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 1139

한국사 연도 암기, 천간지지, 육십갑자, 병인, 신미, 갑자, 계유, 을미, 임진

한국사에서 연대와 연도, 사건을 외우는 것은 참 힘들면서도 외워두면 시대가 잘 잡히기 때문에 유용하기도 하다. 이것을 다 기억하기 어렵다면 육십갑자를 통해 대략적인 연도와 사건명을 연결하여 외워보자. 십이지(十二支) 지지(地支)라고도 불리는 십이지는 중국 북방민족이 춘추전국시대 이전부터 계절을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 지지(땅) = 십이지 = '줄기에서 갈라져 나온 열두개의 가지' 십이지 순서 동물 음양 오행 계절 달 시간 자 쥐 양 水 겨울 11월 23~01 축 소 음 土 겨울 12월 01~03 인 호랑이 양 木 봄 1월 03~05 묘 토끼 음 木 봄 2월 05~07 진 용 양 土 봄 3월 07~09 사 뱀 음 火 여름 4월 09~11 오 말 양 火 여름 5월 11~13 미 양 음 土 여름 6월 13~1..

잡스 한국사 2022.02.0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6회 심화 문제 정답 해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민법,상법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한국사 반란 정리

● 삼국시대 포상팔국의 난 209~212년 내란 보라국ㆍ고자국ㆍ사물국 불명 금관국ㆍ사로국 반란 실패 칠숙의 난 631년 쿠데타 칠숙, 석품 불명 선덕여왕 반란 실패, 백제로 도주한 석품을 추격하여 사살 비담의 난 647년 쿠데타 비담, 염종 불명 김유신 반란 실패 남북국시대 김흠돌의 난 681년 변란 김흠돌 불명 신문왕 반란 실패, 김흠돌 및 관련자들 처형 96각간의 난 768년 변란 김대공, 김대렴, 96각간 불명 혜공왕 반란 실패, 반란 주모자들 처형 김지정의 난 780년 변란 김지정 불명 김양상, 김경신 반란 실패, 반란 와중에 혜공왕 피살 김헌창의 난 822년 변란 김헌창 김헌창 장웅, 위공, 제릉, 김균정 반란 실패, 주모자들 처형 김범문의 난 825년 변란 김범문 김범문 총명 반란 실패, 주모..

잡스 한국사 2022.01.20

한국사 두문자 암기 정리 #05

이황 : 백이십예 - 백운동서원. 이기이원론. 성학십도. 예안향약 -4단7정론 : 4단은 이가 발한 것이요, 7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 이이 : 소집일만소탕해 - 소현서원. 성학집요. 이기일원론. 만언봉사. 소현서원. 탕평일임자(실패). 해주향약 주리파 : 인조여성언황주리 ? 농서 : 요(14C) → 직(설금사 15C) → 성.색(17C) → 산과(18C) → 임촬(19C) (농상집요.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농가집성 색경. 산림경제 과농소초. 임원경제지 농정촬요?!) (요, 직, 성 ㅇㅈㅅ - 이암, 정초, 신속 ㅇㅈㅅ : 농상집요 이암. 농사직설 정초. 농가집성 신속) 특수작물 전래 : 인담추호 (17C) 고(18C) 감옥 (19C) -인삼, 담배, 고추, 호박, 고구마 ← 일본 // -감자 ← ..

잡스 한국사 2021.12.31

한국사 두문자 암기 정리 #08

* 무문병민 : 무단통치 -> 문화통치 -> 병참기지화 (30)-> 민족말살정책 (30) * 친일 어용단체 : 일진편법 황사고문 공청회유 -일진회. 진보회. 조선사편수회. 법전조사국. 황국협회. 조선사연구회. 고적조사위원회. 대한문인협회. 공진회. 청구학회. 유신회 * 천도교 - 만세보, 조선농민사, 손병희, 동덕여학교, 개벽사 "개벽" * 신민회 (1907~1911) ☞ 후신 : 흥사단 1913, LA : 상공업기관 건설. 청소년 교육진흥 * 신간회 (1927~1931) - 좌(타협주의) + 우(비타협주의) 합작 * 자치론 : -민족운동을 문화운동으로 -타협주의. 민족개량. 실력양성. 우파민족주의 -이광수 민족개조론 (1922) * 좌우합작운동 : 신간회, 민족유일당운동, 전국연합진선협회, 건국동맹, ..

