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근대

동학 농민 운동, 폐정 개혁안 12개조, 두문자, 기출

Jobs9 2023. 4. 2. 14:55
반응형

동학 두문자 암기

● 동학농민운동-고백 장황전 고집 공주 
고 고부민란 
백 백산봉기 
장 장성군 황룡촌 
황 황토현 
전 전주화약 
고(교) 교정청 
집 집강소 
공주 공주우금치 

1862 임술농민봉기 
1863 대원군집권 찬밥유생 
1864 동학농민운동 동학요사

 

● 농민층의 동요와 동학의 성장

1. 개항 이후 농촌 사회의 동요

  • 정치 기강의 문란, 농민층의 부담 증가, 일본의 경제적 침투

2. 동학의 성장과 교조 신원 운동

  • 교세 확장:삼남 지방의 농민들 사이에 급속히 확산, 최시형의 교단 조직 정비
  • 교조 신원 운동:삼례 집회(1892, 교조 신원과 동학 탄압 중지 요구) → 서울 복합 상소(1893, 교조 신원 상소) → 보은 집회(1893, 척왜양창의를 내세움 → 농민 운동으로 발전)

 

● 동학 농민 운동

1. 고부 농민 봉기

  • 고부 군수 조병갑의 부정과 탐학에 저항하여 고부 관아 습격

2. 제1차 농민 봉기

  • 배경:안핵사 이용태의 탄압 → 농민 봉기 참가 관련자 색출
  • 과정:무장에서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 봉기(보국안민, 제폭구민 표방) → 동학 농민군의 백산 집결 → 4대 강령과 격문 발표 → 고부 황토현 전투 승리 → 장성 황룡촌 전투 승리 → 전주성 점령 → 정부가 청에 원병 요청 → 청군의 아산만 상륙 → 일본군의 인천 상륙 → 전주 화약(청·일 양국 군대의 철수와 폐정 개혁에 합의) → 동학 농민군 해산, 전라도 일대에 집강소 설치, 폐정 개혁안 실천

 

● 폐정 개혁안 12개조

1. 동학 교도는 정부와의 원한을 씻고 서정에 협력한다.
2. 탐관오리의 죄상을 조사하여 징벌한다.
3. 횡포한 부호를 엄중히 처벌한다.
4. 불량한 유림과 양반의 무리를 징벌한다.
5. 노비 문서를 불태운다.
6. 7종의 천인 차별을 개선하고 백정이 쓰는 평량갓은 없앤다.
7. 젊어서 과부가 된 여성의 재혼을 허용한다.
8. 무명의 잡다한 세금은 일절 거두지 않는다.
9. 관리 채용 시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한다.
10. 왜와 통하는 자를 엄중히 징벌한다.
11. 공채, 사채 모두 기왕의 것은 무효로 한다.
12. 토지는 균등하게 나누어 경작한다.

→ 폐정 개혁안은 당시 사회 문제의 시정을 요구한 것으로, 여기에는 조세 제도 개혁, 신분 차별 철폐, 일본 침략 반대, 토지 제도 개혁 등의 내용이 담겨 있음

3. 제2차 농민 봉기

  • 배경:정부의 청·일 양군 철병 요구 → 일본군의 거절, 경복궁 점령 → 조선에 대한 내정 간섭(교정청 폐지, 군국기무처 설치와 개혁 강요)
  • 과정:남접(전봉준, 전라도)과 북접(손병희, 충청도)의 연합 부대 결성 합의 → 논산 집결 → 서울로 북상 중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 대부분의 병력 상실 → 전봉준·김개남·손화중 등 농민군 지도자들의 체포, 처형

 

● 1차 봉기,  2차 봉기 전개

  • 군수 조병갑의 학정에 저항하여 일어난 고부 봉기는 정부가 조병갑을 파면하고 박원명을 신임 군수로 보내 잘못된 부분을 고치겠다고 약속하면서 진정되었다. 그러나 안핵사로 온 이용태가 봉기에 참여한 농민들을 역적죄로 몰아 탄압하자 전봉준 등이 무장에서 농민군을 재조직한 뒤 백산에 집결하면서 1차 봉기가 시작되었다.
  • 반봉건을 내세운 이들은 황토현 전투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후 황룡촌 전투등에서 승리한 뒤 전주성까지 함락하기에 이르렀다. 전주 화약 후 폐정 개혁에 힘쓰던 농민군은 일본군의 경복궁 침입과 내정 간섭에 재봉기하였으나 정부와 일본의 연합군에게 우금치에서 패배

 

● 동학 농민 운동의 성격

1. 반봉건 운동

  • 탐관오리 축출, 신분 차별 철폐, 양반과 토호의 수탈 금지 등 봉건적 지배 체제에 반대 → 갑오개혁에 영향, 전통적 봉건 질서의 붕괴 촉진

2. 반외세 운동

  • 일본의 침략을 물리치려고 한 반외세, 반침략의 민족 운동 → 잔여 세력이 항일 의병 투쟁이나 활빈당 등 민중 운동에 참여, 반침략·반봉건 운동 지속

3. 한계

  •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함
  • 각 지역의 농민군이 보다 긴밀한 연대를 형성하지 못함
  • 농민층 이외의 보다 넓은 지지 기반을 확보하지 못함

 

 


 Q  
동학농민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주화약 이후 조선 정부는 청·일 군대의 철수를 요청하였다.
② 조선 정부는 농민들의 요구에 대응하여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③ 청일전쟁 발발 직후에도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집강소가 운영되었다.
④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한 후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의 농민군이 연합하였다.

【해설】 정답 ② 
삼정이정청은 진주민란을 시작으로 하였던 임술농민봉기(1862)때 설치되었다. 삼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삼정이정절목을 반포하였다.
● 동학농민운동-고백 장황전 고집 공주 
고 고부민란 
백 백산봉기 
장 장성군 황룡촌 
황 황토현 
전 전주화약 
고(교) 교정청 
집 집강소 
공주 공주우금치 

1862 임술농민봉기 
1863 대원군집권 찬밥유생 
1864 동학농민운동 동학요사




 Q 
 ㉠에 들어갈 사실로 옳은 것은? 

 전봉준, 김도삼 등의 주도로 고부 농민들이 봉기하여 군수 조병갑을 몰아내고 수탈의 상징이었던 만석보를 파괴하였다.
   ⇩ 
   ㉠ 
   ⇩ 
 동학 농민군은 백산으로 이동하여 호남창의대장소라는 이름으로 격문을 발표하여 농민들의 봉기와 호응을 촉구하였다.


① 정부가 안핵사 이용태를 파견하였다. 
② 동학 농민군이 황룡촌 전투에서 정부군을 격파하였다. 
③ 동학 농민군과 정부군이 전주에서 화약을 체결하였다. 
④ 전봉준의 남접 부대와 손병희의 북접 부대가 논산에서 합류하였다. 

【해설】 정답 ①   
동학농민운동 사건순서문제이다.  고부민란 → ㉠ → 백산봉기
군수 조병갑의 학정에 저항하여 일어난 고부 봉기는 정부가 조병갑을 파면하고 박원명을 신임 군수로 보내 잘못된 부분을 고치겠다고 약속하면서 진정되었다. 그러나 안핵사로 온 이용태가 봉기에 참여한 농민들을 역적죄로 몰아 탄압하자 전봉준 등이 무장에서 농민군을 재조직한 뒤 백산에 집결하면서 1차 봉기가 시작되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