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 Humanities 1203

한비자(韓非子), 법가(法家)

한비자(韓非子) BC 280 ~ 233? 한비자의 이름은 비(非)이다. 그는 전국시대에 한나라의 왕족으로 태어났다. 하지만 어머니가 낮은 신분의 여자였기에 왕위를 노릴 정도의 왕자는 되지 못하였다. 그는 대 사상가 순자의 촉망받는 제자였는데, 젊은 시절부터 재능과 글솜씨가 뛰어났었다 한다. 그 후 한비자는 순자의 성악설, 신불해의 법 이론 등에 기초한 법가 사상을 스스로 제창했다. 그의 법가 이론은 냉혹한 약육강식의 논리로 당시 그가 처한 시대상을 잘 반영해 준다. 그가 태어난 한나라는 당시 약소국으로서 주변 강국의 압박을 받아 멸망 직전이었기 때문이다. 송나라는 그 당시 진나라의 침략으로 영토가 점점 좁아졌고 골육상쟁과 권력 다툼, 당파 싸움으로 정치는 혼미 상태였다. 그래서 한비자는 망해가는 나라를 ..

제갈공명, 출사표, 出師表, 출사표 전문

촉한의 재상 제갈량이 위나라를 정벌하고자 황제 유선에게 올린 표문. 출사표라는 말 자체는 '출병할 때에 그 뜻을 적어서 임금에게 올리던 글'을 뜻하는 일반명사이지만, 제갈량의 출사표가 너무 유명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문맥 없이 '출사표'라고만 하면 제갈량의 출사표를 일컫는다. 전출사표, 후출사표 두 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편은 227년, 후편은 228년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지(三國志)》의 , 《문선(文選)》 등에 수록되어 있다. 훗날 지어진 삼국지연의에도 원문이 그대로 수록되어 있다. 전출사표는 나라의 장래에 대한 제갈량의 걱정과 스스로에 대한 다짐이 주된 내용을 이루며, 그 진정성이 표문 전체에 절절이 녹아있어 이밀의 진정표와 함께 표문의 교범과도 같은 존재로 꼽힌다. 옛말 중에 "진..

장건, 실크로드, 흉노, 한, 서역

장건(張騫, ? ~ 기원전 114년) 자는 자문(子文)이며 지금의 산시 성 성고현 사람으로 기원 전 2세기 중국 한나라 때 여행가이자, 외교관이었으며 탁월한 탐험으로 실크로드의 개척에 중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는 한나라 때 서역으로 가는 남북의 도로를 개척하였으며, 서역의 한혈마, 포도, 석류, 복숭아 등의 물품을 가져오기도 했다. 장건이 서역으로 떠난 이유 기원전 139년 한나라 건원 4년, 당시 한나라는 변방을 어지럽히는 흉노에 대항하기 위해 대월지에 대한 동맹을 맺으려 사자를 모집하였다. 장건이 지원을 해서 지원자 100명의 수행원을 거느리고, 서역으로 가서 대월지국으로 향하였다. 이전에 대월지는 월지라고 불리었는데, 흉노의 묵돌 선우와 그 아들 노상 선우에게 패한 후, 서쪽으로 옮겨 이름을 대월지..

여태후, 묵돌선우, 평성의 치, 성희롱

기원후 1세기 쯤이라면 욱일승천하며 한나라를 쥐락펴락했던 흉노가 한무제의 반격을 받고 북으로 북으로 쫓겨난 시기였다. 흉노의 전성기는 기원전 200년~기원전 100년 사이였다. 흉노는 특유의 기마전법으로 진나라 말~한나라 초 어지러운 중원의 상황에 힘입어 강성해졌다. 특히 두만 선우(?~기원전 209)에 이어 정권을 잡은 묵특(돌) 선우(기원전 209~174)가 흉노를 강대국으로 키웠다. 천하를 통일한 한나라 고조도 묵돌선우에게 무릎을 꿇고만다. 즉 한나라가 중원을 통일한 기원전 202년 겨울, 한고조 유방은 흉노 묵돌선우의 계략에 말려 평성(산서성 대동시·山西省 大同市)에서 일주일간이나 포위당했다가 겨우 목숨을 보전한다. 이것이 중국역사가 일컫는 ‘평성의 치욕’이다. 한나라는 흉노의 계속된 침략에 ‘한..