잡스 한국사 2021.12.31

한국사 두문자 암기 정리 #03

충렬왕 : 전민변정도감 충선왕 : 사림원 (선사) 충숙왕 : 촬리변정도감 (숙촬) 충목왕 : 정치도감 (충목) 공민왕 : 전민변정도감 (원종→ 충렬왕 → 공민왕) 창왕 : 급전도감 (창급) 12C 유교사관 (삼국사기, 칠대실록, 편년통록) - 유삼칠편 12~13C 자주사관 (동.제(지).혜.유 - 동명왕편, 제왕운기, 해동고승전, 삼국유사) 14C 성리학적사관 (고려국사) 기전체 - 고려사, 삼국사기. 기사본말체 - 삼국유사, 연려실기술 송인은 월정대도 // 원화수목 아 임송경농성 천석 (당→T.S 나전칠기)(고려→송 나전칠기) 송- 인쇄술. 은입사. 월정사8각9층석탑. 대성악. 도자기 원 - 화약. 수시력. 목화. 아라비아(사라센)문화. 임제종. 송설체. 경천사지 10층석탑. 농상집요. 성리학. 천산대..

잡스 한국사 2021.12.31

한국사 두문자 암기 #07

● 갑신정변 14개조 :갑순 근혜 환(갑까지) 지조(지키니) 내시(들이) 호(시)탐(탐) (사)귀(자고) (매달린다) 순 순사제도 근 근위대설치 혜 혜상공국폐지 보부상 환 환곡제폐지 지조 지조법개정 내시 내시부폐지 호 호조일원화 탐 탐관오리처벌 귀(규) 규장각폐지 ● 동학농민운동-고백 장황전 고집 공주 고 고부민란 백 백산봉기 장 장성군 황룡촌 황 황토현 전 전주화약 고(교) 교정청 집 집강소 공주 공주우금치 ● 개혁안12조 - 개12 왜노무(새끼) 과부 토지 천평 사 왜 왜와 통하는 자 엄징 노 노비문서 소각 무 무명잡세 폐지 과 과부의 재가허용 부 부호 엄징 토지 토지 평균 분각 천 천인차별 개선 평 평량갓 폐지 사 사채공무효 ● 갑오개혁1차(군국기무처 주도)-갑오 은경의 궁금 노비 딱? 은 은본위제..

잡스 한국사 2021.12.3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가비라성(迦毗羅城)의 큰 절에서 한량없는 대비구 대중과 함께 계셨다. 또 한량없는 백천억 나유타 보살마하살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제일체개장보살(除一切蓋障菩薩)⋅집금강주보살(執金剛主菩薩)⋅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문수사리보살(文殊舍利菩薩)⋅보현보살(普賢菩薩)⋅무진의보살(無盡意菩薩)⋅미륵보살(彌勒菩薩)로서 그들이 대표가 되었으며, 또 한량없는 천⋅용⋅야차⋅건달바⋅아수라⋅가루라⋅긴나라⋅마후라가⋅인비인(人非人)의 대중들이 공경하고 둘러 있는 가운데서 법(法)을 말씀하셨다. 그때 그 성에 외도에 귀의하여 불법을 믿지 않는 겁비라전다(劫比羅戰茶)라는 바라문(婆羅門)이 있었다. 어떤 관상쟁이가 겁비라전다 바라문에게 말하기를, “바라문이여, 당신은 7일 후..

불국사와 석불사 축조

불국사와 석불사 축조 모량리(牟梁里)【혹은 부운촌(浮雲村)이라고도 한다】의 가난한 여인 경조(慶祖)에게 아이가 있었는데, 머리는 크고 이마가 평평하여 성(城)과 같으므로 대성(大城)이라고 불렀다. 집이 가난하여 생활할 수 없어 부자 복안(福安)의 집에 고용살이를 하여 그 집에서 약간의 밭을 받아 의식(衣食) 비용으로 삼았다. ……(중략)…… 대성이 이를 듣고 뛰어 들어가서 그의 어머니에게 말하기를, “제가 문간에 온 스님이 외우는 소리를 들으니 하나를 보시하면 만 배를 받는다고 합니다. 생각건대 우리는 분명히 전생에 선업이 없어 지금 이렇게 곤궁한 것입니다. 지금 또 보시하지 않으면 내세에는 더욱 곤란할 것이니, 제가 고용살이로 얻은 밭을 법회(法會)에 보시해서 뒷날의 응보를 도모함이 어떻겠습니까?”라고..

