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 1138

개항 후 조약 정리, 조일통상장정,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일통상장정, 제물포조약, 한성조약

두문자 암기● 강화도조약 이후 조약 순서- '수일(이는) 미수(다) 이 규약(은) 무역 통일'수일 조일수호조규, 강화도조약미수 조미수호통상조약이(임) 임오군란 한발빨리 1882규약 조일수호조규속약, 제물포조약임오군란 후속대책으로 같은날 조인무역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82통일 조일통상상정 83   ● 조약 정리 ✽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1876.2)- 최초의 근대적 불평등 조약- 치외법권 허용- 일본 항해사의 해안측량권 허용- 인천, 부산, 원산의 3개항 개항- 조선을 자주국으로 선언함으로써 청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우려는 의도 ✽ 조일통상장정(1876. 6)- 무제한 양곡 유출 허용- 무관세 정책  ✽ 조일수호조규부록(1876. 8)- 일본 화폐의 유통 허용- 간행이정 10리 설정(거류지)  ✽ 조미수호..

잡스 한국사 2024.10.20

제주 4·3 사건, 발단, 1947년 3월 1일 삼일절 발포 사건, 1948년 4월 3일 남로당 무장대 반란, 특별법

제주 4·3사건, 1947년, 남로당, 토벌대, 30,000명 학살, 3·1절 발포사건, 무장봉기, 강경진압작전, 주민희생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광복 직후 제주사회는 6만여 명 귀환인구의 실직난, 생필품 부족, 콜레라의 창궐, 극심한 흉년 등으로 겹친 악재와 미곡정책의 실패, 일제 경찰의 군정 경찰로의 변신, 군정 관리의 모리(謀利) 행위 등이 큰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1947년 3월 1일, 3·1절 기념 제주도대회에 참가했던 이들의 시가행진을 구경하던 군중들에게 경찰이 총을 발사함으로써 민간인 6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3·1절 발포사건은 어지러운 민심을 더..

이회영(李會榮), 서전서숙, 신흥무관학교, 경학사, 서로군정서, 고문, 옥사

● 이회영 '서신경로' 서) 서전서숙(서간도 1906) 신) 신흥무관학교(만주 1909.5) 경) 경학사(랴오닝성 1911) 로) 서로군정서(만주 1919.5) ● 일제강점기 신민회 중앙위원, 항일구국연맹 의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교육진흥운동가 상동청년학원 무정부주의자 항일구국연맹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우당(友堂). 서울 출신. 아버지는 판서를 지낸 이유승(李裕承)이다.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1907년 2월 귀국한 안창호(安昌浩)를 중심으로 4월경 이갑(李甲)·전덕기(全德基)·양기탁(梁起鐸)·이동녕(李東寧)·신채호(申采浩) 등과 같이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고 중앙위원으로 정치·경제·교육·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활약하였다. 한편, 만주에 독립운동 근거지를 마련할 ..

단재 신채호, 두문자 암기, 조선상고사, 낭가사상, 독사신론, 아, 비아

단재 신채호(1880 - 1936)고대사 연구에 치중하여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반을 마련대륙사관 완성(단군~부여, 고구려~발해 고대사 체계 완성)조선사연구초에서 묘청의 난을 낭가사상의 대표로 인정하며 민족사관 정립.조선상고사(1931)에서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 정의대한매일신보에 독사신론을 연재하여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방향 제시을지문덕전, 최도통전, 이순신전 등 영웅위인전 저술의열단 선언문으로 조선혁명선언 채택.국민대표회의 창조파1925년 이후 무정부주의자로 전향하여 외교론, 준비론, 문화운동론, 자치론 모두 부정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 항일 논설 발표 신채호 두문자 암기 ● 신생아 사청가신 신채호생(상) 조선상고사아 아 , 비아사 조선사 연구회청 묘청 극찬가 낭가사상    기출 문제 Q  다음 자료를 ..