왕소군, 중국 4대 미녀, 흉노, 평성의 치

王昭君 양귀비, 서시, 초선과 더불어 중국 4대 미녀 중 한 명. 기원전 1세기경의 인물로, 흉노의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 복주누약제 선우(復株累若鞮單于)의 처로 원래는 한나라 원제의 궁녀였다. 정확한 생몰연도는 불확실하다. 다만 호한야 선우와 결혼한 시기 등을 통해 출생 년도를 추정할 뿐이다. 본명은 장(嬙)으로 성과 합쳐 왕장이 본명이지만, 자가 소군이기에 흔히 왕소군이라 불린다. 또 호한야 선우는 왕소군을 녕호 연지(寧胡 阏氏)로 봉했다. 훗날 사마소의 이름인 '소(昭)'를 피휘하여 왕명군(王明君) 혹은 명비(明妃)라 일컬어지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양귀비나 초선 등에 비하면 일반 대중들에게는 비교적 덜 알려져 있는 인물. 그러나 중국에서는 지지가 확고한 미녀이다. 포사, 양귀비 등 대부분 중국사..

평성의 치, 백등산 포위전, 흉노 묵특선우, 한 유방

백등산 포위전(한국 한자: 白登之圍 백등지위)은 기원전 200년 전한과 흉노 사이에 발생한 군사 충돌이다. 한고조는 흉노를 복속시키기 위해 그 영토를 침공했지만 묵돌 선우의 반격에 오히려 백등산(白登山)에 고립당했다. 고조는 7일간 버티다가 모사 진평의 계책으로 묵돌 선우의 왕비에게 뇌물을 주어 포위가 느슨해진 틈을 타 달아났다. 이후 한나라와 흉노는 형제 관계의 화친을 맺었다. 서초왕 항우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재통일한 황제 유방(유방)은 흉노에 대비하기 위해 한왕 신을 대(代) 땅으로 파견했지만, 한왕 신은 흉노와의 평화를 주장했다. 이를 배신으로 간주하자 한왕 신은 흉노에 투항했고, 한왕의 군대가 더해진 흉노 4만 대군이 태원(太源)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고조는 32만 군대를 거느리고 평성(平城)에서..

카르페 디엠, Carpe Diem,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아모르 파티Amor fati

고대 로마의 시인이었던 호라티우스(Quintus Haratius Flaccus)가 지은 시 가운데 죽음과 삶을 나타내는 2개의 격언이 있습니다. 그것은 메멘토 모리(Memento Mori)와 카르페 디엠(Carpe Diem)입니다. 메멘토 모리는 라틴어로 memento (remember), mori(to die)로’ 자신이 언젠가 죽는 존재임을 잊지 마라’라는 의미로 자신에게 주어진 인생을 진지하고 겸손하게 살라는 뜻입니다. 카르페 디엠은 “현재에 최선을 다하라. 가급적 내일이란 말은 최소한만 믿어라” (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라는 호라티우스의 송가 가운데 유래된 말인데 “현재를 잡아라”라는 의미로 지금 이 순간에 최선을 다하라는 뜻입니다. 로마 공화정시..

거란, 여진, 말갈, 숙신, 선비, 돌궐, 흉노, 훈족

● 거란 5세기 이래 요하(遼河) 상류인 시라무렌(Siramuren) 유역에서 여러 부족으로 분열되어 거주하였는데, 당나라 말기에 통일의 기운이 일어나면서 916년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여러 부족을 통합한 다음 황제를 칭하고 거란을 건국하였다. 이에 물자가 풍부한 중원(中原)으로 진출하기 위해 926년 발해를 멸망시키고 화북의 연운(燕雲) 16주(州)를 획득, 947년 국호를 요(遼)로 개칭한 다음 계속 남진정책을 실시했으나 960년 송이 건국됨으로써 대치하는 상태가 되었다. 대제국을 형성한 거란은 북쪽의 초원지대와 남쪽의 농경지대로 구분되었기 때문에 이원적 호한분치제도(胡漢分治制度)를 형성하였다. ● 돌궐 투르크(Türk)의 음을 따서 한자화한 말로, 처음에는 철륵(鐵勒:예니세이강 상류, 바이칼호 ..

