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 1125

고려 몽고와의 전쟁

고려와 몽고의 접촉 1. 13세기 초 동북아시아의 정세 (1) 몽고 : 징기스칸 1206년 몽고제국 건설 - 금에 압력 (2) 거란 : 금에 약화에 자극 - 요하 상류에 대요수국 건설 (3) 금의 장수 포선만노 : 두만강 유역 - 동진국 2. 거란의 침입과 강동(평양의 동쪽)의 역 (1) 1차 침입 : 제천방면에서 김취려가 격퇴 (2) 2차 침입(1219년 강동의 역) : 고려, 몽고, 동진국이 연합 격퇴 - 결과는 거란인의 집단 거주지인 거란장의 발생과 여 ∙ 몽 협약 체결(이에 따른 무리한 조공문제가 발생하였다) 몽고와의 전쟁 1. 배경 : 넓게는 몽고의 세계정복전의 일환으로 좁게는 동아시아에 대한 지배권 확보책의 하나로 이루어졌다 - 발단 은 고종 12년 고려에 온 몽고 사신 저고여가 과도한 공물을..

고려 대외 관계,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 거란의 침입과 격퇴, 여진정벌과 동북9성

고려 대외 관계의 변천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 1. 국제 정세의 변동 (1) 중국 : 5대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 10국의 분열 시대 ① 후백제 : 거란, 오월, 일본과 연결 ② 고려 ㉠ 태조 : 후량, 후당, 후진과 연결, 후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나주(금성)를 점령 ㉡ 혜종 : 후진과 연결 ㉢ 정종 : 후한 ㉣ 광종 : 후주, 송 (2) 거란의 성장 : 916년 거란의 건국 → 918년 고려 건국 → 926년에 발해를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동단국(東丹國)을 세웠다 → 936년 거란은 후진의 건국을 후원하고 연운 16주를 획득하였다 → 946년 국호를 요로 고쳤다 → 986년 압록강 유역의 정안국을 멸망시켰다. (3) 송의 건국(960, 고려 광종)과 통일(979, 고려 경종) : 연운 ..

최씨 무신정권, 최충헌의 집권

최씨 무신정권 1. 최충헌의 집권 (1) 재추회의 활성화와 교정도감의 설치를 통해 중방을 약화시켰고 선종계통인 조계종을 후원 (2) 시무 10조(봉사10조) : 최충헌이 명종에게 올린 건의안으로 집권 직후에 정치적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되는 것을 왕에게 건의한 것이다. 기만적, 형식적이고 자기모순에 빠져 실시되지는 못하였다. 그 의도는 권력 장악을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당시 고려 사회의 당면 과제를 적절히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권을 확고하게 장악한 뒤에는 그 자신이 잘못되었다고 한 짓을 오히려 거리낌 없이 자행하였다. * 최충헌은 정권을 잡자 무신정권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하여 봉사 10조와 같은 사회개혁 책을 제시하는 한편, 농민항쟁의 진압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사회개혁..

대장경, 금속활자, 두문자, 초조대장경, 속장경, 8만대장경, [고려 #17], 재조대장경, 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

● 기출 내용 ▪대장경이란 경(經) ․ 율(律) ․ 논(論) 삼장으로 구성된 불교 경전을 말한다. ▪고려는 거란과 몽골의 침입 격퇴하기 위한 호국적 염원에서 초조대장경과 재조대장경을 조판하였다. ▪초조대장경의 제작은 거란의 침입을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초조대장경과 속장경은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의천은 송과 요(거란족)의 대장경 주석서를 모아 속장경(교장)을 편찬하였다. ▪최우 집권 시 강화도에 대장도감, 진주에 분사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6년 만에 재조대장경을 완성하였다. ▪몽골 3차 침입 때 대장도감을 설치하고 팔만대장경 조판을 시작하였다. ▪팔만대장경은 몽골 침입을 불력의 힘에 의해 격퇴하기 위한 염원에서 강화도 천도 시기 최우 때 조판하였다. ▪몽골 침략으로 소실된 초조대장경을 대신하여 ..

