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228

‘부치다’, ‘붙이다’, 부치는, 붙이는, 붙다, 맞춤법

‘부치다’와 ‘붙이다’의 구분: ‘붙다’와의 의미적 연관성이 기준 (가) 힘이 부치다 / 편지를 부치다 / 논밭을 부치다 / 빈대떡을 부치다 (가)′ 식목일에 부치는 글 /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나)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 / 흥정을 붙이다 / 불을 붙이다 / 꽃꽂이에 취미를 붙이다 / 조건을 붙이다 / 별명을 붙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민법,상법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그 밖에, 그밖에, 띄어쓰기

수식언의 띄어쓰기 관형사는 체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꾸미는 말로, 조사가 붙지 않고, 활용하지 않으며 쓰임에 따라 성상 관형사, 지시관형사, 수관형사로 나뉘어 집니다. 부사는 주로 용언 앞에 쓰여 그 용언의 뜻을 분명하게 한정하는 말로 문장에서 수식어 구실을 하는데, 쓰임에 따라 성분부사, 문장부사로 나뉘어 집니다. 그 밖에(x) -> 그밖에(o) “그밖에 없어.” “그 밖에 없어.” 두 문장은 한 글자도 다르지 않다. 띄어쓰기가 조금 다를 뿐이다. 그러나 의미에는 큰 차이가 생긴다. “그밖에 없어”에서 ‘밖에’는 ‘그것 말고는’ ‘그것 이외에는’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로 ‘그 사람 말고는 없다’는 의미가 된다. “그 밖에 없어”에서 ‘밖에’는 바깥을 의미하는 명사 ‘밖(外)’과 조사 ‘-에’가 결합한 형..

의문문 -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수사 의문문

판정 의문문 * 의문사 없음 * '예/아니오'의 대답만 요구함 * '-아/어' 계통의 종결어미가 사용됨 (~한가?) 설명 의문문 * 의문사(어찌, 무슨 등) 있음 * 구체적 설명을 요구함 * '-오' 계통의 종결어미가 사용됨 (~한고?) 2인칭 주어를 지닌 의문문 *'-ㄴ다' 형태의 종결어미가 사용됨 (네~-ㄴ다.) 판정 의문문 ★의문사 없이, 예 아니오 오늘 학교에 갈 거야? 설명 의문문 의문사 사용, 설명 답변 너는 무슨 책을 읽고 있니? 수사 의문문 이번에 합격하면 얼마나 좋을까? 공부 하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

도찐개찐, 도진개진, 도긴개긴, 도토리 키 재기

대상들 간에 별 차이가 없음을 이르는 말. 비슷한 말로 도토리 키 재기, 그 나물에 그 밥, 오십보백보, 피차일반, 대동소이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내는 낱말로 명사 ‘긴’을 등재 '도긴개긴', '도찐개찐'('도긴개긴'의 비표준어, 사투리)이 2015년 6월 15일 자로 표준국어대사전 등재 긴 품사: 명사 의미: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 예문 긴이 닿다. 모와 윷을 놓으니 걸 긴이 되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자음동화(子音同化, consonant assimilation),비음화(鼻音化), 유음화(설측음화),순음화(脣音化, labialization)

【2절】국어의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2] 자음동화(子音同化, consonant assimilation) 음절(音節)의 끝소리가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하는 현상. 즉, 음절이나 형태소 경계에 놓인 두 인접 자음 중 하나가 나머지 자음과 같아지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밥물'이 '밤물'로, '섭리'가 '섭니'로, 이 '섭니'가 다시 '섬니'로 바뀌는 것을 이른다. '자음동화작용', '자음접변'이라고도 한다. 이때 동화되는 자음이 동화시키는 자음과 같아지면 완전동화(듣+는[든는]), 그와 공통점이 많은 다른 자음으로 되면 불완전동화(잡+는[잠는]고)라고 한다. 그리고 뒷자음이 앞..

