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 1139

원시공동체 사회, 선사시대, 구석기, 신석기 [고대 #02]

제 1편 선사.고대제2장 원시공동체 사회 역사시대 : 문자 [○] → 사료 중요선사시대 : 문자 [×] → 유물, 유적 중요★ ★ 암기구석기 '금굴흥'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후기 - 흥수동 달제양  ★ 암기신석기 유물 - 신갈빗가눌 이른덧신석기 유적지 - 신고수 암오동미궁 구석기신석기● 구석기 유적지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금 단양 도담리 금굴유적지 연 경기도 연천 전곡리 석 공주 석장리 검 평남 상원 검은모루동굴 최초 남한최초인골 그늘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 구석기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굴 웅기 굴포리 서포항 역 평양 역포 대현동 심 강원도 명주 심곡리 상 강원도 양구 상무룡리 승 덕천 승리산 빌 제주 빌레못 동굴 점 제천 점말동굴 ● 구석기 후기 -..

역사 학습의 목적,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 [고대 #01]

제1편 선사.고대제1장 역사 학습의 목적 ●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1. 객관적 의미의 역사2. 주관적 의미의 역사 "현재"사실로서의 역사 (事)1) 어원▪ 동양 : ‘역(歷)’ - 과거에 있었던 모든 사실, 인간이 과거에 행한 것▪ 서양 : 독일어의 Geschichte - 과거에 일어난 일, 사건2) 의미 - ‘사실로서의 역사’ = 객관적 사실, 실증주의 사관 (객관성 강조)3) 특징 – 절대성 (역사가에 의해 바뀌지 않음)4) 연구범위 - 과거의 모든 사실기록으로서의 역사 (史)1) 어원▪ 동양 : ‘사(史)’▪ 서양 : 영어 history, 그리스어 historia (탐구를 통해 획득한 지식)2) 의미▪ 조사에 의해 기록된 자료, 상대주의 사관(해석강조)= 역사적 사실(과거), 사료 (유물 유..

역사의 의미, 역사 학습 목적,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 ● 객관적 의미의 역사사실로서의 역사 (事) (1) 어원  1) 동양 : ‘역(歷)’ - 과거에 있었던 모든 사실, 인간이 과거에 행한 것  2) 서양 : 독일어의 Geschichte - 과거에 일어난 일, 사건 (2) 의미 - ‘사실로서의 역사’ = 객관적 사실, 실증주의 사관 (객관성 강조) (3) 특징 – 절대성 (역사가에 의해 바뀌지 않음) 연구범위 - 과거의 모든 사실 랑케 (L. Ranke) (1) 역사의식 “역사가는 자신을 숨기고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 주관 배제)    “역사는 실제 본래 ~ 보여준다.”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2) 실증주의 - 객관적, 역사적 사실만 묘사 이병도 – 진단학회, 조선사편수회  ● 주관적 의미의 역사..

단군 역사서,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 동국통감, 응제시주

Q   다음 단군신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면?  가. 삼국사기에는 ‘단군’이라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평양은 본디 선인 왕검이 살던 곳’이라는 설명이 있다.나. 삼국유사의 찬자인 일연은 위서와 고기를 인용하였다.다. 이규보가 지은 제왕운기에도 단군신화가 실려있다.라. 세종실록지리지, 동국통감에도 단군신화가 실려 있다.마. 단군기원은 삼국유사의 요임금 즉위 50년(기원전 2283년)을 따른 것이다.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마 ④ 라, 마 【해설】 정답 ③ (가.나). 가. 삼국사기는 삼국부터 서술한 책으로 단군신화나 고조선 건국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 다만 평양 지역을 서술하는 부분에서 ‘이곳이 선인 왕검이 살던 곳이다’라고 하여 단군에 대한 인식이 있었음은 알 수 ..

고조선, 부여, 고구려, 옥저와 동예, 삼한

● 고조선 건국1. 고조선 건국과 발전건국 : 기원전 2333년 단순왕검이 건국발전 : 요령지방(랴오닝 성 일대)를 중심으로 성장 → 한반도로 발전, 부왕 · 준왕이 등장해 왕위 세습, 관직 설치, 연(燕)과 대립위만의 집권 : 이주민 세력을 기반으로 왕위 찬탈(기원전 194년), 본격적인 철기 문화의 수용, 예·진과 한을 연결하는 중계무역으로 번성멸망 : 한 무제의 침략으로 멸망(기워전 108년) → 한군현 설치 2. 고조선 건국 이야기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한 고조선 성립의 역사적 사실 반영고조선 관련 문화 범위는 비파형 동검과 탁자식 고인돌이 공통으로 분포하는 지역과 대체로 일치한다. 3. 고조선 사회8조법 : 노동력 중시, 사유 재산 보호, 형벌과 노비 발생, 가부장적 사회한 군현 설치 이후 : ..

