所)

素 본디 소/흴 소 누에고치(垂)에서 풀어낸 실(糸)은 본디 소(素) 누에고치에서 갓 뽑은 실타래, 희다 순수 원초적 素質* 나무 받치는 모탕(斦)처럼 가치(貝)를 받쳐주는 바탕 질(質) 素養* 양(羊)에게 밥(食)을 먹여 기를 양(養) 素地 소지 본바탕에 있어서 어떤 일을 일으키거나 이루게 될 가능성 所持 소ː지 집(戶) 오기전 도끼(斤)로 찍어 둔 바로 그 바 소(所) 손(扌)으로 관청(寺) 갈 때 하는 공물을 가질 지(持) 몸에 지님 儉素* 사람(亻) 여럿(僉)을 모으려면 검소할 검(儉) 奉 신령(丰봉)을 두 손(手)으로 받들 봉(奉) 索 초목(草)에서 실(糸)을 찾을 색/노끈 삭(索) 索出 搜索* 손(扌)으로 늙은이(叟늙은이 수)가 더듬어 찾을 수(搜) 搜査 제사 비문(且)에 필요한 나무(木)를 ..

絲실 사,철사鐵絲,비단 견(絹),젖을 습(濕),드러날 현(㬎),나타날 현(顯),견직絹織,습기濕氣,제습除濕,현미경顯微鏡,현시顯示,발현發顯

糸 가는 실 사 絲 실 사 鐵絲 쇠 철 絹 실(糸)을 벌레(肙)한테 뽑아서 만든 비단 견(絹) 絹織 실(糸)을 새겨(戠)넣는 것은 짤 직(織) 濕 물(氵)에 젖은 실(絲)을 햇빛(日)에 말리는 것은 젖을 습(濕) 濕氣* 기운(气)인데 쌀(米)밥을 지을 때 나는 기운 기(氣) 濕度 집(广)을 여러(廿)번 손(又)으로 재 헤아리는 것은 법도 도(度) 除濕* 언덕(阝)을 여유롭게(余) 오르려 짐을 덜 제(除) 余 나 여 等 여등:우리들 餘 밥(食)이 집(余)에 남을 여(餘) 顯 누에고치(曰)의 실(絲)을 풀면 드러날 현(㬎) 누에고치(曰)의 실(絲) 머리(頁)를 찾아서 풀면 나타날 현(顯) 실의 머리(실마리)를 뜻하는 ‘頁’ 顯微鏡* 微 작을 미 鏡 거울 경 현시(顯示: 나타나 보임), 발현(發顯) 공무원 두..

벌이다,벌리다,벌여,벌려,늘이다,늘리다,늘다, 맞춤법

‘벌이다/벌리다’, ‘늘이다/늘리다’의 구분: 반의 관계를 이용 (가) 싸움을 벌이다 / 사업을 {벌이다, 벌리다} / 화투짝을 벌여 놓다 (가′) 입을 벌리다 / 밤송이를 벌리고 알밤을 꺼내다 / 자루를 벌리다 ☞ ‘벌리다’의 반대말은 ‘오므리다, 닫다, (입을) 다물다’임 (나) 엿가락을 늘이다 / 고무줄을 당겨 늘이다 / 머리를 길게 땋아 늘이다(늘어뜨리다) ☞ “길이가 있는 물체를 당겨 더 길게 하거나 아래로 길게 처지게 하는 행위” (나′) 인원을 늘리다 / 재산을 늘리다 / 실력을 늘리다 / 바지나 옷소매를 늘리다 ☞ ‘늘리다’는 ‘늘다’의 사동사로서 그 반대말은 ‘줄이다’임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딪는, 부딪혀, 부딪혔다,부딪쳤다, 맞춤법,‘-치-’ 강세접사, ‘-히-’ 피동접사

‘부딪치다’와 ‘부딪히다’의 구분: ‘-치-’는 강세접사, ‘-히-’는 피동접사 (가) 뱃전에 부딪는 잔물결 소리 / 뛰어올라오다 마침 아래층에 내려가는 종혁과 부딪고는 / 마침내 두 사람의 눈길이 부딪게 되자 // 금녀는 벽에 머리를 부딪고 죽은 것이다 (나) 파도가 바위에 부딪치다 // 무심코 고개를 돌리다 그와 눈길이 부딪쳤다 // 바른손에 거머쥐고 있던 사이다병을 담벽에 부딪쳐 깼다 / 취객 한 명이 철수에게 몸을 부딪치며 시비를 걸어 왔다 (다) 철수는 골목에서 나오는 자전거에 부딪혀 팔이 부러졌다 / 그는 자동차에 머리를 부딪혀 병원에 실려갔다 // 냉혹한 현실에 부딪히다 / 그들의 결혼은 부모의 반대에 부딪혀 성사되지 못했다 (라) 자전거가 마주 오는 자동차에 부딪혔다 ⇔ 자전거가 빗길에 자..