개이다, 개다, 설레이는, 설레는, 맞춤법

날씨가 개이다’인가, ‘날씨가 개다’인가: ‘개다’가 맞음 (가) 날씨가 개이다/개다 (나) 설레이는/설레는 마음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민법,상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띄어쓰기, 합성어와 파생어, 기타 합성어

【3절】 띄어쓰기 [3] 합성어와 파생어 2. 기타 합성어 가랑잎 가로놓이다 가로막다 가로젓자 가로지르다 가시밭 가시밭길 가위바위보 가을밤 간유리 감잣국 값나가다 값비싸다 값싸다 강줄기 개고기 개소리괴소리 개울둑 거센소리 걷잡다 걸터앉다 겁나다 겉모양 겉치레 게으름피우다 겨우살이 겹옷 곁들이다 계집아이 고기잡이배 고깃배 고래수염 곧은결 공들이다 구멍가게 궂은일 궂은비 궂은살 귀담아듣다 그전 기름때 기와집 길바닥 길조심 그림붓 그림일기 그만두다 그만하다 그물코 글공부 글모음 글쓴이 꽃가루 꽃구름 꽃나무 꽃다발 꽃동네 꽃동산 꽃마을 꽃바구니 꽃사슴 꽃소식 꽃시계 꿈같다 꿈꾸다 꿈나라 끌그물 끝인사 나들다 남다르다 남몰래 낯설다 낯익다 냇가 냉잇국 네눈이 노랫말 노랫소리 노루발장도리 논농사 농사일 회사일 놋그..

내노라, 내로라, 맞춤법

‘내노라’인가, ‘내로라’인가: ‘내로라’가 맞음 내로라 하는 사람들이 모두 모였다. ※ ‘내로라’는 기원적으로 대명사 ‘나’에 서술격조사 ‘이-’, 주어가 화자와 일치할 때 쓰이는 선어말어미 ‘-오-’(흔히 의도법 선어말어미나 1인칭 선어말어미라 불린다),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차례로 결합된 형식이다. 이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내로라: {나}+{이-}+{-오-}+{-다} ⇒ 나+이-+-로-+-라 ⇒ 내로라 중세국어에서는 서술격조사 ‘이다’ 뒤에서 선어말어미 ‘-오-’가 ‘-로-’로 바뀌고, 선어말어미 ‘-오-’ 뒤에서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라’로 바뀌는 현상이 있어서, ‘{나}+{이-}+{-오-}+{-다}’는 ‘내로라(

소고기, 쇠고기, 소기름, 쇠기름, 예, 네, 맞춤법, 복수 표준어

‘소고기’인가 ‘쇠고기’인가, ‘예’인가 ‘네’인가: 모두 맞음(복수 표준어) 소고기/쇠고기, 소기름/쇠기름, 예/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깨뜨리다, 깨트리다, 넘어뜨리다, 넘어트리다, 무너뜨리다, 무너트리다,맞춤법, 복수 표준어

‘깨뜨리고’인가, ‘깨트리고’인가: 모두 맞음 깨뜨리다/깨트리다, 넘어뜨리다/넘어트리다, 무너뜨리다/무너트리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구절, 귀절, 글귀(-句), 귀글(句-),구절(句節), 경구(警句), 문구(文句), 시구(詩句), 어구(語句), 맞춤법

‘구절’인가, ‘귀절’인가: 한자 ‘句’는 ‘글귀, 귀글’을 제외하고 모두 ‘구’로 읽음. (가) 구절(句節), 경구(警句), 문구(文句), 시구(詩句), 어구(語句) (나) 글귀(-句), 귀글(句-)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가여운,가엾은,가엽다,가엾다,서럽게,섧게,맞춤법

‘가여운’인가, ‘가엾은’인가: 복수 표준어 (가) 부모 잃은 {가여운, 가엾은} 아이 (나) {서럽게, 섧게} 운다 (다) 어디서 많이 뵌 분 같은데! / 자세한 내용은 직접 {*뵈고, 뵙고} 말씀드리겠습니다. ☞ 자음어미 앞에서는 ‘뵙다’만 쓰이고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어미 앞에서는 ‘뵈다’가 쓰임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간, 칸, 맞춤법