백제 성왕, 발해 성왕 비교 - 사비 천도, 나제동맹파기, 5부5방, 상경 용천부

백제 성왕(523~554) 6세기 중반에 집권하여 백제 후기를 장식  1. 사비 천도(538) → 국호 남부여 개칭 - 문주왕이 웅진(현 공주)으로 천도(475)한 이후, 성왕은 다시 도읍을 사비(현 부여)로 천도 - 이에 일시적으로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  2. 불교 중흥 → 일본에 노리사치계 파견 - 겸익 등의 승려를 등용하여 불교를 국가의 정신적 도태로 확립 - 일본에 노리사치계를 파견하여 불경과 불상을 전달  3. 한강 하류 회복 → 진흥왕에 상실 -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 하류 지역을 회복 - 신라 진흥왕의 배신  4. 나제 동맹 파기 → 관산성 전투 전사(554) - 진흥왕의 배신으로 120년 간의 나제 동맹은 파기  5. 5부 5방 지방 제도 정비 - 지방 제도를 5부 5방으로 정비..

거칠부(居柒夫), 국사(國史), 진흥왕

● 국사(國史) 삼국시대 신라의 제24대 왕 진흥왕 때 편찬된 역사서.『삼국사기(三國史記)』진흥왕 6년기에 의하면, 545년 추7월에 이찬(伊飡) 이사부(異斯夫)가 왕에게 아뢰기를, “국사(國史)는 군신(君臣)의 선악을 기록하여 만대에 포폄(褒貶)을 보이고자 함이니, 사기(史記)를 꾸며 두지 않으면 후대에 무엇을 보이겠습니까.”라고 건의하였다.“왕이 이를 좇아 대아찬(大阿飡) 거칠부(居柒夫) 등에게 명하여 널리 문사(文士)를 모아 수찬하게 하였다. 신라가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의 제도를 정비하고, 대외적인 발전을 하기 시작할 무렵에 국사가 편찬되었다.”고 한 것은 국가의 위신을 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라고 믿어진다.또 한편으로는, 당시 신라 중고왕통(中古王統)의 정통성을 천명하고, 나아가 유교적인 정치이상에..

삼국과 가야의 대외 교류

삼국과 가야의 대외 교류 1. 중국 및 서역과의 문화 교류고구려중국 남·북조와 모두 교류고구려 고분 벽화에 서역인 등장, 우즈베키스탄 궁전 벽화에 고구려 사신 등장백제중국 남조와 교류(무령왕릉이 중국 남조 양식임)신라고구려를 통해 간접적으로 중국 문물 수용 → 한강 진출 후 중국과 직접 교류초원길과 바다를 통해 서역과 교류 → 서역의 유리그릇·금제 장식 보검 발굴  2.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일본의 고대 아스카 문화 형성에 영향을 끼침고구려종이와 먹 제조 방법 전래, 호류 사 벽화, 다카마쓰 고분 벽화백제한자와 유학 전래, 불교 전파, 박사가 건너가 일본의 과학기술·건축을 도와줌신라배 제조 기술, 제방 쌓는 기술 전래가야토기 제작 기술 전래 → 일본 스에키 토기에 영향 줌 삼국은 중국의 문화를..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박정희 정부

경제 개발 계획구분특징성과제1∙2차 경제 개발5개년 계획(1960년대)외국 차관과 값싼 노동력 결합 → 경공업 육성, 수출 중심베트남 특수에 힘입어 고도성장경부 고속 국도 개통(1970)1960년대 말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위기제3∙4차 경제 개발5개년 계획(1970년대)수출 주도형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전환 → 포항∙광양 제철소, 울산∙거제 조선소 건설중화학 공업 생산액이 경공업 생산액보다 증가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률은 어떻게 변화→ 경제 개발 계획이 진행되는 동안 대한민국의 경제는 해마다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여 왔다. 두 차례 정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기도 했는데, 1980년의 마이너스 성장은 1970년대 말 제2차 석유 파동과 중화학 공업에 대한 과잉 투자,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인한 경제 위기..

