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고려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두문자 암기, 최승로, 최충, 이제현, 7재, 안향, 백이정, 이제현, 이색

Jobs 9 2023. 12. 31. 09:19
반응형

고려 유학의 발달

 

연대 암기

과거급제 큰오빠 958
전시과거치유 976
12목 급하삼 983
국자없어 국굶니 992
강동6주 나주세 993
강조천국 1009
윤여정 천백번칠 1107
이자겸 이리욕 1126
서경천도 천백삼호 1135
삼국사기 천배사오 1145
무신마 천한직공 1170
금속활자 순서대로 1234
제왕운기 이리바치 1287
만권책 천성신사 1314



두문자 암기

● 성종 - 2612(원) 의상비 수건향 분유향 노문국
2 2성
6 6부
12 12목 지방관 파견
의 의창義倉
상 상평창常平倉 
비 비서성(도서관)
수 수서원(도서관)
건 건원중보
향 향리제도(지방 최고직)
분 분사제도정비
유 유교정치 최승로 시무28조
향 향교설치
노 노비환천법
문 문신월과법
국 국자감


● 예종 - 얘 7재야(양) 감(좋은) 보청기 구해도
얘(예) 예종
7재 관학진흥책 7재 : 최충 9재학당 대신
야(양) 양현고
감 감무파견
보 보문각
청 청연각
구 구제도감
해(혜) 혜민국
도 도관건립


● 충렬왕 - 이박삼일 안도
이승휴
박유
삼국유사
일연
안향 : 성리학 소개
도병마사


● 충선왕 - 이제 소금만 사정충
이제현 성리학, 백이정 제자, 이색 정몽주 정도전 이어짐
소금전매제
만권당 萬卷堂
사림원
정방폐지
충선왕

 


 

1. 고려 초기의 유학

    (1) 유학의 전개

        ① 태조 : 최언위, 최응, 최지몽 등 신라 6두품 계통의 유학자들이 활약

        ② 광종 : 유교의 합리적 ∙ 실제적 사고를 중시하면서 고대적 잔재를 청산하게 된다. 당 태종 시대를 다룬 정관정요를 중시하고 과거를 실시하여 유학에 능숙한 관리들이 등용되었다.

        ③ 성종 : 최승로, 김심언의 보필과 비서성을 왕의 직속 하에 설치 / 불교 행사인 연등회와 팔관회가 폐지되고 대신에  원구례 등 유교의 의례가 시작되었다. 

   (2) 대표적인 유학자 : 최승로 - 사회개혁과 새로운 문화의 창조를 추구하였다. 

   (3) 유학의 학풍 : 유교사상은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특성을 지닌다.  

 

2. 고려 중기의 유학

    (1) 유학의 전개

         ① 현종 : 신라 유교전통을 계승 ∙ 발전 - 신라의 설총(弘儒候)과 최치원(文昌候)을 추봉하고 문묘에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② 문종 : 최충(문헌공), 정배걸(홍문공), 노단(광헌공) 등의 12개의 사립학교가 성립되었다.

          ③ 숙종 : 평양에 기자사당을 건립 - 우리나라 유교의 전통을 고조선에서 찾아내려는 주체 의식의 발로로 기자를 교화의 임금으로 숭상하였다.

          ④ 예종 : 궁중에 청연각, 보문각, 천장각, 임천각 등의 학문연구소를 두어 수 만권의 서적과 학자들을 모아 학문을 연구 토론하고 정관정요언해서(당 태종의 업적을 기록한 서적) / 편년통재속편(우리나라 고대사를 정리, 해동비록(우리나라 풍수지리를 집대성)등의 각종 서적을 편찬하게 하였다. 

    (2) 대표적인 유학자 : 최충과 김부식 - 최충은 고려의 훈고학적 유학에 철학적 경향을 새로이 불어넣기도 하여 고려의 유학을 한 차원 높였다. 그리고 김부식은 현실적 성격의 유학을 대표하였다. 

    (3) 유학의 학풍 : 시문을 중시하는 귀족 취향의 경향이 강하였고, 한학적 ∙ 윤리 규범 수준에서 받아들이던 신라시대의 미숙한 단계에서 벗어나, 유교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깊어지고 학술적으로 이해하고 그 철학적 바탕까지 탐구하는 단계에 이르는 등 사상적으로 중요한 발전을 하여 최충이 9재를 설치할 때중용의 대의를 중용과 주역이 경연에서도 자주 강론되었다. 그리고 유교 경전 가운데 주례도 연구되었다

          -->  주례사상은 강력한 중앙집권을 매개로 통제경제를 구축하고 만인의 경제적 평등과 복지를 증진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정치사상으로 고려 중기와 조선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4) 유교가 전문화, 학문화, 철학화되어 간 결과

         : 자주적인 유교 정신을 강조하기보다는 집권세력의 권력 유지만을 도모하는 보수적 성격을 띠어 갔으며 보수적으로 사회모순 해결능력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유학파와 국풍파의 정치노선에 대한 충돌이 발생하였다

         - 온건파 유학자의 승리

               ① 거란 침입 격퇴 직후 : 북진파 왕가도와 유학파 황보유의, 황주량, 최제안, 최충 등 대립

               ② 윤관의 여진정벌과 9성 설치 : 윤관과 김인존의 대립

               ③ 금과의 외교적 갈등 : 묘청과 김부식의 대립  

 

3. 고려 후기 유학의 전개

    (1) 무신정권 이후 : 문벌귀족의 몰락으로 유학은 한동안 크게 위축되었다. 