‘간’인가, ‘칸’인가: ‘칸’이 맞음 방 한 칸 / 중앙으로 한 칸 뛰어 악수 없다 / 다음 빈 칸을 메우시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허옇다,허예,허옜다,누렇다,누레,누렜다,하얘,하얬다,노랗다,노래,노랬다,맞춤법

‘허얘, 허얬다’인가, ‘허예, 허옜다’인가: ‘허예, 허옜다’가 맞음 (가) 허옇다/허예/허옜다, 누렇다/누레/누렜다 ※ 음성모음(‘ㅏ, ㅗ’ 이외) 뒤에서는 ‘에’ 형 (나) 하얗다/하얘/하얬다, 노랗다/노래/노랬다 ※ 양성모음(‘ㅏ, ㅗ’) 뒤에서는 ‘애’ 형 (다) 이렇다/이래/이랬다, 저렇다/저래/저랬다 ※ 음성모음, 양성모음의 교체를 보이지 않는 ‘이렇다, 저렇다, 그렇다’류는 항상 ‘애’ 형으로 적음 ※ 새까맣다, 시꺼멓다; 샛노랗다, 싯누렇다 양성 모음 앞 : 새-(된소리, 거센소리 앞), 샛-(예사소리 앞) 음성 모음 앞 : 시-(된소리, 거센소리 앞), 싯-(예사소리 앞)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

관계언, 조사(助詞), 격조사(格助詞), 교착어(膠着語)

【2절】품사 [2] 관계언-조사 조사(助詞)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다. 크게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나눈다. 걸림씨, 관계사, 관계어, 토, 토씨라고도 한다. 하나의 형태소이기는 하지만 자립할 수 있는 자립형태소가 아니라 주로 체언에 붙어서 뜻을 더해주거나 문법적인 역할을 한다. 다만, 한 낱말 뒤에서 띄어 쓰지 않고 붙여 쓴다. 이 때문에 조사를 하나의 접미사로 보기도 한다. 조사는 교착어(膠着語)에서만 나타나는 품사다. 조사는 명사 뒤에 부속되므로 후치사라고도 하며 문장에 있어서 단어와 단어, 또는 절과 절의 관계를 나타내주기 때문에 관계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어의 조사에는 병립을 나타내는 '와, 과', ..

체언, 대명사(代名詞, pronoun), 수사(數詞, numerals)

【2절】품사 [1] 체언 2.대명사(代名詞, pronoun) 사람이나 사물, 장소나 방향을 직접 가리키는 기능을 하는 품사. 대이름씨라고도 한다. 대명사는 크게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나뉜다. 이 외에 의미론적인 성격이나 통사적 기능에 따라 관계대명사, 부정(不定)대명사, 소유대명사, 재귀대명사, 의문대명사와 같이 나뉘기도 한다. 한국어에는 관계대명사가 없으며 소유대명사도 인정되지 않는다. 인칭대명사는 크게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 등으로 나뉘고, 지시대명사는 사물대명사와 처소대명사로 나뉜다. (1)인칭대명사(人稱代名詞, personal pronoun)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1인칭에 '나', '저', '우리', 2인칭에 '너', '너희', '자네', 3인칭에 '이', '그', '저', '이이..

체언(體言), 명사(名詞, noun), 의존명사(依存名詞, bound noun)

【2절】품사 [1] 체언 체언(體言)은 조사의 도움을 받아 문장에서 주체의 구실을 하는 단어. 명사·대명사·수사가 이에 속하며, 용언에 대립되고 '임자씨'라고도 한다. 체언의 문법적인 특성은 그것이 조사(助詞:토씨)의 도움으로 여러 가지 문장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활용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체언은 조사와 결합하여 목적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서술어 등으로 쓰인다. 1.명사(名詞, noun) 의미상 존재(entity)를 가리키는 단어 부류로 뒤에 격조사를 취하고 관형사와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는 단어를 말한다.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사다. 이름씨라고도 한다. (1)명사의 종류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냐 일반적인 사물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냐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

