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 1139

[한국사 126강] 초조대장경, 속장경, 재조대장경, 팔만대장경, 직지심경, 상정고금예문 [잡스한국사]

https://youtu.be/bJMH8SzBpC0 암기하면 이해된다. 잡스9급, https://adipo.tistory.com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한국사 2022.12.07

목판인쇄, 목활자, 木活字, 금속활자, 목판인쇄본, 금속활자본, 직지심체요절, 상정고금예문

● 목판인쇄 木版印刷 나무 판을 목각하여 책의 한면을 통째로 만들어 찍어낸다 ● 목활자 木活字 나무를 목각하여 글자를 하나씩 만들어 조합해서 한면을 만들어 찍어낸다 ● 금속활자 金屬活字 납, 구리로 주조하여 글자를 하나씩 만들어 조합해서 한면을 만들어 찍어낸다 ● 목판인쇄 제1차 대장경=초조대장경 제2차 대장경=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 ● 목판인쇄본 제1차 대장경=초조대장경 ● 금속활자본 직지심체요절 ▪금속활자 최초 기록 고려 때 이규보의 에 의하면 고종 21년(최우 집권기, 1234) 을 간행했다는 기록 (현존하지 않음) ▪현존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 실물 고려 우왕 3년(1377)에 간행된 ▪서양 최고의 금속활자본 1445년 독일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본 42행 성서 ..

잡스 한국사 2022.12.07

교정도감, 교장도감, 대장도감, 도감(都監)

● 도감(都監) ▪교정도감 : 최충헌, 무신집권기 독재기구 ▪교장도감 : 의천, 속장경(신편제종교장총록=교장) 편찬 ▪대장도감 : 최우, 재조대장경 ● 고려 대장경 "초란 속의 팔고" ▪제1차 대장경(초조대장경) 부인사에서 조판, 거란 대비, 몽고 침입 때 소실 ▪속장경(신편제종교장총록=교장) 흥왕사 조판, 의천이 송·요·일 등에서 수집, 교장도감에서 조판선종 내용 무, 몽고 3차 침입때 소실, 송광사에 일부 전함 ▪제2차 대장경(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 몽고 침입시 최우가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조판, 선원사에 보관→조선초기에 해인사로 이전, 국보로 해인사 장경각 보존 ● 최충헌 순서 "진흥봉수이교" 진광후, 흥녕부, 봉사 10조, 수선사, 이규보(문신지위향상), 교정도감(교장도감, 대장도감×) 잡스9급 P..

잡스 한국사 2022.12.06

[한국사 125강] 고려 불교, 천태종, 조계종, 지눌, 의천, 혜심, 요세 [잡스한국사]

https://youtu.be/ahn6Yobs9bY 암기하면 이해된다. 잡스9급, https://adipo.tistory.com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한국사 2022.12.06

정혜쌍수(定慧雙修), 돈오점수(頓悟漸修) - 지눌

정혜쌍수(定慧雙修) 선정과 지혜를 따로 닦을 것이 아니라 병행해야 한다는 불교수행법. 선정과 지혜는 서로 따로 닦을 것이 아니라 병행되어 닦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정혜는 본디 계·정·혜의 3학으로서 서로 떼어놓을 수 없는 것인데, 후세에 선을 닦는 자가 선정에만 치우치고, 교를 공부하는 자는 혜학(慧學)에만 치우치는 폐단을 낳았다. 원래 교는 지식문과 이론문이고, 선은 실천문이다. 지식과 이론을 마음 닦는 방법에 대한 안내라고 보면, 선은 그것을 실천, 체험하는 방편이다. 고려의 보조국사(普照國師)는 선교상자(禪敎相資)의 정혜쌍수를 그 지도이념으로 하여 그릇된 폐단을 없애 올바른 깨달음을 얻도록 하였으며, 이것을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이라 표현하였다. 이 정혜쌍수는 보조국사 이후 우리나라 선종의 중요..