근대 문물 연도 암기-전환국, 박문국, 기기창, 우편국, 광혜원, 전등, 한성전기, 경인선, 독립문, 명동성당, 석조전

근대 문물 수용 연도 암기 전환파세 83 전박기우박문파세 83기기파세 83우편파네 84광혜파로 85전등밝지 87전기급파 98경인철도999아파구려 독립근육 1896제국긍지 광무굵지 1897명동에 만민급파 1898덕수궁 석조전 1910  전등밝지 1887조로팔팔 1888방구팔구 1889보은고생 1893갑오농민 전쟁에서 총쿡싸 1894민비꿇다 서유구로 간섭끊다 단발끊다 1895아파구려 독립근육 1896제국긍지 광무굵지 1897명동에 만민급파 1898한성전기 1898경인선 꾸역꾸역 1899활빈아군 1899용암영상 1903레일공사 의정공사 시설공사 보안공사 1904가영포을 한국영혼  1905헌정열다 화폐재료 시일장담경부선 공단서 1905경의선 공유 1906 ● 전신시설    - 고종 22년(1885)에 서울과 인..

국민대표회의, 1923년, 상해 임시정부, 창조파, 개조파

1923년 중국 상해에서 열린 국민의 대표회의.당시 임시정부는 내부적인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 개편이 필요했다. 그래서 1921년부터 각지의 국민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협의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2년 동안의 준비 과정을 거쳐 1923년 1월 개최되었다.1921년 2월 국민대표회의 소집 주장한 박은식(朴殷植)·김창숙(金昌淑) 등의 촉진선언문이 상해에서 발표되고, 그해 4월북경의 군사통일회가 적극적으로 소집을 추진하면서 본격화되었다. 국민대표회의 소집 문제는 각지의 동포들로부터 호응 속에서 마침내 국민대표회의주비회를 결성하는 데 이르렀다. 그러나 국민대표회의의 소집은 1921년 11월부터 다음해 2월에 걸친 태평양회의 및 극동인민대표대회로 인해 조금 늦추어졌다. 그러나 1922년..

공무원 한국사 기출 문제 모음[조선] #03

공무원 한국사 기출 문제 모음[조선]   Q  (가)∼(라)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① (가)-현량과를 실시하였다.  ② (나)-무오사화와 갑자사화가 일어났다.  ③ (다)-두 차례에 걸친 예송이 일어났다.  ④ (라)-신해통공으로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해설】 정답 ③ (다)의 효종과 영조 사이의 왕은 다음과 같다.     '1차 기해 서인 주자가례 왕사동례 1년설=기년설' 현종 - 숙종 - 경종 , 여기서 예송논쟁은 현종과 숙종때 있었다.  갑인 남인 1년 기년설 달라(왕사부동례) 국조오례 1차 예송 = 기해예송 : 현종때 사건 (효종 죽고난뒤 상복문제 - 1년설 채택) 일기서주자 동네일기 2차 예송 = 갑인예송 : 현종때 사건 (효종비 죽고난뒤 상복문제 - 1년설 채택) 갑남일기 달라..

잡스 한국사 2024.09.21

식읍(食邑), 수조권, 토지제도

식읍(食邑) 식읍은 고대에서 조선 초기까지 시행된 우리나라 토지제도의 하나이다. 고조선 말기 연맹국가 ‧ 열국기에 제가(諸加)의 읍락(邑落) ‧ 하호(下戶) 지배 현실을 바탕으로 성립한 제도로, 삼국시대~고려 초기까지 관료제와 군현제의 변화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개편 ‧ 운영되었다. 고려 전기에 형식상 봉작제(封爵制)와 결부되어 대부분 왕족이나 관료에게 수여되었고, 고려 후기에는 왕족에 대한 식읍 수여조차 중단되었다. 조선 단종 때 수양대군의 식읍을 마지막으로 역사적 역할을 다하였다. 고대에서 조선 초기까지 시행된 우리나라 토지제도의 하나. 제정 목적 고대국가가 주변 소국을 정복하거나 자발적으로 신속(臣屬)하도록 회유하는 과정에서 얻은 피정복 지역 · 신속 지역의 민호(民戶)를 헤아려(식읍민) 공로자(식읍..

