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한글 맞춤법 - 제1장∼제3장 소리에 관한 것

Jobs 9 2023. 7. 27. 06:45
반응형

[차례] 

제1장 총 칙

제2장 자 모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2절 구개음화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4절 모 음

제5절 두음 법칙

제6절 겹쳐나는 소리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2절 어간과 어미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는 말

제5절 준 말

제5장 띄어쓰기

제1절 조 사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3절 보조 용언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제6장 그 밖의 것


(부록) 문장 부호


 

제1장   총     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제2장   자     모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붙임 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다.

ㄲ(쌍기역) ㄸ(땅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붙임 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 소 리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   어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씬   담뿍   움찔   몽땅   엉뚱하다

다만,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한다.

국수   깍두기   딱지   색시   싹둑(∼싹둑)   법석   갑자기   몹시

제2절   구개음화

제6항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맏이
해돋이
굳이
같이
끝이
마지
해도지
구지
가치
끄치




핥이다
걷히다
닫히다
묻히다
할치다
거치다
다치다
무치다

제3절   ‘ㄷ’소리 받침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옛   첫   헛

제4절   모     음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계수(桂樹)
사례(謝禮)
연몌(連袂)
폐품(廢品)
게수
사레
연메
페품



혜택(惠澤)
계집
핑계
계시다
헤택
게집
핑게
게시다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게송(偈頌)   게시판(揭示版)   휴게실(休憩室)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의의(意義)
본의(本義)
무늬〔紋〕
보늬
오늬
하늬바람
늴리리
의이
본이
무니
보니
오니
하니바람
닐리리






닁큼
띄어쓰기
씌어
틔어
희망(希望)
희다
유희(遊戱)
닝큼
띠어쓰기
씨어
티어
히망
히다
유히

제5절   두음 법칙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여자(女子)
연세(年歲)
요소(尿素)
녀자
년세
뇨소


유대(紐帶)
이토(泥土)
익명(匿名)
뉴대
니토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음을 인정한다.

냥(兩)     냥쭝(兩-)     년(年)(몇 년)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남녀(男女)      당뇨(糖尿)      결뉴(結紐)      은닉(隱匿)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신여성(新女性)      공염불(空念佛)      남존여비(男尊女卑)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양심(良心)
역사(歷史)
예의(禮儀)
량심
력사
례의


용궁(龍宮)
유행(流行)
이발(理髮)
룡궁
류행
리발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리(里) : 몇 리냐?

리〔理〕: 그럴 리가 없다.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개량(改良)     선량(善良)     수력(水力)     협력(協力)

사례(謝禮)     혼례(婚禮)     와룡(臥龍)     쌍룡(雙龍)

하류(下流)     급류(急流)     도리(道理)     진리(眞理)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나열(羅列)
치열(齒烈)
비열(卑劣)
규율(規律)
분열(分裂)
선열(先烈)
라렬
치렬
비렬
규률
분렬
선렬





진열(陳列)
선율(旋律)
비율(比率)
실패율(失敗率)
전율(戰慄)
백분율(百分率)
진렬
선률
비률
실패률
전률
백분률

〔붙임 2〕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도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

신립(申砬)     최린(崔麟)     채륜(蔡倫)     하륜(河崙)

〔붙임 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국련(국제연합)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

〔붙임 4〕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역이용(逆利用)    연이율(年利率)    열역학(熱力學)     해외여행(海外旅行)

〔붙임 5〕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나 십진법에 따라 쓰는 수(數)도 붙임 4에 준하여 적는다.

서울여관     신흥이발관     육천육백육십육(六千六百六十六)

제12항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낙원(樂園)
내일(來日)
노인(老人)
락원
래일
로인


뇌성(雷聲)
누각(樓閣)
능묘(陵墓)
뢰성
루각
릉묘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쾌락(快樂) 극락(極樂) 거래(去來) 왕래(往來)
부로(父老) 연로(年老) 지뢰(地雷) 낙뢰(落雷)
고루(高樓) 광한루(廣寒樓) 가정란(家庭欄) 동구릉(東九陵)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뒷말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내내월(來來月) 상노인(上老人) 중노동(重勞動) 비논리적(非論理的)

제6절   겹쳐 나는 소리

제13항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딱딱
쌕쌕
씩씩
똑딱똑딱
쓱싹쓱싹
연연불망(戀戀不忘)
유유상종(類類相從)
누누이
딱닥
쌕색
씩식
똑닥똑닥
쓱삭쓱삭
연련불망
유류상종
누루이







꼿꼿하다
놀놀하다
눅눅하다
밋밋하다
싹싹하다
쌉쌀하다
씁쓸하다
짭짤하다
꼿곳하다
놀롤하다
눙눅하다
민밋하다
싹삭하다
쌉살하다
씁슬하다
짭잘하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