잡스 한국사 2023.11.18

흥화진전투, 양규, 강감찬, 강동6주, 거란침입

고려 전기 거란침입 때 흥화진(興化鎭, 평안북도 의주)에서 벌어진 전투. 흥화진은 서희(徐熙)가 거란과 담판하여 강동6주(江東六州)를 확보한 이후, 995년(성종 14) 구축한 압록강 방면의 요충지이다. 거란은 흥화진을 선점하기 위해 고려 현종대에 수 차례에 걸쳐 침입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1010년(현종 1), 1017년(현종 8), 1018년(현종 9)에 전투가 벌어졌다. 경과 및 결과 1010년(현종 1) 거란 제2차 침입 당시 거란의 성종(聖宗)이 40만 대군으로 직접 고려에 침입하였다. 같은 해 11월 거란군이 압록강을 건너 흥화진을 포위하고 고려의 항복을 종용하면서 전투는 11월 17일부터 23일까지 1주일 간 전개되었다. 흥화진에는 순검사(巡檢使) 양규(楊規)가 거란의 압박에 조금도 굴하지 ..

삼국의 전성기- 4세기 백제, 5세기 고구려, 6세기 신라

삼국의 전성기 ● 4세기 백제 ▶ 근초고왕|재위 346~375 북쪽으로 고구려를 공격하여 황해도 일부를 차지하였으며, 남쪽으로는 마한 세력을 정복하여 영토를 남해안까지 넓힘 바다 건너 중국의 요서·산둥 지방에 진출, 왜와 활발한 교류를 함. 왜와의 교류 사실은 칠지도를 통해서 알 수 있음 ● 5세기 고구려 ▶ 광개토대왕|재위 391~413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을 점령함 왜군이 신라를 침략하자 신라를 도와 왜군을 물리침 요동 지역과 만주 지역까지 진출하여 영토를 크게 넓혔음 ▶ 장수왕|재위 413~491 도읍을 평양성으로 옮기고 한강 남쪽을 차지하여 신라와 백제를 위협하였음 광개토 대왕릉비와 충주 고구려비를 건립 ● 6세기 신라 ▶ 진흥왕|재위 540~576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만들어 인재를 ..

정조 업적 두문자 - 서얼, 초계문신제, 규장각, 거중기, 상언, 융릉, 건릉, 화성축조, 장용영, 대유둔전, 만석거, 만년제, 행궁 건설, 수령 향약 주관, 공안장 폐지

● 탕평 정치 정조 - 서초구 거상 윤건 화장대 만행 수공! 서 서얼출신 검사관 등용 초 초계문신제 규장각 문신 교육 연구 신진인물 구(규) 규장각설치 정치기구화 거 거중기 상 상언.격쟁 기회 上言 擊錚 소원제도 윤(융) 융릉 사조세지 합장릉 건 건릉 정조 합장릉 화 화성축조 장 장용영壯勇營육성 친위부대 대 대유둔전 만 만석거, 만년제 행 행궁건설 수 수령 군현단위 향약 주관 ; 사림견재 공 공장안 폐지, 신해통공(노론 정치자금 금난전권 봉쇄, 소상공인 육성) Q 다음 정책을 시행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국왕의 호위를 전담하기 위해 군대를 새로 설치하였다. 그 군대의 규모를 계속 확대하여 도성을 중심으로 한 내영과 화성을 중심으로 한 외영으로 정비하였다. ◦ 창덕궁 후원에 왕실 도서관을 세..

조선 전기, 후기, 과학기술,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규형, 칠정산내외편, 곤여만국전도, 진도, 병장도설, 동국병감

과학기술 ㆍ조선전기 -과학기구: 앙부일구(해시계, 세종), 자격루(물시계, 세종), 측우기(강우량측정, 세계최초, 세종), 규형(인지의; 양전, 지도제작에 이용, 세조), 천체관측(혼천의, 간의) 무기: 거북선(태종(귀선)), 비거도선, 화포, 화차, 비격진천뢰. 역법: 달력- 칠정산내외편 작성(독자성) 병서: 진도(태조, 정도전이 지음), 병장도설(세종, 그림으로 설명한 군사훈련 지침서),동국병감(문종) ㆍ조선후기 - 서양문물: ; 세계지도, 진취적 세계관. 천문학: 지전설(김석문, 홍대용, 이익, 정약용), 지봉유설(이수광, 백과사전, 일식.월식.조수. 설명) ⇒ 중국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하는데 영향을 줌.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

정도전 저서, 경제문감, 경제육전, 고려국사, 조선경국전, 불씨잡변, 심기리편, 세종대왕 서적, 삼강행실도, 농사직설, 사시찬요, 고려사, 의방유취, 칠정산내외편, 팔도지리지,향약집성방,용..