삼국의 사상, 불교, 도교, 풍수지리, 불교 공인 왕, 5교와 9산 [고대 #23]

● 불교 공인 왕 '신흥고수빡침' ▪ 신라 : 법흥왕 6c ▪ 고구려 : 소수림왕 4c - 전진, 순도 ▪ 백제 : 침류왕 4c - 동진, 마라란타 ● 불교의 수용 - 왕실에서 주도 ▪고구려 : 소수림왕 2년(372) 前秦에서 順道가 불상과 불경 전래 ▪ 백제 : 침류왕 원년(384) 東晋에서 摩羅難陀가 불교 전래 ▪ 신라 - 눌지마립간(417~458)때 고구려를 거쳐온 阿道(黑胡子)에 의해 지방 전래 → 실패 - 梁의 사신인 승려 元表에 의해 왕실에 보급 → 귀족 반대로 실패 - 법흥왕 14년(527)에 이차돈 순교 → 법흥왕 22년(535) 공인 ▪호국적 성격이 강함 (인왕경 존중) - 백좌강회(인왕회) : 국가의 평안을 비는 의식 - 팔관회 ▪ 계율종(戒律宗) 주류 - 백제의 겸익(謙益), 신자의 ..

잡스 한국사 2022.12.04

삼국 통일 과정-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소부리주 설치(671)→매소성 싸움(675)

Q 삼국 통일 과정의 역사적 사실들을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되자 웅진에 있던 의자왕이 항복하였다. ㄴ.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평양성을 지키던 연개소문의 아들인 남산이 항복하였다. ㄷ.신라는 사비성을 탈환하고 웅진도독부를 대신하여 소부리주를 설치하였다. ㄹ.신라군이 당나라 군대 20만 명을 매소성에서 크게 물리쳤다. ① ㄱ→ㄴ→ㄷ→ㄹ ③ ㄴ→ㄱ→ㄹ→ㄷ ② ㄱ→ㄷ→ㄴ→ㄹ ④ ㄴ→ㄹ→ㄱ→ㄷ 【해설】 정답 ① ㄱ.백제 멸망(660) → ㄴ. 고구려 멸망(668) → ㄷ. 소부리주 설치(671) → ㄹ. 매소성 싸움(675)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나·당 동맹 백제 의자왕의 잦은 신라 공격 → 김춘추의 활약(고구려에 구원 요청 실패 → 당에 구원 요청 성..

삼국의 사상(불교, 도교, 풍수지리) 두문자, 법흥왕 불교 공인, 담징, 겸익, 아직기, 쇼오토쿠태자 초상

● 불교 공인 왕 - '신흥고수빡침' ▪ 신라 : 법흥왕 6c ▪ 고구려 : 소수림왕 4c - 전진, 순도 ▪ 백제 : 침류왕 4c - 동진, 마라란타 ● 불교 전파 ▪ 고구려 ~ 보덕(열반종), 혜자(일본 쇼오토쿠 태자의 스승), 담징(일본 호류사 벽화·먹·붓·맷돌·5경·종이 전함), 혜관(삼론종), 도현(일본세기) ※일본서기는 일본인이 저술 ▪ 백제 ~ 겸익(성왕·율부 72권 번역), 관륵(일본 천문·역본·불교 전함), 왕인(근초고왕 때·일본 논어 천자문 등 한학 전함), 아직기(근초고왕 때· 토도치랑의 스승), 노리 사치계(성왕 때·일본에 불교를 전함) 아좌태자가 쇼오토쿠 태자의 초상을 그렸다. (아 쇼 초) ▪신라 ~ 원광(수에서 열반종, 세속 5계, 걸사표), 자장(당에서 계율종 전함), 의상(..