북송 멸망(1127년), 여진족 , 금나라, 아구타, 해상의 맹약, 정강의 변

만주에는 퉁구스계의 여진 부족이 널리 분포되어 반농반목의 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일찍이 발해의 지배하에 있었는데, 발해 멸망 이후에는 요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들 중 이미 요의 지배하에 편입된 세력은 '숙여진', 그렇지 않은 부족들은 '생여진'으로 불리었다. 생여진 중에 하얼빈 남쪽 아십하(阿什河) 강 유역에 거처하던 완안부(完顔部)가 추장 완안아구타를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하여 12세기 초 동아시아에 돌풍을 몰고 왔다. 여진 부족의 통합은 아구타의 할아버지 오고내 때 시작되어 숙부인 영가(盈歌) 때 가속화되었다. 아구타(阿骨打)는 취약한 요의 내부를 간파한 후 마침내 1115년, 여진족 최초의 국가를 건설하고 국호를 대금이라 하니, 그가 금 태조이다. 금은 하늘을 찌를듯한 기세로 요의 진압군에 ..

거란족, 여진족, 말갈족, 만주족, 돌궐족

● 여진족=말갈족=만주족 만주족은 중국의 동북지방인 만주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의 하나입니다. 만주족이라는 이름은 중국 최후의 왕조인 청(淸)을 세우고 그 지배층이 되었던 남방 퉁구스계를 가리키는 용어로, 역사상 숙신(肅愼)·읍루(婁)·물길(勿吉-중국 남북조시대)·말갈(靺鞨-중국 수당시대)·여진(女眞-10세기 전후) 등으로 불렸습니다. 부여·고구려·발해·요(遼)·고려 등 주변 민족이 세운 나라의 지배와 영향을 받다가 12세기에 이르러 아구다[阿骨打]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금(金)을 세워 한때 만주와 북중국을 지배했으나 칭기즈칸 시절 금이 몽골에게 멸망한 뒤 다시 부족단위로 반농경·반유목 생활로 돌아갔다가 16세기말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1616년 누루하치(奴爾哈齊)의 주도로 후금(後金)을 세웠으며 국..

세계사 연표

날짜 사건 300000 10800 BC 연천전곡리주먹도끼유물발굴 한국 영거 드라이아스 9600 BC 괴베클리 테페 8000 BC 7215 BC 예리코 고대 도시 환국창건 한국 7000 BC 6500 BC 차탈 후유크 고대 도시 요하문명 한국 6200 BC 8200년전 기후변화 사건 6200 BC 싱룽와 문화 5677 BC 마자마 화산폭발 5000 BC 우바이드 문화 5000 BC 양사오(仰韶) 문화 4700 BC 훙산 문화 한국 4000 BC 수메르 우루크기 3500 BC Yamna 문화 3114/08/13 BC 마야 달력의 시작 3102/02/17 BC 칼리유가의 시작 3100 BC 메네스,이집트 통일 3100 BC 이집트 초기왕조 시대 3100 BC 인더스 강 유역에 계획도시 성장 3000 BC 룽산..

브루스 립턴, Bruce H. Lipton,Epigenetics ,Power of Subconscious Mind

당신은 50조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You are made out of 50 trillion cells. ​ 그리고 그 세포들은 살아있는 독립체입니다. and the cells are the living entities. ​ 그래서 여러분은 공동체이지, 하나의 사람이 아닌 것입니다. So you are a community, not a single person. 하지만 당신의 정신은 50조 세포를 위한 중앙정부입니다. But your mind is the government for the 50 trillion cells. ​ 당신 몸속의 각 세포는, 안쪽은 마이너스 전압을, 바깥쪽엔 플러스 전압을 가지고 있죠. Every cell in your body, has minus voltage on th..