받치다, 받히다, 바치다, 맞춤법, ‘-치-’ 강세접사, ‘-히-’ 피동접사

‘받치다, 받히다, 바치다’의 구분: ‘-치-’는 강세접사, ‘-히-’는 피동접사 (가) 우산을 받치다 / 그릇을 받쳐 들다 / 두 손으로 머리를 받치고 누워 있다 [참고] ‘날개가 돋친 듯 팔리다’에서 ‘돋치다’ 역시 동사 ‘돋-’에 강세접사 ‘-치-’가 붙은 말임. (나) 기둥에 머리를 받히다 / 소에게 받히다 (다) 임금님께 예물을 바치다 /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糸가는 실 사,絲실 사,𢇇꿸 관,관계할 관(關),맬 계(係),연이을 련(聯),관계關係,관여關與,연관聯關,연맹聯盟,연합聯合

糸 가는 실 사 絲 실 사 𢇇 꿸 관 關 문(門)에 빗장을 꿰는(𢇇관) 것은 관계할 관(關) 관련(關聯), 상관(相關) 關係* 사람(亻)이 이어 맨(系) 것은 맬 계(係) 關門 관문 국경(國境) 통행인(通行人) 조사(調査)하는 곳 官門 관청(官廳)의 문(門) 關與* 함께(舁마주들 여) 동아줄(与) 당기는 것은 더불 여(與) 관계(關係)하여 참여(參與) 참여(參與: 더불어 함), 관여(關與), 수여(授與) 聯 바늘귀(耳)를 꿰는(𢇇관) 것은 연이을 련(聯) 聯關* 연관* 관계할 관 關聯 관련 聯想* 생각 상 聯盟* 밝게(明) 말하고 그릇(皿)에 담긴 술을 마시며 맹세 맹(盟) 聯合* 뚜껑(亼)을 그릇(ㅁ)에 합할 합(合) 洽 물(氵)이 합(合)해져 흡족할 흡(洽) 未洽* 未 아닐 미 洽 흡족할 흡 흡족(洽..

영향影響,음향音響,투영投影,사영射影,반향反響,그림자 영(影),울릴 향(響),던질 투(投)

影 볕(景)이 가려질 때 생기는 무늬(彡)는 그림자 영(影) 影響 影響力 울릴 향 마을(鄕)에서 소리(音)를 치면 울릴 향(響) 음향(音響: 소리와 그 울림), 반향(反響) 投影 손(扌)에 창(殳)을 들고 던질 투(投) ①지면 수면 등에 물체의 그림자. 사영(射影) -강물은 산 그림자의 투영으로 검푸른 빛 ②비유적. 존재나 영향이 다른 것에 반영시켜 나타내는 것.* -그 결정은 제작자의 의도가 투영된 것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광경光景,경치景致,경관景觀,경기景氣,경기競技,경기驚氣,풍경風景,풍경風磬,볕 경(景),이를 치(致),다툴 경(競),재주 기(技),놀랄 경(驚)

景 해(日)가 누각(京)을 비출 때 보이는 볕 경(景) 광경(光景), 경치(景致), 경관(景觀) 景致* 이르러(至) 치는(攵) 것은 이를 치(致) 好景氣* 기운 기 不景氣 京畿 京 서울 경 畿 경기 기 서울에서 몇 시간 거리의 밭(田)은 경기 기(畿) 競技 競 다툴 경 技* 재주 기 갈라진(咅) 사람(儿)들이 다툴 경(競) 손(扌)의 가지(支)로 하는 재주 기(技) 風*景畫 그림 화 風磬 경쇠 경 驚氣 驚 놀랄 경 氣 기운 기 개(苟)를 때리면(攵) 말(馬)처럼 놀랄 경(驚) 어린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의 총칭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

약탈掠奪,박탈剝奪,박제剝製,침략侵掠,침노侵擄,침범侵犯,침해侵害,침수浸水,침투浸透,노략擄掠,노략질할 략(掠),빼앗을 탈(奪),침노할 침(侵),잠길 침(浸),노략질할 노(擄),사로잡을 로(虜)