진표 점찰계법

진표 점찰계법 승려 진표(眞表)는 완산주(完山州)【지금의 전주목(全州牧)】 만경현(萬頃縣) 사람이다【혹은 두내산현(豆乃山縣) 혹은 도나산현(都那山縣)이라고도 하니 지금의 만경(萬頃)이며, 옛 이름은 두내산현이다. 관녕전(貫寧傳)에 석진표의 고향을 금산현(金山縣) 사람이라고 한 것은 절 이름과 현 이름을 혼동한 것이다】. 아버지는 진내말(眞乃末)이고, 어머니는 길보랑(吉寶娘)으로 성(姓)은 정씨(井氏)이다. 나이 12세에 이르러 금산사(金山寺) 숭제법사(崇濟法師)의 강석 아래에 몸을 던져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배우기를 청하였다. ……(중략)…… 진표가 (숭제) 법사의 말을 듣고 명산을 두루 다니다가 선계산(仙溪山) 불사의암(不思議菴)에서 멈춰서 머물면서 3업(業)을 연마하였으며, 망신참회(亡身懺悔)로 계..

의상 화엄일승법계도

의상 화엄일승법계도 법사(法師) 의상(義湘)은 아버지가 한신(韓信)으로 김씨(金氏)인데, 나이 29세에 경주 황복사(皇福寺)에서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 얼마 있지 않아 서방으로 가서 불교의 교화를 보고자 하였다. 드디어 원효(元曉)와 함께 요동으로 갔다가 변방의 순라군(戌邏軍)에게 첩자로 오인 받아 수십 일 동안 갇혔다가 간신히 면하여 돌아왔다【이 사실은 최후(崔侯)가 지은 본전(本傳)과 원효의 행장(行狀) 등에 실려 있다】. 영휘(永徽) 초에 마침 당나라 사신의 배가 서방으로 돌아가려고 하자 편승하여 중국으로 들어갔다. ……(중략)…… 종남산(終南山) (지엄(智儼)의) 문인 현수(賢首)가 『수현소(搜玄疏)』를 찬술하여 의상에게 부본(副本)을 보내면서, 아울러 편지를 보내 은근하고 간절하게 다음과 같..

원효 불교사상

원효 불교사상 성사(聖師) 원효(元曉)의 속성(俗姓)은 설씨(薛氏)이다. 할아버지는 잉피공(仍皮公)으로 또는 적대공(赤大公)이라고도 하는데, 지금 적대연(赤大淵) 옆에 잉피공의 사당이 있다. 아버지는 담날(談捺) 내말(乃末)이다. 처음에 압량군(押梁郡)의 남쪽【지금의 장산군(章山郡)이다】 불지촌(佛地村) 북쪽 율곡(栗谷) 사라수(娑羅樹) 아래서 태어났다. ……(중략)…… 성사가 태어나서 어릴 적 이름은 서당(誓幢)이고, 제명(第名)은 신당(新幢)【당(幢)은 속어로 털[毛]이다】이다. 처음에 어머니가 유성(流星)이 품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태기가 있었는데, 해산하려고 할 때는 오색구름이 땅을 덮었다. 이때가 진평왕(眞平王) 39년인 대업(大業) 13년 정축년(丁丑年, 617)이었다. 태어날 때부터 총명..

교종, 명랑(明朗) 신인종(神印宗)

명랑(明朗) 신인종(神印宗) 『금광사본기(金光寺本記)』를 살펴보니 다음과 같이 전한다. “법사는 신라에서 태어났다. 당나라에 들어가 도를 배우고, 돌아올 때 해룡(海龍)의 청으로 용궁(龍宮)에 들어가 비법을 전하였다. (용왕으로부터) 황금 1000냥【혹은 1000근이라고도 한다】을 보시 받아 지하로 잠행하여 자기 집의 우물 밑으로부터 솟아 나왔다. 이에 집을 내놓아 절로 삼고, 용왕이 보시한 황금으로 탑과 불상을 장식하니 유난히 광채가 빛났다. 이로 인하여 이름을 금광사(金光寺)【승전(僧傳)에는 금우사(金羽寺)라고 하였으나 잘못이다】라고 하였다.” 법사의 이름은 명랑(明朗)이고, 자는 국육(國育)이며, 신라 사간(沙干) 재량(才良)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남간부인(南澗夫人)인데, 혹은 법승랑(法乘娘)이라고..