당신의 주인은 DNA가 아니다, 브루스 H. 립턴

세포학자가 들려주는 ‘유전자 결정론’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통렬한 비판 신생물학을 이끌어가는 세계적인 학자 중의 한 사람인 브루스 립턴 박사. 세포생물학자이자 의학자이기도 한 그는 ‘세포’를 통해 ‘인간’의 삶과 운명을 들여다본다. 그리고 자신을 유전자의 꼭두각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즉 유전적 결정론에 매달려 유전자의 노예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의 생물학적 성질을 지배하는 것은 유전자가 아니라는 과학적인 진실과 충고를 들려준다. 우리의 몸과 운명을 바꾸는 것은 유전자가 아니라 ‘믿음’과 ‘환경’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그리고 우리가 ‘생각을 바꾸어 사고의 과정을 재훈련하기만 하면 몸도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도 전한다. 이 책은 신생물학을 대표하는 책이다. 우리의 건강을 지배하는 것은 유전자..

에도 막부, 도쿠가와 시대 (徳川時代, 1603 ~ 1868)

일본의 ‘에도 막부’ (江戸 幕府) / 에도 시대 (江戸時代) 혹은 도쿠가와 시대 (徳川時代, 1603 ~ 1868) 17세기 초,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현 도쿄)를 본거지로 창설한 에도 막부 (江戶幕府)가 집권하던 시대다. 에도 시대 (일: 江戸時代, 에도 지다이) 혹은 도쿠가와 시대 (일: 徳川時代, 도쿠가와 지다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운 에도 막부가 일본을 통치한 1603년부터 1868년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에도 시대 일본에서는 급격한 경제 발전이 이루어졌고 유래없는 번영이 이루어졌다. 에도 막부는 사회 안정을 최고 국시로 삼고 쇄국 정책을 펴 외부 세력들의 출입을 막았으며, 와(和)를 기반으로 한 정책들을 실시하였다. 이 시기 일본은 우키요에와 같은 다양하고 아름다운 문화들이 꽃피웠..

유럽 분류, 동유럽, 서유럽 국가, 북유럽 국가, 남유럽 국가, 유엔 통계국(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UNSD) 분류

유엔 통계국(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UNSD) 분류 1. 동유럽 나라들 벨라루스 불가리아 체코 헝가리 몰도바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2. 북유럽 나라들 올란드 제도 덴마크 에스토니아 페로 제도 핀란드 건지섬 (Guernsey)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맨섬 (Isle of Man) 저지섬 (Jersey)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노르웨이 사크섬 (Sark) 스발바르와 얀마옌 제도 (Svalbard and Jan Mayen) 스웨덴 영국 3. 남유럽 나라들 알바니아 안도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지브롤터 그리스 이탈리아 몰타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포르투갈 산마리노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바티칸 4. 서유럽 나라들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독..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 포합어, 언어유형론, 형태론

형태론적 유형 분석어 -고립어 종합어 -굴절어 -교착어 -포합어 고립어(孤立語, isolating language) 고립어(孤立語, isolating language) 또는 분석어(分析語, analytic language)는 대부분의 형태소가 그 자체로 낱말이 되는 언어를 말한다. 고립어에서는 낱말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낱말의 통사적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어순이 중요하다. 고립어의 대표적인 예로 중국어가 있다. “내 친구가 달걀을 먹고 싶어 한다.”한자한어병음한글 발음의미 我 的 朋友 想要 吃 鸡 蛋 wǒ de péngyou xiǎngyào chī jī dàn 워 더 펑여우 샹야오 츠 지 단 나 소유격 친구 원하다 먹다 닭 알 위와 같이 중국어에서는 한두 개의 음절이 하나의 개념에 해당한다. 또한 중..