김익상 (金益相), 의열단, 조선총독부 투탄 의거, 육군대장 다나카 암살 시도

김익상 (金益相), 의열단, 조선총독부 투탄 의거, 육군대장 다나카 암살 시도 일제강점기 때, 의열단에 가입하여 조선총독부 투탄 의거를 전개하였고, 육군대장 다나카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독립운동가. 경기도 고양 출신.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기독교학교의 교사로 근무하다가 서울로 올라와 광성연초공사(廣城煙草公司)의 기계 감독으로 근무하였다. 1920년 만주 봉천(奉天)으로 전근된 것을 기회로 비행사가 되기 위해 비행 학교가 있는 중국 광둥[廣東]으로 갔다. 그러나 중국 내전으로 인해 학교가 폐교되었으므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상해로 돌아왔다. 상해에서 전차 회사의 전차 감독이 되어 잠시 일을 보다가 항일 운동에 몸바칠 것을 결심하고 북경으로 가서 독립운동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에 입단하였다. 1921..

민적법, 民籍法, 호적제도 보완, 1909년

민적법, 民籍法 대한제국 말기에 제정, 공포된 호적에 관한 법률. 1909년 3월 법률 제8호로 공포되어 실시되었다. 조선시대에 인구수를 조사·파악하고 신분을 공시하는 제도로서는 식년호적제도(式年戶籍制度)와 이를 보완하는 인보정장법(隣保正長法)·호패법(號牌法) 등이 있었다. 1896년의 갑오개혁 입법으로 호구 조사 규칙과 같은 세칙을 마련하여 시행했으나, 이 법은 부역(賦役)과 징세(徵稅)의 행정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인민의 모든 가족적 신분 변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 순수한 호적제도로 개혁하기 위해 제정 실시된 것이 민적법이다. 이 법은 인민의 가족신분 관계를 법률상 명확히 함과 동시에 전국의 호구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종래의 호적제도가 가지고 있는 결함을 보완한 것이다...

사성, 賜姓, 사성정책, 태조 왕건

사성 (賜姓)  임금이 내린 성 또는 임금이 신하에게 성을 내리는 행위 사성(賜姓)이란 ‘성(姓)을 내린다(賜)’는 의미로, 동아시아권에서 공을 크게 세운 장수 등에게 왕이 성씨, 특히 '국성(國姓)'을 하사하는 제도였다.고구려, 조선처럼 국성 외에 별도의 성씨를 하사하는 경우도 많았다. 사성정책은 태조 왕건이 후삼국 시기 지방의 유력한 호족들을 고려에 포섭하기 위해 그들에게 자신의 성이었던 개성 왕씨 혹은 아주 새로운 성씨를 내려주었던 정책을 일컫는 말이다.우리나라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성을 바꾸지 않는다는 성불역(姓不易)의 원칙이 있다. 그러나 임금이 성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러한 제약을 받지 않았다. 임금이 성을 내리게 되는 계기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원래 지금과 같은 우리식의 한자 성이 없어..

공명첩, 空名帖, 임진왜란, 폐단, 조선 후기 신분 제도 문란

공명첩, 空名帖조선시대 수취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고 관직을 제수하거나, 면역 · 면천 등을 허가한 문서. 관직 · 관작의 임명장인 공명고신첩(空名告身帖), 양역(良役)의 면제를 인정하는 공명면역첩(空名免役帖), 천인에게 천역을 면제하고 양인이 되는 것을 인정하는 공명면천첩(空名免賤帖), 향리에게 향리의 역을 면제해주는 공명면향첩(空名免鄕帖) 등이 있다. 이 제도는 임진왜란 중에 나타난 것으로, 군공을 세운 사람 또는 납속(納粟)을 한 사람들에게 그 대가로서 주어졌다. 그러나 그 뒤 국가의 재정이나 군량이 부족할 때, 또는 진휼(賑恤)을 위해, 심지어는 사찰을 중수하는 비용을 얻기 위해 남발하였다. 그 폐단은 처음 발급될 때부터 나타났다. 예컨대, 모속관(募粟官)들이 공명고신을 사사로이 주고받기도 하였다..