품사, 수식언(修飾言, modifier), 관형사(冠形詞, unconjugation adjective), 용언의 관형사형, 관형사 접두사 차이

【2절】품사 [4] 수식언(修飾言, modifier)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거나 한정하기 위해 첨가하는 문장 성분. 다른 언어 표현의 의미를 꾸며 주는 기능을 하는 요소. 활용하지 않으며, 관형사와 부사가 있다. 꾸밈말, 꾸밈씨, 수식사(修飾詞), 수식어(修飾語)라고도 한다. 명사를 수식하는 것을 명사수식어 또는 관형어라 하고, 동사를 수식하는 것을 동사수식어 또는 부사어라고 한다. '예쁜 꽃'의 '예쁜'이 관형어, '빨리 달린다'의 '빨리'가 부사어다. 수식어는 피수식어의 의미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뿐이므로 문법적으로는 수의적(遂意的)인 요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예쁜 꽃이 피었다'에서 수식어 '예쁜'을 생략해도 문장은 여전히 문법적이다. 1.관형사(冠形詞, unconjugation..

품사, 보조사(補助詞)

【2절】품사 3.보조사(補助詞)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 '은', '는', '도', '만', '까지', '마저', '조차', '부터' 따위가 있다. 도움토, 도움토씨, 보조조사, 특수조사라고도 한다. 보조사는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동일한 형태로 여러 격을 표시할 수 있다(보기 ①~③). 보조사는 체언뿐만 아니라 조사, 부사, 용언 등에도 붙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의미만 첨가하거나 강조할 뿐 격을 표시하지는 않는다(보기 ④). 이처럼 단어 뒤에 붙은 보조사를 통용보조사라고 한다. 한편 보조사 중 문장 끝에 붙는 것이 있는데, 이를 종결보조사라고 한다(보기 ⑤). ①㉠우리는 자유를 원한다.(주격) ㉡나는 국어는 좋아한다.(목적격) ㉢순이가 철..

나무꾼, 나뭇꾼, 맞춤법, 사기꾼, 소리꾼,때깔, 빛깔, 성깔, 맛깔,귀때기, 볼때기, 판자때기,곱배기,곱빼기

‘나무꾼’인가 ‘나뭇꾼’인가: ‘나무꾼’이 맞음 (가) 낚시꾼, 나무꾼, 사기꾼, 소리꾼 (나) 때깔, 빛깔, 성깔, 맛깔 (다) 귀때기, 볼때기, 판자때기 (라) 자장면 곱배기(×) / 자장면 곱빼기(○) ※ 「한글 맞춤법」 제54항에서는 ‘-꾼’과 ‘-(ㅅ)군’, ‘-깔’과 ‘-(ㅅ)갈’, ‘-때기’와 ‘-(ㅅ)대기’, ‘-꿈치’와 ‘-(ㅅ)굼치’, ‘-빼기’와 ‘-(ㅅ)배기’, ‘-쩍다’와 ‘-적다’ 중에서 ‘-꾼, -깔, -때기, -꿈치, -빼기, -쩍다’를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아래 표 참조). 즉 된소리로 나는 위의 접미사는 된소리 글자로 적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곱빼기’가 맞다. 다만 ‘언덕배기’는 ‘언덕바지’와 짝을 맞추기 위하여 ‘언덕빼기’가 아니라 ‘언덕배기’로 적는다(「표준어..

돐, 돌, 홀몸, 홑몸, 돌떡, 돌잔치, 두 돌을, 맞춤법

‘돐’인가 ‘돌’인가, ‘홀몸’인가 ‘홑몸’인가 (가) 돌떡, 돌잔치, 두 돌을 넘긴 아이, 우리 회사는 창립한 지 열 돌을 맞았다 (나) 홀몸: 배우자나 형제가 없는 사람. 홑몸: ① 딸린 사람이 없는 몸. ② 임신하지 않은 몸. ※ 예: “홑몸이 아니라 몸이 무겁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문법의 기능, 부정 표현, '못' 부정문, '안' 부정문