문명개화론 VS 동도서기론

● 문명개화론 VS 동도서기론 급진 개화파와 온건 개화파의 '개화'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달랐다. 급진 개화파는 문명개화론을 기반으로 조선이 야만의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개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반면, 민씨를 중심으로 한 온건개화파는 조선도 이미 개화된 나라라고 보았다. 이때의 개화는 문명개화와 달리 유교에 의해 교화되었다는 의미의 개화였다. 따라서 온건 개화파는 급진 개화파의 전면적인 개화 주장에 의문을 제기 하였다.이들은 동양의 유교 도덕같은 정신은 유지하고, 다만 서양의 기술 문명을 수용함으로써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다는 동도서기론에 기반하여 개화 정책을 추구해 나갔다. ●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 조선 말 개화기에 일부 개화론자들이 동양의 정신[道]을 근간으로 하고, 서양의 기술[器]을 ..

조선책략(朝鮮策略)

조선책략(朝鮮策略) 청나라 황준헌이 개항기 한국이 당면한 국제적 지위를 논하고 그 대외책을 시사한 역사서 원명은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 1책. 1880년(고종 17)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 초명은 宏集)에 의해서 당시 청국 주일공사관 참찬관(參贊官)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을 기증받아 귀국해 고종(高宗)에게 복명과 동시에 바쳤다. 이 책략의 내용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방아책(防俄策)의 방법으로서 친중국(親中國)과 결일본(結日本)·연미국(聯美國)함으로써 자강책을 도모하라는 것이다. 특히 러시아의 남침을 방어하기 위해서 연미국수교론(聯美國修交論)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미국은 강대(强大)·공명(公明)·정의(正義)의 나라로 조선에 대해서 이를 얻을 욕심..

홍범 14조, 갑오개혁 2차

​● 홍범14조 - 홍병일(은) 자아(가) 분리 유인 홍 홍범14조 병 징병제 일 1차 개혁 재확인 자 자주독립 아 탁지아문관활 분리 궁내부-의정부 분리 유 유학생파견 인 인재등용  1895년 1월 7일(음력 1894년 12월 13일), 고종은 홍범 14조를 반포해 청의 종주권을 부인하고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다.1894년 일본은 청·일 전쟁을 일으키고 조선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갑오개혁을 추진하였다. 청·일 전쟁에서 일본의 승리가 확실해지자 일본은 조선의 정치 개혁에 더 깊이 관여하여 개화당인 김홍집을 수반으로 친일 내각을 조직하여 내정 개혁을 단행하였다. 내각은 정치, 사회, 경제 등의 개혁을 담은 홍범 14조를 제정하였다.일본공사 이노우에는 고종이 친히 종묘에서 ‘홍범 14조’를 선포하도..

동학 농민 운동, 폐정 개혁안 12개조, 두문자, 기출

동학 두문자 암기● 동학농민운동-고백 장황전 고집 공주 고 고부민란 백 백산봉기 장 장성군 황룡촌 황 황토현 전 전주화약 고(교) 교정청 집 집강소 공주 공주우금치 1862 임술농민봉기 1863 대원군집권 찬밥유생 1864 동학농민운동 동학요사 ● 농민층의 동요와 동학의 성장1. 개항 이후 농촌 사회의 동요정치 기강의 문란, 농민층의 부담 증가, 일본의 경제적 침투2. 동학의 성장과 교조 신원 운동교세 확장:삼남 지방의 농민들 사이에 급속히 확산, 최시형의 교단 조직 정비교조 신원 운동:삼례 집회(1892, 교조 신원과 동학 탄압 중지 요구) → 서울 복합 상소(1893, 교조 신원 상소) → 보은 집회(1893, 척왜양창의를 내세움 → 농민 운동으로 발전) ● 동학 농민 운동1. 고부 농민 봉기고부 군..

