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절】국어의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2] 자음동화(子音同化, consonant assimilation)
음절(音節)의 끝소리가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하는 현상. 즉, 음절이나 형태소 경계에 놓인 두 인접 자음 중 하나가 나머지 자음과 같아지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밥물'이 '밤물'로, '섭리'가 '섭니'로, 이 '섭니'가 다시 '섬니'로 바뀌는 것을 이른다. '자음동화작용', '자음접변'이라고도 한다.
이때 동화되는 자음이 동화시키는 자음과 같아지면 완전동화(듣+는[든는]), 그와 공통점이 많은 다른 자음으로 되면 불완전동화(잡+는[잠는]고)라고 한다. 그리고 뒷자음이 앞자음의 자질에 동화되면 순행동화(달+나라[달라라]), 앞자음이 뒷자음의 자질에 동화되면 역행동화(먹+는[멍는]), 서로 동화되면 상호동화라고 한다. 또 바로 인접한 자음의 자질에 동화되면 직접동화(믿+는[민는]), 격리된 자음의 자질에 동화되면 간접동화(훑+는[훌른])라고 한다.
국어의 자음동화는 앞자음이 'ㅂ, ㄷ, ㄱ' 중의 어느 하나로 미파화(未破化)된 뒤에 일어나며, 크게 순음화, 연구개음화, 비음화, 유음화로 구분된다. 순음화는 치경음이 순음 앞에서 순음으로 되는 것이고, 연구개음화는 치경음이나 순음이 연구개음 앞에서 연구개음으로 되는 것이다.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 앞에서 비음으로, 유음화는 'ㄴ'이 'ㄻ' 이외의 'ㄹ' 선행(先行) 자음군 뒤에서 'ㄹ'로 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순음화와 연구개음화는 임의적이지만, 비음화와 유음화는 의무적이다. <보기> 밭[田]+보다[밥뽀다]/[받뽀다], 집[家]+까지[직까지]/[집까지], 잡[執]+는[잠는], 끓[沸]+는[끌른]
☞ 자음동화의 표준 발음= 조음 위치 불변, 조음 방법 변화
1. 비음화(鼻音化)
어떤 음의 조음(調音)에 비강의 공명이 수반되는 현상. '십만'이 [심만], '먹는다'가 [멍는다]가 되는 것 따위이다. ‘콧소리되기’라고도 한다.
(1)파열음의 비음화
파열음이 뒤에 오는 비음에 동화되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파열음 'ㅂ, ㄷ, ㄱ'은 비음 'ㅁ, ㄴ' 앞에서 비음에 동화되어 'ㅁ, ㄴ, ㅇ'으로 발음된다. 역행동화.
※역행동화(逆行同化): 어떤 음운이 뒤에 오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먹는다'가 [멍는다]로, '해돋이'가 [해도지]로 발음되는 것 따위.
①뒤의 음운과 조음 위치가 같은 파열음의 비음화: 밥물→[밤물], 밥 먹는다→[밤멍는다], 앞마당→[압마당]→[암마당], 값 매기다→[갑매기다]→[감매기다], 받는다→[반는다], 닫는→[단는], 짓는→[짇는]→[진는], 있는→[읻는]→[인는], 맞는→[맏는]→[만는], 쫓는→[쫃는]→[쫀는], 붙는→[붇는]→[분는], 놓는→[녿는]→[논는]
②뒤의 음운과 조음 위치가 다른 파열음의 비음화: 옷맵시→[옫맵씨]→[온맵씨], 젖멍울→[젇멍울]→[전멍울], 꽃망울→[꼳망울]→[꼰망울], 꽃말→[꼳말]→[꼰말], 옷 맞추다→[옫마추다]→[온마추다], 젖먹이→[젇머기]→[전머기], 국물→[궁물], 먹는→[멍는], 책넣는다→[책넏는다]→[챙넌는다], 몫몫이→[목목씨]→[몽목씨], 흙말리다→[흑말리다]→[흥말리다], 흙만→[흑만]→[흥만], 긁는→[극는]→[긍는], 깎는→[깍는]→[깡는], 키읔만→[키윽만]→[키응만], 잡는→[잠는], 밟는→[밥는]→[밤는], 읊는→[읍는]→[음는], 없는→[업는]→[엄는]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의 'ㄷ'은 발음되지 않는다. <보기> 웃풍→[우풍/욷풍], 맞춤→[마춤/맏춤], 삿대→[사때/삳때], 숫제→[수쩨/숟쩨]
(2)유음의 비음화
첫소리 'ㄹ'이 앞 음절의 끝소리 비음 'ㅁ, ㅇ' 뒤에서 그에 동화되어 [ㄴ]으로 발음된다. 순행동화. 남루→[남누], 담력→[담녁], 침략→[침냑], 종로→[종노], 강릉→[강능], 항로→[항노], 대통령→[대통녕]
※ 순행동화(順行同化): 뒤의 음이 앞의 음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종로'가 [종노]로 발음되는 것 따위.