미국 건국 가치, 공화, 민주, 공화당, 민주당

현재 민주당과 공화당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며 다른 정당이 집권하기 어려운 양당제 국가라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주 의회 같은 경우에는 주마다 법률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정당들이 민주당과 공화당을 제치고 많은 의석을 확보하기도 한다. 1776년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독립전쟁에 가담한 13개 주들은 각각 주권국가이면서 동시에 연합체의 형태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연합체 방식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했고, 결국 1787년 연방헌법이 제정됨으로써 마침내 미국이 탄생하게 되었다. 미국은 왜 독립을 선언하고 또 연방국가를 창건하게 됐을까? 미국 독립선언문을 보면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게 태어났으며, 창조주로부터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 받았고, 이런 기본권에는 자유와 평등 그..

이란, 미국, 팔레비 왕조, 호메이니

2020년 1월 3일, 이란의 2인자 카셈 솔레이마니가 미국의 드론에 의해 암살을 당했습니다. 그로부터 이틀 뒤인 1월 5일 이란은 미군 기지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습니다. 이란은 공격하기 전에 공격 사실을 미리 알렸다고 전해지며, 미 정부는 미군의 사망자는 0명이라고 발표합니다. 하지만 확전이 될 가능성이 높아 전 세계가 불안한 중동의 상황을 지켜보았습니다. 미국은 왜 솔레이마니를 암살했으며, 이란은 왜 이라크 내의 미군 기지를 공격했을까요. 많은 사람이 잊고 있지만 사실 두 나라는 동맹국이었습니다. 1. 동맹이었던 그들 1953년 당시 이란은 모하마드 모사테크라는 총리가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습니다. 그는 민족주의적인 성향으로, '알라의 은총을 서구가 강탈한다'라며 서구 국가를 비난했습니다. 13원인 원..

수니파(Sunni), 시아파(Shia), 무함마드=예언자, 칼리프

차이점 수니파( Sunnis ) 시아파( Shiis ) 지지자 94천만 12천만 무슬림 중 비율 85~90% 10~15% 예언자의 대리인(후계자)에 대한 관점 예언자=무함마드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지정하지 않았다고 믿으며, 무함마드의 후계자는 범이슬람 공동체인 움마(ummah)가 슈라(Shura)라는 협의 과정을 통해 선출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지정했다고 믿으며, 무함마드의 친족만이 후계자가 될 자격이 있다고 믿습니다. 칼리프에 대한 관점 예언자는 무함마드의 장인인 아부 바르크를 시작으로 하는 4명의 정통 칼리프를 인정합니다.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이며, 4명의 정통 칼리프 중 마지막 칼리프인 '알리'만이 진정한 칼리프이며, 따라서 알리의 후계자들만이 진정한 이슬람의 지도자라고 봅니..

그리스인 조르바, Zorba the Greek, 니코스 카잔차키스, 명언

“I hope nothing. I fear nothing. I am free.” ― Nikos Kazantzakis 현대 그리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장편소설『그리스인 조르바』. 카잔차키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작품으로, 호쾌한 자유인 조르바가 펼치는 영혼의 투쟁을 풍부한 상상력으로 그리고 있다. 주인공인 조르바는 카잔차키스가 자기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 꼽는 실존 인물이다. 이 소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카잔차키스의 인생과 작품의 핵심에 있는 개념이자 그가 지향하던 궁극적인 가치인 '메토이소노', 즉 "거룩하게 되기"를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육체와 영혼, 물질과 정신의 상태 너머에 존재하는 변화이다. 이 개념에 따라 카잔차키스는 조르바라고 ..

공산주의, 사회주의, Communism, Socialism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의 급진적 하위 개념이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둘을 혼용하곤 한다. 이 때문에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같다고 봐서 위의 문단처럼 공산주의는 나쁘니까 사회주의도 나쁘다라는 인식을 가진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여기에서도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문서가 분리되어 있듯이,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같은 개념이 아니다. 사회주의의 또 다른 분파들인 사회민주주의의 존재만 봐도 공산주의가 사회주의와 똑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니까, 굳이 관계를 따지자면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의 다양한 분파 중에 급진적인 이데올로기였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다. 다만 시대적 맥락에서 마르크스주의와 다른 사조를 구별하기 위해 어떤 때는 공산주의, 어떤 때는 ..