의열단, 한인애국단 비교 암기- 의열단, 한인애국단

의열단, 한인애국단 연대 암기지진틈새 암태이상 조선혁명드세 1923창조개조파 이상대립 1923형평이상 물산이상 1923광수뜨네 1924카프리오 치안이다 미쓰리오 편수회들다 신민부들다1925님아리 이유 정우들려 육십이여 1926신간이지 1927공황이군 파업이군 광주리군 문자두근 1929-민족말살통치기한국독립당 청구 성장 1930어학세일 만보기세일 만주쌈한 애국선원 브나세원 1931농촌쌀이 봉봉삶니 한중상이 1932한글세상 1933진단서내 농지삼네 1934상록수 심오 민족혁명 굳쎄다 1945한국쌀로 1935조광살려 손기살려 1936 1. 의열단     (1) 활동 방침         -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1923, 김원봉의 요청을 받아들여 의열단 선언문으로 작성함)         ..

동학농민운동, 12개조 폐정개혁안

● 동학농민운동 제1기 ; 고부민란 시기 제2기 : 황토현 전투(절정기) 제3기 : 집강소 설치 시기 제4기 : 공주 우금치 전투(남접+북접)  ● 12개조 폐정개혁안① 동학도는 정부와의 원한을 씻고 서정에 협력한다.② 탐관오리는 그 죄상을 조사하여 엄징한다.③ 횡포한 부호를 엄징한다.④ 불량한 유림과 양반의 무리를 징벌한다.⑤ 노비문서를 소각한다.⑥ 7종의 천인차별을 개선하고 백정이 쓰는 평량갓을 없앤다. ⑦ 청상과부의 개가를 허용한다. ⑧ 무명의 잡세는 일체 폐지한다.⑨ 관리 채용에는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한다.⑩ 공사채를 물론하고 기왕의 것은 무효로 한다.⑪ 왜와 통하는 자는 엄징한다.⑫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한다. ● 동학농민혁명 성격과 특징 참 가인 물활 동성 격 1차 봉기 남접 전봉준 김개..

근우회, 신간회

Q  (가) 단체로 옳은 것은? (가) 발기취지(發起趣旨)인간 사회는 많은 불합리를 산출한 동시에 그 해결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다. 여성 문제는 그 중의 하나이다. …… 과거의 조선 여성운동은 분산되어 있었다. 그것에는 통일된 조직이 없었고 통일된 지도 정신도 없었고 통일된 항쟁이 없었다. …… 우리는 우선 조선 자매 전체의 역량을 공고히 단결하여 운동을 전반적으로 전개하지 아니하면 아니 된다.-『동아일보』, 1927. 5. 11. - ① 근우회② 신간회③ 신민회④ 정우회 【해설】 정답 ①제시문의 (가)는 신간회의 자매단체로 조직되어 신간회와 함께 여성 차별 반대 운동 등을 전개한 근우회(김활란 등, 1927.5.)② 신간회(1927.2.)는 비타협적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연합한 일제 강점기 최대 규모..

화폐정리사업, 국채보상운동, 두문자, 러일전쟁, 1차한일협약, 메가타 고문, 차관, 부등가

연도 암기레일공사 의정공사 시설공사 보안공사 1904가영포을 한국영혼  1905헌정열다 화폐재료 시일장담경부선 공단서 1905경의선 공유 1906통감 열려 1906정미7 경칠 1907한국공치 국채골치 1907신민골치 신문골치 1907오산꼴찌 헤이그 공쳐 1907진공장판 1908스티븐스 동양첫 공판 1908이토짱나 기류연구 자혜혜영구 1909 두문자 암기 [국권침탈 과정] 한일 의정서(1904 의정공사, 군사시설 이용권 규정)➜한일 협정서(1차 한일 협약, 고문정치)➜을사조약(2차 한일 협약, 외교권 박탈, 통감정치)➜정미7조약(한일 신협약, 차관정치)➜기유각서 러일전쟁(1904~1905)~고문정치, 용암포사건, 포츠머드 조약 체결(1905, 한국에 대한 일본의 우월권 인정) 1차 한일 협약(1904)~고..

백두산 정계비, 간도 협약, 토문강

간도 1. 19세기 후반 이후우리 민족의 본격적인 간도 개척 → 청과 간도 귀속 문제 발생 → 백두산 정계비의 해석을 둘러싼 조·청 사이의 영토 분쟁 발생2. 대한 제국기간도 관리사 이범윤 파견(1902) → 간도를 함경도 행정 구역으로 편입3. 간도 협약(1909)일본이 만주에서 안봉선 철도 부설권과 광산 채굴권 등을 얻는 조건으로 청의 간도 영유권 인정 간도 협약 체결제1조 일∙청 두 나라는 토문강을 청국과 한국의 국경선으로 하고 강 원천지에 있는 정계비를 기점으로 하여 석을수(石乙水)를 두 나라 경계로 한다.제2조 청 정부는 이전과 같이 토문강 이북의 개간지에 한국 국민이 거주하는 것을 승인한다. 그 지역의 경계는 별도로 표시한다.제5조 토문강 이북의 한국인과 청나라 사람들이 함께 사는 구역 안에 ..