설총 화왕계

설총 화왕계 ……(전략)…… 신문대왕(神文大王)이 한여름 5월에 높고 밝은 방에 거처하면서 설총(薛聰)을 돌아보며 말하기를, “오늘은 오랫동안 내리던 비가 처음으로 그치고 향기로운 바람이 살랑살랑 부니 좋은 반찬과 애처로운 음악이 있더라도 고상한 말과 좋은 웃음거리로써 울적한 회포를 푸는 것만 같지 못하다. 그대는 틀림없이 기이한 이야기를 들은 것이 있을 것이니, 나를 위해서 이야기해 주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설총이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하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신이 들으니 옛날에 화왕(花王)이 처음 전래하였을 때 이를 향기로운 정원에 심고 비취색 장막을 둘러 보호하자 봄 내내 그 색깔의 고움을 발산하니 온갖 꽃을 능가하여 홀로 빼어났습니다. 이에 가까운 곳과 먼 곳에서 아름답고 고운 ..

강수 이야기

강수 이야기 강수(强首)는 중원경(中原京)의 사량인(沙梁人)이고, 아버지는 석체(昔諦) 나마(奈麻)이다. 그 어머니가 꿈에 뿔이 달린 사람을 보고 임신하여 낳았는데, 머리 뒤편에 뼈가 불쑥 나와 있었다. ……(중략)…… 나이가 들자 저절로 책을 읽을 줄 알고 의리를 통달하였다. 아버지가 그 뜻을 알아보고자 하여 묻기를, “너는 불교[佛道]를 배우겠느냐? 유교[儒道]를 배우겠느냐?”라고 하였다. 대답하기를, “제가 들으니 불교는 세속을 도외시한 가르침(世外敎)인데, 저는 인간세계의 사람으로서 어찌 부처가 되는 것을 배우겠습니까? 유교의 도를 배우고 싶습니다.”라고 하였다. 아버지는 “네가 좋은 대로 하라.”고 하였다. 드디어 스승을 찾아가 『효경(孝經)』⋅『곡례(曲禮)』⋅『이아(爾雅)』⋅『문선(文選)』을 ..

신라인 당 유학

신라인 당 유학 [원성왕(元聖王) 5년(789)] 9월에 자옥(子玉)을 양근현(陽根縣)의 소수(小守)로 삼으니, 집사사(執事史) 모초(毛肖)가 논박하여 말하기를, “자옥은 문적(文籍)으로 등용되지 않았으니 지방 관직을 맡길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시중(侍中)이 의논하여 말하기를, “비록 문적으로 등용되지는 않았지만 일찍이 당나라에 들어가 학생(學生)이 되었으니 역시 써도 좋지 않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왕은 이에 따랐다. 『삼국사기』권10, 「신라본기」10 원성왕 5년 9월 九月, 以子玉爲楊根縣小守. 執事史毛肖駮言, 子玉不以文籍出身, 不可委分憂之職. 侍中議云, 雖不以文籍出身, 曾入大唐爲學生, 不亦可用耶. 王從之. 『三國史記』卷10, 「新羅本紀」10 元聖王 5年 9月 해설 : 신라가 당나라에..

국학 설립, 독서삼품과 실시

국학 설립, 독서삼품과 실시 국학(國學)은 예부(禮部)에 속하였는데, 신문왕(神文王) 2년(682)에 설치하였다. 경덕왕(景德王)이 태학감(太學監)으로 고쳤으나 혜공왕(惠恭王)이 옛 이름대로 하였다. 경(卿)은 1명이었는데 경덕왕이 사업(司業)으로 고쳤으나 혜공왕이 다시 경으로 칭하였다. 관등은 다른 경과 같았다. 박사(博士)【약간 명이었는데, 수는 정하지 않았다】와 조교(助敎)【약간 명이었는데, 수는 정하지 않았다】가 있었다. 대사(大舍)는 2명이었는데 진덕왕(眞德王) 5년(651)에 설치하였다. 경덕왕이 주부(主簿)로 고쳤으나 혜공왕이 다시 대사로 칭하였다. 관등이 사지(舍知)에서 나마(奈麻)까지인 자로 임용하였다. 사(史)는 2명이었는데 혜공왕 원년(765)에 2명을 더하였다. 교수하는 법은 『주역..