한국사 빈출 문제 표 정리

석 기 시 대 청동기 시대(B.C10) 철기시대(B.C2) 중앙집권국가(기원 전후) 구석기(70만년-B.C6000년) 신석기 시대(B.C6000) 단군조선 위만조선(B.C194) 연맹왕국(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고구려, 백제, 신라 유물 ∙ 유적 ∙골각기(뼈도구) ∙빙하기, 간빙기 교차로 해수면 변화 뗀석기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이른민무늬토기(서해안) -덧무늬토기(동해안) -빗살무늬토기(남해안) 간석기 -미송리식토기(고조선 영역과 일치) -민무늬토기 간석기(반달돌칼) 청동기(북방 시베리아 계통) -비파형동검(고조선의 영역과 일치) -거친무늬거울 ∙고인돌, 돌무지 덧널무덤 - 간토기 - 덧띠토기 철제농기구 청동기(의기화) -세형동검(한국형) -잔무늬거울(한국형) ∙철기전래(철제무기→활벌한 ..

잡스 한국사 2022.12.04

한국사 003강, 신석기, 구석기 비교 [잡스한국사]

https://youtu.be/U2m6oDgS7OY 암기하면 이해된다. https://adipo.tistory.com, 잡스9급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한국사 2022.11.21

한국사 002강, 역사관 2가지, 사실, 기록 [잡스한국사]

https://www.youtube.com/watch?v=TFwRdnxi7Cg 암기하면 이해된다. 잡스9급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한국사 2022.11.21

한국사 목차, 잡스한국사

제1편 고대 제2편 고려 제3편 조선 제4편 근대 제5편 현대 제6편 테마 암기 제7편 두문자 암기 제8편 연도 암기 제9편 기출 사료 제10편 기출 문제 해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민법, 상법 PDF 다운로드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한국사 2022.11.21

고려 정치사

고려의 건국 1. 왕건의 등장 (1) 출신 : 송악을 기반으로 한 호족 출신 - 해상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였다. (2) 세력의 확대 : 예성강 유역의 해상세력과 제휴 (3) 후백제 견제 : 궁예의 부하로 수군을 이끌고 금성(나주) 지방 점령 2. 고려 왕조 개창 (1) 918년에 건국 : 국호를 태봉에서 고려로 바꾸고 연호를 천수(天授)로 고쳤으며, 이듬해 국도를 철원에서 송악(개성)으로 다시 옮겼다. (2) 의의 : 신라와 발해로 양립되었던 남북국시대를 하나로 통일함으로써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통일국가가 되었다. (3) 한계 : 영토상 - 고구려의 영토를 모두 차지하지 못하였다. 정신적 - 고구려 계승의식과 신라 계승의식의 갈등을 해소하지 못한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는 조선시대 들어..

고려의 통치 체제

고려 전기의 왕권 강화 정책 광종의 왕권 강화 정책 성종의 유교 통치 체제 정비 노비안검법: 호족이 불법적으로 차지한 노비를 해방시킴 →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 약화 과거제 실시: 유교 지식과 능력을 갖춘 인재 등용 황제 칭호 사용, 연호 사용(광덕, 준풍) 개혁 정책에 불만을 품은 세력들을 숙청 최승로의 시무 28조 채택 → 유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음 통치 제도 정비: 중앙 관제 마련, 향리 제도 마련, 지방관 파견(12목 설치) 유학 교육 강화: 국자감 정비 ▶ 최승로의 시무 28조 1조 청컨대 수령을 파견하여 백성을 돌보게 하십시오. 13조 우리나라는 봄에는 연등회를 개최하고 겨울에는 팔관회를 열어서 노역이 심히 많사오니 이를 줄여서 백성이 힘을 펴게 하소서. 19조 공신의 등급에 따라 그..