개화파 분화, 통상개화파, 영선사, 동도서기, 북학파, 조사시찰단, 통리기무아문

개화 두문자 암기 ●  통상개화파 - 박오유 박규수, 오경석, 유흥기●  개화 - 통항화통상(1860) - 개항(70) - 개화 (80)   개화사상의 형성1. 형성 배경국내북학파의 실학사상은 초기의 개화사상인 통상 개화론으로 발전국외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메이지 유신의 영향2. 개화사상의 선구자박규수, 오경석(역관), 유홍기(의관) 등이 통상 개화론 주장 → 개화파 형성에 영향위정척사파 대립북학파의 실학사상을 계승한 개화파는 중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메이지 유신의 영향을 받음  개화파의 형성과 분화1. 개화파의 형성박규수, 유홍기 등은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 김윤식 등에게 새로운 사상 전파 → 개항을 전후하여 개화파라는 정치 세력 형성2. 개화파의 성장1880년대 본격적으로 정계 진출 → 정부의 대..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 두문자 암기, 혁신의회, 호로군, 국민부, 의용군

●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 "한혁지호 대쌍사" "조국양의 영흥' 소속대장연합부대전투한국독립군혁신의회지청천호로군대전자령, 쌍성보, 사도하자조선혁명군국민부양세봉의용군영릉가, 흥경성  ● 한국독립군(한국독립당 1930. 7)▪지청천/홍진 등▪북만주▪3부에서 나눠진 혁신의회 기반 한국독립당 조직, 예하에 한국독립군 편성▪중국 호로군과 연합 작전- 쌍성보 전투(1932), 경박호 전투(1933), 사도하자 전투(1933), 동경성 전투(1933), 대전자령 전투(1933)에서 일만 연합군 격파▪이후 난징 한국혁명당과 통합 신한독립당 ● 조선혁명군(조선혁명당, 1929. 12)▪양세봉▪3부에서 나눠진 국민부를 기반으로 남만주에서 조선혁명당이 조직, 예하에 조선혁명군▪중국 의용군과 연합 국내 진입 작전 전개▪영릉가 ..

의열 투쟁의 전개 - 의열단, 한인 애국단

● 의열단 1. 조직(1919)김원봉, 윤세주 등이 만주 지린 성에서 조직2. 목표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을 지침으로 채택 → 개인 폭력 투쟁을 통한 독립 쟁취신채호 '조선 혁명 선언'우리는 '외교', '준비'등의 미몽(迷夢)을 버리고 민중 직접 혁명의 수단을 취함을 선언하노라. ……강도 일본을 쫓아내려면 오직 혁명으로만 가능하며, 혁명이 아니고는 강도 일본을 쫓아낼 방법이 없는 바이다. …… 우리의 민중을 깨우쳐 강도의 통치를 타도하고 우리 민족의 신생명을 개척하자면 양병 10만이 폭탄을 한번 던진 것만 못하며, 천억장의 신문, 잡지가 한번의 폭동만 못할지니라. …… 민중은 우리 혁명의 대본영(大本營)이다. 폭력은 우리 혁명의 유일한 무기이다. 우리는 민중 속으로 가서 민중과 손을 맞잡아 끊임없는 ..

고려 몽고와의 전쟁

고려와 몽고의 접촉 1. 13세기 초 동북아시아의 정세   (1) 몽고 : 징기스칸 1206년 몽고제국 건설 - 금에 압력   (2) 거란 : 금에 약화에 자극 - 요하 상류에 대요수국 건설   (3) 금의 장수 포선만노 : 두만강 유역 - 동진국 2. 거란의 침입과 강동(평양의 동쪽)의 역   (1) 1차 침입 : 제천방면에서 김취려가 격퇴   (2) 2차 침입(1219년 강동의 역) : 고려, 몽고, 동진국이 연합 격퇴 - 결과는 거란인의 집단 거주지인 거란장의 발생과 여 ∙ 몽 협약 체결(이에 따른 무리한 조공문제가 발생하였다)  몽고와의 전쟁 1. 배경 : 넓게는 몽고의 세계정복전의 일환으로 좁게는 동아시아에 대한 지배권 확보책의 하나로 이루어졌다 - 발단 은 고종 12년 고려에 온 몽고 사신 저..