개인 저서 ㆍ정도전: 삼봉집, 진법서, 경제문감, 경제육전, 고려국사, 조선경국전(왕조의 기틀마련), (암기 : 삼진경고불조심!) [불씨잡변, 심기리편 - 불교배척 및 도교비판] ㆍ세종대왕 때 간행된 서적: 삼강행실도, 농사직설, 사시찬요, 고려사, 의방유취, 칠정산내외편, 팔도지리지, 향약집성방,용비어천가,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암기법: 삼사고유칠팔)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

조선 세조, 치적, 두문자 암기, 보법, 육전상정소, 경국대전, 원각사지10층 석탑, 간경도감, 유향소폐지, 경국대전, 이시애의 난

'세조(수양대군)는 잔인했지만 왕권강화, 국방강화 업적' ● 세조 - 보육원 간 유경이 집세 진(짜) 오직 6(원)? 보 보법(정군1 보인2) 육 육전상정소六典詳定所 설치 경국대전 원 원각사지10층 석탑 간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불교경전) 유 유향소폐지 경 경국대전 이 이시애의 난 집 집현전, 경연폐지 세 세조 진 진관체제 오 오가작통법 직 직전법 (현직 수조권)

조선 후기 이앙법, 도조법, 광작, 조선 후기 농업 변화, 두문자 암기

기출 문제 정답 : 4 조선 전기에는 밭의 이랑에 파종하는 농종법 유행 조선 후기에는 밭의 고랑에 파종하는 견종법 유행 조선 후기 농업 변화 두문자 암기 농법 : "심윤시 이농직 광견" 고려말 (심윤시): 심경법, 윤작법, 시비법 ⇨ 이앙법 발달→이모작가능 조선초 (이농직): 이앙법, 밭농사 농종법(이랑),직파법 ⇨ 우경의 보편화, 볏을 가진 쟁기 사용 조선후(광견): 광작, 밭농사 견종법(고랑) ⇨ 소요 노동력 감소로 廣作의 보급 이앙법(移秧法) 移 옮길 이 禾(벼 화) 多(많을 다) 禾벼 수확을 多늘이다. 조선후기 이앙법 변화 이모작 가능(벼, 보리) 도조법 : 능력 자유 광작 - 생산력 향상 농민층 분화 : 평민지주, 빈농 유민화, 소작농 잔반 정부 금지(가뭄 취약) : 농민 저항(저수지, 보 축조..

조선 후기 상업, 두문자 암기

조선 후기 상업 두문자 ● 조선상업사- '지방 한선경(이) 대만주(를 먹고) 개인방송(을 해서) 동대상(탔다)' 지방 지방대상인 장시 한 한강 중심 선 선상=경상 경 경강상인-객주 대 대청對淸 만 만상灣商 주 의주 신의주 개 개성 인 인삼재배 방 송방 송 송상 동 동래 대 대일 상 내상 사상의 활발한 활동 1. 상업 발전의 배경 - 18세기를 전후하여 농업생산력이 증대되고 수공업 생산이 활발해지면서 상품의 유통이 활성화되었다. - 대동법과 널리 확산된 부세 및 소작료의 금납화는 상품화폐경제의 진전을 촉진시켰다. - 조선 후기에는 인구의 자연 증가 및 농민의 계층 분화가 심화되었고,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고 그들이 상업 인구 또는 소비 인구가 되면서 상품의 유통이 매우 활발해졌다. 2. 6의전을 제외..

조선 문화 구분, 과학 기술 두문자

조선 문화 구분, 과학 기술 두문자 조선 문화사 구분 ○ 15세기 - 관학파(훈구파), 자주적, 실용학문, 과학기술 발달 ○ 16세기 - 사림파, 중화사상, 성리학(이황,이이), 과학 침체 연도암기 고려멸망 청산구리 1392 한양천 참새구려 1396 세종대왕 천사네유 1446 임신한 인어한둘 1512 임란이다 철옷구리 1592 이괄괄 일류투사 1624 두문자 암기 ● 세종-'조공왕 갑칠 내집 혼자 농삼향의 총여정 앙측' 조 조선통보 공 공법 왕 왕도정치 갑 갑인자 칠 칠정산 七政算 최초역법 일식예측 내 내불당(왕실안 절) 집 집현전 혼 혼천의 간의 자 자격루 自擊漏 농 농사직설 삼 삼강행실도 향 향약집성방 의 의방유취 총 총통등록(무기제작 사용법) 여 여민락 정 정간보(與民樂 동양최초 유량악보) 앙 앙부..