독도 일본 자료, 삼국접양지도, 은주시청합기, 태정관 지령문

일본은 기본적으로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를 증거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는 단지 우리나라로 치면 지역 군수가 한 명령에 불가하며 또한 이 시마네현 고시 제40호가 인정받기 위해서는 독도가 무인 지역이라는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독도는 일본의 독도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인 은주시청합기 에 따르면 두 섬에는 사람이 살지 않고 고려를 보는 게 운주에서 은기를 보는 거 같으니 서북 한계를 이 섬으로 지정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일본은 은주시청합기가 지어진 17세기부터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인식한겄으로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에서 독도와 가장 가까운 오키섬에서는 날씨가 아무리 맑아 봤자 독도를 맨눈으로 볼 수 없지만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기록된 것처럼 한국은 울릉도에서 날..

이완용(李完用), 대한제국기 외부대신서리, 의정부 참정대신, 내각총리대신, 을사5적·경술9적·친일반민족행위자

이완용(李完用) 대한제국기 외부대신서리, 의정부 참정대신, 내각총리대신 등을 역임한 관료.을사5적·경술9적·친일반민족행위자.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자는 경덕(敬德)이며, 호는 일당(一堂)이다. 조선 말기 고위 관료를 지내고 국권을 일제에 넘긴 ‘을사5적’ 중 거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8년 6월 7일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백현리에서 가난한 선비 이호석(李鎬奭)의 아들로 태어났다. 집안이 대대로 노론 계열에 속하였으며, 호석의 5대조 이재(李縡)는 숙부 만성(晩成)이 신임사화때 노론 계열로 죽임을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용인에 은거하며 성리학에 몰두하였다. 11세때 먼 일가인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이호준(李鎬俊)에게 입양되었다. 이호준은 명문양반으로 노론파의 후손이고 대원군과 교우하였다. 서형(..

고려와 조선 화폐 제도 두문자

● 고려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물가조절기관 한국은행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 고려 숙종 - 화난 숙종은 벌써 3회독 화 화폐발행 주전도감 난 (남)경개창도감 숙종 은 은병활구 벌 별무반 써 서적포 삼 삼한통보 회 해동통보, 중보 독 동국통보, 중보 고려 조선 화폐 제도 ● 고조선 명도전(중국 춘추전국시대의 화폐, 중국과의 교류관계 증명, 평안도에서 발견) ● 삼 국 오수전(무령왕릉 발견, 중국 양나라 동전) ● 고려 성종 - 건원중보(최초화폐, 철전)(구리✕) 숙종 - ..

무신집권기 반란 순서. 김보당 난, 관노의 난, 효심의 난, 만적의 난, 최광수의 난, 이연년형제 난

● 무신반란 - 중부 포위망 총싸 중 정중부 포(보) 김보당의 난 위 조위총의 난 총싸 1174 망 망이.망소이의 난, 공주 명학소 총싸 1174 ● 전관(에서) (변호사) 빨리 승 전 전주 관 관노의 난 빨리 1182 승 경대승 ● 효심(에는) 이의있삼? 효심 효심의 난 이의 이의민 경주깡패 있삼 1183 에잇삼 ● (똘끼)충만 광수구이 충 최충헌 노비 만 만적의 난 왕후장상 씨, 1198 : 천일구박 만적의난 광수 최광수의 난 구이 1198, 1217 ● 나란히 (태어난) 연년생의 우(정) 나란히 1237 백제부흥운동 연년생 이연년형제의 난 우 최우 기출문제 Q 다음 사건을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김보당의 난 발생 ㈏ 이의민의 권력 장악 ㈐ 김사미와 효심의 난 발생 ㈑ 교정도감의 설..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의 통일, 공산 전투(927), 고창 전투(930), 훈요 10조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의 통일 1. 궁예의 실정 궁예가 스스로 미륵불로 칭하며 포악한 정치를 일삼아 민심을 잃음 → 신하들이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국왕으로 추대 2. 왕건의 통치 고려 건국(918): 연호를 천수, 도읍을 철원에서 송악(개성)으로 옮김 후백제 공격(공산 전투), 신라에는 화친 정책 3. 신라의 투항(935) 고창 전투에서 후백제군 격파 →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에 투항(신라 멸망) 4. 후삼국 통일(936)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후백제에서 내분 발생 → 일리천 전투에서 신검의 후백제군을 격파 → 후삼국 통일(936) 1. 공산 전투(927)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경주를 기습 공격하였다. 이에 고려의 왕건은 신라를 돕기 위해 출전하였다. 그러나 대구 팔공산 근처에서 후백제군의 기습 공격..