남미(南美), 미국의 독립, 포르투갈 식민지, 페닌술라르, 크리올,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 미국의 독립 1755년에서 1763년까지 오하이오 강(Ohio River) 주변의 인디언 영토를 둘러싼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 쟁탈전인 프렌치 인디언 전쟁(French and Indian War)이 벌어졌습니다. 또한 유럽에서는 1756년에서 1763년까지 주로 오스트리아-프랑스-작센-스웨덴-러시아 연합 대 프로이센-하노버-영국 연합으로 싸운 7년 전쟁 또는 포메라니아 전쟁(Pomeranian War)이 벌어졌습니다. ​ 두 전쟁 다 영국의 승리로 승부가 나게 되면서, 영국은 식민지에 대한 지배와 조세를 강화하기 위한 1765년 인지세법(Stamp Act), 1767년 타운젠트 법(Townshend Acts)을 제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한 식민지 차별 정책으로, 식민지 국민들의 민심이반으로..

1차 세계대전, 원인, 이유, 제국주의 전쟁, 식민지 쟁탈전, 삼국동맹, 영일동맹, 연합국, 일본 경제 부흥

1차 세계대전으로 얻은 이익(1914년 ~ 1917년)1912년 : 청 멸망, 중화민국 성립1917년 : 미국 참전; 러시아 11월 혁명1919년 : 한국 3 · 1운동    1914년 6월 오스트리아 황태자가 세르비아의 한 청년에게 암살당하는 사건을 계기로 이해 7월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고 전화(戰火)는 전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영국 · 프랑스 · 러시아 등의 연합군(삼국협상)과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등의 동맹군(삼국동맹)과의 사이에 치열한 전쟁이 전개되었다. 제국주의 열강이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약소국들을 식민지화 하여 전 세계의 1/5, 전 인류의 1/10이 제국주의 열강들의 지배 아래 들어가게 되었다. 1차 세계대전은 식민지 쟁탈을 위해 일어난 제국주의전쟁의 성격을 지닌다...

시각장애인 팝페라 가수 안드레아 보첼리 Andrea Bocelli

1994년 유럽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음악제인 이태리 ‘산레모 가요제’의 마지막 결선무대에 특이한 모습의 한 청년이 익숙치 않은 모습으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눈을 감고 노래 부르는 그의 모습은 일반적인 참가자와는 달리, 관중들의 호기심과 함께 점점 그의 노래 소리로 빠져들게 만든다. 노래가 흐르면 흐를수록 그의 소리는 대중적 창법에서 성악가의 목소리로 변하고 시종일관 눈을 감고 부르는 그의 노래는 웅장한 반주와 뛰어난 성악발성의 아름다운 앙상블로 멋진 피날레를 장식한다. 사람들은 일제히 그에게 감동의 환호를 표하였고, 그는 그 해 산레모가요제의 대상을 차지하게 되지만, 정작 영예의 대상 수상자인 그는 여전히 눈을 감고 지긋히 미소만 지을 뿐이다. 마치 사람들의 환호속에서 오히려 자신이 기쁨과 감사의 ..

맥루한, 미디어는 메시지다, 스마트폰, 미디어 리터러시

맥루한, 미디어는 메시지다. 미디어(media)는 그 말의 의미처럼 우리의 삶을 ‘매개’한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매개하고, 또 사람과 사회 사이를 매개한다. 그러니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미디어의 존재는 아주 중요하다. 그 시대에 지배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미디어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인간의 삶의 풍경도 변화하기 마련이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람과 소통하는 방식도 변화하고, 또 사회에 참여하는 방식도 변화하는 것이다. 그래서 오래 전 미디어 철학자인 마샬 맥루언은 통찰력 있게 미디어에 따라서 시대를 구분하기도 했다. 말이 중심이 된 구술 시대와 문자가 중심이 된 인쇄 시대, 영상 이미지가 중심이 된 전자 시대로 말이다. 미디어라고 하는 것이 그저 인간의 편리함을 위해 주어진 작은 도구..