최승로 시무 28조 - 고려 성종 유교 정책

●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 한국은행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최승로시무28조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고려 성종 정책유교의 정치 원리를 바탕으로 고려의 상황에 맞는 정치 제도를 만들었음나랏일은 관리들의 충분한 의논을 거친 뒤 왕의 허락을 받아 이루어졌음왕 역시 외교나 군사, 관리 임명 등을 처리할 때 관리들의 생각을 물어 나라의 일을 같이 하였음 최승로 시무 28조1. 최승로경주 출신의 유학자로, 12세 때 태조 앞에서 를 읽고 칭찬받았을 정도로 천재성을 보였다고 함2. 시무 28조의 주요..

전시과, 고려 토지제도 두문자 암기

전시과, 고려 토지제도 두문자 암기암기 : '성시경 개목걸이 김경문꺼' ★ 고려 역시개경 시경개목경문 순서 : 녹읍⇨역분⇨시전⇨개전⇨경전⇨과전⇨직전⇨관수관급 ★ 조선 과직관직폐지고려 토지제도 : 전시과 전시과 국유,수조권,세습불가,녹봉 *녹읍,식읍-건국초 *역분전-태조 개국공신,경기도 *시정전시과-경종 전현직,인품,최초  전국, 군인전시과,4색 공복 *개정전시과-목종 전현직,관직18품,한외과, *경정전시과(공음전시과)-문종 현직,공음전,한인전,별사전 *녹과전-원종 무신정변  전시과 붕괴,현직,미봉책 조선 토지제도 : 과전법 *과전법-공양왕 18품,전현직,신진사대부 수신전,휼양전  세습 *직전법-세조 현직,수신전,휼양전  폐지 *관수관급제-성종 국가가  수조권 대행 직전법도  존재 *직전법 폐지-명종  고..

대장경, 활자, 제1차 대장경(=초조대장경), 속장경, 제2차 대장경(=8만대장경=재조대장경), 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

● 고려 대장경 "초란 속의 팔고"▪제1차 대장경(초조대장경)부인사에서 조판, 거란 대비, 몽고 침입 때 소실▪속장경(신편제종교장총록=교장)흥왕사 조판, 의천이 송·요·일 등에서 수집, 선종 내용 무, 몽고 3차 침입때 소실, 송광사에 일부 전함▪제2차 대장경(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몽고 침입시 최우가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조판, 선원사에 보관→조선초기에 해인사로 이전, 국보로 해인사 장경각 보존  ● 금속활자  "직접본 직지, 상상속 상정"▪금속활자 - 상정고금예문전하지 않는 세계최고 금속활자 본▪금속활자 - 직지심체요절현전하는 세계최고 금속활자 본(청주 ‘흥덕사’,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금속활자 순서대로 1234 상정고금예문▪칠칠(직지)심체요절 1377 직지심체요절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조선..

팔관회, 훈요10조, 시무28조, 팔관회에 대한 입장

팔관회에 대한 입장훈요10조 : 긍정시무28조 : 부정팔관회(八關會)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외국 상인에게 무역의 장이 되기도 하였다.《중아함경(中阿含經)》 제55권 에 나오는 팔관법(八關法)에 의거한 불교 법회로 신라 진흥왕 12년[1][2](551년)에 팔관지법(八關之法)을 둔 것이 처음이다.[2] 그 후 전사한 병사들을 위하여 외사(外寺)에서 열린 때도 있듯이 처음에는 각 사원을 중심으로 개설되었지만 고려 때에는 국가 행사로 바뀌었다.고려 태조 때 중요성이 강조되어 성종(成宗) 때를 제외하고는 연등회와 함께 국가의 2대 의식의 하나가 되었다팔관회는 음력 11월 15일과 음력 10월에 개경과 서경에서만 행했는데, 불교적인 색채는 거의 띠지 않았고, 천령(天靈) · 5악(五..