삼균주의(三均主義), 조소앙

삼균주의(三均主義)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소앙이 독립운동의 기본방략 및 미래 조국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체계화한 민족주의적 정치사상.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에 균등생활을 실시하려는 주의’이다. 완전균등을 대전제로 하면서 이의 실현을 위해 정치적·경제적·교육적 균등을 주장하고 있다. 1920년대 말 기본적 구상이 정립되고, 한국독립당의 정강에 채택되었으며, 1941년 11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건국의 기본이념으로 공포하였다. 일제에 의한 국권상실 이후 가혹한 정치적 유린과 토지수탈 등 경제적 파탄 및 심한 교육차별대우를 받았던 한민족은 민족적 자각을 통해 정치적 독립과 자유를 지향하고, 경제적인 자립을 추구하며, 무차별 평등교육의 실현을 목표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당..

위정척사 운동 전개-척화주전론, 왜양일체론, 영남만인소, 유인석 창의문

위정척사 운동 전개 ● 개화 - 통항화 통상(1860) → 개항(70) → 개화(80) ● 위정척사운동 - 통항화항 60 통상반대→70 개항반대→80 개화반대→90 항일의병 1860년대 서양의 통상 요구 이항로, 기정진 통상 반대 운동(척화 주전론) ↓ 1870년대 문호 개방 최익현 개항 반대 운동(왜양 일체론, 개항 불가론) ↓ 1880년대 "조선책략"유포 이만손, 홍재학 개화 반대 운동(영남 만인소, 만언 척사소 등) ↓ 1890년대 일본의 침략 정책 유인석, 이소응 항일 의병 운동(일반 민중과 결합) 사료 60 통상반대 양이의 화가 오늘에 이르러 홍수나 맹수의 해로움보다 더 심합니다. 전하께서는 ........ 안으로 관리들로 하여금 사학의 무리를 잡아 베게 하시고, 밖으로 장병들로 하여금 바다를 ..

일제 강점기 사회 운동[소작쟁의, 암태도, 원산총파업]

1920 연대 암기 어린이이 민립이니 안창둘둘 1922 지진틈새 암태이상 조선혁명드세 창조개조파 이상대립 형평이상 물산이상 1923 광수뜨네 1924 카프리오 치안이다 미쓰리오 편수회들다 신민부들다1925 님아리 이유 정우들려 육십이여 1926 신간이지 1927 공황이군 파업이군 광주리군 문자두근 1929-민족말살통치기 한국독립당 청구 성장 1930 어학세일 만보기세일 만주쌈한 애국선원 브나세원 1931 농촌쌀이 봉봉삶니 한중상이 1932 한글세상 1933 1920년대 : 기만적 '문화통치기' ★민족주의-실력양성운동(물산장려, 민립대설립) ★사회주의-쟁의투쟁(암태도, 원산파업) ★좌우합작-신간회 ★의열단-조선혁명선언 ★20년대 무장투쟁 만주-"삼봉 춘청 경유시 3미 운동" 실력양성운동 민족주의진영 주도 ..