1차 세계대전 서부전선 참호전과 노 맨스 랜드-1917 역사배경

1차 세계대전 서부전선과 노 맨스 랜드 (Western Front (World War I) and No man's land) 1차 세계대전 서부전선 실제 모습 위 사진 안의 맨위 두개의 사진이 실제 참호의 사진. 대치가 오랫동안 계속되며 참호의 길이는 점점 길어지고 미로처럼 복잡해 졌는데 그 길이를 다 합치면 지구를 한바퀴 돌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1차 세계대전 서부전선 독일이 벨기에를 침공하고 프랑스 파리까지 공격을 개시했지만, 독일은 홀로 프랑스, 러시아, 영국 3대 강국과 싸워야했고, 이에 미국이 지원할 가능성 또한 매우 높았습니다. 또한 독일은 서부에는 프랑스 동부에서는 러시아와 전쟁하는 양면전쟁의 부담을 안고 있었습니다. ​ 이 영화는 1917년 4월 6일 미국이 중립을 깨고 독일과 전쟁..

세계화,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의 도래 1. 배경 ▶ 교통·통신 수단의 발전 → 지구촌, 기술 혁신(제트 여객기, 컨테이너 등장, 국제 통화, 인터넷 발전) → 일일 생활권, 실시간 정보 검색 가능 2.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 1970년대의 석유 파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 → 각종 규제 철폐, 세금 부담과 사회 복지 비용 감축, 기업의 구조 조정 실시, 대처주의(영국), 레이거노믹스(미국) 세계 경제의 변화 1. 브레턴우즈 협정(1944) ▶ 국제 통화 기금(IMF, 1945)과 세계 은행(IBRD, 1945) 설립 2.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1947) ▶ 관세율 인하, 자유 무역 확대 3. 지역 간의 경제 통합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967), 아시아·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198..

냉전 체제, 국제 연합

국제 연합 1. 과정 ▶ 대서양 헌장(1941, 창설의 기초) → 샌프란시스코 회의(1945, 국제 연합 헌장 채택) 2. 특징 ▶ 안전 보장 이사회가 총회의 결정보다 우선권을 가짐, 5개 상임 이사국의 거부권 행사 냉전 체제의 전개와 변화 1. 성립 ▶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 중심의 공산주의 진영 간의 대립 트루먼 독트린(1947), 마셜 플랜(1947), 북대서양 조약 기구(1949, NATO) ↕ 소련의 동유럽 공산화, 코민포름(1947), 코메콘(1949), 바르샤바 조약 기구(1955, WTO) 미국은 그리스 정부로부터 재정적∙경제적 지원을 해달라는 긴급한 요청을 받았습니다. 그리스 주재 미국 대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그리스가 자유 국가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원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권의 변화

소련의 변화 1. 흐루쇼프 ▶ 경제 부흥 정책, 전략 무기 제한 협정 체결, 인공위성 발사 등 냉전 체제 완화에 기여 2. 고르바초프 ▶ 페레스트로이카(개혁)·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 추진, 몰타 선언 페레스트로이카, 그것은 민주주의적 방법에 의해, 인민에 의해, 인민을 위해 실현되는 하나의 혁명 과정이다. 당은 인민과의 관계에서는 인민의 정치적 전위대로 행동한다. 당이 발휘하는 주동성과 역사적 선도성은 당의 전위적 역할의 당연한 표현이다. 또한 당은 탐구의 권리를 독점하지 않는다. 누가 발의하였든 간에 유익하기만 한다면 그 어떤 것도 페레스트로이카에 필요하다. 왜냐하면 페레스트로이카의 생명력은 정치적으로 민주주의의 발전에 달려 있으며, 민주주의의 기능은 특히 인민의 창의성과 자발성을 자극하는 데 있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