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 Humanities 1203

꼬맹이가 밥을 안 먹으면 할매가 쩔쩔 맨다는 사실을 알아낸 순간

꼬맹이가 밥을 안 먹으면 할매가 쩔쩔 맨다는 사실을 알아낸 순간 보검을 손에 쥔 셈이다. 월트 디즈니병, 하워드 휴즈병이다. 원래 멀쩡했는데 부자가 되자 증세가 발현된다. 하인들을 성가시게 해서 주변의 시선을 붙잡아놓는게 기술이다. 너희는 하루종일 나를 지켜봐. 내가 무슨 짓을 할지 모르니까. 가난할 때는 괜찮은데 돈만 벌면 결벽증에 걸린다. 하워드 휴즈나 필립공이나 월트 디즈니는 또라이라서 그렇다 치고 진보는 그러지 말자. 자기를 집단 내부 상호작용 증대를 위한 도구로 쓰지 마라. 도구가 아닌 주체가 되라. 자신을 개성있는 조연으로 규정하지 마라. 괴력난신을 추구하지 마라. 동물의 서열본능을 극복하고 인간이 되라. 진보는 과학으로 비과학을 이기고 지성으로 반지성을 이겨야 한다.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2020년, 제2의 베트남 전쟁, 세대의 전쟁, 실패한 전쟁, 미 최장기 전쟁, 빈라덴, 탈레반, 미국 실패 이유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제1차 미국-아프간 전쟁: 2001년 10월 7일 ~ 2014년 12월 28일 제2차 미국-아프간 전쟁: 2015년 1월 1일 ~ 2020년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벌이고 있는 전쟁. 1차 전쟁의 경우 9.11 테러 직후 벌어진 21세기 최초의 전쟁이며 미국 역사상 최장기 전쟁. 테러와의 전쟁이란 원대한 계획의 첫 단계로 펼쳐진 '항구적 자유 작전'(Operation Enduring Freedom)의 일부이다.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이은 아프가니스탄 침략군이 실패한 전쟁이기도 하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개전 당시의 병/부사관들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장교단도 물갈이가 되면서 “세대의 전쟁”(war of a generation) 이라는 별명까지 얻고 있는..

페르시아 제국-아시리아,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박트리아와 파르티아, 사산 왕조 페르시아

아시리아▶ 우수한 철제 무기와 기병 보유, 기원전 7세기경 서아시아를 최초로 통일이민족에 대한 강압적 통치로 1세기만에 멸망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1. 성립▶ 이란 고원에서 성장, 키루스 2세 때 서아시아 통일의 토대를 닦음2. 전성기  ▶ 다리우스 1세(이집트와 마케도니아, 인도 서북부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 지배) 중앙 집권 정책전국을 20개의 속주로 나누어 총독 파견'왕의 눈', '왕의 귀'라고 불리는 감찰관을 파견하여 총독 감시교통 제도'왕의 길(사르데스 ~ 수사)'과 역참제 정비 → 상업과 교류 활발사회언어·도량형·화폐 통일 → 지역 간 교류 활발 3. 이민족에 대한 관용(포용) 정책▶ 세금과 병역 의무를 이행하면 그들의 종교와 풍습, 언어 존중 → 페르시아가 약 200년간 서아시아 지역을 지..

베르됭 전투, Battle of Verdun,1916년,프랑스 제3공화국,독일 제국의 육군,제1차 세계 대전, 서부전선, 역사 최악 참호전

"지옥도 이보다 더 참혹할 수는 없다. 여기에 있는 우리 모두는 미쳤다." - 프랑스 육군 알프레드 주베르 보병 중위가 사망하기 전에 적은 일기(1916년 5월 23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서부전선에서 독일 제국군과 프랑스 제3공화국의 프랑스군 간에 1916년 2월 21일부터 동년 12월까지 벌어진 전투. 앞선 마른 전투, 이후 솜 전투와 더불어 제1차 세계 대전의 가장 유명한 대전투들 가운데 하나다. 특히 소모전의 시초이자 참호전의 전형적인 양상을 나타내며 공격자인 독일, 방어자인 프랑스 양측 모두에게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의 살육을 강요했다. 베르됭 전투(프랑스어: Bataille de Verdun 영어: Battle of Verdun)는 1916년 2월 21일에서 동년 12월 18일까지 프랑스 제3..