세도 정치기 - 비변사, 삼정문란, 홍경래 임술농민 봉기

세도 정치 1. 배경 정조 사후 정치 세력 간의 균형 붕괴 → 소수의 유력 가문에 권력 집중 2. 전개 순조(안동 김씨) → 헌종(풍양 조씨) → 철종(안동 김씨) 3. 권력 구조의 변화 비변사로 권력 집중, 세도 가문이 주요 관직과 군영 장악 → 의정부와 6조의 유명무실화, 왕권 약화 초래 세도 정치의 폐단과 사회 모순의 심화 1. 정치 기강 문란 매관매직, 과거 시험의 부정 성행 → 수령의 농민 수탈로 이어짐 ▶세도 정치가 가져온 정치적 폐단 과장(科場)의 폐단은 예전에도 가끔 있었으나, 그때는 고시(考試)를 명백히 밝히기 어렵고 정식(程式)을 정밀히 하지 못하는 데에 있었을 뿐이었다. 지금 과장의 폐단은 고시, 정식 외에 또 있다. 물색(物色)으로 뽑고 서찰로 꾀하여 법을 업신여기고 사(私)를 꾀하..

조선 왕 업적 두문자 암기 #01

조선 왕 15c 태정태세문단세예성 16c 연중인명선 17c 광인효현숙경 18c 영정 19c 순현철 태조=정도전 저서 - 삼진경고불조심 삼 삼봉집 진 진법서 경 경제문감 고 고려국사 불 불씨잡변 조 조선경국전 심 심기리편 태종 - 6조 신사의계 창사양호 6조 6조 직계제(왕권강화) 신 신문고 설치 사 사간원설립 의 의금부 설치 계 계미자 창 창덕궁건립 사 사섬시(저화발행) 양 양전사업 호 호패법 戶牌 16세 이상 민증 세종 - 조공왕 갑칠 내집 혼자 농삼향의 총여정 앙측 조 조선통보 공 공법 왕 왕도정치 갑 갑인자 칠 칠정산 내 내불당 집 집현전 혼 혼천의 간의 자 자격루 농 농사직설 삼 삼강행실도 향 향약집성방 의 의방유취 총 총통등록 여 여민락 정 정간보 앙 앙부일구 측 측우기 세조 - 보육원 간 유경..

삼국시대 왕 업적 두문자 암기

● 불교 공인 왕 - '신흥고수빡침' 신라 : 법흥왕 고구려 :소수림왕 백제 :침류왕 ● 나제 동맹 체결 왕 - '비눌나제' 비유왕(백제), 눌지왕(신라) ● 고대국가 기틀 고구려 태조왕 백제 고이왕 신라 내물왕 ● 율령 반포 고구려 소수림왕 백제 고이왕 신라 법흥왕 ● 한강유역 점령 고구려 왕 장수왕 백제 왕 고이왕 신라 왕 진흥왕 한강이북 점령 고구려 왕 광개토대왕 웅진 천도 문주왕 사비 천도 성왕 고구려 고국원왕 죽인 왕 백제 근초고왕 백제 개로왕 죽인 왕 고구려 장수왕 백제 성왕 죽인 왕 신라 진흥왕 신라 내물왕 도운 왕 고구려 광개토대왕 결혼 동맹으로 강화한 왕 동성왕(백제), 소지왕(신라) 나제 동맹을 와해시킨 왕 성왕(백제), 진흥왕 고구려 광개토대왕 연호 영락 신라 법흥왕 연호 건원 발해 ..

북한의 정치·경제적 변화

● 주체사상의 확립과 김정일 후계 체제 1. 주체사상의 등장 소련에서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 중·소 이념 분쟁 → 북한의 독자 노선 모색 → 북한의 유일사상으로 정립(1967), 헌법에 통치 이념으로 공식화(1972, 사회주의 헌법) → 김일성의 개인숭배 합리화, 반대파 숙청, 김일성의 1인 독재 체제를 사상적으로 뒷받침 2. 김정일 후계 체제의 성립 3대 혁명 운동, 3대 혁명 붉은기 쟁취 운동 주도, 주체사상 해석 독점, 조선 노동당 대회에서 김정일 후계 공식화(1980), 국방 위원장에 취임(1993) 3. 김정일 권력 승계 김일성 사망(1994) 후 유훈 통치(1994~1997), 1998년 헌법 개정(주석직 폐지, 국방 위원장의 권한 강화, 사회주의 강성대국 표방, 김정일 체제 공식 출범) 북한..