☆비음화 정리
㉠ㅂ, ㄷ, ㄱ + ㅁ, ㄴ ⇒ [ㅁ, ㄴ, ㅇ] + [ㅁ, ㄴ]
ⓐ양순음 'ㅂ, ㅍ'은 비음 앞에서 [ㅁ]으로 발음된다. <보기> 밥물→[밤물], 섭리→[섭니]→[섬니], 앞문→[압문]→[암문]
ⓑ치조음 'ㄷ, ㅌ'은 비음 앞에서 [ㄴ]으로 발음된다. <보기> 닫는→[단는], 겉문→[건문]→[건문]
ⓒ연구개음 'ㄱ, ㄲ, ㅋ'은 비음 앞에서 [ㅇ]으로 발음된다. <보기> 국민→[궁민], 국물→[궁물], 깎는→[깍는]→[깡는]
※이들은 모두 변하기 전 음운과 변한 이후의 음운이 동일한 조음 위치를 가지고 있다. 모두 역행동화에 해당한다.
㉡ㅁ, ㅇ + ㄹ ⇒ [ㅁ, ㅇ] + [ㄴ] <보기> 종로→[종노], 남루→[남누]
㉢ㅂ, ㄷ, ㄱ + ㄹ ⇒ [ㅁ, ㄴ, ㅇ] + [ㄴ] <보기> 섭리→[섭니]→[섬니]
※상호동화(相互同化): 앞 음절의 받침 'ㅂ, ㄷ, ㄱ' 때문에 뒤에 오는 'ㄹ'이 'ㄴ'으로 바뀌고, 바뀐 'ㄴ' 때문에 앞의 'ㅂ, ㄷ, ㄱ'이 비음 'ㅁ, ㄴ, ㅇ'으로 바뀐다. 즉, 폐쇄음에 의한 유음의 비음화가 순행동화로 일어나고 비음에 의한 폐쇄음의 비음화가 역행동화로 일어나는 것을 상호동화라고 한다. <보기> 섭리→[섭니]→[섬니], 십리→[십니]→[심니], 협력→[협녁]→[혐녁], 백로→[백노]→[뱅노], 국력→[국녁]→[궁녁], 백리→[백니]→[뱅니], 막론→[막논]→[망논], 몇 리→[멷리]→[멷니]→[면니]
제18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먹는[멍는] 국물[궁물] 깎는[깡는] 키읔만[키응만] 몫몫이[몽목씨] 긁는[긍는] 흙만[흥만] 닫는[단는] 짓는[진ː는] 옷맵시[온맵시] 있는[인는] 맞는[만는] 젖멍울[전멍울] 쫓는[쫀는] 꽃망울[꼰망울] 붙는[분는] 놓는[논는] 잡는[잠는] 밥물[밤물] 앞마당[암마당] 밟는[밤ː는] 읊는[음는] 없는[엄ː는] 값매다[감매다] [붙임]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책 넣는다[챙넌는다] 흙 말리다[흥말리다] 옷 맞추다[온맏추다] 밥 먹는다[밤멍는다] 값 매기다[감매기다] 제19항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담력[담ː녁] 침략[침냑] 강릉[강능] 항로[항ː노] 대통령[대ː통녕] [붙임] 받침 ‘ㄱ, ㅂ’ 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막론[막논→망논] 백리[백니→뱅니] 협력[협녁→혐녁] 십리[십니→심니] |
2. 유음화(설측음화)
'ㄴ'은 'ㄹ'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된다. 'ㅀ, ㄾ, ㄼ'과 같은 겹자음의 대표음 'ㄹ' 뒤에 오는 'ㄴ'도 'ㄹ'로 바뀐다.