대장정, 대서천, 마오쩌둥, 상강전투, 쭌이회의, 루띵교, 대설산, 태자당

개요 중국 장시성에 주둔해 있던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군의 토벌을 피해 1만 킬로미터를 이동한 대행군. 서쪽으로 천도한다는 의미에서 ‘대서천(大西遷)’이라고도 불린다. 출발 당시 8만 6천여 명에 달하던 홍군 병사들이 대장정을 마칠 즈음에는 6천여 명밖에 남지 않았을 정도로 대장정의 과정 중에는 많은 희생이 따랐다. 하지만 장정이 있었기에 공산당은 중국의 많은 지역에 홍군과 공산당의 이름을 알릴 수가 있었고, 마오쩌둥은 공산당에 대한 지휘권을 확립할 수가 있었다. 군사학적으로만 본다면 많은 병사들이 처참히 죽어간 실패한 후퇴 작전이지만, 대장정은 혁명을 위한 공산당 병사들의 의지와 열정, 인간승리의 극치를 보여준 대서사시이자, 중국이 혁명을 성공할 수 있게 한 발판이었다. 대장정 배경 대장정 이전의 상황 ..

하나의 중국, 一個中國, One-China policy, 양안문제(兩岸問題),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하나의 중국(一個中國, One-China policy) 원칙은 중국 대륙과 홍콩, 마카오, 타이완은 나뉠 수 없는 하나이고 따라서 합법적인 중국의 정부는 오직 하나라는 원칙 또는 이데올로기이다. 이 원칙은 중국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과 타이완의 중화민국 간의 정통성 문제를 포괄하는 양안문제(兩岸問題)에서 주로 거론되는 개념이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두 개의 중국이다. 양안(兩岸)이란 자연적인 군사분계선의 역할을 하게 된 타이완 해협을 두고 서안(대륙)과 동안(타이완)으로 마주보는 관계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두 국가가 된 양자의 관계는 '두 국가의 외교'가 아닌 '특수한 상태의 관계'이므로, 남북 관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양안 관계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 중국 대륙이 지지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국=중..

토요토미 히데요리,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사카 성, 대망, 토요토미 히데요시 아들

히데요시는 53세라는 늦은 나이에 얻은 늦둥이 아들 도요토미 츠루마츠가 3살 때 병으로 요절하자 크게 상심했고, 다시는 자식을 볼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피를 이은 후계자를 거의 포기하던 차였다. 57세라는 더 늦은 나이에 정말 간신히 얻은 히데요리는 얼마나 귀한 아들이었고 오래 살기를 바랐는지 단편적으로 보여준다. 히데요시가 죽은 후 후계자가 되었지만, 오사카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패하자 21살의 젊은 나이로 어머니 요도도노와 함께 자결했다. 대하소설 '대망' 히데요시가 죽고 그 아들 히데요리가 권력을 이어받아 가문과 오사카성을 지휘하고 있을 당시의 이야기다. 오사카성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1583년 축성을 시작하였고 히데요시 정권의 본성으로 일본 권력의 중심에 있다가 도쿠가와막부로부터 멸..