    (2) 성리학(신유학, 정주학, 주자학)의 본질 : 남송의 주희(주자)가 집대성한 성리학은 종래 자구의 해석에 힘쓰던 한,당의 훈고학이나 사장 중심의 유학과는 달리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 문제를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유학이다

         - 관료주의적 정치이념으로 4서와 역사를 중시하였고, 효와 충의 실천 윤리를 제공하였다.

           배타적 보수사상으로 이단을 허용하지 않는 교조주의로, 정통과 대의명분을 중시하였다. 

    (3) 성리학 수용의 배경

        ① 선종계통의 조계종 발달과 불교의 세속화

        ② 중기이후 고려 유학이 상당한 수준까지 자체 심화되어 신유학의 이해 풍토가 배양되어 있었다.

        ③ 고려인의 자아 인식 : 원의 부마국으로 전락한 현실에서 북방족에게 쫓겨 남천하여 남송에서 중세적 민족주의로서 중화주의를 표방한 주자 성리학은 같은 현실에 처한 고려인들에게 자아상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④ 권문세족의 횡포와 불교의 타락을 경험한 신진사대부에게 보다 합리적인 윤리공동체를 이룩하는 데 적합한 이론이었다 : 사대부들은 고려문화를 전면 비판하면서 새로운 사상적 이념을 모색하였다.

            * 고려 말 불교는 당시 혼란한 사회를 이끌 수 있는 정신적 이념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였고 이것이 곧 성리학의 수용에 따른 유불교체의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안향. 성리학 소개

이제현

 

  (4) 성리학의 전개

          : 안향 -> 백이정 -> 이제현 -> 이색

         - 성리학은 충렬왕 때 안향이 처음으로 소개하였고, 그 후 백이정이 직접 원에 가서 배워와 이제현과 박충좌 등에게 전수하였다

         - 충선왕 때 이제현은 원의 수도에 설립된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그는 귀국한 후에 이색 등에게 영향을 주어 성리학 전파에 이바지하였다

          - 충숙왕 이후로는 안축, 이곡, 이인복, 이색 등이 원나라에서 과거에 급제하고 그곳에서 벼슬살이를 하게 되면서 주자학을 비롯한 송 ~ 원대의 여러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 공민왕은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성균관을 다시 지어, 당시 순수한 유교 교육기관을 개편하여 종유로 추앙받던 이색을 대사성으로 삼고 정몽주, 정도전, 김구용, 박상충, 이숭인 등을 모아 전문적으로 성리학을 연구 토론하면서 많은 성리학자들이 배출되어 성리학의 연구와 교육이 본격화되었다.

                * 이제현과 이곡을 비롯한 사대부들이 성리학적 명분론이나 원대 주자학의 형세론적 정통론에 입각하여 원에 대한 사대를 합리화하고 있었다는 설명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5) 성리학의 영향

         ① 불교 자체 비판 : 정도전과 권근은 성리학의 이기론, 성즉리 심통성정을 기본으로 하는 인성론을 바탕으로 두고  불교의 초세속적 성격과 철학사상을 비판하였고, 불교의 타락 현상과 기복행위에 치중하는 미신적인 요소도 성리학자들의 중요한 개혁 대상이었다.

                ㉠ 정몽주 : 동방이학(東方理學)의 祖라고 불리는 정몽주(1337~1392)의 저술 중에는 이론적인 배불론이나 이학(理學)에 관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 이제현, 이색 : 불교 그 자체를 배격한다기보다는 사원의 폐해와 승려들의 비행을 비판하였다. 이색은 불교철학의 일부 개념으로 성리학을 이해하려 하였다.

                ㉢ 정도전(1342~1398) : 학자지남도, 불씨잡변 - 학자지남도는 성리학의 대강을 그림으로 설명한 저서이다. 그리고 심문천답과 심기이라는 글을 써서 불교와 도교에 대한 성리학의 우위성을 간결하게 정리하였다. 이 두 저서는 조선 건국이후 더욱 이론적으로 보완되어 동양 역사상 가장 수준 높은 불교비판서로 알려진 불씨잡변(佛氏雜辨)으로 저술되어 불교철학 자체를 비판 ∙ 부정하는 이기철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고 불교교리의 핵심이 되는 인과설, 윤회설, 화복설 등을 비판하여 불교가 허학이고 성리학이 실학이라는 것을 논술하였다.

                ㉣ 권근(1352~1409) : 사서오경구결, 오경천견록, 예기천견록, 입학도설(정도전의 학자지남도를 발전시킨 성리학의 입문서), 권학사목(유교 교육의 이념을 제시) 

         ② 예속의 변화 : 유교의식의 권장 - 고려에 수용된 초기의 성리학은 본래 송의 주자학이 원에서 한 차례 걸러진 유학이 전래되었다. 따라서 고려에 들어온 원나라의 성리학은 형이상학적이고 사변적인 경향을 지닌 남송의 성리학과는 달리 실천적이고 경세론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따라서 형이상학적인 이기론보다 일상생활의 실천적 기능이 수용되어 주자의 실천덕목의 책인 소학과 예속을 바로잡기 위하여 가족생활의 예의규범인 주자가례가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권문세족과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이후 고려의 정신적 지주였던 불교는 쇠퇴하게 되었고, 성리학이 새로운 국가 사회의 지도 이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③ 편년체의 역사학 발달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