중농학파, 중상학파 두문자 암기-실학자,박지원,박제가,유형원,정약용,경세치용,이용후생

● 중농학파, 중상학파 두문자 암기'농성남자애경''개이용노중상''박수홍 중상''유이안정 중농' ● 실학의 발생실사구시와 이용후생을 표방하는 비판적, 실천적 학문사상이지만 유학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이수광~지봉유설을 저술하여 천주실의를 소개함으로써 서양 문물을 소개한백겸~동국지리지를 쓴 역사, 지리 연구의 선구자김육~대동법 실시와 주전의 필요성 강조윤휴~주자학 비판, 송시열의 예론을 비판하다 사형당함윤증~민본사상에 입각한 인간평등론 주장중농학파~유형원, 이익, 정약용중상학파~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정인홍➜이언적과 이황 비판정여립➜군주세습제를 부인하고 천하는 공물이라 함※성리학을 비판한 실학자16C 정인홍, 정여립➜17C 윤휴, 박세당➜18C 정약용➜19C 최한기※김석문의 역학도해와 홍대용의 의..

잡스 한국사 2024.08.18

허석, 독립운동가, 건국훈장 애국장, 후손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1857년 4월 2일 경상도 의흥현 소수면 가곡(현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화수리 집실마을) 128번지의 빈농가에서 아버지 허전(許銓, 1834. 5. 8 ~ 1909. 11. 12.)과 어머니 순천 장씨(順天 張氏, ? ~ 1915. 1. 16.) 사이의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조선 세종 때 좌의정을 지낸 명재상 허조의 후손이며 삼국유사면 화수리 입향조인 허민(許慜, 1588 ~ ?)의 10대 종손으로 태어났지만 그가 태어났을 당시에는 이미 가세가 지극히 어려워져 있었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줄곧 부모를 도와 농사일에 진력할 수 밖에 없었다. 1910년 7월 경술국치를 겪은 후 줄곧 망국의 한을 품고 있던 그는 특히 일본인들의 한국..

노비, 奴婢, 노奴 남자종, 비婢 여자종, 고려시대 노비, 노비 신분 세습, 조선시대 노비, 공노비, 사노비, 선상노비, 납공노비, 솔거노비, 신공, 종모법, 속량

노비, 奴婢노비는 전근대 신분제 사회의 최하층 신분이다. 노는 남자종, 비는 여자종을 말한다. 전쟁, 형벌, 부채 등으로 충원되었으며 대대로 세습되었다. 국가 소유의 공노비와 개인 소유의 사노비로 구분되며, 노동력 제공이나 신공 납부의 의무를 지고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 노비의 유산, 도망이 증가하는 가운데 신공 부담은 감소하였으며 합법적인 면천의 길은 확대되었다. 내시노비 혁파와 노비 세습제 폐지, 신분제 혁파를 차례로 거치면서 노비제도는 소멸하였다. 노비의 발생과 고대의 노비 원시 공동체 사회가 해체되고 초기 국가가 성장하면서 정치권력의 형성과 함께 금속제 농기구에 의한 생산력 발달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지배 집단과 피지배 집단이 분화하고 지배 집단의 사적 소유도 확대되었다. 반복된 정복 전쟁을..