진성여왕대 혼란

진성여왕대 혼란 해인사묘길상탑기(海印寺妙吉祥塔記) 최치원(崔致遠) 지음 당나라 19대 황제가 중흥(中興)을 이루었을 때 전쟁과 흉년의 두 재앙이 서쪽에서 멈추어 동쪽에 와서, 나쁜 중에 더욱 나쁜 것이 없는 곳이 없고 굶어 죽고 싸우다 죽은 시체가 들판에 즐비하였다. 해인사의 별대덕(別大德)인 승훈(僧訓)이 이를 애통해 하더니 이에 도사(導師)의 힘을 베풀어 미혹한 무리의 마음을 이끌어 각자 벼 한 줌을 내게 하여 함께 옥돌로 삼층을 쌓았다. 그 발원 법륜의 계도(戒道)는 크게 보아 호국을 으뜸으로 삼으니, 이중에서 특별히 억울하게 죽어 고해(苦海)에 빠진 영혼을 구해 올려 제사를 지내서 복을 받음이 영원히 그치지 않고 이에 있도록 함이다. 때는 건녕(乾寧) 2년(895, 진성여왕 9년) 7월 16일에 ..

원종과 애노의 난

원종(元宗)과 애노(哀奴)의 난 [진성왕] 3년(889) 나라 안의 여러 주(州)⋅군(郡)에서 공물과 조세를 보내지 않아 나라의 창고가 텅 비어 나라의 씀씀이가 궁핍하게 되었으므로 왕이 사자를 보내 독촉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도적들이 곳곳에서 벌떼처럼 일어났다. 이에 원종(元宗)과 애노(哀奴) 등이 사벌주(沙伐州)를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나마(奈麻) 영기(令奇)에게 명하여 (이들을) 붙잡아 오도록 하였다. 영기가 적의 보루를 멀리서 바라보고는 두려워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였으나 촌주(村主) 우련(祐連)은 힘껏 싸우다가 죽었다. 왕이 칙명을 내려 영기의 목을 베고 나이 10여 세 된 우련의 아들에게 촌주의 직을 잇게 하였다. 『삼국사기』권11, 「신라본기」11 진성왕 3년 [眞聖王] 三年, 國內諸州..

신라 귀족 복식 문화, 법흥왕

신라 귀족 복식 문화 신라 초의 의복 제도는 색상에 대해 살펴볼 수 없다. 제23대 법흥왕(法興王, 재위 514~540) 대에 이르러 비로소 6부(六部) 사람이 입는 복색의 높고 낮음을 제도로 정하였지만, 여전히 오랑캐의 풍속과 같았다. 진덕왕(眞德王) 재위 2년(648)에 이르러 김춘추(金春秋, 604~661)가 당(唐)나라에 들어가 당나라의 의례에 따를 것을 청하니, [당] 태종(太宗, 재위 626~649)이 조서로써 이를 허락하고 아울러 옷과 허리띠를 주었다. 드디어 [김춘추가] 돌아와서 시행하여 오랑캐의 [복색을] 중화(中華)의 것으로 바꾸었다. 문무왕(文武王) 4년(664)에 또한 부인의 의복을 고치니, 이 이후로는 의관이 중국과 같게 되었다. ……(중략)…… 법흥왕 대의 제도에서 태대각간(太大..

흥덕왕 사치 금령 조치

흥덕왕 사치 금령 조치 흥덕왕(興德王) 즉위 9년, 태화(太和) 8년(834)에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사람은 상하가 있고, (그에 따라) 호칭이 같지 않고 의복도 다르다. 그런데 풍속이 점점 경박해지고 백성이 사치와 호화를 다투게 되어 오직 외래 물건의 진기함을 숭상하고 도리어 토산품의 비루함을 혐오하니, 예절이 거의 무시되는 지경에 빠지고 풍속이 쇠퇴하여 없어지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에 감히 옛 법에 따라 밝은 명령을 펴는 바이니, 혹시 고의로 범하는 자가 있으면 진실로 일정한 형벌이 있을 것이다.” 『삼국사기』권33, 「잡지」2, 색복 興德王即位九年, 太和八年, 下敎曰. 人有上下, 位有尊卑, 名例不同, 衣服亦異. 俗漸澆薄, 民競奢華, 只尚異物之珍竒, 却嫌土産之鄙野, 禮數失於逼僭, 風俗至於陵夷..