ㄴ’과 ‘ㄹ’이 만났을 때 ‘ㄴ’이 ‘ㄹ’로 바뀌는 현상. ㄴ→[ㄹ]/ㄹ의 앞이나 뒤 |
신라→[실라], 천리→[철리], 논리→[놀리] 설측음화 | ⓐ |
칼랄→[칼랄], 찰나→[찰라], 말눈→[말룬], 실낱같이→[길랄가티]→[실랄가치] | ⓑ | |
앓는→[알는]→[알른], 끓는→[끌는]→[끌른], 훑는→[훌는]→[훌른] | ⓒ |
ⓐ는 역행 동화, ⓑ는 순행동화의 예이다. 국어에서는 역행동화 유형이 주종을 이룬다. ⓒ는 'ㅀ, ㄾ'과 같은 겹자음이 받침으로 온 경우인데, 이때는 역시 둘 중 하나가 묵음되고 이어 유음화 규칙을 따르게 된다. 결국 ⓒ는 ⓑ와 같은 순행동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국어에서 'ㄹ'은 대개 두 가지로 실현된다. 하나는 종성으로 쓰였을 때이고, 하나는 초성으로 쓰였을 때다. 전자는 설측음 [l]로 나타내고, 후자는 탄설음 [r]로 나타낸다. 후자의 경우는 소위 설전음으로 실현되기도 하지만 흔한 현상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유음화 현상을 설측음화라고 부르는 일이 많은데, 이는 ⓐ만을 지칭한 것이다. ⓑ와 같은 경우는 'ㄴ'이 'ㄹ'로 바뀐 유음화에는 해당되지만, 설측음화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를 유음화라고 지칭하는 것이 올바르다.
(1)역행동화(逆行同化)
어떤 음운이 뒤에 오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먹는다'가 [멍는다]로, '해돋이'가 [해도지]로 발음되는 것 따위.
신라→[실라], 난로→[날로], 논리→[놀리], 반론→[발론], 분량→[불량], 탄로→[탈로], 혼란→[홀란], 전라도→[절라도], 신리(新里)→[실리], 현리(縣里)→[혈리]
(2)순행동화(順行同化)
뒤의 음이 앞의 음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종로'가 [종노]로 발음되는 것 따위.
칼날→[칼랄], 설날→[설랄], 실내→[실래], 월남→[월람], 찰나→[찰라], 힐난→[힐란], 물난리→[물랄리], 줄넘기→[줄럼끼], 할는지→[할른지], 발 냄새→[발램새], 손을 놔→[소늘롸], 앓는→[알른], 끓는→[끌른], 닳는→[달른], 뚫는→[뚤른], 훑는→[훌른], 핥네→[할레], 짧네→[짤레], 넓네→[널레]
▣주의할 점
▶3음절 한자어의 비음화: 2음절로 된 한자어(단어) 뒤에 1음절 한자 형태소가 붙은 3음절 한자어에서 앞 단어 끝음절 말음이 'ㄴ'이고 뒤의 1음절 한자 형태소의 첫소리가 'ㄹ'일 때에는 앞의 'ㄴ'이 'ㄹ'로 바뀌지 않고 뒤의 'ㄹ'이 'ㄴ'으로 바뀐다. 4음절 이상의 한자어에서도 비음화가 일어날 수 있다. <보기> 견인력→[겨닌녁](○)→[겨닐력](×), 공권력→[공꿘녁](○)→[공꿜력](×), 결단력→[결딴녁](○)→[결딸력](×), 횡단로→[횡단노](○)→[횡달로](×), 이원론→[이원논](○)→[이월론](×), 낙관론→[낙꽌논](○)→[낙꽐론](×), 음운론→[으문논](○)→[으물론](×), 생산량→[생산냥](○)→[생살량](×), 상견례→[상견녜](○)→[상결례](×), 임진란→[임진난](○)→[임질란](×), 의견란→[의견난](○)→[의결란](×), 동원령→[동원녕](○)→[동월령](×), 구근류→[구근뉴](○)→[구글류](×), 보안림→[보안님](○)→[보알림](×), 중계권료→[중계꿘뇨](○)→[중계궐료](×)