대한민국의 수립-유엔 총회 결의, 남북 협상, 제주도 4·3 사건, 여수·순천 10·19 사건, 5·10 총선거, 제헌 헌법

제주폭파 협상폭파 오십(총선)내에 대한정부사파 1948 반민폭군 농지일궈사구 미군끝네구 김구사고 1949 제주도 4. 3 사건 (1948. 4. 3)▷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 8. 15)▷여수, 순천 사건(1948. 10. 19 사건) ● 한국 문제의 유엔 상정 1. 유엔 총회 결의(1947. 11.)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총선거를 통해 통일 정부 수립 2. 소련의 입북 거부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을 결성하여 파견하였으나 소련은 이들의 입북 거부 3. 유엔 소총회 결의(1948. 2.) 가능한 지역만이라도 총선거를 실시하도록 결정 → 결국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결정하였다는 의미 ● 단독정부 수립 반대의 움직임 1. 남북 협상의 추진 주도 세력:김구, 김규식은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고 이북에 ..

1980년대 한국 경제(전두환 정부)와 시장 개방

● 1980년대 한국 경제(전두환 정부) 1. 대책 제2차 석유 파동 후 중화학 공업의 투자 조정 및 부실기업 정리, 자본 자유화 정책 추진 2. 3저 호황 1980년대 중반의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로 고도성장, 물가 안정 ● 시장 개방과 한국 경제 1. 개방 압력 우루과이 라운드 타결(국내 농업에 큰 타격), 세계 무역 기구 설립(1995) ▶ 신자유주의의 확대 이 협정의 당사자들은, 서로 다른 경제 발전 단계에서의 각각의 필요와 관심에 일치하는 방법으로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한다. 이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면서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목적에 일치하는 세계 자원의 최적 이용을 고려하는 한편, …… 관세 및 그 밖의 무역 장벽의 실질적인 삭감과 국제 무역 관계에서 차별 대우의 폐지를 지향하는 상호호혜적..

신군부, 전두환(5공), 노태우(6공) 정부

● ‘신군부’ 쿠데타 집권(1979.12.12~1981.3.2) 12·12 쿠데타(1979.12.12) 서울의 봄(1980.3~5) 전두환의 중앙정보부장서리 겸임(1980.4.14) 5·18 광주 민주화 운동(1980.5.18)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설치(1980.5.31) 7·30 교육 개혁 조치(1980.7.30) - 대학 본고사 폐지, 학력고사제 시행, 졸업정원제(1981) 삼청교육대(1980.8.4) 미국의 전두환 장군 승인(1980.8.8) 전두환의 제11대 대통령 취임(1980.8.27) - 통일주체국민의회에서 선출 북한의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안’(1980.10.10) - 1연방국가 2체제, ‘최고민족연방회의‘ 구성 제8차 개헌(1980.10.27) - 대통령 임기7년(단임제), ‘대통령선..

10,4 남북공동선언 2007

노무현 '노신사 10,4 남북공동선언 2007, 정전 체제 종식과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 이산가족 상봉 확대 10,4 남북공동선언 2007 대한민국 노무현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이의 합의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이 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을 방문하였다. 방문기간중 역사적인 상봉과 회담들이 있었다. 상봉과 회담에서는 6.15 공동선언의 정신을 재확인하고 남북관계발전과 한반도 평화, 민족공동의 번영과 통일을 실현하는데 따른 제반 문제들을 허심탄회하게 협의하였다. 쌍방은 우리민족끼리 뜻과 힘을 합치면 민족번영의 시대, 자주통일의 새시대를 열어 나갈수 있다는 확신을 표명하면서 6.15 공동선언에 기초하여 남북관계를 확대.발전시켜 나가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