신라 진골귀족 생활 -금입택(金入宅)

신라 진골귀족 생활 -금입택(金入宅) 신라의 전성기에 서울에는 17만 8936호, 1360방, 55리, 35개의 금입택(金入宅)이 있었다. 남택(南宅)⋅북택(北宅)⋅우비소택(亏比所宅)⋅본피택(本披宅)⋅양택(梁宅)⋅지상택(池上宅)⋅재매정택(財買井宅)⋅북유택(北維宅)⋅남유택(南維宅)⋅대택(隊宅)⋅빈지택(賓支宅)⋅장사택(長沙宅)⋅상앵택(上櫻宅)⋅하앵택(下櫻宅)⋅수망택(水望宅)⋅천택(泉宅)⋅양상택(楊上宅)⋅한기택(漢岐宅⋅비혈택(鼻穴宅)⋅판적택(板積宅)⋅별교택(別敎宅)⋅아남택(衙南宅)⋅김양종택(金楊宗宅)⋅곡수택(曲水宅)⋅유야택(柳也宅)⋅사하택(寺下宅)⋅사량택(沙梁宅)⋅정상택(井上宅)⋅이남택(里南宅)⋅사내곡택(思內曲宅)⋅지택(池宅)⋅사상택(寺上宅)⋅임상택(林上宅)⋅교남택(橋南宅)⋅항질택(巷叱宅)⋅누상택(樓上宅)⋅이..

발해 교통로 - 5도, 신라도

발해 교통로 - 5도, 신라도 용원(龍原)의 동남쪽 연해는 일본도(日本道)이다. 남해(南海)는 신라도(新羅道)이다. 압록(鴨淥)은 조공도(朝貢道)이다. 장령(長嶺)은 영주도(營州道)이다. 부여(扶餘)는 거란도(契丹道)이다. 『신당서』권219, 「열전」144 북적 발해 가탐(賈躭)의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에 이르기를, “발해국(渤海國)의 남해(南海)⋅압록(鴨淥)⋅부여(扶餘)⋅책성(柵城)의 4부(府)는 모두 옛 고구려의 땅이다. 신라 천정군(泉井郡)에서 책성부(柵城府)에 이르기까지 무릇 39역(驛)이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권37, 「잡지」6 지리 4 龍原東南瀕海, 日本道也. 南海, 新羅道也. 鴨淥, 朝貢道也. 長嶺, 營州道也. 扶餘, 契丹道也. 『新唐書』卷219, 「列傳」144 北狄 渤海 賈躭古今郡..

발해 일본 경제 교류

발해 일본 경제 교류 갑인(甲寅)에 천황이 중궁(中宮)에 나아갔는데, 고제덕(高齊德) 등이 왕의 서신과 토산품을 바쳤다. 그 교서에 “[대]무예([大]武藝, 재위 719~737)가 아룁니다. ……(중략)…… 삼가 영원 장군(寧遠將軍) 낭장(郞將) 고인의(高仁義), 유장군(游將軍) 과의도위(果毅都尉) 덕주(德周), 별장(別將) 사항(舍航) 등 24명에게 서신을 가지고 가도록 하였고 아울러 담비 가죽 300장을 정중히 보냅니다. ……(중략)……”라고 하였다. 『속일본기』권10, 신구 5년(728) 봄 1월 임오(壬午)에 [고]제덕([高]齊德) 등 8명에게 각각 빛깔이 고운 비단과 무늬 있는 비단, 면을 하사하되 차등이 있었다. 이에 그 왕에게 새서(璽書)를 내려 말하기를, “천황이 삼가 발해 군왕(渤海郡王)..