발해의 성장과 발전, 발해 왕 두문자

'무인당장 요(기)서' 무왕 대무예  인안 당과대결 장문휴 산둥공격 요서 당과 격돌 '문대 중상 신주자'  문왕 대흠무 대흥보력 중앙조직3성6부 상경천도 신라도 주자감 '선건 해북남서 지방'  선왕 건흥 해동성국 북말갈족복속 남신라국경 서요동진출 지방조직5경16부62주 발해의 성장과 발전무왕'인안'이라는 연호 사용 → 중국과 대등하다는 것을 내세움영토 확장 → 만주 북부 지역 장악당이 흑수 말갈, 신라를 이용하여 발해 견제 → 일본과 친선 관계 맺음, 당의 산둥 반도 공격(장문휴)문왕상경 용천부로 천도, 통치 체제 정비당과 친선 관계 수립 → 당 문물과 제도 수용돌궐, 일본과도 긴밀히 교류, 신라와 신라도를 통해 교류'대흥', '보력' 연호 사용, '황상' 칭호 사용, 일본 외교 문서에 '하늘의 자손'이..

잡스 한국사 2024.08.06

발해 멸망, 거란족에 의해 멸망(926), 발해부흥운동, 후발해, 정안국, 연파국, 올야국(오사국), 흥료국, 고욕국, 대발해(대원국)

발해의 성장과 발전무왕'인안'이라는 연호 사용 → 중국과 대등하다는 것을 내세움영토 확장 → 만주 북부 지역 장악당이 흑수 말갈, 신라를 이용하여 발해 견제 → 일본과 친선 관계 맺음, 당의 산둥 반도 공격(장문휴)문왕상경 용천부로 천도, 통치 체제 정비당과 친선 관계 수립 → 당 문물과 제도 수용돌궐, 일본과도 긴밀히 교류, 신라와 신라도를 통해 교류'대흥', '보력' 연호 사용, '황상' 칭호 사용, 일본 외교 문서에 '하늘의 자손'이라 일컬음선왕대외 정복: 대부분의 말갈 부족 흡수, 옛 고구려 영토 대부분 차지, 최대 영토 확보발해의 전성기(9세기 전반) → 당에서 해동성국이라 칭함멸망9세기 후반부터 귀족들 간 내분으로 국력 약화 → 거란족에 의해 멸망(926)여러 차례 발해 부흥 운동 전개 → 발..

가야, 육가야, 加耶, 삼한시대, 변한, 弁韓, 12국, 김해 금관국(金官國), 고령 대가야국, 낙동강, 황강, 남강, 포상팔국(浦上八國), 금관가야, 대가야, 아라가야, 소가야, 성산가야, 고령가야

가야는 서기전 1세기~서기 6세기,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일부에서 형성된 작은 나라들의 연합이다.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와 함께 존속하였다. 근래에는 전북특별자치도 동남부 일부 지역 혹은 전라남도 동부 일부까지 가야의 범주에 넣는 견해도 제기되며, 고대 한반도의 삼국에 이은 제4의 나라로 사국시대론이 주장되기도 한다. 가야의 기원은 삼한시대 변한 혹은 변진 12국 중 구야국이다. 해로상의 요충지로서 대방군에서 한반도 남부, 나아가 일본 열도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해상 교통의 결절지였다.  육가야국가금관가야대가야아라가야소가야성산가야고령가야성립기원전 2세기1세기 중반기원전 1세기2세기 초반1세기 중반 발전2세기 초반5세기 중반3세기 후반3세기 초반  전성기285년479년529년   쇠퇴400년554년5..