임진왜란, 병자호란, 주전론, 주화론

임진왜란 1. 임진왜란 직전 상황 3포 왜란, 을묘왜변 발생 → 비변사 설치, 일본에 사신을 보내 정세 파악 2. 임진왜란의 발발 일본의 침략 → 선조의 의주 피난, 명에 원군 요청 3. 수군과 의병의 승리 수군 : 이순신이 남해 제해권 장악 → 전라도 곡창 지대 보호, 왜군의 침략 작전 좌절 의병 : 농민이 주축, 향토 지리에 맞는 전술 활용 → 왜군은 육군이 북상함에 따라 수군이 남해와 황해를 돌아 물자를 조달하면서 육군과 합세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순신이 이끈 수군의 승리로 왜군의 침략 작전은 좌절되었으며, 곡창 지대인 전라도 지방을 지킬 수 있었다. 의병은 향토 지리에 밝은 이점을 이용하여 적은 병력으로도 왜군에게 타격을 주었다. 이로써 전란이 장기화되어 관군이 반격할 기회를 주었음 4. 전란의 ..

공무원 한국사 테마 분류사-조선 04

● 임진왜란 1. 전쟁의 발발 - 1592년 표면적(정명가도)ㆍ실질적(통일직후 제후들 불만분산), 1593년 조명연합작전 2. 의병조직: 전직관리, 유학자(사림), 승려 (유격전술) * 정문부 승전기념 북관대첩비: 함경도 의병장 곽재우(의령, 홍의장군, 최초의병장), 정인홍(합천), 조헌(충청도), 고경명, 김천일, 홍언수, 홍수남, 정문부, 김덕령(모반 누명), 김면(부자 군자금 전재산 다 털어서 모집), 임중량, 서산대사, 사명당, 영규, 처영 관군 유성룡(평양탈환), 권율(행주대첩), 신립(충주, 탄금대 대패), 이일(상주), 김시민(진주혈전+곽재우), 이순신 3. 수군의 활약(이순신) [ 옥 사 한 부 명 노 ] 1) 옥포해전(거제도, 최초승리) → 사천해전(최초거북선) → 한산도대첩(유인해서 학..

삼국사기, 삼국유사 비교 - 기전체, 편년체, 기사본말체

● 삼국사기 삼국유사 삼국사기 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총50권), 현존 최고 사서,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삼국유사 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총5권),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수,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기전체(본기·세가·지·열전등으로 구분) 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지~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년·월·일 등의 사실을 편술) 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

최치원 시무10조, 훈요10조, 최승로 시무28조, 최충헌 봉사10조

최치원 시무10조 - 신라 하대 - 당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 6두품 최치원, 진성여왕 - ​원문이 정확히 전하지는 않지만, 당시 신라의 폐쇄적 골품제를 비판하고, 과거제 실시와 유교 정치 이념을 수용할 것을 주장 - 당시 최치원을 포함한 여러 6두품들과 선종 승려들이 결탁하여 신라의 체제와 모순들을 비판 - 하지만 시무 10조는 진골 귀족들의 반발로 무산 왕건 훈요10조 - 고려 초기 - 태조 왕건, 박술희,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정책 방향을 제시 - 숭불 정책의 일환으로 연등회와 팔관회를 장려 - 전진 기지로서 서경을 중시하고, 대 거란 강경책을 펴는 등 북진 정책을 강조 - 또한 서경과 차현 이남 공주강 밖을 지적하며 풍수지리 사상을 강조 - 백성의 마음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등의 민생 안정책을 제..