길가메시 서사시, Epic of Gilgamesh,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대홍수 설화

릴케는 길가메시 서사시를 '죽음의 공포에 대한 서사시'라고 했다. 덧붙여 영생을 향한 인간의 집념과 피가 끓는 우정 그리고 위대한 것은 히브리 신화(성서)와 그리스 신화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한다. 길가메시 서사시 (- 敍事詩; Epic of Gilgamesh)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서사시로 수메르 남부의 도시 국가 우루크의 전설적인 왕 길가메시(Gilgaméš)를 노래하였다. 19세기 서남아시아 지방을 탐사하던 고고학자들이 수메르의 고대 도시들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호메로스의 서사시보다 1500년 가량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 "수메르 왕 명부"에 따르면 길가메시(수메르어 이름은 빌가메시 Bìl-ga-mèš)는 기원전 28세기경 우루크를 126년 동안 지배한 왕이었다고 한다...

대정봉환(大政奉還), 왕정복고, 무진전쟁(戊辰戰爭)

대정봉환(大政奉還). 1867년 왕정복고 선포와 무진전쟁(戊辰戰爭) 발발 대정봉환(大政奉還)은 경응(慶應) 3년 10월 14일(1867년 11월 9일) 에도 막부(江戶幕府) 마지막 정이대장군(征夷大將軍) 도쿠가와 요시노부(德川慶喜)가 명치천황(明治天皇)에게 통치권 반납을 선언한 사건으로, 이는 260여 년간 이어져온 에도 막부의 종언을 의미하기도 한다. 제 2차 조슈 정벌 이후 도쿠가와 막부(德川幕府)는 이미 일본을 통치할 권세를 잃었으며, 이로 인해 유신파(維新派) 대부분의 인사는 일본의 정치구조를 기초부터 다시 건설하지 않을 시 일개 분열된 국가로 전락할 수도 있음을 전망하였다. 도사 번(土佐藩)의 유신인사 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는 적극적으로 대정봉환론을 제창하였는데 그 내용은 막부가 정권을 조정에..

무기대여법, 제2차 세계 대전 , 루스벨트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주장한 미국의 대연합국 물자지원 계획이자, 마셜 플랜과 함께 현실에서 시행된 쇼미더머니. 추축국에 대항하는 연합국을 위해 전쟁 수행에 필요한 물자를 지원하자는 취지였으며, 1941년 3월 11일에 시작해 1945년 9월 2일에 종료했다. 그 이후로도 이미 보내기 시작한 건 운송을 계속해서 그 해 9월 20일에 원조를 끝냈다. 항복한 적성국에 주둔하는 부대를 위한 장비 소요, 중간에 중단할 경우 소요되는 행정 비용이 더 많은 경우 등을 고려한 것이다. 이 법안의 성공적인 실행으로 공여된 물품의 품질과 양을 통해 미국이 초강대국임을 전세계가 알게되었으며, 해가 지지 않던 대영 제국이 선두를 달리는 시대가 종료됐음을 알렸다.

삼국동맹, 三国同盟, 추축국, 樞軸國, 독일, 이탈리아, 일본

삼국동맹 (三国同盟, Dreimächtepakt) 추축국 : 樞軸國 [명사] 제2 차 세계 대전 때에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맺은 삼국 동맹을 지지하여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연합국과 대립한 여러 나라 1936년에 무솔리니가 '유럽의 국제관계는 로마와 베를린을 연결하는 선을 추축으로 변화할 것이다'라고 연설한 데서 유래한 말. 추축 : 樞軸 [명사] 1. 사물의 가장 긴요한 부분. 2. 정치나 권력의 중심.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삼국동맹 움직임은 1938년 여름부터 1939년 여름까지 진행된 독일, 이탈리아, 일본 방공협정의 강화와 더불어 1940년 여름부터 삼국동맹 체결까지의 움직임, 두 부류로 나눈다. 전자는 소련에 맞서기 위한 동맹을 목적으로 했고 후자는 독소불가침 조약이 성립되자 이후 소..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두견새(時鳥)