조선 후기 사회, 조선 후기 문화, 서민 문화, 건축, 두문자

조선 후기 사회봉건적인(또는 성리학적인) 사회질서가 무너지고 새로운 사회질서가 형성되어 가는 과도기사회, 경제적인 측면 - 농업 생산력의 증대, 상공업의 발달로 상품화폐경제 발전- 교육의 확대와 서민의 사회적 지위, 의식의 성장 - 전통적인 신분질서가 퇴색문화적인 측면 - 중국과 서양으로부터 새로운 문물이 유입되면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대두- 성리학 중심에서 탈피하여 실용적인 학문의 발달- 서민층의 성장은 서민 문화 발달을 결과조선 후기 문화 두문자●  18C 건축물 - '18씨 쌍개남 화대대'쌍계사, 개암사, 석남사. 화성, 불국사 대웅전, 평양 대동문● 조선후기 건축(乾縮) - '금미 화각 법팔 논쌍 부개 안석'금 금산사미 미륵전화 화엄사각 각황전법 법주사팔 팔상전논 논산쌍 쌍계사부 부안개 개암..

잡스 한국사 2024.06.18

한국사 기출 문제 모음[선사-고대] #02, 공무원 한국사

한국사 기출 문제 모음[선사-고대] #02, 공무원 한국사 Q (가), (나)의 특징을 가진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옷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나) 부여의 별종(別種)이라 하는데, 말이나 풍속 따위는 부여와 많이 같지만 기질이나 옷차림이 다르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① (가) - 혼인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② (나) - 제사장인 천군이 다스리는 소도가 있었다. ③ (가) -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는 12배로 배상하게 하였다. ④ (나) - 단궁이라는 활과 과하마・반어피 등이 유명하였다. 【해설】 정답 ③ (가) 부여, (나) 고구려. 1책12법 ① 옥저, ② 삼한, ④ 동예 부(자)여 사냥 : 수렵 사회 ..

잡스 한국사 2024.04.10

백제의 성장과 발전

● 백제의 건국 1. 건국 ▶ 고구려의 이주민이 한강 유역 위례성에 자리 잡고 건국 → 삼국 중 가장 빨리 성장 2.백제의 건국 세력이 고구려 이주민 세력이라는 근거 ▶ 백제의 석촌동 돌무지무덤이 고구려 고분 양식과 유사함, "삼국사기"에 실린 백제의 건국 이야기, 백제 왕실이 '부여씨'를 사용함 ● 백제의 성장 3세기 고이왕 목지국을 병합하고 한반도 중부 지역 확보 16관등과 공복 제도 마련, 법령 제정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 마련 4세기 근초고왕 (전성기) 고구려 공격: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고 황해도 일대 점령 마한 전 지역 정복(전라도 지역 차지함) 왕위의 부자 상속 확립 중국의 동진, 왜와 교류(왜왕에게 칠지도 선물) → 고구려 견제 위한 것 해외 진출: 중국의 산둥과 요서 지방, 일본의 규슈 지방..

갑오개혁, 을미개혁, 광무개혁, 홍범14조, 헌의6조, 두문자

동학,청일전쟁,갑오개혁,을미사변,아관파천,독립협회,대한제국,광무개혁,만민 ● 갑신정변 14개조 - 갑순 근혜 환(갑까지) 지조(지키니) 내시(들이) 호(시)탐(탐) (사)귀(자고) (매달린다) ● 개혁안12조 - 개12 왜노무(새끼) 과부 토지 천평 사 ● 홍범14조 - 홍병일(은) 자아(가) 분리 유인 ● 헌의6조 - 헌환자중의 입(을) 탁(치자) 피(가) 척 [독립협회 관민공동회] 기출 문제 Q 다음 정강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첫째, 대원군을 가까운 시일 안으로 나라에 돌아오게 하도록 할 것 둘째, 문벌을 없애 인민이 평등한 권리를 갖는 제도를 제정할 것 ① 혜상공국을 없앨 것 ② 공사노비법을 혁파할 것 ③ 전국에 걸쳐 지조법을 개혁할 것 ④ 각 도의 환곡제도를 영원히 없앨 것 ⑤ 재정..