권문세족, 신진 사대부, 신흥 무인 세력

권문세족의 등장 1. 등장 배경 ▶ 원과의 관계를 배경으로 한 세력이 새로운 지배층으로 성장 2. 성장과 폐단 ▶ 음서로 신분 세습, 불법적으로 토지와 노비를 차지, 대농장 경영 3. 폐단 ▶ 세금을 내야할 백성들의 감소, 국가 재정 궁핍, 새로운 관리에게 줄 토지의 부족 4. 개선 노력 ▶ 충선왕·충목왕의 개혁 시도 → 권문세족의 반발로 실패 신흥 무인 세력의 등장 1. 신흥 무인 세력의 등장 ▶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 최영, 이성계 등의 활약 → 이들이 신흥 무인 세력으로 성장 홍건적은 원이 쇠약해진 틈을 타 일어난 한족 농민 반란군으로 고려에 침입하여 수도 개경을 함락시키기도 하였으며, 이에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난을 가기도 하였음 남쪽 해안 지역은 왜구의 침입이 잦아 치안이 극도로 불안하였으며, ..

발해 문화, 문화 유산

발해 문화 1. 발해문화의 특징 발해는 고구려 문화를 바탕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 독특한 문화를 만들었음 2. 발해 사람들의 종교 고구려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불교를 믿는 사람들이 많았음(발해도 불교를 장려함) 대표적인 발해 유물 발해의 불상과 석등, 연꽃무늬 와당, 돌사자상, 정혜공주 묘, 온돌 등 1. 발해석등 발해의 수도였던 상경의 절터에서 발견된 석등 현무암으로 만들어졌음 석등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음 6미터가 넘는 거대한 석등 2. 돌사자상 고구려 문화의 패기와 정열을 계승하였음 3. 정혜공주 묘 정혜공주 : 문왕의 둘째 딸 고구려 후기의 굴식 돌방무덤(무덤 앞에 벽돌이 깔려 있는 무덤길이 있으며, 여기서 널길을 통해서 무덤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는 무덤) 양식을 계승하고 있음 4. ..

자유시 참변, 홍범도, 자유시사변(自由市事變), 1921, 러시아 자유시, 독립군 부대와 러시아 적군 교전, 흑하(黑河)사변

1921년 러시아 자유시(알렉세예프스크)에서 독립군 부대와 러시아 적군이 교전한 사건으로 흑하(黑河)사변이라고도 한다.자유시는 러시아 제야 강(Zeya river)변에 위치한 ‘알렉세예브스크(Alekseyevsk)’ 마을이며, 현재는 ‘스바보드니(Svobodny)’라는 지명으로 불린다. 러시아어로 ‘스바보다(Svoboda)’가 ‘자유’를 뜻하기 때문에 ‘자유시’라고 불렸다. 그리고 제야 강이 흘러 흑룡강(黑龍江)과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중국의 국경도시 헤이허[黑河]의 지명을 따서 ‘흑하사변(黑河事變)’이라고도 한다. 대대적인 독립군 토벌을 감행한 일본군을 피해 만주 일대 독립군 부대는 항일 근거지를 마련하기 위해 조직을 대한독립군단으로 규합하고 연해주로 이동하기로 결정한다. 1921년 3월 부대별 이동을..

1910년대 독립운동 두문자 암기, 무단통치기, 국내 비밀결사, 3.1운동 후, 20년대 해외 기지

1910년대 독립운동 두문자 암기 1910년대 : '무단통치기' - 국내 비밀결사- 1919년 3.1운동 후 20년대 해외 기지 "10대 독신 미남 북상" 1910 비밀결사-"독조광 여자 송(중)기" 독 독립의군부1912 -고종밀지, 임병찬 ,의병, 비밀단체, 국권반환요구서, 복벽주의, 채응언:마지막 의병장 조 조선국권회복단 - 이시형 등 경북유생 광 대한광복회1915 - 박상진, 김좌진, 분대식 독립군양성, 친일 부호 의연금. 공화정 여(려) 조선산직장려계 朝鮮産織奬勵 - 경제적 자립위한 지식청년 결사 자 자립관 송 송죽회 기 기성단 1910 독립운동 연해주-"신한 의성업 전한(길) 정부" 신한 신한촌新韓村 의 13도 의군 성 성명회 업 권업회 전 전로한족회 중앙총회 한 대한국민의회 : 손병희 정부 대..