농서, 고려말, 조선초, 조선후, 농상집요,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농가집성, 색경, 산림경제, 과농소초, 임원경제지, 농정촬요

농서 고려말 농상집요 이암(소개): 독자성× 조선초 농사직설 정초: 직파법 권장. 조선후 농가집성 신속: 이앙법 소개. ㆍ조선전기: 농사직설(세종, 정초, 현존최고의 농서로서 우리실정에 맞게 수록, 직파법권장) 사시찬요(세조, 강희맹, 계절에 따른 토지관리 및 파종법), 금양잡록(성종, 강희맹, 경기도 농민들의 경험토대) 구황촬요(기근에 대비한 농업서적, 도토리, 나무껍질을 먹는 방법제시)ㆍ조선중기: 농가집성(신속, 모내기법에 공헌, 조선전기의 농서를 집대성), 색경(숙종, 박세당, 중농학자 농서)ㆍ조선후기: 산림경제(숙종,홍만선,중상학자),과농소초(정조,박지원,농업기술과 농업정책을 논하고,한전법을 제시) 임원경제지(서유구, 농업기술과 산업전반에 관한 백과사전) 농서 두문자 - 농상집요, 농사직설, ..

조선 후기 이앙법, 도조법, 광작, 조선 후기 농업 변화, 두문자 암기

기출 문제 정답 : 4조선 전기에는 밭의 이랑에 파종하는 농종법 유행조선 후기에는 밭의 고랑에 파종하는 견종법 유행 조선 후기 농업 변화 두문자 암기 농법 : "심윤시 이농직 광견"고려말 (심윤시): 심경법, 윤작법, 시비법  ⇨ 이앙법 발달→이모작가능조선초 (이농직): 이앙법, 밭농사 농종법(이랑),직파법 ⇨ 우경의 보편화, 볏을 가진 쟁기 사용조선후(광견): 광작, 밭농사 견종법(고랑) ⇨ 소요 노동력 감소로 廣作의 보급  이앙법(移秧法)移 옮길 이 禾(벼 화) 多(많을 다) 禾벼 수확을 多늘이다.  조선후기 이앙법 변화이모작 가능(벼, 보리)도조법 : 능력 자유 광작 - 생산력 향상농민층 분화 : 평민지주, 빈농 유민화, 소작농 잔반정부 금지(가뭄 취약) : 농민 저항(저수지, 보 축조)   도조법..

조선 통치 제도, 조선 중앙 정치 제도, 조선 지방 행정 제도, 군사 및 통신 제도

조선의 중앙 정치 제도 의정부최고 통치 기구, 3정승의 합의로 주요 정책 결정6조의정부 아래에서 행정 실무 담당삼사국왕과 관리의 견제 담당, 권력의 독점과 부정을 방지사헌부: 관리의 비리 감찰사간원: 왕이 바른 정치를 하도록 일깨움홍문관: 왕의 정치 자문, 경연 주관, 중요 문서 작성 담당왕권 강화 기구승정원(왕의 비서 기관, 왕명 출납 담당), 의금부(국왕 직속 사법 기구, 국가의 큰 죄인을 다스림)기타춘추관(역사 편찬), 한성부(서울 행정 담당), 내수사(왕실의 재산과 토지를 관리) 조선의 지방 행정 제도 1. 지방 행정 조직▶ 8도 아래 부·목·군·현 등을 두었음고려의 기존 군·현 통합, 고려의 향·부곡·소를 일반 군·현으로 승격모든 군·현에 수령 파견(중앙 집권 체제 강화) 2. 지방관의 파견관찰..

조선 종교, 조선시대 불교

● 조선 종교, 불교태조~억불, 도첩제, 무학(한양천도의 주역) 태종~억불, 철저한 억불책, 도첩제 강화 세종~불교종파 정리, 사원전·노비제한, 궁중 내불당 짓고 신봉, 기화 세조~불교숭상, 원각사 건립, 신미(간경도감에서 불경간행) 성종~불교 억압, 출가 금지시킴 [심화]● 조선시대 불교 1. 조선 전기의 불교정책 종단의 통폐합과 승려 환속정책 조선 왕조는 개창 이래 불교에 대한 배척과 숭유를 명분으로 하였다. 조선 왕조의 개창을 주도하였던 정도전은 『불씨잡변 (佛氏雜辨)』을 통해 불교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폐단을 지적하며 불교의 혁파를 강력히 요구하였다. 정도전의 불교 비판 은 고려 말 이래의 배불론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불교교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에 기반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러한 공 격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