掠 손(扌)으로 적국 서울(京)을 노략질할 략(掠) 掠奪* 빼앗을 탈 弱X 약할 약 품(衣) 안 새(隹)를 손(寸)으로 빼앗을 탈(奪) 剝奪 칼(刂)로 새겨(彔) 벗길 박(剝) 剝製박제 剝皮박피 侵掠 사람(亻)이 비(帚)를 손(又)에 쥐는 것은 침노할 침(侵) 침노(侵擄), 침범(侵犯), 침해(侵害) 물(氵)이 들어와 비(帚)를 손(又)에 쥐는 것은 잠길 침(浸) 침수(浸水: 물에 잠김), 침투(浸透) 擄掠 손(扌)으로 사로잡아(虜) 노략질할 노(擄) 힘(力)으로 노(盧)씨를 사로잡을 로(虜)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

서울 경(京),서늘할 량(凉),알 량(諒),노략질할 략(掠),볕 경(景),그림자 영(影),청량淸凉,납량納涼, 황량荒凉,양해諒解,양지諒知,영향影響

京 서울 경(京) 歸京 쌓기(阜)를 그치고(止) 비(帚)를 드는 이유는 돌아갈 귀(歸) 上京 상경 凉 얼음(冫)같이 누각(京) 안이 서늘할 량(凉) 淸凉 물(氵)이 푸르게(靑) 맑을 청(淸) 청량(淸凉: 맑고 서늘함), 납량(納涼), 황량(荒凉) 실(糸)을 안(內)으로 들일 납(納) 풀(艹)이 망하고(亡) 내(川)가 말라 거칠 황(荒) 諒 지방 사람이 말(言)을 서울(京)에서 할 때 살펴 알 량(諒) 諒解* 소(牛)뿔(角)을 칼(刀)로 자르는 것은 풀 해(解) 諒知 양지. 살펴서 앎 掠 손(扌)으로 적국 서울(京)을 노략질할 략(掠) 掠奪* 빼앗을 탈 弱X 약할 약 품(衣) 안 새(隹)를 손(寸)으로 빼앗을 탈(奪) 剝奪 칼(刂)로 새겨(彔) 벗길 박(剝) 剝製박제 剝皮박피 侵掠 사람(亻)이 비(帚)를 ..

장사 상(商),서로 상(相),상줄 상(賞),마땅 당(當),집 당(堂),손바닥 장(掌),상점商店,상품商品,상품賞品,상당相當,숭상崇尙,오히려 상尙,장악掌握

商 높은 건물(商)이 많은 곳에서 장사 상(商) 商街 사람들이 다니는(行) 쌍토(圭)는 거리 가(街) 商店* 집(广)인데 점령하려고(占점) 하는 곳은 가게 점((店) 검은(黑)색이 점령한(占) 점 점(點) 通商 통상 商權 나무(木)에 앉아 부엉이(雚)가 누리는 권세 권(權) 商業* 상업 商品* 상품 賞品 높이(尙) 기리려 재물(貝)을 주는 상줄 상(賞) 上品 상:품 商去來* 상거래 相當* 相 서로 상 當 마땅 당 높은(尙) 곳을 밭(田)으로 일굼은 마땅 당(當) 고상(高尙: 높음), 숭상(崇尙) 당연(當然: 마땅히 그러함), 타당(妥當), 온당(穩當) 上堂 上 윗 상 堂 집 당. 강단에 올라섬 높게(오히려 상尙) 땅(土) 위에 지은 집 당(堂) 掌握* 높이(尙) 들 때 손(手)에서 쓰는 곳은 손바닥 장(..

‘그러다’, ←그리하다‘그렇다’,←그러하다,‘그러고 나서’, ‘그리고 나서’,맞춤법

‘그러다’와 ‘그렇다’의 구분: ‘그러다’는 동사, ‘그렇다’는 형용사 (가) 그러다(←그리하다) - 그러고, 그러지; 그러니, 그런; 그래, 그랬다 (나) 그렇다(←그러하다) - 그렇고, 그렇지; 그러니, 그런; 그래, 그랬다 ※ ‘그러고 나서’가 맞고 ‘그리고 나서’는 ‘그리다’라는 용언이 따로 없으므로 틀림. ※ 어미의 종류 ① 자음어미: -고, -게, -지, -소, -겠-, … ② 모음어미: -아/-어, -아서/-어서, -았-/-었-, … ☞ 앞말 끝음절의 모음이 양성인가, 음성인가에 따라 교체 ③ 매개모음어미: -(으)니, -(으)면, -(으)시-, -ㄴ/-은, -ㄹ/-을, … ☞ 앞말 끝음절이 받침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으’ 있는 어미와 ‘으’ 없는 어미로 교체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