잡스 한국사 2023.08.30

홍범도, 빨치산, 대한독립군,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 독립군 부대 암기

●독립군 부대 암기 - "234 대한조한조 독독혁광의" 3.1운동 19 만주사변 31 난징학살 37 1920 1930 1940 대한독립군 홍범도 3부 → 한국독립군 지청천 조선의용대 김원봉 → 한국광복군 김구 조선혁명군 양세봉 조선의용군 김두봉 ● 대한독립군(1919.12) ▪홍범도 ▪북간도 왕청현/봉오동 근거지 ▪봉오동 전투(1920.6), 청산리 전투(1920.10) ▪봉오동 전투에서 안무의 대한국민회군, 최진동의 군무도독부군과 연합 대한북로독군부 편성 ● 한국독립군(한국독립당 1930. 7) ▪지청천/홍진 등 ▪북만주 ▪3부에서 나눠진 혁신의회 기반 한국독립당 조직, 예하에 한국독립군 편성 ▪중국 호로군과 연합 작전 - 쌍성보 전투(1932), 경박호 전투(1933), 사도하자 전투(1933), 동..

잡스 한국사 2023.08.30

한국사, 지역, 지역사, 강화도, 평양, 진주, 만주(간도), 연해주(블라디보스토크)

▪강화도 고려 : 무신 집권기 몽골의 침입으로 최우가 강화 천도 진행(1232), 팔만대장경 제작, 삼별초 항쟁(첫번째) 조선 : 정묘호란 때 인조 피난(1627), 외규장각 건설(정조), 정제두의 강화학파 형성(양명학), 병인양요(1866, 프랑스), 신미양요(1871, 미국), 운요호 사건(1875, 일본) > 강화도 조약 체결(1876, 일본) ▪인천 조선 : 강화도 조약을 통해 개항(1883), 제물포 조약(1882, 일본) 현대 : 맥아더 장군의 인천 상륙 작전(1950.9) ▪서울 백제 : 백제의 첫번째 수도(위례 > 웅진 > 사비), 석촌동 돌무지무덤 신라 : 북한산 순수비 건립(진흥왕, 추사 김정희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혀냄) 현대 : 미소공동위원회 개최(1946,덕수궁의 석조전) ▪화성 ..

잡스 한국사 2023.07.15

최충헌, 만적의 난

Q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종 원년 사노비 만적 등이 북산에서 땔나무를 하다가 공사의 노비들을 모아 모의하기를, “우리가 성 안에서 봉기하여 먼저 (가) 등을 죽인다. 이어서 각각 자신의 주인을 죽이고 천적(賤籍)을 불태워 삼한에서 천민을 없게 하자. 그러면 공경장상이라도 우리가 모두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①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② 치안유지를 위해 야별초를 설립하였다. ③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④ 봉사십조를 올려 사회개혁안을 제시하였다. 【해설】 정답 ④ (가) 최충헌은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 ①, ②는 모두 최우에 해당 ● 최충헌(崔忠獻) 조위총의 난 토벌, 강동의 역(1219 몽고와 조공의 약속), 봉사10조, 만적의난, 불교..

고려 사회 동요,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민란

고려 사회 동요 1. 반무신란 (1)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명종 3년, 1173년 계사년) : 문신세력의 반발 (2)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명종 4년, 1174년) (3) 귀법사, 중광사, 흥화사, 흥왕사, 왕륜사, 경복사 등 교종계통의 반발 : 왕실과 문신귀족은 교종과 본래부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무신정권 때 문신의 도피처가 되어 무신에 반발하였다 - 최충헌은 정책적으로 선종계통인 조계종을 후원하였다. 2. 민란 (농민과 천민의 난) (1) 민란의 배경 (사회, 경제적 모순) ① 전통적인 신분질서가 와해되면서 피지배층의 사회의식이 크게 성장하였다. ② 무신들은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주요 관직을 독차지하고 토지와 노비를 늘려 나갔다. 또한 저마다 사병을 길러 권력쟁탈..

고려 무신정변

무신정변 1. 무신난의 선구 : 현종 때 김훈, 최질의 난 2. 배 경 (1) 근본적 : 문벌 귀족사회의 모순에 의한 지배체제의 동요와 지배층 내부의 갈등 심화 - 귀족층 내부의 권력투쟁과 부패, 숭문천무정책, 군인들의 열악한 처지, 의종의 향락과 실정, 이자겸 난 이후 지배층의 분열과 농민수탈의 강화 등이 깔려 있었다. (2) 귀족사회의 수탈체제에 신음하던 피지배층의 광범위한 지지와 성원 : 11세기 후반 이후 문신귀족들의 토지점탈과 농민에 대한 과중한 수취에 의한 농촌사회의 동요 그리고 12세기 전후 지배층 내에서 여러 가지 개혁책들이 구상되었으나 그에 대한 대응의 한계 - 유신 15조(인종, 이자겸 난 뒤 서경에서), 신령 9조(의종, 서경에서) 등에서 토지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다든지, 불교나 도참..