▶2음절 한자어 뒤에 '-리(里 ), -루(樓), -령(嶺)'이 붙은 단어와 '신선로(神仙爐)'는 유음화가 일어난다. <보기> 삼천리→[삼천리](○)→[삼천니](×), 노근리→[노글리](○)→[노근니](×), 광안리→[광알리](○)→[광안니](×), 광한루→[광할루](○)→[광한누](×), 마천루→[마철루](○)→[마천누](×), 대관령→[대괄령](○)→[대관녕](×), 마천령→[마철령](○)→[마천녕](×), 신선로→[신설로](○)→[신선노](×)
☞ '견인+력, 이원+론, 임진+란' 등과 같이 '2음절 단어+1음절 형태소'로 분석된다.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1) 난로[날ː로] 신라[실라] 천리[철리] 광한루[광ː할루] 대관령[대ː괄령] (2) 칼날[칼랄] 물난리[물랄리] 줄넘기[줄럼끼] 할는지[할른지] [붙임] 첫소리 'ㄴ'이 'ㅀ', 'ㄾ'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닳는[달른] 뚫는[뚤른] 핥네[할레]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한다. 의견란[의ː견난] 임진란[임ː진난] 생산량[생산냥] 결단력[결딴녁] 공권력 [공꿘녁] 동원령[동ː원녕] 상견례[상견녜] 횡단로[횡단노] 이원론[이ː원논] 입원료[이붠뇨] 구근류[구근뉴] |
3.순음화(脣音化, labialization)
어떤 음(音)이 동시 조음으로써 원순성을 동반하는 현상. 설단음 'ㄴ, ㄷ'이 뒤 음절 첫소리 순음에 동화되어 순음 'ㅁ, ㅂ'으로 발음되는 수의적 음운변동이다. 비표준 발음이다. <보기> 신문→[심문], 문법→[뭄뻡], 꽃말→[꼳말]→[꼼말], 젖먹이→[젇머기]→[점머기], 꽃바구니→[꼳빠구니]→[꼽빠구니], 꽃밭→[꼳빧]→[꼽빧] (×)
※ [신문], [문뻡], [꼰말], [전머기], [꼳빠구니], [꼳빧]이 표준 발음이다.
양순음이 아닌 자음이 양순음 ‘ㅁ, ㅂ, ㅃ, ㅍ’ 등의 영향을 받아 양순음 ‘ㅁ, ㅂ’으로 바뀌는 현상. ㄷ, ㄱ, ㄴ → [ㅁ, ㅂ] / ㅁ, ㅂ, ㅃ, ㅍ 앞 |
꽃바구니→[꼽빠구니] 신문→[심문] 냇물→[냄물] |
4. 연구개음화(軟口蓋音化)
자음이 조음될 때, 후설면(後舌面)이 연구개 쪽으로 올라가면서 발음되는 현상. 설단음 'ㄴ, ㄷ'과 순음 'ㅂ, ㅁ' 등이 뒤 음절 첫소리 연구개음에 동화되어 'ㄱ, ㅇ'으로 발음되는 수의적 음운 변동이다. 비표준 발음이다. <보기> 건강→[겅강], 신고→[싱꼬], 숟가락→[숙까락], 옷감→[옫깜]→[옥깜], 있고→[읻꼬]→[익꼬], 꽃길→[꼳낄]→[꼭낄], 갑갑하다→[각까파다], 잡고→[작꼬], 감기→[강기], 무릎까지→[무릅까지]→[무륵까지], 남고→[낭꼬], 삶고→[삼꼬]→[상꼬] (×)
※[건강], [신꼬], [숟까락], [옫깜], [읻꼬], [꼳낄], [갑까파다], [잡꼬], [무릅까지], [감기], [남꼬], [삼꼬]가 표준 발음이다.
5.구개음화(口蓋音化)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것이 구개음 'ㅈ', 'ㅊ'이 되거나, 'ㄷ'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올 때 'ㅎ'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ㅌ'이 'ㅊ'이 되는 현상. '굳이'가 [구지]로, '굳히다'가 [구치다]로 되는 것 따위이다. '경구개음화', '입천장소리되기'라고도 한다. 표준 발음이다. <보기>미닫이→[미다디]→[미다지], 해돋이→[해도디]→[해도지], 같이→[가티]→[가치], 곁이→[겨티]→[겨치], 끝이→[끄티]→[끄치], 밭이랑→[바티랑]→[바치랑], 굳히다→[구티다]→[구치다], 닫혀→[다텨]→[다쳐]
※ '밭이랑'에서 '이랑'이 접속조사일 때에는 [바치랑]으로 발음되지만, 명사로 쓰일 때에는 'ㄴ'이 첨가되어 [반니랑]으로 발음된다.