일본 전국시대 통일 세 명의 무장 (새가) 울지 않으면(鳴かぬなら) 오다 노부나가 - 죽여버려라(殺してしまえ) 도요토미 히데요시 - 울게 만들어 보이겠다(鳴かしてみしょう) 도쿠가와 이에야스 - 울 때까지 기다리자(鳴くまで待とう) 두견새(時鳥)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 織田 信長는 센고쿠 시대를 평정한 인물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를 연 다이묘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더불어 중세 일본 삼영걸로 불린다. 오와리국의 센고쿠 다이묘 오다 노부히데의 장남으로, 아버지 대부터의 숙적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격파하고 정이대장군인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해 교토를 수중에 넣고, 그마저 추방해 무로마치 막부를 멸망시키면서 중부 일본 일대를 기반으로 중세 일본 봉건제의 정점에 섰다. 일본 각지역의 패..

서방 가톨릭, 동방 정교회, The Orthodox Church, Ecclesia Catholica Romana, 동서 교회 분열

(1) 동방교회(Ορθόδοξη Εκκλησία,The Orthodox Church) 동방교회는 콘스탄티누폴리스 총대주교좌를 중심으로 설립된 기독교 종파 가운데 하나입니다 정교회는 초대교회로 부터 계승된 정통기독교라는 의미로 정교회, 동방교회, 동방정교회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로마를 중심으로 동유럽 그리스,불가리아,폴란드,러시아,체코 등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며 희랍정교회 또는 헬라정교회라고도 불리워지는것은 신학사상과 교리가 희랍어와 헬라어로 되어 있어서 칭하는 것입니다 1세기초 초대교회는 예루살렘교구를 시작으로 안디옥교구, 알렉산드리아교구, 콘스탄티노플교구, 로마교구 등 5개교구를 중심으로 상호협력하며 하나의 교회로 성장 해 왔습니다. 이러한 전례가 4세기 이후 서로마제국의 멸망과 함께 로마제국..

성공회, 청교도, Anglican Church, Puritans, 聖公會, 淸敎徒

16세기 잉글랜드 종교개혁으로 공식 명칭을 "잉글랜드 교회"(English Church)에서 "잉글랜드 성공회"(Church of England)로 불러왔으며, 19세기 이후 다국가에 형성된 성공회를 제도적으로 정비하고 현재의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로 칭하였다. 흔히 성공회하면 영국 국교회를 떠올리지만, "영국국교회"라는 용어는 성공회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잉글랜드 성공회만을 가리킨다. 교파로는 초기 개혁 교회에서 파생된만큼 개혁 교회의 취지인 교황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개신교적 전통이 존재하나, 사도들의 성사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륙개신교와 비교가 된다. 따라서 개혁 교회 교파 안에 포함이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대륙개신교(감리회, 장로회, 신루터파, 회중회..

킵차크 칸국, 금장 칸국, the Golden Horde

킵차크 칸국 (중앙아시아 북부와 동유럽 1240-1502) 킵차크 칸국이란 몽골 제국이 분열된 이후에 설립된 4대 칸국 가운데 하나이다. 표제어인 킵차크 칸국은 몽골이 튀르크와 함께 이 곳에 오기 전 이전 이 지역을 지배하던 중세 튀르크계 민족인 킵차크인에서 따온 것이다. 킵차크인들이 살게 된 이후 이 지역을 킵차크 초원이라고 불렀으므로 몽골인들이 세운 왕국 역시 킵차크 칸국이라고 부른 것이다. 금장 칸국(the Golden Horde, 金帳汗國, Золотая Орда)이라는 이름이 더 널리 쓰이는데, 이는 킵차크 칸국이 망하고 난 후인 16세기에 러시아인들이 몽골인들의 황금 천막에 붙인 별명이다.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부르는 킵차크 칸국이나 금장 칸국(the Golden Horde)이란 명칭은 당시 ..