이자겸의 난, 문벌 귀족사회 모순, 서경 천도론 대두

이자겸의 난 1. 배 경 (1) 외척에 의한 왕권 약화 (2) 문벌귀족의 형성 : 국초에는 극단적인 근친혼이 실시되었으므로 외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점차 국왕이 왕족 이외의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게 되면서 외척과 문벌이 형성되었다. ① 안산 김씨(김은부) : 현종~문종에 이르기까지 4대 50여 년간 욍실 외척으로서 득세 ② 경원 이씨(이자연~이자겸) : 문종~인종 대까지 10여대에 걸쳐 5명의 수상과 20명에 가까운 재상을 배출하여 史書에서는 이 집안을 해동갑족(海東甲族)이라 표현하고 있다. ③ 기타 : 경주 김씨(김부식), 강릉 김씨, 광양 김씨, 남평 문씨, 청주 이씨, 수주 이씨, 정안 임씨, 해주 최씨(최충), 수주 최씨, 파평 윤씨(윤관) (3) 문벌 귀족사회의 모순 : 측근세력과 문벌 귀..

고려 군사제도

고려 군사제도 1. 군사제도의 성격 (1) 중앙군과 지방군의 이원 조직으로 구성되어 남방의 주현군과 북방의 주진군은 그 병종이나 군사조직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2) 군인은 군량과 무기, 피복 등 군역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마련하였다. (3) 군인들의 지휘관격인 무신이 제도 면에서나 출신성분 면에서 문신보다 하위였다 : 무신의 최고위인 상장군이 정3품에 불과하며, 무반은 재상이 될 수 없는 것이 원칙이었다. 무반을 3품에 묶어두었다는 것은 결국 문반만이 재상이 되어 가장 중요한 정책에 대한 최종적 결정권을 가질 수 있었다는 뜻이 된다. 무신들 중에는 노비나 농민출신들도 있었다. 2. 무신합좌기구 : 중방(重房), 장군방(45령, 1령 천명, 정4품의 장군), 낭장방(정5품의 낭장),..

고려 지방제도

고려 지방제도 1. 정비 과정 (1) 태조 ① 호족 지배력이 강한 주현지역과 군사상 요충지역인 진 ∙ 도호부(전주에 안남도호부 설치) ∙ 도독부 지역, 그리고 왕실세력의 기반이 되는 지역인 서경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었다. ② 군사적 특수지역 외에 중앙에서 외관을 파견한 지방통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조부(組賦)의 수취와 운송을 위해 임시로 파견되는 조부의 징수와 보관을 담당하는 조장(租藏), 금유(今有)라는 사자, 조부를 개경으로 운반하는 전운사, 양전사 등 부세 수취를 위한 사행관(使行官)을 파견하는 정도였다. (2) 성종 ① 양계에 병마사가 설치 : 성종 8년에 그 존재가 확인된다 - 병마사는 외직으로 이는 5도 안찰사제 성립보다 크게 앞서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안찰사와 병마..

고려 중앙 관제

통치조직의 정비 중앙의 관제 1. 고려의 중앙관직 체계 (1) 실직(實職)과 산직(散職) : 실직은 직사(職事)가 있는 관직이고, 산직은 직무를 보지 않는 관직으로 검교직과 동정직 고려후기 공민왕 때 설치된 첨설직 등이 있다. ① 청요직(淸要職, 맑고 긴요한 관직)과 관직(館職) : 관직의 중요성과 성격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은 모두가 과거 급제자만이 진출할 수 있는 임로(任路)였다. ㉠ 청요직(淸要職 : 대간직, 정조(正曺, 문무인사를 관장한 이부와 병부의 관직), 학사(學士)와 지제고(知制誥)를 말한다. 학사와 지제고는 문한관(금내 6관)을 말한다. ㉡ 관직(館職) : 예문관(한림원)과 시정의 기록을 관장한 춘추관(사관)의 관직을 말한다. ② 문한직으로 금내(禁內) 6관 : 한림원(일명 옥당,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