연구개음이 아닌 'ㅂ, ㄷ, ㅁ, ㄴ' 등이 연구개음의 영향으로 연구개음인 'ㄱ, ㅇ'으로 바뀌기도 함. ㅂ, ㄷ, ㅁ, ㄴ → [ㄱ, ㅇ] / ㄱ, ㅇ 앞 |
숟가락→[숙까락] 밥그릇→[박끄륻] 건강→[겅강] |
☞ 구개음화된 것을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만, 표기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
☞ 'ㄱ, ㅎ'이 방언에서 [ㅈ, ㅅ]으로 발음되는 것도 구개음화의 일종으로 본다. <보기> 힘→[심], 김치→[짐치], 길→[질]
☞ 근대국어에서는 한 형태소 내부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났음.
☞ 근대국어 이후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인정하는 예도 있음.
☞ '마디, 디디다, 티끌, 어디' 등은 중세국어에서 각각 '마ㄷㆍㅣ, 듸듸다, 틔끌, 어듸' 등의 이중모음이었으므로 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았음.
▣주의할 점
㉠현대어에서는 구개음화가 형태소 경계에서만 일어나고 형태소 내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보기> 느티나무→[느치나무](×), 티끌→[치끌](×), 잔디→[잔지](×), 디디다→[지지다](×)
㉡'ㅎ→ ㅅ, ㄱ→ ㅈ, ㅋ→ ㅊ'의 구개음화는 표준 발음이 아니다. <보기> 길→[질](×), 힘→[심](×), 형님→[성님](×), 짜깁기→[짜집끼](×)
◈자음동화의 단계
섭리→ [섭니]→ [섬니], 국력→ [국녁]→ [궁녁], 백로→ [백노]→ [뱅노], 몇 리→ [멷리]→ [면니], 급류→ [급뉴]→ [금뉴] |
'ㅂ,ㄷ,ㄱ'과 'ㄹ'이 만나면 'ㄹ'이 'ㄴ'이 되고, 이렇게 변해서 된 'ㄴ'을 닮아서 그 앞의 'ㅂ,ㄷ,ㄱ'이 각각 비음 'ㅁ,ㄴ,ㅇ'이 된다. 따라서 '섭리, 몇 리, 백로'의 경우에는 'ㄹ'이 먼저 'ㄴ'으로 바뀌고([섭니], [멷니], [백노]), 이 'ㄴ'을 닮아서 그 앞의 'ㅂ, ㄷ, ㄱ'이 각각 'ㅁ, ㄴ, ㅇ'이 된 것([섬니], [면니], [뱅노]) 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제21항 위에서 지적한 이외의 자음동화는 인정하지 않는다. 감기[감:기](×[강:기]) 옷감[오ㄷ깜](×[옥깜]) 있고[이ㄷ꼬](×[익꼬]) 꽃길[꼬ㄷ낄](×[꼭낄]) 젖먹이[전머기](×점머기]) 문법[문뻐ㅂ](×[뭄뻐ㅂ]) 꽃밭[꼬ㄷ빠ㄷ](×[꼽빠ㄷ]) |
▣구개음화 탐구
<보기> 텬→ [천], 디→ [지], 텨→ [처], 뎔→ [절] |
<보기>가 구개음화의 사례들과 구별되는 점은 무엇인가?
☞ 이들은 비록 형태소 결합 과정이 전제되지 않은 한 형태소 안이지만,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었기 때문에 구개음화로 인정할 수 있다. 현대국어의 구개음화는 형식형태소인 조사나 접사가 결합한 경우가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한 형태소 내에서나 합성어 안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근대 국어에는 한 형태소 안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보기> 디다→ [지다], 뎌→ [져]→ [저], 됴타→ [죠타]→ [좋다], 텬디(天地)→ [쳔지]→ [천지] |
근대국어에 구개음화를 겪은 것들은 표기까지 구개음화된 형태로 굳어졌다. 반면 표준 발음법에서는 구개음화된 소리를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되, 표기는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위의 예들과 차이를 보인다.
제17항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곧이듣다[고지듣따] 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땀받이[땀바지] 밭이[바치] 벼훑이[벼훌치] [붙임]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굳히다[구치다], 닫히다[다치다], 묻히다[무치다] |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