개의 마음을 오해한 것이다

개가 부둣가에서 여행자를 반긴다. 손님들을 산 정상으로 안내한다. 왜 개는 길을 안내하고 싶어 할까? 자기가 통제하는 나와바리를 자랑하려는 것이다. 관광객에게 길을 안내하는게 아니라 실은 이곳은 내 구역이라는 선포다. 우리가 개의 마음을 오해한 것이다. 인간은 자기만의 이상향을 만들고 손님을 초대하고 싶어 한다. 그러려면 일단 자기 구역을 확보해야 한다. 그게 진보다. 이미 구역을 확보했고 이제 지키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면 그게 보수다. 퇴행하게 된다. 진보냐 보수냐, 전진이냐 후퇴냐의 방향판단이다.

욕망이 아닌 상호 게임

산을 이겼기 때문에 그는 산에 오른 것이다. 인간의 모든 행위가 그러하다. 인간은 권력적이다. 게임적이다. 이기는게 중요하다. 상대가 반응하면 주도권을 쥐려고 한다. 그럴 때 긴장하고 흥분하고 이완한다. 쾌감을 느낀다. 엔돌핀 나오는 긴장 속에 머무르려고 한다. 보통은 성욕이나 물욕으로 설명한다. 탐욕에 눈이 멀었다고 한다. 거짓말이다. 욕망은 비과학적 언술이다. 글자 배운 사람이 쓰면 안 되는 말이다. 인간은 욕망이나 야심 때문에 행동하는게 아니라 상호작용이라는 게임의 흐름에 갇혀서 거기서 탈출을 못하는 것이다.

일본 와(和)사상, 이치닌마에, 이지메, 메이와쿠, 기쿠바리, 혼네, 타테마에

일본의 정체성 '와/화' 정신 집단주의 문화와 화(和)의 정신은 수전(水田)농경민족이라는 민족성을 바탕으로 일본사회 내부에서 형성되어 나타난 일본적 가치 개인보다는 집단을 우선시하는 일본인들이기 때문에 집단의 화합을 추구하고 중시하는 사회 환경이 조성 와(和) 사상 한반도는 대륙에 붙어 있어 도피할 데가 있다. 우리 선조들은 대한제국이 일제의 노예 국가로 전락하자 절대 악의 일본 식민통치보다 차악의 국가인 중국이나 러시아에 거주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선인의 비극적인 디아스포라(Diaspora)가 형성되지만, 21세기엔 디아스포라(Diaspora)가 오히려 대한민국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초석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아스포라(Diaspora)는 비참한 한반도 역사의 결과다. '와(和)'는 '禾(..

무엇이 성공인가?, What is Success?, 에머슨

'What is Success?' - BY Ralph Waldo Emerson To laugh often and much 많이 그리고 자주 웃는 것. To win the respect of intelligent people and the affection of children 현명한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아이들에게 애정을 받는 것. To earn the appreciation of honest critics and endure the betrayal of false friends 정직한 비평가로부터 좋은 평가를 얻고 잘못된 친구들의 배신을 견뎌내는 것. To appreciate beauty 아름다움을 한 껏 느끼는 것. To find the best in others 사람들 안에 있는 가장 좋은 점을 ..

북이탈리아 자치도시, 베네치아, 4차 십자군 전쟁 지원, 제노바, 밀라노, 피렌체, 르네상스, 이탈리아 전쟁

북이탈리아 자치도시 번영 베네치아의 전성기 제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지원 베네치아는 십자군 국가와의 교역 뿐만 아니라 동로마 제국과의 교역으로도 많은 이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점점 라틴계 상인들이 그리스계 상인에게 밀려나면서 위기감을 감돌기 시작했다. 이에 AD 1193년 베네치아의 도제가 된 엔리코 단돌로는 제4차 십자군을 이용하여 동로마 제국을 공격할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엔리코 단돌로는 86세의 고령에 시력까지 잃은 상태였지만 놀라운 정신력으로 베네치아를 이끌고 있었는 데 AD 1202년 결성된 제4차 십자군의 의뢰를 받아 수송 함대를 준비했으나 제4차 십자군이 재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던 약점을 이용하여 베네치아의 지배를 거부하고 헝가리 편으로 돌아선 달마티아의 자라를 공격하도..