신라 일본 교역

신라 일본 교역 신라가 아찬(阿湌) 김항나(金項那)와 사찬(沙湌) 살류생(薩虆生)을 보내 조공하였다. 특산품[調]으로 바친 물건은 금⋅은⋅철⋅솥⋅비단⋅명주⋅베⋅가죽⋅말⋅개⋅노새⋅낙타 따위의 10여 종이었다. 또한 따로 바친 물건이 있었다. 천황(天皇)⋅황후(皇后)⋅태자(太子)에게 금⋅은⋅칼⋅깃발 따위를 바쳤는데, 각각 그 수가 많았다. 『일본서기』권29, 천무 천황 8년 10월(갑자) 대재(大宰)가 신라의 공물을 바쳤는데, 금⋅은⋅비단⋅베⋅가죽⋅구리⋅철 따위의 10여 가지였다. 아울러 별도로 불상⋅여러 가지 채색 비단⋅새⋅말 따위 10여 가지를 바쳤다. 그리고 [김]상림([金]霜林)이 금⋅은⋅채색(彩色) 등 여러 가지 진귀한 물건을 바치니, 모두 80여 가지였다. 『일본서기』권30, 지통 천황 2년 2월..

재당 신라인 교역 활동

재당 신라인 교역 활동 신라 사람 왕청(王請)이 왔으므로 만나 보았다. 이 사람은 본국[일본]의 홍인(弘仁) 10년(819)에 바다에 표류하다가 데슈쿠니[出州國]에 닿은 당(唐)나라 사람 장각제(張覺濟) 등과 같이 배를 탔던 사람이다. 표류하게 된 까닭을 물으니, “여러 가지 물건을 교역하기 위해 이곳을 떠나 바다를 건너는데 갑자기 풍랑을 만나 3개월 동안 남쪽으로 떠내려가다가 데슈쿠니에 닿았습니다 ……(중략)…….”라고 말하였다. 『입당구법순례행기』권1, 개성 4년 정월 8일 당나라에 들어가 유학하던 천태종(天台宗) 승려 원재(圓載, ?~877)의 제자 인호(仁好)와 순창(順昌)이 신라 사람 장공정(張公靖) 등 26명과 함께 나가토쿠니[長門國]에 도착하였다. 『속일본후기』권13, 인명천황 10년 12월..

신라 교역품

신라 교역품 중국의 동해에 있는 이 나라[신라]로부터 가져오는 물품은 비단[調段], 검(劍), 키민카우(kiminkhau), 사향(麝香), 침향[蘆薈], 말 안장 용품[馬鞍], 담비 가죽[貂皮], 도기(陶器), 범포(帆布), 육계(肉桂), 쿠란잔(khulanjan)이다. 이븐 쿠르다지마, 『제도로 및 제왕국지』 [그] 지역[신라]에서는 인삼(人蔘)⋅수은(水銀)⋅사향(麝香)⋅송자(松子)⋅진자(榛子)⋅석결명(石決明)⋅송탑자(松塔子)⋅방풍(防風)⋅백부자(白附子)⋅복령(茯笭)⋅대소포(大小布)⋅모시포(毛施布)⋅동경(銅磬)⋅자기(瓷器)⋅초석(草蓆)⋅서모필(鼠毛筆) 등이 나는데, 상선(商舶)들이 5색으로 염색한 비단에 문자(文字)를 세워 무역을 한다. 조여괄, 『제번지』권상, 신라국

장보고(張保皐), 정년(停年)전

장보고(張保皐)⋅정년(停年)전 신라인 장보고와 정년이라는 자는 자기 나라에서 서주(徐州)로 와서 군중소장(軍中小將)이 되었다. 장보고의 나이는 서른 살이고 정년의 나이는 열 살이 젊어, 장보고를 형이라고 불렀다. 모두 싸움을 잘하였고, 말을 타고 창을 휘두르는데 나라와 서주에서 능히 대적할 사람이 없었다. 정년은 또 바다 밑으로 들어가 50리를 걸어가면서 물을 내뿜지 아니하였다. 그 용맹과 씩씩함을 비교하면 장보고가 정년에게 미치지 못하였으나 장보고는 연령으로, 정년은 기예(技藝)로서 항상 맞서 서로 지지 않았다. 후에 장보고는 신라에 귀국하여 그 왕(흥덕왕)을 뵙고 아뢰기를, “중국에서는 신라 사람들을 노비로 삼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청해(淸海), 신라 해로(海路)의 요지(要地)에 진영(鎭營)을 설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