【3절】문법의 기능과 의미 [3] 부정 표현 (1)부정문의 형식 부정문이란 긍정 표현에 대해 언어 내용의 의미를 부정하는 문법 기능을 말한다. 국어에서는 부정부사 '아니(안), 못'과 부정 보조용언 '아니하다, 못하다'를 사용하여 부정 표현을 만들 수 있다. 명령, 청유문에서는 '말다'가 쓰인다. 부정문은 오직 '안(아니), 못'의 출현 유무(형식상 기준)에 의해서만 판별된다. 따라서 '없다, 모르다' 등 부정적 의미를 가진 어휘가 쓰여도 긍정문이며, 이중부정문도 의미상 긍정문이지만 '안'이 쓰였으므로 부정문이다. 또한 불(不), 비(非), 무(無) 등의 부정적 접두사가 쓰였다고 하더라도 긍정문이다. 부정부사로 된 부정문을 짧은 부정문, 부정 보조용언으로 된 것을 긴 부정문이라고 한다. 짧은 부정문은 부..

문법의 기능, 시간 표현, 시제(時制, tense)

【3절】문법의 기능과 의미 [2]시간 표현 1. 시제(時制, tense)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시간 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 과거, 현재, 미래가 있으며 발화시를 기준으로 한 절대시제와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상대시제가 있다. '때매김', '시칭(時稱)'이라고도 한다. 시간 표현은 대개 시제 선어말어미, 관형사형 어미, 시간 부사어 등으로 실현된다. ※발화시:말하는 이가 말하는 시점. 사건시: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나는 시점. ※시제를 의미하는 'tense'는 라틴어 'temps(시간)'에서 유래되었다. ①시제의 일반성:절대시제와 상대시제 유 형 개 념 위 치 보 기 절대시제 발화시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문장의 시제 종결형 나는 어제 삼계탕을 먹었다. 상대시제 주문장의 사건시에 의존하여 상대적..

평서문(平敍文, declarative sentence), 의문문(疑問文, interrogative sentence), 명령문(命令文, imperative sentence), 감탄문(感歎文, exclamatory sentence)

【3절】문법의 기능과 의미 [1] 문장 종결 국어의 문장은 종결 표현에 따라 전체 문장의 의미가 좌우된다. 이러한 국어의 종결 표현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종결어미다. 상대높임법과 관련이 있다. 문장을 종결하는 표현법에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이 있다. 1. 평서문(平敍文, declarative sentence) 화자(話者)가 문장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진술하는 문장. 평서형 어미로 문장을 끝맺는데 ‘하얀 눈이 왔다.' 따위이다. 베풂월, 서술문이라고도 한다.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이다. 평서형 종결어미로 문장을 종결한다. 종결어미의 대표형은 '-(ㄴ)다'인데, 상대높임법에 따라 다양하게 쓸 수 있다. ⓐ비행기가 아침 일찍 떠..

문법의 기능, 사동 표현, 파생적 사동(=단형 사동), 통사적 사동(=장형 사동)

【3절】문법의 기능과 의미 [5] 사동 표현 문장은 주어가 동작이나 행위를 직접 하느냐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하도록 하느냐에 따라 주동문과 사동문으로 나뉜다. 주어가 동작을 직접 하는 것을 주동(主動)이라 하고, 주어가 남에게 동작으로 하도록 시키는 것을 사동(使動)이라고 한다. 사동은 주로 동사가 나타나는데 형용사가 사동사로 바뀌거나 사동의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국어의 사동법에는 파생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이 있다. (1)파생적 사동(=단형 사동) ①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으키-, -이키-, -애-' 사동법: 이러한 사동접사를 주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붙여 사동사를 만든다. 타동사, 자동사, 형용사를 사동사로 만들 수 있는데, 사동사는 모두 타동사다. ※사..

전문용어, 띄어쓰기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붙여 씀을 허용함 (가) 탄소 동화 작용(원칙), 탄소동화작용(허용) / 급성 복막염(원칙), 급성복막염(허용) / 긴급 재정 처분(緊急財政處分)[원칙] / 긴급재정처분(허용), 손해 배상 청구(원칙) / 손해배상청구(허용), 두 팔 들어 가슴 벌리기(원칙), 두팔들어가슴벌리기(허용) (나) 간단한 도면 그리기, 바닷말과 물고기 기르기 ※ 명사가 용언의 관형사형으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거나 두 개 이상의 체언이 접속조사로 연결될 때에는 붙여 쓰지 않음 (나)′ 「청소년 보호법」(원칙), 「청소년보호법」(허용)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11조 ※ 법률명의 띄어쓰기도 (가), (나)에 준한다. 따라서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제11조’처럼 붙여 쓰지 않음..