성 야고보, 산티아고, 샌디에고, 성 제이콥(Jacob)

야곱(Jacob : 히브리어 야켑'aqeb'은 "뒤꿈치"라는 뜻)은 창세기에 나오는 인물이다. 아브라함의 손자이자, 이삭의 둘째 아들로서 기록 성경을 보면 일반적으로 야고보라고 불리우며 라틴어로는 야코부스(Iacobus)이고 야고(Iago), 티아고(Tiago), 산티아고(santus Iacobus)라는 이름들이 유래되었다. 제베데오의 산티아고(Santiago de Zebedeo, 제베데오의 아들이란 의미) 또는 대 (大)산티아고라도 칭하며 예수의 죽음과 피흘림을 함께 했던 사도 중 하나이다. 어부 가족의 일원이며, 예수는 동생 요한과 야고보의 타고난 과격한 성격을 빗대어 보아네르게스 (Boanergues, 천둥의 아들이라는 의미)라는 별칭을 지어주었다. 야고보 성인은 예수와 가장 가까웠던 세 명의 사도..

2020 노벨문학상, 노벨문학상 역대 수상작, 루이즈 글릭

▲2020년: 루이즈 글릭(미국, 시인) - 아베르노 ▲2019년: 페터 한트케(오스트리아·소설가) - ‘나는 상아탑의 주인’ ‘문학은 낭만적이다’ ▲2018년: 올가 토카르추크(폴란드·소설가) - ‘죽은 이들의 뼈 위로 경운기를 몰아라’ ▲2017년: 가즈오 이시구로(영국·소설가) - ‘남아 있는 나날’ ‘위로 받지 못한 사람들’ ‘나를 보내지 마’ ▲2016년: 밥 딜런(미국·싱어송라이터) - ‘노킹 온 헤븐스 도어’ ‘블로잉 인 더 윈드’ ‘바람만이 아는 대답’(자서전) ▲2015년: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벨라루스·작가)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마지막 증인·어린이를 위한 솔로’ ‘아연 소년들’ ‘죽음에 매료되다’ ▲2014년: 파트리크 모디아노(프랑스·소설가) - ‘에투알 광장..

동진, 5호 16국, 흉노(匈奴), 선비(鮮卑), 저(氐), 갈(羯), 강(羌)

중국사 왕조 1. 삼황오제시대 → 2. 하황조시대 → 3. 은왕조시대 → 4. 주왕조시대 → 5. 춘추시대 → 6. 전국시대 → 7. 진왕조시대 → 8. 전한시대 → 9. 신국시대 → 10. 후한시대 → 11. 삼국시대 → 12.서진시대 → 13. 동진 5호 16국 시대 → 14. 남북조시대 → 15. 수왕조시대 →16. 당왕조시대 → 17. 오대십국 → 18. 북송시대 → 19. 남송시대 → 20. 원제국시대 → 21. 명제국시대 → 22. 청제국시대 13. 동진 5호 16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304년 ~ 439년)는 삼국을 통일한 서진(西晉)이 멸망한 후, 5개의 비한족을 비롯한 16개의 국가가 회수(淮水) 북부에 여러 나라를 세우며 난립하던 시대를 말한다. 구체..