잡스 한국사 2024.03.12

광복, 독립, 해방, 8·15, 광복절

광복, 독립, 해방, 8·15 , 광복절 독립 독립이라는 말을 사용하면 유사 이래 우리의 모든 역사가 예속의 역사가 되고 만다. 그래서 노태우 정부 때 천안에 ‘독립기념관’을 지을 때에도 큰 논란이 있었다. 우리의 국권을 우리 스스로 행사하기 위해 싸운 선열들을 ‘독립투사’라고 부르는 건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8월 15일을 독립기념일이라고 할 수는 없다. 우리는 본래부터 독립국이었기 때문이다. 본래 독립국인 우리의 주권을 일제가 강탈했으므로 독립투사들은 그것을 되찾기 위해 피 흘려 싸워 마침내 주권을 회복했다. 이 ‘회복’을 마치 우리의 역사상 처음으로 독립을 얻은 것으로 표현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중문대사전》은 한국의 ‘한’에 대해 “1897년에 중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국호를 ‘한국’이라고 고쳤다. ..

회화, 안견, 김홍도, 장승업, 강희안, 신윤복, 고려, 조선,

회화 ㆍ고려: 혜허(양류관음상도), 이령(예성강도), 공민왕(청산대렵도) 조선시대 3大화가 - 안견, 김홍도, 장승업 ㆍ15c: 인물산수화, 진취적, 씩씩하고 낭만 - 안견(몽유도원도-도원이라는 이상세계를 그려냄), 강희안(고사관수도-인간의 내면세계 표현, 문인화가) ㆍ16c: 사군자, 자연속에서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찾음. - 이암(당견도, 화조묘구도), 이상좌(노비출신, 송아보월도- 인간의 강인함 표현) ㆍ17c~18c:진경산수화 발달(18c초) - 정선(금강전도, 인왕제색도) ㆍ18c 후반 특징: 실학적 화풍, 서양화법 영향, 풍속화, 민화발달 - 김홍도(씨름, 서당. 배경없는 농촌 생활상 묘사, 간결하고 소박한 필치), 신윤복(주로 도시의 여인 묘사, 배경 있음, 섬세하고 세련된 필치.) ㆍ18c ..

백과사전, 지봉유설, 성호사설, 동국문헌비고, 동문휘고

백과사전 지봉유설(이수광), 성호사설(이익, 삼한정통론, 역사적 문물을 해석), 동국문헌비고(홍봉한, 영조때.) 동문휘고(정조때 조선시대 외교관계문헌을 수집.정리)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교관겸수(敎觀兼修), 의천

교관겸수(敎觀兼修) 고려시대 승려 대각국사 의천이 교리체계인 교와 실천수행법인 지관을 함께 닦아야 한다고 주장한 불교교리.  고려시대의 선종(禪宗)은 태조의 옹호를 받아 그 세력을 떨쳤으나, 현종 이후에는 화엄종·법상종(法相宗) 등의 교종이 세력을 얻어 선종에 대항하였으며, 서로의 장점을 주장하면서 타종을 배척하기에 이르렀다. 의천은 원효(元曉)의 화쟁사상(和諍思想)과 송나라 고승 정원(淨源)과 징관(澄觀)의 천태지관(天台止觀)에 영향을 받아 학문에 있어서의 편견을 경계하고 종파의 대립을 개탄하였다. 『법화경』의 회삼귀일(會三歸一)을 국가의 통화와 민족적 이념에 합치시켰으며, 이론적으로는 화엄종의 일승(一乘)과 천태종의 일승이 우주와 개인, 전체와 개체를 따로 보지 않는 점에서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고 ..