고유명사, 띄어쓰기

성명이 아닌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가) 대한 중학교(원칙), 대한중학교(허용) ※ 고유명사는 붙여 쓸 수 있음 (나) 한국 상업 은행 재동 지점 대부계(원칙), 한국상업은행 재동지점 대부계(허용) ※ 기구나 조직을 나타내는 말은 구성 단위별로 붙여 쓸 수 있음 (다) 대통령 직속 국가 안전 보장 회의(원칙), 대통령 직속 국가안전보장회의(허용) ※ ‘부설(附設), 부속(附屬), 직속(直屬), 산하(傘下)’ 따위는 앞뒤의 말과 띄어 씀이 원칙이나 아래 (다′)처럼 특정 기관을 가리키는 명칭의 일부로 쓰일 때에는 붙여 쓸 수 있음 (다′)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부속 고등 학교(원칙),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허용)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

음운과 음운 변화, 음소의 체계, 자음 체계

【1절】음운과 음운 변화 [2] 음소의 체계 2.자음 체계 목청을 통과한 공기가 목이나 입 안의 어떤 자리에서 막히거나, 목이나 입 안의 통로가 좁혀져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입게 되어 나는 소리를 자음이라고 한다. 즉, 자음(子音, consonant)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다.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ㅂ, ㅃ, ㅍ, ㅁ), 치조음(ㄷ, ㄸ, ㅌ, ㅅ, ㅆ, ㄴ, ㄹ), 경구개음(ㅈ, ㅉ, ㅊ), 연구개음(ㄱ, ㄲ, ㅋ, ㅇ), 성문음(ㅎ)이 있으며, 조음 방법에 따라서는 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파찰음(ㅈ, ㅉ, ㅊ), 마찰음(ㅅ, ㅆ, ㅎ), 유음(ㄹ), 비음(ㄴ, ㅁ..

문장성분 갖춰 쓰기, 주어가 생략된 문장, 목적어가 생략된 문장

제4장 문장의 구조와 문장 바로 쓰기 【2절】문장 바로 쓰기 [2] 문장성분 갖춰 쓰기 필요한 성분을 잘못 생략한 문장 연결어미로 이어진 문장이나 안긴문장을 안은문장에서 공유할 수 없는 앞절의 문장성분을 공유해 뒷절에서 필요한 주어나 목적어, 부사어 등을 생략한 문장이 많다. 또한 우리말에서는 주어가 생략돼도 문장구조를 해치지 않는 것이 많은데, 그럴 때가 아니면 주어를 생략해서는 안 된다. ①주어가 생략된 문장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때로는 "불이야!", "정말?"과 같은 표현을 문장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는 상황이나 문맥을 통해 생략돼 있는 주어나 서술어를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굳이 주어나 서술어를 찾아 밝힐 필요는 없다. (예)ⓐ(나는)엄마를 ..

접속조사,부사격조사,-마는,-만은

제4장 문장의 구조와 문장 바로 쓰기 【2절】문장 바로 쓰기 [1] 조사 바로 쓰기 3. 기타 조사 바로 쓰기 (1)접속조사 바로 쓰기: 접속조사는 체언과 체언 사이에서만 쓰고, 조사 앞에는 쓰지 않는다. ⓐ너와 나의 사이에 무슨 비밀이 있겠니. → 나와의(×) ⓑ환경오염과 과학기술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자. → 과는(×) ◈보충학습 ※접속조사: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①특징 ㉠종류: -와/과(문어에서 잘 쓰임), -(에)다, -(이)며, -(이)랑, -하고(구어에서 잘 쓰임) (예)봄이 되면 개나리(와, 랑, 하고) 진달래가 가장 먼저 핀다. ㉡접속조사는 때로는 생략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생략된 자리에 반드시 쉼표를 첨가해야 한다. ② '와/과'의 기능 ㉠문장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