삼천갑자 동방삭, 한무제, 사마천, 사기 골계열전

동방삭은 삼천갑자를 살았다는 전설적인 인물. 문무를 겸비한 당대 최고의 지성이었으며 격동기의 국가경영에 탁월한 통치술을 보여준 핵심 브레인, 만담의 시조인 잡예창곡자(雜藝唱曲者)의 창시자, 점성술의 선구자였다. 사기 골계열전 동방삭전, 한서 동방삭 열전, 그 외에 한무제 시기를 다룬 사적들에서 조각조각으로 발견된다. 전체적으로 동방삭을 다룬 전에서는 웃기는 부분이 더 강조되고, 당대사에서 출연할 때에는 일반 관료적 모습을 보인다. 어릴 적 부모를 잃고 형 밑에서 독학한 수재. 그의 절친이 그 유명한 사마천이다. 언변에 능수능란해 무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자신을 비난하는 학자들과 말싸움을 벌여서 이긴 인물. 게다가 괴짜라서 무제가 베푼 연회에 참석해서 신나게 먹은 뒤 남은 건 바리바리 싸가지고 집에 갔다..

타타르의 멍에, Tartar Yoke, 러시아, 킵차크 칸국

몽골-타타르의 멍에는 1240년부터 1480년까지 루스 지역이 킵차크 칸국에게 지배를 받던 기간을 말한다. 간단하게 줄여서 몽골의 멍에, 혹은 타타르의 멍에라고도 한다. 루스 지역을 정복하고 착취했던 것은 몽골인데 왜 타타르까지 포함해서 몽골-타타르의 멍에라고 하냐면 원래 타타르란 광의론 튀르크족에 대한 멸칭이었다. 당시 킵차크 칸국의 지배층의 경우 왕족은 소수의 몽골인이고 그 밑의 귀족계급이 이들 타타르인어서 러시아인들의 입장에선 몽골인들보다는 실제 통치 계급이라고 할 수 있는 타타르인이 훨씬 무서운 존재였다. 더구나 이후 서쪽으로 퍼져나간 몽골인들도 문화적으로 이슬람화, 투르크화 되고, 인종적으로도 완전히 뒤섞이면서 킵차크 칸국은 나중에는 사실상 투르크-타타르 국가가 되고만다. 여기서 멍에(иго)라..

러시아, 소련 역사, 키예프 루시, 러시아 제국, 몽골지배기

초기에는 여러 공국의 연합체 1408년부터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하는 전제국가 1721년부터는 러시아 제국 1917년 혁명을 거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1991년 해체되어 지금의 독립국가연합을 구성 시초부터 1700년경까지 선사시대와 루시(로스 - 겔 38:2~3, 39:1)의 발흥 BC 2000년부터 인도유럽어족과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하는 민족들이 소련 땅 유럽 지역을 점령했으나 그 민족의 실체와 제도, 활동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고대에 그리스인과 이란인의 취락이 지금의 우크라이나 최남단 지역에 출현했고 4∼9세기에는 동슬라브족이 엘베 강과 프리퍄티 습지 일대로부터 남쪽과 동쪽으로 흩어져 살았다. 9세기에 남쪽·북쪽에서 온 북유럽과 중동의 모험상인들이 이곳에 침투함으로써 새로운 경제..

키예프 루시, 러시아 시초, 우크라이나, 바이킹, 슬라브, 노예

러시아의 민족은 슬라브족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러시아라는 국가를 설립을 하고 대국으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한 러시아 왕국의 건국시조는 슬라브족이라기보다는, 우리가 해적으로 잘 알고 있는 바이킹 족들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러시아를 구성하고 있는 민족은 Rus족인데, 이 Rus족은 슬라브족과 바이킹족의 혼혈민족인 것이다. 바이킹족은 9세기에서 11세기 사이 유럽 곳곳을 누비면서 약탈 활동을 해, 흔히 해적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다분히 유럽중심주의적인 명칭이다. 유럽인들 자신도 로마인들이 보기엔, Babarian (미개인)들이었다. 바이킹족이 잉글랜드나 유럽 북부 해안을 수시로 약탈한 것은 사실이었지만 그것은 그들의 활동의 일부이지 전체는 아니었다. 바이킹 족들은 주로 상업 교역에 종사를 했고, 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