통일신라 왕 업적,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경덕왕, 혜공왕, 원성왕, 경순왕

신라 중대의 왕 *무열왕 -최초의 진골출신 -상대등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집사부 시중의 권한 강화 -비담의 반란 진압 , 알천과 경쟁 승리 -대원군 성격이었던 갈문왕제 폐지 -중국식 시호 -관리를 감찰하는 사정부 설치 *문무왕 -676년 삼국통일 완성 -중앙관제 정비 *신문왕 -상대등이자 장인이었던 김흠돌 사건 진압 -녹읍 폐지하고 관료전을 지급 -9주 5소경 지방관제 정비 , 9서당 10정 군사조직 정비 (민족융합하기 위함) -국학 설립 *효소왕 -당과 일본과 수교 -최초의 의학박사 -서시전과 남시전 설치 -효소왕때 발해가 건국됨(698) *성덕왕 -국학 재정비 -당의 현종과 국교 재개 , 일본에 견신라사 파견 -정전 지급 (백성에게 지급하여 최소한의 생활 보장과 왕권 강화) -상원사종 (가장 오래된 범..

청동기, 철기 시대 두문자 암기

청동기, 철기 시대 두문자 암기 ● 청동기 유물유적 집에 바퀴벌레 봐달라고 간청했더니 홈자기,바퀴벌레,반달돌칼-간석기,청동기 팍친 민머리가 부여서 붉어졌다. 비팍형동검,거친무늬거울,민무늬토기,미송리식토기 부여송국리,여주흔암리,서천화금리(벼농사유적지) 붉은간토기 ● 청동기 벼농사 - 쌀이 타 송흔(이) 화남 송 부여 송국리 흔 여주 흔암리 화 서천 화금리 남 평양 남경유적 ● 청동기 : 청암미거반농목굴 암각화, 미송리식토기, 거친무늬 거울, 반달돌칼, 농경문, 목책과환호, 굴지구 ● 철기 : 철거홈가덧잔 거푸집,홈자귀, 가지무늬토기,덧띠토기, 잔무늬거울 ● 청동기 토기 - 부여(로) 간~ 김송민 부여 부여 송국리식토기 간 붉은 간토기 김 덧띠새김무늬토기 송 미송리식토기 민 민무늬토기 ● 철기 토기 - 철민..

잡스 한국사 2023.12.29

흥화진전투, 양규, 강감찬, 강동6주, 거란침입

고려 전기 거란침입 때 흥화진(興化鎭, 평안북도 의주)에서 벌어진 전투. 흥화진은 서희(徐熙)가 거란과 담판하여 강동6주(江東六州)를 확보한 이후, 995년(성종 14) 구축한 압록강 방면의 요충지이다. 거란은 흥화진을 선점하기 위해 고려 현종대에 수 차례에 걸쳐 침입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1010년(현종 1), 1017년(현종 8), 1018년(현종 9)에 전투가 벌어졌다. 경과 및 결과 1010년(현종 1) 거란 제2차 침입 당시 거란의 성종(聖宗)이 40만 대군으로 직접 고려에 침입하였다. 같은 해 11월 거란군이 압록강을 건너 흥화진을 포위하고 고려의 항복을 종용하면서 전투는 11월 17일부터 23일까지 1주일 간 전개되었다. 흥화진에는 순검사(巡檢使) 양규(楊規)가 거란의 압박에 조금도 굴하지 ..

조선 전기, 후기, 과학기술,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규형, 칠정산내외편, 곤여만국전도, 진도, 병장도설, 동국병감

과학기술 ㆍ조선전기 -과학기구: 앙부일구(해시계, 세종), 자격루(물시계, 세종), 측우기(강우량측정, 세계최초, 세종), 규형(인지의; 양전, 지도제작에 이용, 세조), 천체관측(혼천의, 간의) 무기: 거북선(태종(귀선)), 비거도선, 화포, 화차, 비격진천뢰. 역법: 달력- 칠정산내외편 작성(독자성) 병서: 진도(태조, 정도전이 지음), 병장도설(세종, 그림으로 설명한 군사훈련 지침서),동국병감(문종) ㆍ조선후기 - 서양문물: ; 세계지도, 진취적 세계관. 천문학: 지전설(김석문, 홍대용, 이익, 정약용), 지봉유설(이수광, 백과사전, 일식.월식.조수. 설명) ⇒ 중국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하는데 영향을 줌.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